출처: Forbes Magazine

출처: Forbes Magazine

이 도표는 해마다 Forbes 잡지에서 발표하는 ‘세계의 부자들’ 작년 리스트를 참고로 만들어봤다. 왼쪽은 한국의 10대 부자들, 그리고 오른쪽은 미국의 10대 부자들이다. 편의를 위해서 존칭은 생략했고, 재산은 작년 11월 초 환율 기반이다.

뭐, 한 번 정도는 모두가 다 들어본 이름들과 회사들일 텐데 한국과 미국의 부자들 사이에는 매우 명확한 차이가 존재한다. 물론, 재산의 절대적인 규모 차이는 어마어마하다. 우리나라 최대 갑부 이건희 씨의 15조 원과 미국의 최대 갑부 빌 게이츠의 86조 원은 거의 6배가 차이 난다(이건희 씨의 재산은 이보다 더 많을 거라는 게 업계의 의견이다). 하지만, 내가 말하고 싶은 차이는 표에서 회색으로 칠한 부분들이다. 미국은 부를 창출한 부자들이(7명) 압도적으로 많고, 한국은 부를 대물림받은 부자들이(7명) 압도적으로 많다. 한국과 미국의 50대 부자리스트를 보면 이 차이가 더 크다 – 미국의 50대 부자 중 자수성가해서 부를 창출한 사람들의 수는 34명이고, 한국은 11명이다.

한국의 부자들은 대부분 우리가 잘 아는, 할아버지나 아버지 세대로부터 부를 대물림받은, 재벌가 사람들이다. 한국 10대 부자 중 부를 맨손으로 창출한 분들은 스마일게이트의 권혁빈 씨, 넥슨의 김정주 씨, 그리고 부영그룹의 이중근 씨 이렇게 3명이다. 반면 미국의 10대 부자들은 대부분 소프트웨어와 금융 분야에서 자수성가한 창업가들이다. 자, 그렇다고 나는 부를 대물림 받는 게 잘 못 되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좋은 집안에서 운 좋게 태어나서 조상들의 부를 승계 받는 건데, 이걸 누가 뭐라 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한국 부자들의 대부분이 부를 대물림받았기 때문에, 이게 결과적으로 한국의 산업, 구조, 경제, 문화에 꽤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는 생각한다. 내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참고로, 나는 경제학자가 아니라서 수치를 기반으로 한 자세한 분석은 아니다.):

1/ 단일화된 industry – 주로 재벌기업들이 부를 대물림하기 때문에, 한국의 경제는 이 기업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산업들 위주로 단일화되어 있다. 그리고 많은 사회인이 이런 회사들에 취업을 하므로, 전반적인 산업과 비즈니스의 다양성이나 색깔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미국의 경우, 굉장히 다양한 산업들이 존재하고, 이들이 비교적 골고루 성장과 발전을 하고 있다.

2/ 서로 도와주는 생태계의 부재 – 창업가들은 대기업의 일원이 되길 거부하고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부와 가치를 생성하면서 도전, 땀, 그리고 노력이 국가와 경제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너무나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이들은 창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고 하는 후배 창업가들을 적극적으로 도와준다. 후배들이 성공하면, 이들이 한국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어마어마하다는 걸 본인들이 경험적으로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10대 부자 중 자수성가한 권혁빈 씨와 김정주 씨도 내가 알기로는 다양한 방면으로 후배 창업가들을 밀어주고 있다(부영그룹의 이중근 씨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부를 승계받은 나머지 7명은 굳이 후배들을 도와줄 필요도, 창업을 장려할 필요도 느끼지 못할 것이다. 어차피 그들의 부는 또다시 후손들한테 대물림 될 것이니까. 이러다 보니 한국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10대 부자들 사이에는 서로를 도와주고 끌어주는 생태계가 만들어지기 힘들다.

3/ 창조경제의 한계 – 이제 막 경제활동을 시작하려는 젊은이들이 이러한 산업 구조를 보면 의욕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거 같다. 아무리 노력하고 열심히 일해도, 금수저를 물고 태어나지 않으면 부자의 대열에 낄 수 없는 현실은 상당히 암울하다. 부의 창출과 대물림이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지만 진정한 창조경제가 실현될 수 있을 거 같다.

4/ 성장의 한계 – 부가 위에서 아래로만 내려오고, 피라미드의 맨 밑바닥까지 순환되지 않으면 – 아니, 순환 경로 자체가 막혀 있다면 – 위에서만 성장이 일어나는 기형적인 구조가 만들어진다. 대대로 돈이 많은 기업만 더 커지고 더 부자가 되다면, 새로운 기업이 밑에서부터 위로 성장할 수 있는 문이 좁아질 수밖에 없고, 이러면 새로운 산업과 가치가 만들어 지는 게 어렵다.

지금까지 우리 아버지 세대는 앞만 보고 열심히 달려왔고, 그 결과로 한국의 국민소득이 이제 3만 달러에 가까워지고 있다. 이제 우리 세대가 배턴터치를 하고 더 잘 해야 하는데,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넘기려면 앞으로 더욱더 많은 자수성가한 부자들이 탄생해야 한다. 그래야지만 부를 창출하고, 위에서 말한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다. 당장은 힘들겠지만, 앞으로 10년 후에는 한국의 50대 부자 중 30명 이상이 창업을 통해 자수성가한 기업가들이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리고 우리와 함께 하는 창업가들도 이 리스트에 포함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