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나라의 다양한 환경에서의 행동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에스컬레이터 옆에 계단이 있을 때, 100명 중 2명만 계단을 이용한다고 한다. 이건 그 어떤 나라에서 연구해도 거의 비슷하게 2%라는 수치가 나오는데, 이 현상을 단순하게 설명하면 대부분의 인간은 게으르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나도 이 말엔 동의한다.
그런데 조금 더 깊게 생각해보면, 이 현상은 인류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에 너무 당연한 것 같다. 우리는 불편한 것보단 편한 것을 항상 선택하는 DNA를 보유하고 있고, 인류의 모든 발전은 – 특히, 기술적인 발전은 – 우리가 더 편하게 살고 일하기 위한 방향으로 최적화 되어있다. 편하게 살 수 있는데, 굳이 불편하게 살 필욘 없지 않으냐.
맞다. 그리고, 너무나 당연하다. 편하게 할 수 있는걸, 굳이 왜 불편하게 하려고 하는가? 그래서 에스컬레이터를 타는 98%를 게으른 사람들이라고 욕할 순 없다. 오히려 계단을 선택하는 2%의 사람들이 이상한 사람들이라고 하는 게 더 자연스럽다.
그런데 이 행동 연구에서 더 재미있는 건, 계단으로 올라가든 에스컬레이터로 올라가든, 100명 모두 다 계단을 이용하는 게 에스컬레이터보단 본인들에게 장기적으로 훨씬 더 좋다는 걸 다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계단으로 올라가는 게 건강, 노화, 시력 등을 위해 장기적으론 여러 가지 면에서 몸과 정신에 좋다는 걸 알면서도 단기적인 편안함을 선택한 것이다. 이 사실을 알고 나선, 난 이 98%가 게으르다는 생각을 다시 하기 시작했다.
그럼, 계단을 선택한 2%는 왜 그런 선택을 했을까? 편안함보다 불편함을 더 좋아하는 변태들인가? 아마도 그렇진 않을 것이다. 이들은 장기적인 혜택을 위해서 단기적인 편안함을 잠시 접은, 하기 싫은 일을 일부러 했을 때 어떤 긍정적인 변화가 생기는지 잘 아는, 오히려 의지가 강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태어날 때부터 의지가 강한 사람들도 있겠지만, 아마도 이보단 살면서 주위 사람들의 98%가 편안한 방법을 택할 때 이들은 불편함을 택했는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큰 보상을 이미 받았기 때문에, 이 경험을 계속 기억하면서 불편함을 택하는 2%로 살아가기로 한 사람들일 것이다.
그런데 위에서 말했듯이, 편안하게 살려고 열심히 일하고 돈을 버는 현대 사회에서 굳이 불편하게 사는 건 좀 그렇지만, 하루에 하나 정도는 일부러 불편하고 어려운 일을 하는 건 할만하다. 내가 아는 어떤 분은 상대방에게 싫은 소리를 절대로 못 하는데 이 큰 불편함을 무릅쓰고 본인이 느끼고 생각하는 대로 남들에게 이야기하는 걸 택했고, 나는 이보단 약소하지만, 침대에서는 절대로 핸드폰을 보지 않는 불편함을 택했다. 장기적으론 나에게 좋다는 걸 잘 아니까.
실은 창업가들은 이미 이 2% 안에 들어왔다. 편한 길을 버리고 스스로 불편함을 택했으니까. 사업이 성공하든 실패하든 나는 이 경험이 장기적으로 아주 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는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오늘부터 하루에 하나씩 편안함보단 불편함을 선택하는 걸 권장한다. 충분히 그럴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2%가 20%가 되는 세상이 되길
오 저도 2%이긴 한데, … 계단만 그러한 듯해서.. ㅋㅋㅋㅋ
그것만으로도 winner 이십니다 🙂
에스컬레이터 옆 계단을 이용하는 사람이 2% 밖에 안된다는게 놀랍고 그 2% 안에 들었다는게 기분을 좋게 합니다 기쁜마음으로 해야겠네요 ㅎ
Congrats! 🙂
결국 “2% + 98% = 100%”의 시장
에스컬레이터 옆 계단을 오르는 2%의 사람들. 그들은 분명 의지가 강하거나, 장기적 혜택을 아는 사람들이겠지만 그보다 먼저 98%의 경험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사람들이기도 하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결국 “2%의 도전자”가 되고자 한다면, 반드시 “98%의 사용자”를 이해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우리가 만드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든, 창업의 아이디어든, 기존 시장의 감각과 언어를 통과하지 못하면 시장은 절대 반응하지 않는다.
2%는 특별한 사람들이 아니다.
그들은 원래 98%였고, 다만 그 안에서 어떤 불편함이나 기회를 감지한 사람들이다.
그러니까, ‘다름’은 오히려 98%의 일상 속에서 시작된 것이다.
창업가나 도전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있다. 바로 2%만 설득하려는 것이다.
기존 시장을 무시하거나, 대체하려 들거나, 너무 빠르게 이해받으려 한다. 저 역시 그랬다.
하지만 시장은 항상 98%의 몸으로 움직이고, 98%의 감정으로 반응한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2%의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싶다면, 반드시 98%의 마음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다름’은 차이를 만드는 힘이지만, ‘공감’은 차이를 설득하는 힘이다.
p.s 오늘도 맛있는글 감사합니다.
이제 시작하는 창업가인데 댓글이 너무 좋아 감사인사 남기고 갑니다 🙂
돌아보니 저도 모르게 2% 향한 설득을 하고 있었던 것 같네요.
소수의 이상적인 케이스에 박수치기보다 (‘왜 이렇게 안해?’), 절대 다수의 평범한 케이스에 공감하고 도울 수 있도록 노력해볼게요 (‘그럴 수 있죠. 혹시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요?’) ㅎㅎ 감사합니다!
이 글의 방향과 의도와는 약간 다른 각도의 이야기지만, 어쨌든 아주 훌륭한 인사이트네요. 고맙습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