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나리아섬의 코리안 커넥션

스트롱벤처스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기서 포스팅한 적이 있다. 그리고 나랑 존이 어린 시절을 보낸 섬에 대해서도 여기서 포스팅한 적이 있다. 우리가 살았던 Gran Canaria 섬은 인구 백만이 안 되는, 제주도보다 인구가 조금 더 많은 섬이다. 위키피디아를 보면, 이 섬의 수도인 라스팔마스에 거주하는 한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라스팔마스 한인의 기원은 1960년대부터 이 섬을 기지로 원양어업을 하던 선원과 관련 종사자들로부터 시작했다. 원양어업은 건설업과 함께 수십 년 동안 한국을 대표하는 외화벌이 주력산업이었는데, 1970년대에는 무려 7,000여 명의 한인이 이 섬에 살았다(이는 라스팔마스 인구 350,000명의 2%). 많은 한인이 가족과 함께 이민 와서 스페인에 정착했고, 2세들을 스페인의 현지 학교에 보냈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 한국의 원양어업 산업이 하락하면서, 한인 인구는 1,000명으로 줄어들었다. 이 와중에 많은 한인은 원양어업에서 손을 떼고 다른 산업으로 진출했고, 이들의 후손들은 대부분 전문직에 종사하면서 꽤 부유하고 성공적인(=relative affluence) 삶을 살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전문직에는 창업과 스타트업도 포함된다. 이 작은 섬 출신의 한인 창업가, 벤처투자자, 스타트업 종사자가 몇 명 있는데, 오늘은 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한국 드라마와 콘텐츠를 인터넷으로 스트리밍 하는 서비스로 시작한 뉴욕의 DramaFever를 창업한 박석 대표와 그의 친동생 박현 이사 모두 우리와 같이 이 섬에서 자랐다. 우리한테는 가슴 아픈 이야기지만, 스트롱도 드라마피버 초기에 투자할 기회가 있었는데, 내가 심하게 반대해서 투자하지 않았다(John은 매우 하고 싶었다). 그때 나는, “도대체 누가 한국 드라마를 보겠냐?”라면서 이 투자를 반대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매우 멍청한 발언이었다. 드라마피버는 2014년도에 소프트뱅크에 좋은 가격에 인수됐고, 나는 후회했다.

우리 첫 번째 펀드에서 투자한 Recomio는 쿠팡에 인수됐는데, 2명의 공동창업자 중 한 명은 서철이라는 친구다. 서철 또한 라스팔마스에서 자랐고, 여기서 존이랑 나랑 같은 초등/중학교에 다녔다. 또 재미있는 사실은, 철이는 나랑 LA에서 고생하면서 뮤직쉐이크를 함께 운영했던 동료이기도 했다.

실은 레코미오를 쿠팡에 소개하고, 연결해 준 사람이 있는데, 바로 쿠팡맨을 만든 쿠팡의 물류 담당(전) 정태혁(Kevin Chung) 이사다. 태혁이도 우리랑 이 섬에서 같이 자랐고, 모두 다 같은 초등/중학교 동창이다. 어릴 적, 섬에서 코 흘리면서 같이 축구하고, 수영팬티만 입고 물장난치던 친구들이 커서 이런 좋은 딜을 같이 할 줄은 정말로 몰랐다.

우리 두 번째 펀드에서 투자한 SnackFever라는 회사에 대해서도 내가 가끔 포스팅을 한다. 실은 이 회사의 창업자 장조경(Jo Jang) 대표도 우리랑 같이 이 섬에서 자랐다. 조경이는 나보다는 동생인데, 나랑, 존이랑, 위에서 말한 철이랑 태혁이랑 모두 다 같은 초등/중학교/고등학교에 다녔다. 우리가 다니던 학교는 산동네에 있어서 스쿨버스로 약 45분 정도 가야 했는데, 내가 가끔 어린 조경이를 버스정류장까지 데리고 갔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아직은 작고, 우리 이름과는 아직은 어울리지 않게 ‘약한’ Strong Ventures를 만든 존과 내가 있다. 페이팔 출신들이 모두 다 엄청난 회사를 만들고 성공해서 이들을 좋은 의미로 ‘페이팔 마피아’라고 하는데, 우리도 우리끼리 농담처럼 ‘카나리아 또는 라스팔마스 마피아’라는 말을 가끔 한다. 실은, 아직 그 누구도 대단한 성공을 이룩하진 못했지만, 이 작은 섬 출신의 한인들이 이렇게 한국과 미국의 스타트업 분야로 진출해서, 성공을 향해 조금씩 앞으로 나아간다는 건 참 재미있다.

참고로, tech 분야가 아니라서 여기서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카나리아섬 출신의 가장 성공한 한인 창업가/기업인은 매출 1조 원의 기업 인터불고를 창업한, ‘스페인의 선박왕’ 권영호 회장님이다.

베타 테스트

제품을 만드는 스타트업이라면 – 특히, 소프트웨어 – 정식 출시 전에 누구나 다 테스트를 한다. 베타, 알파, 클로즈베타 등등, 이름은 다르지만, 결국엔 정식 출시해서 전 세계의 잠재고객들에게 우리 서비스를 알리기 전에 사용자 경험을 해칠 수 있는 큰 버그나 문제점들을 사전에 발견해서 고치기 위한 과정이다. 우리 포트폴리오 회사의 90% 이상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비즈니스를 하므로, 이런 베타 테스트는 나도 좀 익숙한 편이다.

제품이 아무리 간단하고, 화면이 몇 개 없고, 기능이 한정되어 있더라도, 개발의 완료가 버그가 없는 완벽한 제품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나는 본적이 없다. 실은 페이스북과 같이 전 세계인이 매일 사용하는 제품도 버그가 있고, 스카이프도 출시 후 수년 동안 ‘beta’ 딱지를 달면서 통화 품질을 개선한 걸 보면, 아마도 완벽한 제품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거 같다. 또한, 지속적인 iteration과 시행착오를 통해서 제품을 개선하는 그 과정 자체가 스타트업의 전부라고 할 수도 있을 거 같다. 하지만, 완벽한 제품을 만들지는 못하더라도, 제품이 회사에서 시장으로 출시되면, 이 제품의 핵심 기능을 사용자들이 사욤함에 있어서는, 큰 문제가 없어야 한다. 자잘한 문제는 발생할 수 있더라도, 핵심 기능 자체는 잘 돌아가야 한다는 말인데, 결제 API를 제공하는 회사라면, 이 API를 적용한 쇼핑몰은 고객들한테 다양한 결제수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결제 기능 자체는 문제없이 작동해야 한다는 말이다.

내가 요새 느끼는 건데, 완벽할 수는 없지만, 완벽을 추구하는 그 자세와 태도가 많이 약해졌다고 생각한다. 신제품을 출시하거나, 새로운 업데이트를 했을 때, 대부분 회사는 그냥 주변에 있는 몇 분한테 “한 번 사용해보고 피드백 좀 주세요”라고 하는데, 실은 이렇게 너무 추상적으로 “피드백 주세요”라고 하면, 대부분 피드백을 주지 않거나, 정제되지 않은 피드백을 제공한다. 나는 우리 투자사들에, 제품을 테스트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는 QA/QC 리스트를 제공하라고 항상 권장한다. 이 리스트는 매우 구체적이고, 모든 테스터들한테 같은 게 배포되어야 한다. 그래야지만, 같은 기능이라도 다양한 OS나 환경에서 문제없이 잘 돌아가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로그인’ , ‘페이스북으로 로그인(모바일과 데스크톱)’ , ‘특수문자가 없는 패스워드로 회원 가입하기’ , ‘특정 페이지에서 로그인했을 때, 초기 화면에서 다시 시작하는지, 그 특정 페이지에서 시작하는지’ , 뭐 이런 내용으로 구성된 구체적인 리스트면 더욱 좋다.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아서, 어떤 이커머스 사이트는 특정 화면크기에서 이미지가 비율이 맞지 않고, 특정 OS에서만 결제가 되고, 뭐, 이런 일들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실은, 현대인들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 그럴수록 더욱더 이런 버그에 민감해지고, 짜증을 낸다. 워낙 바쁜 사람들이고, 이 사람들한테 새로운 제품을 설치하게 하는 거 자체가 너무 어렵고, 거기에다가 회원 가입 시키는 건 거의 하늘의 별 따기 만큼 어렵다. 이렇게 어렵게 우리 제품을 사용하게 했는데, 제대로 테스팅이 되지 않아서, 화면이 얼어버리거나, 결제가 안 되거나, 로그인이 잘 안 되면, 이 제품은 고객의 화면에서 즉시 지워지고, 이 고객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물론, shipping 데드라인의 압박이 공포스럽지만, 제대로 테스팅 되지 않은 제품을 출시하는 건, 먹으면 식중독 걸릴 게 뻔한, 잘 익히지 않은 음식을 서빙하는거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아마존 리뷰

우리 투자사 중 Hesta Organic이라는 스타트업이 있다. 한인이 창업했지만, 본사도 북미이고, 메인 비즈니스도 북미에서 거의 다 일어난다. 유기농 여성 생리대를 판매하는 전형적인 이커머스 회사인데, 이 회사는 자체 이커머스 플랫폼과 아마존의 오픈 마켓을 매우 잘 활용하고 있다. 아마존이 세상을 먹고 있고, 전 세계가 Amazon-ify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아마존의 파워에 대해서 내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다 알지만, 이 회사의 비즈니스를 옆에서 보면서 나는 아마존의 위력을 다시 한번 느꼈다.

여성 생리대 글로벌 시장 규모는 거의 100조 원이며, 북미 시장이 이 중 1/4을 점유하고 있다. 이렇게 큰 시장에서 헤스타는 완전 신참이다. 아니, 이미 P&G와 같은 대형 플레이어들이 장악하고 있는 이 시장에서는 신참이라고 할 수도 없는, 수많은 브랜드 중 하나이며, 정말 아무도 신경 쓰지 않고 알아주지 않는 브랜드이다. 이미 커질 대로 커지고, 그 커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의 제품이 존재하는데, 새로 시작하는 작은 브랜드가 어떻게 이 시장에서 명함이라도 내밀 수 있을까?

난 처음에 불가능한 싸움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내 우려와는 완전 반대로, 헤스타는 매달 크게 성장하고 있고, 아마존의 생리대 카테고리에서도 상위권에서 노출되고 있다. 당연히 제품이 월등히 좋기 때문에 잘 팔리지만, 단지 제품만 좋다고 이렇게 포화한 시장에서 대형 플레이어들과 경쟁할 수 있는, 그런 만만한 세상은 아니다. 여기에는 아마존의 리뷰 시스템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실은 우리가 뭔가를 구매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건 무조건 싼 가격보다도 브랜드에 대한 신뢰인데, 전통적으로 이 브랜드 신뢰는 회사의 역사와 규모와 거의 비례한다. 즉, 가격 차이가 나더라도 잘 모르는 중국산 냉장고보다는 삼성이나 LG의 냉장고를 대부분 소비자는 선호하는데, 그래도 세계적 기업이고, 오랫동안 가전제품을 만든 회사이기 때문에 브랜드를 신뢰하기 때문이다.

솔직히 이런 논리를 헤스타에 적용하면, 당연히 잘 안 팔려야 하는데, 잘 팔리고 있다. 잘 모르는 브랜드인데도, 고객들이 신뢰하고 있다는 의미인데, 그 이유는 아마존의 리뷰를 시장이 절대적으로 신뢰하기 때문이다. 이제 대부분의 소비자는 아마존의 제품 리뷰를 보고, 그 리뷰가 별 4개 이상이고, 평이 좋다면, 제조국가나 제조기업은 별로 신경 쓰지 않고, 믿고 구매를 한다. 아마존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기도 하고, 그만큼 아마존의 리뷰를 절대적으로 신뢰한다는 걸 의미한다. 실은 나는 쿠팡이나 지마켓 같은 국내 이커머스 사이트의 리뷰를 꼼꼼히 읽긴 하지만, 이 리뷰들을 100% 신뢰하지는 않는다. 리뷰가 아무리 좋아도, 처음 들어본 기업이 만든 제품이면, 좀 망설여지는데, 아마존에서 구매할 때는 좀 다른 걸 보면, 제프 베조스가 뭔가 엄청난 걸 만들긴 만들었나보다.

새로운 분야에 투자하기

morning recovery나는 투자자로서 창업가들한테 항상 새로운 것을 시도해보라고 한다. 그동안 남이 하던 방식대로만 하면, 결과는 항상 똑같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실제 투자에서는, 나는 새로운 걸 잘 시도하지 않는 편이다. 다른 투자자도 비슷할 거 같은데, 내가 전혀 모르는 분야의 회사를 접했을 때는 항상 고민한다. 내가 잘 아는 분야에만 집중적으로 투자할 것인가, 아니면 잘 모르지만, 투자를 하면서 이 분야에 대해서 배울 것인가가 근본적인 질문인데, 이게 우리 같이 적은 인력으로 운영하는 작은 펀드에는 항상 어렵다. 큰 펀드면, 새로운 분야에 대해서 잘 아는 인력을 채용하면 되는데, 우리는 그렇게 못하기 때문에, 뭔가 새로운 분야에 투자하려면, 우리가 열심히 공부하고, 발로 뛰어다니면서 물어보거나, 아니면 이 분야를 잘 알고, 우리가 믿을 수 있는 공동투자자와 같이 들어가야 한다. 그런데 스트롱같이 투자하는 대부분 회사에 첫 번째 돈을 집어넣는 초기 VC라면, 그렇게 같이할 수 있는 공동투자자도 없으니까 더욱 고민된다.

나는 개인적으로는, “내가 잘 모르는 분야에는 웬만하면 투자하지 말자”라는 철학을 기반으로 움직인다. 뭐, 이유는 명확하다. 나름 잘 안다고 생각하는 분야에 투자해도 거의 다 잘 안되는 이 마당에, 굳이 내가 모르는 분야에 투자하는 건 너무 무모한 모험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실제로, 오랫동안 한 분야에 투자해서, 나름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된 VC 중 이런 철학을 갖고 움직이는 선배들이 많다. 하지만, 투자라는 게 쉽지 않아서 한 분야를 정복하는 건 불가능하다. 한 분야에 오래 투자한 경험 있는 VC의 선택이, 이제 투자를 막 시작한 신참 VC의 선택보다 낫다고 할 수 없는 업계이기에, 한 분야에만 죽어라 투자한다고 해서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건 절대로 아니다.
하지만, 이 반대의 접근 방법은 개인적으로 봤을 때는 더 효과가 없다. 새로운 분야에 대해서 공부하고, 전문가들의 조언도 많이 듣고, 관련 기사도 읽다 보면,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가가 되지는 않지만, 투자할 때 최소한 뭘 봐야 하는지 정도는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 개인적으로 봤을 때는, 그렇지 않다. 그래서 투자라는 게 재미있고 예측불허인 거 같다. 망할 것 같던 회사가 대박 나고, 대박 날 것 같은 회사가 망하는 걸 우리 모두 여러 번 봤고, 대부분 우리는 잘못된 결정을 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얼마 전에 82 Labs라는 회사에 투자했다. 광파리 센터장님이 이 회사와 창업가 Sisun에 대한 포스팅을 올리신 적이 있는데, 쉽게 말해서 Morning Recovery라는 미국판 ‘여명808’을 만들어서 판매하는 회사이다. 물론, 우리의 희망은 Red Bull과 같은 왕국을 만드는 것이지만, 역시 어떻게 될지는 그 누구도 모른다. 이 회사를 처음 접했을 때도 위에서 말한 고민을 했다. 우리는 소프트웨어와 tech에 투자하는데, 이 회사의 본질은 F&B, 유통, 리테일, 그리고 브랜딩이기 때문이다. 이커머스도 있고, 디지털비즈니스도 있지만, 그래도 우리가 주로 투자하는 분야와는 너무나 거리가 멀고, 내가 전혀 모르는 분야의 비즈니스였다.

그래서 고민을 많이 했다. 존이랑 여러 번 이야기했고, 결정이 왔다 갔다 했다. 우리가 투자하면, 이 회사가 더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무엇을 우리가 도와줄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했다. 나는 유통, 리테일, 브랜딩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F&B에 대해서 내가 아는 거라고는 먹고 마시는 거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결론은, 내가 기본적으로 갖고 있던 철학과는 반대되는 결정을 했고, 투자를 집행했다. 다른 건 아니었지만, ‘좋은 사람한테 투자하자’라는 우리의 방향과는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캐나다 교포인 82 Labs의 창업가 Sisun Lee는 이전에 Facebook, Zynga, Uber와 Tesla에서 product management 경험을 했는데, 몇 번의 대화와 만남을 통해서 이 친구가 이런 좋은 경험을 살려서 좋은 비즈니스를 만들 수 있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실은, 이런 비즈니스를 미국에서 하고 싶다는 분들이 그동안 없었던 거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 사람이 미국에서 비즈니스를 만들고, 좋은 사람을 채용해서 키울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강하게 갖게 했는데, 이번에는 좀 달랐다.

우리도 많이 배우고, 비즈니스도 잘 되는, 그런 성공적인 실험이 되길 바란다.

<이미지 출처 = Morning Recovery>

텀블벅 200억 돌파

tumblbug 200억며칠 전에 우리 투자사 텀블벅의 크라우드펀딩 누적 후원액이 200억 원을 돌파했다는 소식이 플래텀에 올라왔다. 뭐, 한국에서 잘 하는 다른 플랫폼 서비스나 미국의 킥스타터에 비하면 그렇게 놀랄만한 수치는 아니지만, 이 회사를 오랫동안 알고 지켜본 나로서는 상당히 흥분되는 순간이었다.

텀블벅은 연식이 좀 된 회사이다. 2011년도에 창업되었으니, 이제 7년 차 된 스타트업이다. 실은, 창업 초반에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고, 회사가 위험했던 순간도 몇 번 있었지만, 대표이사의 비전을 기반으로 계속 살아남을 수 있었다. 창업 후, 100억 원의 누적 후원액을 달성하는데 걸린 시간이 약 6년인데, 누적 후원액 200억 원을 달성하는 데는 1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그리고, 앞으로 이 속도는 계속 가속화될 것이다.

다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과 텀블벅이 확연하게 구분되는 점이 몇 가지 있는데, 일단 텀블벅은 창작자 색깔이 명확하다. 지분형 크라우드펀딩은 아예 쳐다보지도 않고, 크리에이터들에 집중하는 보상형 크라우드펀딩에서 절대 강자가 되고 싶어 한다. 그리고 누적 200억 원은 보상형 크라우드펀딩으로만 이뤄냈다. 또 다른 점은, 마케팅이 아닌, 기술에 엄청난 투자를 한다. 실은, 겉으로 보면 모든 크라우드펀딩 서비스들이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면, 결제나 다른 부분에서 상당한 차이를 경험할 수 있다. 나는 이런 좋은 플랫폼을 만드는데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텀블벅 팀이 매우 자랑스럽다.

현재 텀블벅은 두 가지의 새로운 프로젝트/서비스를 만들고 있다. 좋은 인력, 좋은 기술력, 그리고 좋은 경험과 배움을 기반으로 출시될 서비스라서 나도 기대가 매우 크다.

<이미지 출처 = 플래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