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ying focused

나같은 투자자들은 많은 회사와 사람들을 만날 기회가 많다. 나쁜 점도 있지만 항상 새로운 걸 접한다는 면에서는 ‘벤처투자’라는 업종 자체가 제공하는 큰 특권이라고 생각한다. 이 일을 하면서 나는 많은 창업가들에게 조언이랍시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많이 해 주는데 최근 가장 많이 하는 말이 “본업에만 충실하고 focus 해라” 이다. 그리고 이 원칙을 나는 몇 달 전부터 내 스스로의 삶과 비즈니스에도 엄격하게 적용하기 시작했다.

실은 그동안 한국과 미국의 회사에 투자한다는 명목하에 불필요하고 껍데기 치장하는 일들에 나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허비했다는 생각을 한다(블로그 쓰는거는 제외. 이거는 내 즐거움이자 일과 직결되어 있다). 여기저기 행사에 참여했고, 강연도 많이 다녔고, LA나 실리콘밸리에 누가 오면 시간을 내서 만났고, 일과는 직접 연관이 없는 것들에도 신경을 많이 썼다. 물론, 이렇게 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그리고 미래의 나한테 개인적으로나 비즈니스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확률이 크기 때문에 그렇게 했다. 그런데 이제 이런 외부의 부탁이나 요청이 너무 많아져서 내 본업에 focus를 해야할 시간이 모자라지는걸 느꼈고, 2013년 초에 내 인생과 비즈니스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해봤다.

나는 벤처기업을 초기에 발굴해서 투자하고 이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걸 업으로 삼고 있는 VC이다. 그리고 이렇게 함으로써 벤처기업이 성공하고, 우리 펀드 (Strong Ventures)가 돈을 벌고 궁극적으로 펀드의 투자자들에게도 좋은 수익을 돌려줘야 한다. 이게 내가 하는 일이다. 이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는 그 어떠한 모든 행동은 내 본업과 상관없는 일들이며 왠만하면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일단 내가 직접 스피킹을 하지 않는 행사는 이제 왠만하면 가지 않는다. 단순한 네트워킹은 – 내 경험에 의하면 – 인생이나 비즈니스에 큰 도움이 안된다. 그럴 시간에 그냥 잠이나 더 잔다. 친구도, 잘 아는 지인도 아니고 비즈니스적으로 직접 연관이 없는 누군가 LA에 왔는데 만나자고 해도 왠만하면 거절한다. 이럴 시간에 우리가 투자한 회사를 위한 소개 이메일이라도 하나 더 쓰는게 나와 모두를 위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얼마전에 한국에서 정부관계자들이 방문해서 1시간 짜리 강연 요청이 들어왔는데 그냥 시간 없다고 거절했다. 강연 준비하는 시간도 아깝고, 솔직히 비즈니스에 직접적인 임팩트를 주지 못하는 정부관계자들을 만날 필요가 없었다.

위에서 말했지만 내 업은 투자자이다. 실은 나는 아직도 ‘투자자’로서 성공하지 못했다. 여기서 말하는 성공적인 투자란 우리가 투자한 회사가 크게 잘되어 돈을 엄청 잘 벌거나 exit을 하는 경우인데 아직 우리 포트폴리오 회사들은 시간과 도움이 더 필요하다(물론, 가능성은 모두 많다). 이 회사들과 같이 일하기에도 모자란 시간과 에너지를 본업과 직접적으로 상관없는 곳에 투자하는 건 시간을 낭비하는거란 생각이 든다. 나는 솔직히 5-10년 후에 “배기홍씨가 투자한 회사들 엄청 잘 됐죠. 모두 돈도 많이 벌었고 고용도 많이 창출했어요.”라는 소리를 듣고 싶지 “배기홍씨 엄청 유명해요. 모르는 사람이 없고 네트워크 정말 좋아요”라는 소리를 듣고 싶지는 않다.

물론 이러면서 원치 않은 오해도 많이 생겼고 적들도 많이 만들었다. 하지만 나는 모든 사람들을 만족시키면서 모두에게 nice guy가 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이 부분에서 나와 의견이 다른 사람들도 많다). 가장 중요한건 나 자신이고 내 비즈니스이기 때문이다. 이 두개가 일단 잘 해결되야지만 나머지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벤처도 난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여러가지 유혹이 있고 많은 걸 하고 싶지만 단기적으로 매출 / 유저 / 제품개발과 직접적으로 상관없는 나머지 활동들은 모두 잡음이다(초기에는). 일과 인생에는 focus가 매우 중요하다.

나를 강하게 만드는 것들

Back Camera
나는 운동을 좋아한다. 요새도 일주일에 최소 3번은 동네 gym에 가서 운동한다. 최근에 내가 즐겨 하는 group exercise가 있는데 BodyPump라는 프로그램이다. 포맷은 몇 가지가 있는데 가장 많이 하는 건 60분짜리 프로그램이다. 10개의 곡에 맞춰서 총 8개의 근육을 쉬지 않고 반복운동하는 건데 제대로 하면 상당히 힘들다 – 죽을 거 같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BodyPump를 제대로 하면 60분 동안 800번의 반복 운동을 하게 되고 600 – 1,000칼로리 정도를 소비한다고 한다. 마치 군대의 교관을 방불케 하는 선생님은 앞에서 같이 운동하면서 계속 소리치면서 분위기가 느슨해지지 않게 하려고 군기를 잡는다.

선생 중에 Annette라는 여선생이 있다. 전반적으로 돼지고 하체는 헐크 같은 분이다. 운동하다가 팔이 안 느껴지고 어깨가 빠질 거 같아서 도저히 못 할 거 같으면 옆으로 와서 귀에 대고 “죽을 거 같지? 천만에. 너 몸은 그 정도는 견딜 수 있어. 절대로 죽지 않아. 자신을 도전해봐!”라고 소리친다. 쪽팔려서인지 군중심리 때문인지 아니면 기합이 팍 들어가서인지 안 움직이던 팔이 거의 10번 이상 더 반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 선생의 마지막 곡은 거의 항상 Kelly Clarkson의 Stronger (What Doesn’t Kill You)이다. 60분이 지나면 새로운 사람이 된 느낌이다. 물론 몸은 지치지만, 근육이 찢어지면서 더 강해진 느낌이라고나 할까? 그리고 또 열심히 하루를 산다.

우리 몸은 참 신기하고 유연하다. 일이나 운동을 하면 할수록 체력은 정신력에 지배받는다는 느낌을 받는다. 벤처 일 하는 것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루하루가 지옥같이 힘들다. 큰 문제를 해결했다 싶으면 산 넘어 산이다. 가끔 – 또는 자주 – 이제 한계에 왔고 더는 못 할 거 같다는 생각을 한다. BodyPump에서 “딱 한 번만 더 하자”라는 느낌으로 힘을 내서 딱 한 번만 더 시도해보길 권장한다. 한 번 더. 그리고 한 번만 더. 그러다 보면 아직 죽지 않은 자신을 발견하고, 나를 죽이지 않는 것들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는 걸 스스로 느낄 것이다.

Be Strong!

나를 알아주는 회사

편집자 미오님(김류미님 @gulthee)이 몇일 전에 나랑 화상 인터뷰한 내용을 멋있게 정리해서 포스팅 해주셨다. 전체 기사 “최고의 스타트업 바이블은 창업 경험”은 여기서 읽을 수 있다. 워낙 재미있고 랜덤하게(기본 질문들은 있었지만 이야기하다 보니 이런저런 주제들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진행했던 인터뷰라서 그런지 그냥 오랜 지인과 수다 떨었던 느낌이 강했던 유쾌했던 1시간 이었다. 많은 이야기를 했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어떤 회사에 가도 나만큼 나를 알아주는 회사는 없고, 나만큼 나를 믿어주고 아껴주는 회사가 없다. 그래서 자기 자신에게 충실하고 싶고 스스로 하고 싶다면 거창하게 생각하지 말고 그냥 해 보라는 거다.”

이 부분이다. 창업을 하는 이유는 많다. 정말 가지각색이다. 그리고 창업가들이 창업을 통해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도 많다. 어떤 이들은 때돈을 벌고 싶어한다. 어떤 이들은 대기업에 취직을 못해서 어쩔 수 없이 먹고 살기 위해서 창업한다. 어떤 이들은 정말로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 창업한다. 여러 사람들이 나한테도 “창업하면 좋은 점이 뭔가요?”라고 물어들 본다. 물론,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들 중에 실제로 창업하는 사람들은 한 명도 없지만 나는 이들에게 위의 답변을 해준다.

나만큼 나를 잘 아는 사람은 이 세상에 없다. 그리고 그 어떤 회사에 가서 일을 해도 – 아버지 회사, 친구 회사, 친한 선배 회사 등 – ‘my 회사’ 만큼 나를 알아주고 나를 믿어주는 회사는 없을 것이다. 물론 그에 따른 책임과 의무 또한 아주 부담스러울 정도로 생긴다. 현재 회사에서 나의 진정한 가치를 몰라줘서 내 능력을 100% 발휘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에게는 창업을 권장한다. 하지만, 내 무능력을 회사 탓으로 돌리는거라면 그냥 나를 알아주지 않는 회사에 계속 남아있으면 된다.

나를 100% 알아주고 인정하고 믿는 유일한 회사는 바로 내 회사다.

개밥 먹는 문화

요새 내가 투자결정을 할때 주의를 많이 기울이는 부분이 있는데 바로 ‘창업팀이 자기 제품에 대해서 얼마나 자세히 알고 있냐’ 이다. 어떻게 보면 너무나 당연한 말 같지만, 놀랍게도 본인들의 피와 살과 같은 제품에 대한 사용경험이나 이해도가 떨어지는 창업가/창업팀들을 나는 꽤 많이 만났다. 나도 미팅을 하기전에 왠만하면 그 제품을 사용해본다. 그래야지만 생산적인 미팅을 할 수 있으며, 내가 궁금한 점을 구체적으로 물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혹 제품이 아주 맘에 들면 굉장히 오래동안 제품을 테스트하고 모든 기능을 한번씩 다 사용해 본다. 투자자도 이렇게 열심히 제품을 사용해보는데 그걸 만들었고, 그 제품을 가지고 돈을 받겠다고 찾아오는 창업팀이 나보다 제품에 대해서 모르다는 느낌을 받게되면 굉장히 실망스럽고 화가 난다. 흔히 듣는 말들은 다음과 같다:

“저는 개발자가 아니라 제 co-founder가 그 부분에 대해서는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지금 내가 물어보는건 복잡한 기술적인 사항이 아니라(나도 기술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몰라) 특정 기능과 사용자 경험에 대해서 물어보는데 사장이라는 인간이 그것도 모르니?
“아, 몇일 전에 버전 업데이트를 했는데 UI가 바뀌었나 보네요.”
>> 자기 제품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도 모르는 애들이 투자는 왜 받으러 왔니?
“지금 계속 제품을 개발하고 있어서 아마도 저도 모르게 개발자들이 그 기능을 추가했나 보네요.”
>> 그럼 나한테 왜 그 버전을 줬니? 그럼 창업팀보다 투자자인 내가 더 최신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건가?
“저는 주로 외부 영업을 담당하고 내부 개발은 이 친구들이 담당해서요…”
>> 본인이 뭘 파는지도 모르면서 무슨 외부 영업을?

자기 제품을 A 부터 Z 까지 다 사용해보고 구석구석 다 안다는 건 매우 중요하다. 단지 투자를 받기 위해서 그런게 아니다. 내가 만든 제품, 내가 파는 제품, 고객이 물어보면 답변을 제공해야하는 내 제품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하는건 기본 중 기본이다. 이 바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이걸 바로 개밥먹기라고 하는데 반드시 직접 자기 개밥을 먹어봐야 한다. 그것도 항상. 전에 Red Bull 북미 본사 방문했을 때 리셉셔니스트한테 쿠사리 먹은 적이 있는데,이 리셉셔니스트 또한 자기 개밥을 철저히 먹고 있었기 때문에 그런 좋은 기업 문화를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Mark Zuckerberg(Facebook)와 Dick Costolo(Twitter)가 가장 자기 개밥을 많이 먹는 CEO라고 생각했는데, 이들보다 한 수 위의 dogfood eater 한 명을 소개한다. 바로 Airbnb의 공동창업자/CEO인 Brian Chesky이다. 그는 이미 수 천억원의 재산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 집이 없다. 대신, Airbnb를 통해서 아파트를 예약하고 여기서 살고 있다. 물론, 돈이 있으니까 좋은 아파트에서 살거라고 생각하며, 어떻게 보면 마케팅일 수도 있다. 하지만 왜 집을 안 사냐라는 질문에 대한 그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 음악을 하는 사람이 가난할때는 청중과 공감대가 형성되지만 너무 돈을 많이 벌고 인기가 많아지면 돈과 겉멋에만 치중하면서 점점 청중과 거리가 멀어지는데 Brian은 그렇게 되기 싫다고 한다. 아무리 회사가 커져도 사장은 회사와 제품을 눈 감고도 외울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인데 너무나 맘에 드는 사상이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저는 말 그대로 아직도 우리 사이트에서 살고 있습니다(I still live on the site). 사장이 집이 없고 회사 웹사이트에서 살고 있다는 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조건부의 공동창업 개발자

투자자라면 자주 접하는 상황이며 개발능력이 없는 창업가 또한 자주 접하는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나는 거의 매주 경험하는 상황인데 지난 주에 또 이런 일이 있었다. 개발은 못하지만 세상을 보는 시각, 열린마음으로 배움을 대하는 태도 그리고 사람을 대하는 기술이 굉장히 맘에 들고 탐나는 창업가가 우리한테 투자를 받고 싶다면서 왔다. 문제가 – 큰 문제 – 하나 있다면 1인 창업가 였고, 개발을 할 수 있는 full-time의 technical 공동 창업자가 없었다. 하지만 외주를 통해서 이미 제품은 개발이 되었는데, 내가 외주의 종말이라는 글에서 주장하는거와는 달리, 남이 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이쁜 UI와 깔끔한 기능들로 무장된 좋은 모바일 앱이었다. 또한, 이 외주 개발자와 오랫동안 호흡을 맞추면서 일을 했고 서로 궁합이 잘 맞아서 공동 창업자로 영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현재로써는 이 개발자에게 월급을 줄 형편이 되지 않아서 월급을 줄 수 있을 만큼의 투자를 받으면 바로 full-time 공동 창업자로 조인하겠다는 다짐을 받아 놓은 상태였다. 익숙한 상황이다: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 하지만 개발 능력이 없는 – 똑똑한 창업가가 그동안 저축한 돈을 들여 외주 개발회사에 제품 개발을 맡겼고; 어느정도 완성된 베타 제품이 시장에서 반응이 괜찮았다; 그래서 그는 외주 개발자한테 아예 같이 스타트업을 해보지 않겠냐라고 물어보지만 그 외주 개발자는 결혼도 했고 자식들까지 있어서 당장 월급을 받지 못하면 안된다면서 본인이 가족들을 부양하면서 살려면 한 달에 최소한 얼마의 비용이 필요하니, 그 정도를 최소한 1년 동안 받을 수 있는 만큼의 투자를 유치하면 조인하겠다고 한다.

고민을 좀 했지만, 난 투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런 “조건부 공동창업자”들의 공통점은 바로 “공동창업자”가 될만한 자격을 얻을 정도로 회사의 비전에 대한 믿음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돈이 들어오면 조인해야지’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회사의 비전을 믿고 본인이 팀에 합류함으로써 성공할 수 있는 자신감이 있다면 투자금과는 상관없이 같이 일을 해야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투자자들 또한 이런 믿음과 행동을 보고 싶어할 것이며, 그때 투자는 성사된다. 그 반대의 경우는 – 개발자가 합류하는 조건으로 투자하는 – 거의 본 적이 없다. 물론, 이건 그 1인 창업가가 개발자를 설득하지 못해서 일수도 있는데, 이 또한 투자자들에게는 걱정이 되는 상황이다.
다른 이유는 투자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조금 더 실용적인 이유 때문이다. 내가 지난 주에 만났던 창업가가 이 조건부 공동창업 개발자를 회사로 데려오기 위해서 필요한 투자금은 350,000 달러였다. 그 정도의 돈이 은행계좌에 있어야지만 그 개발자가 가족을 데리고 미국으로 이주하고(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개발자다) 수개월 동안 마음의 평온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을거라고 한다. 우리가 50,000 달러를 투자한다고 가정해보자. 만약에 남은 300,000 달러를 유치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나? 그럼그 개발자를 계속 외주로 활용을 하면서 우리의 투자금만 사용하게 된다. 투자자마다 다르겠지만 이 상태로는 아마도 개발자를 full-time으로 데려오기 위해서 필요한 남은 300,000 달러를 선뜻 투자할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위에서 내가 언급한 이유들 때문에.

아주 운이 좋아서 필요한 350,000 달러 투자가 되어 개발자가 공동창업자로 조인했다고 가정해보자. 시간이 가면서 1년만에 투자금을 다 소진했지만 매출은 커녕 제품 자체도 pivot을 여러 번 해서 제품의 완성도에도 문제가 있다(대부분의 스타트업들이 이런 과정을 겪는다). 돈을 다 써서 이제 다음달 월급을 주지 못하는 상황까지 오면 월급을 위한 투자금이 들어올 때까지 기다렸던 이 조건부 공동창업가는 계속 회사와 함께 운명을 같이 할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분명히 다른 곳으로 가면서 이 스타트업은 원점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물론 이는 지극히 내 개인적인 의견이다. 나와 다르게 생각하는 투자자들도 많이 있다. 하지만, 내 짧은 경험으로 비추어 봤을때 “투자금이 들어오면 full-time으로 조인할 거예요”라는 팀 중 잘 된 케이스를 거의 본 적이 없고 앞으로도 이런 팀에는 투자를 하지 않을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