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해서 내가 여러 번 포스팅했고, 우리 투자사 대표님들을 포함, 나를 만나본 분들은 나한테 자주 듣는 말인데, 하고 싶은 것과 할 수 있는 것 관련 내용이다. 작든 크든, 회사를 운영할 때 대표이사는 스스로에게 매우 냉정하게 물어보고 확인해야 할 것들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본인과 팀이 할 수 있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을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구분해야 하는 중요한 작업이다.
여기서 말하는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회사의 스킬과 능력이다. 예를 들어, 팀이 그동안 해왔던 게 개발이라면, 이 팀이 잘하는 건 개발이다. ‘하고 싶은 것’은 말 그대로 회사의 능력과는 상관없이 이 팀이 하고 싶은 일이다. 즉, 욕심이다. 잘하는 건 개발일 수도 있지만, 대표이사가 오래전부터 개인적으로 관심을 두고 열심히 취미 생활을 했던 건 케이팝 공연 기획일 수도 있다. 이 회사는 개발을 해야할까 케이팝 공연을 기획해야 할까?
이렇게 회사가 잘할 수 있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이 다르면, 사업의 첫 단추부터 잘 못 끼워질 확률이 높다. 이 경우에 너무 많은 창업가가 본인과 팀이 정말 잘할 수 있는 일은 무시하고 과소평가하고, 하고 싶은 것에만 초점을 맞춰서 회사의 모든 자원을 여기에 집중한다. 최악의 경우엔, 한 번도 해보지 않았지만, 너무나 하고 싶은 일에 계속 무모한 도전을 하면서 시간과 돈만 낭비하는 걸 너무 많이 봤다.
이 구조에 따라서 사업을 멀리서 바라보면 – 너무 가까이서 보면 내가 지금 잘하는 걸 하는지, 아니면 내가 그냥 하고 싶은 걸 하는지, 이게 잘 안 보일 때가 있다 – 내가 잘하는 것과 내가 하고 싶은 것이라는 두 원이 일치하는 완벽한 교집합에서 사업을 하면 성공의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론적으론 이게 맞지만, 이 완벽한 교집합에서 사업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어서 나는 대부분의 창업가들에게 이 두 원이 조금이라도 겹치는 접점에서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고, 이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창업하면 그나마 조금이라도 성공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한다.
내가 잘하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의 교집합은 지금 당장 내가 상대적으로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일일 테고, 그 교집합의 면적이 작아서 일단 작게 시작해 보면, 작지만, 눈에 띄는 결과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이고, 내가 잘하는 일이기 때문에. 그리고 작지만, 그 작은 목표 또한 상대적으로 쉽게 달성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어느 정도의 성과와 자신감이 생기면, 이를 기반으로 실력을 더 강화한 후 이 두 원의 교집합의 면적을 더 크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내 결론은 무조건 내가 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내가 잘하는 것을 파악하고, 이게 모든 결정의 시작이 돼야 한다. 내가 잘하는 것을 기반으로, 이게 내가 하고 싶은 것인지를 판단해 보고, 아니라면 하지 말거나,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조금이라도 내가 잘하는 것과 일치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 봐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가 잘하는 것과 내가 하고 싶은 것을 기반으로, 이게 내가 지금 해야 하는 것인지를 – 즉, 시장이 존재하는지 –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 항상 강조하지만, 이 세 가지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완벽하게 일치하는 분야에서 창업한다면, 그만큼 성공 확률이 높다. 하지만, 세 가지 중 두 가지만 어느 정도 일치해도 도전해 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두 가지가 어느 정도 일치되면, 나머지 하나의 원과 교집합이 만들어질 수 있게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고, 운 좋으면 이 과정에서 완벽하진 않지만, 접점을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