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stone Group EIS

10월부터는 본격적으로 비공식적인 recruiting 활동이 시작한다.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대부분 기업의 채용담당자들과 와튼 동문들이 학교나 학교 근처의 식당/호텔에서 기업 설명회를 개최하는데 오늘은 와튼 스쿨의 1,600명 재학생들의 dream job인 Blackstone Group에서 온다. 와튼에서는 이러한 기업 설명회 행사를 EIS (Employer Information Session) 라고 한다. “오늘은 어떤 EIS 가니?” “정말 재미없는 EIS다” 뭐 이런 말들을 종종 Huntsman Hall에서 들을 수 있다. 학교에서 진행되는 EIS는 대부분 점심 시간 12시 – 1시반 사이에 강의실에서 진행되며, 기업의 채용 담당자 한 명과 현재 그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와튼 동문 2-3명이 와서 회사 설명과 질의 응답을 한 후, 개별적으로 다가가서 명함을 받거나, 강한 인상을 심어준 후 그 이후에 계속 연락을 하면서 connection을 만들어서 잘 풀리면 summer internship이나 졸업 후 full-time offer를 받는 단계까지 갈 수 있다. 나 같은 경우는 졸업 후 하고 싶은 목표를 어느정도 구체적으로 잡아 놓았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도 굉장히 많다. 일단 여기저기 industry를 알아 본 후 결정하자는 목표가 있는 학생들은 굉장히 많은 EIS를 참석하게 된다.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채용을 목적으로 20개 정도의 기업이 와튼을 방문하는데 하루에 4개의 EIS를 참석한다고 생각해 봐라….정말 힘들다. 그것도 그냥 앉아서 기업 설명을 듣는게 아니라, 직접 채용 담당자들한테 다가가서 웃는 얼굴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서 어떻게서라던지 강한 인상을 심어줘야 하는데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한국 사람으로써 이렇게 하는거는 정말 힘들다. 그리고 한국인은 선천적으로 모르는 사람한테 다가가서 말을 거는거에 익숙치가 않은 사람들인데, 끊임없이 웃으면서 (포인트: 가끔씩 고개도 끄덕끄덕해줘야 한다) interaction 하려니 EIS 끝나고 집에 오면 거의 녹초가 된다.
나는 private equity / venture capital 관련된 회사의 EIS만 참석을 하려고 하는데 이런 회사들의 특징은 캠퍼스에 잘 안온다는거다. 워낙 규모가 작은 회사들이며, 개인적인 친분을 바탕으로 사람들을 뽑기 때문에 학교보다는 personal connection을 통해서 직접 연락을 하는 경우가 더 많다. 내가 자주 서부에 가는 이유는 Oceans International 일을 하기 위해서이지만, 동시에 개인적인 커넥션을 만들기 위한 부분 또한 적지 않다. 하여튼 오늘은 private equity의 명가인 Blackstone Group에서 온다. Blackstone Group ->자꾸 흑석동이 생각나는건 왜일까? ㅎㅎ

우리 아파트에 사는 Sujit과 같이 잘 차려입고 행사장인 Rittenhouse Hotel로 갔다. 역시나 모든 학생들이 온 거 같았다. 한 400명 정도 MBA 학생들이 왔을까? 도대체 Blackstone 사람들은 어디 있고 우리 MBA들만 보일까? 찾는 건 그리 어렵지 않았다. Blackstone 사람들을 중심으로 큰 원을 만들면서 와튼 학생들이 조심스럽게 (아주 positive한 인상을 심어주기 위하여 노력하는 모습들이 역력 하였다.) 질문을 하나하나씩 하였다. 나도 질문을 하나 하긴 하였는데 400명 학생들 중에서 돋보이기 위해서는 뭔가 아주 smart한 질문을 하거나, 아니면 아주 바보 같은 질문을 해야할거 같았다. 솔직히 Blackstone 담당자들과 이야기한 시간보다 우리끼리 이야기를 더 많이 나눈 행사였다. 이렇게 사람이 많이 오는 행사는 앞으로는 좀 자제 하고, 개인적인 친분을 이용한 네크워킹에 더 치중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집에 왔다. 그래도 나름대로 잘 보이려고 긴장한 탓인지 집에 오니까 많이 피곤하더라…

Brownbag lunch with Anjani Jain

오늘 점심시간에 와튼의 부학장 Anjani Jain 교수 및 MBA Programs Office 담당자들과 우리 Cohort D 사이의 간담회가 열렸다. 간단하게 샌드위치와 음료수를 먹으면서 그동안 2달동안 학교 생활을 하면서 느꼈던 점과 궁금하였던 점에 대해서 질의 응답을 하는 자리였는데 와튼 학생들의 intellectual power에 다시 한번 놀랄 수 있었던 자리였다. 그냥 의례적으로 진행하는 행사라서 나는 농담 따먹기식의 질의 응답을 기대하였지만, 질문들의 quality는 Jain 교수를 상당히 곤란하게 하였다.

“지금 교수님의 머리에 있는 와튼 스쿨을 위한 3가지 initiative는 뭡니까?”
“필라델피아의 치안이 해마다 안 좋아지는데 학교에서 security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까?”
“아직도 와튼은 finance를 강조하는 학교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데 도대체 학교에서는 뭐하는 겁니까?”
“하버드/스탠포드와 경쟁하기 위해서 와튼은 해마다 얼마의 기부금을 유치하고 있나요? 제가 알기로는 이 부분은 굉장히 약한걸로 알고 있는데요”

솔직히 학생의 입장에서 교수진한테 직접 질문하기에는 너무 적나라한 질문일 수 도 있지만, 한치의 망설임 없이 당당하게 질문하고 반박하는 학생들의 태도에서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을 엿볼수 있었다. 나는 간단한 질문을 하나 했다.
“와튼에서의 entrepreneurship을 장려하기 위해서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나요? 컨설팅이나 investment banking의 이미지가 너무 강한거 같습니다.”
나는 개인적으로 Jain교수를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는다. 일단 너무 academic한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비즈니스 스쿨을 lead할 수 있는 powerful한 leadership이 없다. 남들앞에서 발표를 잘하는것도 아니다. 교수 정도 되었으면, 수도 없이 청중 앞에서 발표를 하였을텐데 아직도 남들 앞에서는 개미목소리로 말을 한다 (자세히 들으면 미세한 떨림까지 있다).

WIEF (Wharton India Economic Forum)

와튼의 MBA 수업은 대부분 월요일 – 목요일까지 진행된다. 목요일 오후 3시 정도에 왠만한 수업은 다 끝나며, 그 이후에 MBA 학생들이 자유롭게 맥주와 피자를 먹을 수 있는 MBA Pub으로 일주일의 학업은 마감된다. 그러면 금요일은 그냥 노는가? 물론 가족이 있는 사람들은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내며, 숙제가 밀린 학생들은 학업을 하고, 나같이 파트 타임으로 일을 하는 사람들은 일을 하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금요일마다 와튼 재학생들이 운영하는 다양한 세미나 및 conference가 열린다. Finance Club 주최의 Wharton Finance Conference, 아시아 클럽에서 주최하는 Wharton Asia Business Conference 등 하나씩 이름을 대기가 힘들 정도로 많은 클럽과 conference가 있다. 학생들이 주최한다고 내용이나 참석자가 시시한거는 절대 아니다. 각 industry에서 내노라 하는 유명인사들이 speaker나 panelist들로 대거 참석 하고, 싼 입장료 (보통 $20)를 내고 좋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네트워킹 기회이기 때문에 필라델피아 시내의 호텔들은 금요일마다 잘 차려입은 학생들도 붐빈다.

그 중 돋보이는 conference가 Wharton India Economic Forum이다. 인도 학생회에서 주최하는 이 행사는 와튼에서 주최하는 가장 유명한 행사 중 하나이다. 2008년 3월 22일 열리는 WIEF 2007은 industry의 thought-leader, entrepreneur 및 정책 담당자들이 한곳에 모여서 인도의 미래 및 앞으로 인도가 세계에서 담당해야할 역할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토론 및 discussion을 하는 행사이며, 올해의 주제는 India Imagine이다. 나는 이 행사에서 유일하게 한국 사람으로써는 sponsorship 위원회의 멤버로 선발되었다. 워낙 인기 있는 행사이기에 이 membership을 위해서 개인 에세이까지 썼는데 운이 좋게도 선택이 되었다. 왜 인도 애들이 판을 치는 마당에 Korean이 지원을 했냐고 묻는다면,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일단 인도에 대해서 좀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기 때문이다. CHINDIA의 성장 가능성, 인도와 중국이 global economy에서 차지할 역할, 무한 human power 등등…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인도와 중국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지만, 나는 부끄럽게도 이 두 나라에 대해서 제대로 아는 것이 하나도 없다. 인도에 인구가 많은건 사실이지만 대부분 못 살고 한국인보다 특별하게 낫은게 없는거 같은데, 왜 이 나라를 앞으로 주목해야하는가? 인도 학생들과의 교류를 통해서 조금이라도 인도라는 나라에 다가가고 싶었으며, 그 첫번째 단계가 2007 WIEF 행사의 일원으로 활동하는 것이다. 내가 멤버쉽을 얻기 위하여 인도 학생회에 제공한 value proposition은 “인도 기업이 아닌 인도 진출에 관심이 많은 한국 기업들의 sponsorship 제공” 이다. 특히 현재 타이밍이 너무나 좋다. 많은 한국 기업들이 인도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인도로 진출을 하고 있다. 이 행사가 많은 한국 기업들이 인도 및 인도 community에서의 한국 및 한국 기업의 브랜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나도 이 일을 하면서 한국 굴지의 기업들 – 삼성, LG, SK Telecom, 미래 에셋 – 의 스폰서 담당자 분들과 개인적인 network를 형성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인거 같다.

결론을 말하자면, 아직까지 deal closing은 못했지만 LG India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곧 올해 안으로 한 건 할 수 있을거 같다. 하여튼 인도와 중국에 대해서는 내가 앞으로도 이 블로그를 통해서 많은 생각을 공유할 계획이다.

MGMT801 – Entrepreneurship

이 수업 또한 매우 재미있는 수업이다. “Entrepreneurship (창업가 정신) 이란 과연 무엇인가?” 첫 수업시간에 Gary Dushnitsky 교수가 학생들한테 던진 질문이다. 우리는 앞으로 한 학기 동안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case를 분석하고, 색다른 경험을 가지고 있는 classmate들과의 토론을 통하여 많은 고민을 하고, 많은 연구를 하고 그리고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벤처기업이 직면한 문제점을 분석한 후,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수업 또한 3-4명의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야 한다. 우리 learning team의 Brian Gornick, 클래식 피아니스트이자 전 investment banker였던 명석한 두뇌의 소유자 Kevin Lenaghan 그리고 구 소련과 카자흐스탄에서 정부로비스트 일을 하던 tough guy David Larson이 우리 팀이다. 4명 다 전통적인 career path를 밟는거 보다는 창업에 관심이 많은 멤더들이라서 이 그룹이 훨씬 더 dynamic하고 재미있는거 같다. 그리고 프로젝트로는 TechCrunch40 행사를 빛냈던 뮤직쉐이크의 미국 진출 전략에 대한 조금 더 구체적인 해답을 제공하기로 하였다.

MGMT801 수업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일주일에 두 번, 한 시간 반씩 수업을 하며 매 수업마다 주어진 reading이 있다. 대부분의 reading은 Harvard Business School에서 작성한 case이며, 독자는 각 case에 대해서 구체적인 결론을 내려야 한다. 가령, “HP가 ink cartridge refill 사업에 진출해야하는가?” “Nantucket Nectar는 상장을 해야하는가 아니면 인수합병을 하여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 Yes or No 입장을 결정한 후, 왜 이런 결론을 내렸는가에 대하여 구체적인 data와 사례를 통해서 본인의 입장을 backup 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이런 발표/토론식 수업을 참 좋아한다. 내가 발표하는걸 좋아해서이기도 하지만, 동료들의 thinking process와 개개인의 다른 background가 와튼의 diversity에 기여하는 현장을 목격하면 참으로 대단하다는 생각을 한다. Collective wisdom이라고나 할까…작은 강의실에서 high performance brain power들이 생성하는 에너지는 정말 대단하다

MGMT811 – Entrepreneurship through Acquisition

Chalfin 교수 수업도 재미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Chalfin 교수라는 사람이 더 매력적인거 같다. 학생들한테 항상 스스로 생각하고, 그 생각에 따라서 행동하는 방법을 강조하면서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용감하게 explore하라고 자신있게 말하는 교수님을 보면서 책보다는 교수라는 인간 자체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는 생각을 항상 한다. 이 과목은 숙제도 없고, 시험도 없다. Term project 하나만 하면 되는 과목인데, 이게 생각보다 만만치는 않다. 5명의 그룹을 만든 후, 실제 비즈니스를 선택하여 우리가 이 비즈니스를 인수한다면 어떤 방법으로 인수를 할 것이며, 얼마의 가격을 낼 것이며 (valuation) 그리고 인수 후 어떻게 이 기업을 운영하여 향 후 더 비싸게 다른 회사에 팔 수 있을지에 대한 약 20장 짜리 페이퍼를 제출하면 된다. 4월 Welcome Week에서 만났던 미네소타 출신 Brian Crumbaugh가 같은 수업을 듣고 있어서 같이 팀을 구성하기로 하였다. Brian은 다행히 와튼에 오기전에 private equity 분야에 종사를 하고 있어서 기업을 사고 파는 분야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 나머지 팀원들은 Bank of America에서 Vice President를 하던 Jeff Brown, 굴지의 사모펀드 그룹 Blackstone 출신의 Jed Cairo (Jed는 나랑 Entreprenuership이라는 과목도 같이 듣는다) 그리고 Welcome Week에서 또 만났었던 Dan Weisenberg..이렇게 나름대로 우리는 dream team을 만들었다.
가장 힘든 부분은 – 어떤 회사를 살 것이며, 어떻게 이 회사를 찾을것인가? 무작정 인터넷에서 찾은 회사에 대한 분석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매각 준비를 하고 있는 회사를 찾아야 하며, 회사의 경영진들과 이 부분에 대해서 충분히 합의를 하여야 한다. 처음에는 인도네시아 친구 Fendi의 회사 Jaya Abadi Group에 대한 분석을 하려고 하였다. Fendi 또한 Jaya Abadi Group이 얼마만큼의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 매우 궁금해 하였기에 흔쾌히 okay를 하였다. 하지만 일을 하다 보니, 이 회사의 재무제표가 너무 부실하였으며, 영어가 아닌 인도네시아어로 되어 있어서 Brian의 contact을 통해서 알게된 TMI라는 회사에 대하여 페이퍼를 작성하기로 하였다. 5명이 각각 업무를 분담하고 (나는 industry analysis를 담당하였다) 매주 만나서 그간의 진행사항에 대한 briefing을 한 후 TMI 경영진들과의 conference call을 통해서 우리 팀이 얻고자 하는 사항에 대해서 물어보는 session을 갖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