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shake, Inc.

친구들이나 주변 사람들이 다음 질문을 많이 한다. “뮤직쉐이크는 IT 벤처기업인데 왜 실리콘 밸리가 아니고 LA에 미국 사무실을 세우셨나요?” 음…안그래도 실리콘 밸리의 광팬인 내가 왜 LA로 왔을까…여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는 가장 두드러지는 이유 두가지는 다음과 같다.

1. Musicshake, Inc.는 IT 기업이지만 전통적인 벤처 기업과는 그 성격 자체가 약간 다르다. 인터넷과 기술을 기반으로한 종합 엔터테인먼트 회사이다. 즉, IT+음악+media/entertainment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매우 혁신적인고 disruptive한 회사이다. 실리콘 밸리는 벤처의 메카이지만, 아직까지 할리우드가 있는 LA야 말로 media and entertainment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LA로 결정을 하였다. 물론 뉴욕 또한 media & entertainment 산업이 매우 발달 하였지만 아직까지는 LA를 따라올 수 없다고 생각한다.
2. 또다른 이유는 전략적인 이유에서이다. 우리가 Series B 투자를 받을때 운이 좋게 한국, 아니 세계 최고의 온라인 게임 회사인 넥슨 (아마 넥슨은 몰라도 “카트라이더”라는 게임은 알것이다. 바로 카트라이더를 만드는 회사이다)에서 참여을 해서 현재 넥슨은 뮤직쉐이크의 주주 중 한 명이다. 넥슨 아메리카 사무실이 LA에 있는데 현재 Musicshake, Inc.는 넥슨 아메리카와 같은 건물에 있다. 이거는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strategic investment (전략적 투자)라는 말들을 많이 하는데, 아직까지는 나는 제대로 된 전략적 투자 case를 본적이 없거든..말들은 전략적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까서 보면 그냥 money-in, money-out 게임이다. BUT! 넥슨 – 뮤직쉐이크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아주 classic한 전략적 투자의 좋은 예시이다. 이 블로그에서는 모든걸 말해줄 수는 없지만, 앞으로 넥슨과 많은 일들을 같이 할 계획이며, 온라인 게임과 user generated music은 아주 완벽한 궁합이다.

하여튼, 내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이 새로운 생활과 opportunity에 매우 기대를 많이 하고 있으며 아주 재미있는 일들이 앞으로 생길거라는 예감이 팍팍 든다…역시 나는 학교에서 탁상공론하는거 보다는 현장에서 몸으로 경험하면서 뒹구는게 더 어울리는 거 같다.

I am back. Live from LA

그동안 팬들의 열화와 같은 성화에 힘입어서 다시 블로그를 시작하기로 했다. ㅎㅎ 농담이고, 이제 약간 새로운 생활에 적응되고, 학생은 아니지만 다시 블로깅을 시작할만한 환경이 되어서 다시 한번 밤마다 키보드를 두드리기로 했다.
어디서 시작해야할지..악의 도시 필라델피아를 떠나서 천사의 도시 LA로 온지 벌써 3개월이 되었다. 학교를 떠난지 3개월 밖에 되지 않았지만 생각해보면 내가 학생이었다는게 어찌나 어색한지…2월20일 부로 LA로 이사와서 학생이 아닌 직장인으로써의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고, 새 집 구하고, 새로운 사무실 set up 하고..나나 와이프한테는 큰 변화가 아니지 않을 수 없었다. 회사가 코리아 타운이라서 근처에 집을 구할까 했는데 여기저기 찾다보니 결국에는 LA와 Burbank 경계점에 있는 (그래도 주소는 LA) Toluca 언덕에 방 2개짜리 아파트
를 구했다. 회사까지 차가 막히면 30분, 교통이 원활하면 15분 정도 거리니까 그다지 먼 거리는 아니다.

하여튼 굉장히 update할 내용이 많은데 어디서 시작할지…앞으로 차근차근 쓰도록 하겠다. 기대하시라 짠짠짠~~

당분간 블로그는 쉬도록 하겠습니다

나도 몰랐는데 이 블로그를 읽으시는 한국 독자분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걸 최근 깨달았다. 모르는 분들이 이 블로그를 보고 와튼이나 MBA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 많은 질문을 하는 걸 보고 다시 한 번 인터넷과 crowd intelligence의 힘에 대해서 감탄을 하였다. 이렇게 traffic이 많으니 이제부터는 이 블로그를 통해서 광고 수익을 벌 수 있지 않으냐는 생각도 하였지만 ㅎ 당분간 이 블로그 운영을 중단해야 할 거 같다. 아마 이 글이 한 2년 동안 마지막으로 쓰는 글이 될 거 같다.

그동안 도와주던 뮤직쉐이크의 미국 비즈니스를 full-time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학교를 떠나기로 드디어 결심하고 2월 20일 범죄의 도시 필라델피아를 떠나서 천사의 도시 LA로 이사를 왔다. 학교에서 배운 cost-benefit/break-even/opp’ty cost analysis 등을 통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내린 결정이니만큼 후회는 없으며 인생 최고의 기회를 잡기 위하여 막상 바닥에서 다시 뭔가를 시작한다고 생각하기 흥분까지 된다. 실은, 와튼 오면서 당분간 다시는 벤처기업일은 하지 않는다고 다짐을 하고 왔지만, 나는 역시 뭔가 unstructured된 조직에서 맨땅에 헤딩하면서 일을 할 때가 가장 행복한 거 같다. 아마 2010년에 다시 와튼으로 복학하지 않을까 싶으며 그때부터 다시 이 블로그를 운영할 거 같다.

Thanks to all the readers out there.

Intellectual Property

오늘 BPUB/LGST 621 수업의 주제는 흔히 줄여서 IP라고 하는 “지적재산권: Intellectual Property” 이었다. 벌써 4번째 수업이지만, 항상 느끼는 점은 역시 법이란 너무 애매모호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법에다가 비즈니스라는걸 더하면, 법+비즈니스가 되는게 이건 더욱더 애매하고…모든 질문에 대한 답은 “It depends…”로 시작할만큼 경우에 따라서 다르며, 그때마다 모든게 다르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Blackberry 기기로 유명한 Research in Motion이라는 회사와 NTP, Inc.라는 회사의 2006년도 소송 사건은 지적재산권 문제가 얼마나 애매모호한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케이스다. NTP라는 회사는 흔히 말하는 patent troll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 회사다. 특허권을 소유만 하고 있고 실제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 회사이다. 즉, 본인들은 특허권만 가지고 있고 다른 회사들이 이 특허를 사용하여 제품을 상용화하려고 하면 꼬박꼬박 로얄티를 받거나, 특허권을 거액을 받고 파는 회사다. 악덕 patent troll 회사들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교묘히 숨기고 있다가, 이 특허를 사용한 제품이나 회사가 유명해지면 특허권 침해로 바로 고소를 해버리는걸 업으로 하고 있다. 특허 침해로 항상 고소 당하는 대표적인 회사가 마이크로소프트이다. 워낙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니, 이런 회사들의 집중 타겟이 되는게 당연하다.

무선 기기를 통해서 이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가 바로 이 NTP라는 회사였지만, RIM은 이 사실과는 전혀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Blackberry라는 기기를 보편화하여 엄청난 매출과 브랜드 인지도를 얻을 수 있었다. 아마도 NTP라는 회사가 존재하는지도 몰랐을테고, 이러한 기술에 대한 특허권에 대한 부분은 생각도 안하고 비즈니스를 시작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생뚱맞게 NTP라는 회사가 어느날 Blackberry의 원천 기술을 본인들이 소유하고 있으니, 지금까지의 물질적/정신적 피해에 대한 보상을 RIM으로 청구하였다. 여기서 RIM이 그냥 몇십억 정도 NTP한테 주고 그냥 끝냈으면 될걸…이러한 고소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항소하고 다시 맞고소하고…하는 과정에서 소송금액은 눈덩이 같이 늘어났고 결국 RIM은 이 소송에서 졌다. 결국 2006년 RIM이 NTP에 얼마를 지급하였을까? 자그마치 한화 6,120억원!!!

정말 말도 안되는거다…어찌되었던간에 미국의 법은 이 부분을 인정하고 결국 직원 5명도 안되었던 유령회사와 같았던 NTP는 이 건 하나로 엄청난 fortune을 챙기게 되었다. 아마 그 이후 바로 회사 문 닫고 지금은 모두 다 어느 섬나라에서 편하게 은퇴하지 않았을까…뮤직쉐이크도 음악이라는 분야의 비즈니스를 하기 때문에 향 후 법적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없지는 않을거 같다. 이런 부분을 처음부터 단디 챙겨야될거 같다…

FNCE602 – Maceoeconomics

거시 경제…처음 이 말을 들었을때는 개념적으로만 이해를 했었는데, 정확히 거시경제와 미시경제의 차이점에 대해서 이해를 못했다. 오늘 수업에서 Zin 교수님이 이러한 궁금증을 간단하게 해결해 주었다. 보통 기업금융학에서 회사의 가치나 돈의 가치를 산정할때 Present Value와 Net Present Value를 항상 계산하게 되어있다. 일정 기간 동안의 cash flow가 주어지며, 이 현금 흐름을 discount할 수 있는 이자율이 주어지면 아주 간단하게 특정 기간에 돈의 가치를 backward discount 또는 forward discount할 수 있다. 항상 “이자율”은 주어지는데 이자율은 어떻게 정하는걸까? 바로 여기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 것이 거시경제이다. 끄덕끄덕~

둘째 수업시간은 GDP와 GNP의 정의 및 GDP (요새는 GNP보다는 GDP를 압도적으로 더 많이 사용한다)를 산정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서 배웠는데, 역시나 정답은 없는거 같다. 모든 사회/경제 현상을 하나의 공식으로 설명할 수는 없으며, 많은 가정 (assumption)이 동반되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가정들이 현실성이 많이 떨어지는거 같다. 수업이 거의 끝날 즈음, 내 눈길을 끈 하나의 슬라이드가 있었다. 중국/한국/미국의 경제 성장률을 그래프로 표시한 슬라이드인데 중간의 파란 선이 한국의 성장이다. 엄청난 성장이다…98/99년 IMF 타격 당시 성장이 뚝 떨어졌지만, 금새 다시 가파른 성장을 하고 있는걸 볼 수 있다. 규모의 면에서는 미국 (초록)에 뒤지지만, 동양의 볼품없는 작은 나라가 이룩한 성장은 정말 breathtaking 하다고 할 수 있다. Zin 교수도 한국 이야기를 자주 하는데, 90%가 아주 좋은 말들이다. 나머지 10%는 재벌 위주 경제의 취약점 등인데 그래도 한국은 앞으로 큰 문제없이 성장할 국가라는 말들 많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