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rton West Coast VC Trek

전에 블로그를 통해서 말하였듯이, 오늘부터 Wharton의 West Coast VC Trek이 시작했다. 졸업 후 서부의 venture capital industry에서 일하는데 관심 있는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기업 방문을 arrange하여 그 회사 담당자와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이다. 오늘 오전 9시에는 실리콘 밸리의 top VC firm인 DFJ 방문이 있었는데 나는 뮤직쉐이크 관련하여 다른 VC인 DCM을 방문하는 관계로 DFJ 방문 참석은 하지 못하였다. DCM 또한 굉장히 유명한 VC이며, 최근에 한국의 Pandora TV에 60억 정도 규모의 venture funding을 투자하였다. DCM의 창업자인 David Chao와 피아니스트겸 VC인 DR Doll과의 미팅을 아주 어렵게 만들어서 아침 9시반에 회사 설명 및 데모를 하였는데 역시 반응은 굉장히 좋았다. 대부분 뮤직쉐이크에 대해서 말이나 자료를 가지고 설명을 하면 그냥 수 많은 음악 서비스 제공하는 웹 서비스 중 하나겠지라는 생각을 하는데, 일단 제품을 보여주면 갑자기 표정들이 바뀐다. 오늘도 feedback은 “I’ve never seen anything like this before.”였다 ㅎㅎ. 일단 인사하고, 앞으로 계속 연락하자는 말을 하고 나왔다.

오후 2시에 Opus Capital (나름대로 유명한 VC인데 나는 아직 한번도 방문한 적은 없다) 방문이 잡혀있어서 지금 잠시 Mountain View 도서관에서 이메일 확인을 하고 있다. 이 도서관도 많은 추억이 담겨 있는 곳이다. 2001년 실리콘 밸리의 벤처 거품이 터졌을 당시, 취업 비자로 일하고 있던 수많은 인도사람들과 아시아 사람들이 하루 아침에 실업자가 되었다. 그 당시만 해도 “공짜” 인터넷을 사용하기란 참으로 힘들었는데 마침 Mt. View 도서관에서는 인터넷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관계로 많은 실업 인파들이 도서관으로 몰렸다. John과 나는 이 곳을 “백수 본부”라고 불렀으며, 나 또한 회사를 그만 두고 여기서 많은 시간을 보낸적이 있다. 다시 와서 봐도 여전히 도서관은 그대로이며, 지금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선 Wi-Fi를 사용할 수 있어서 참으로 편하다. Opus Capital 이후에는 Translink Capital (뮤직쉐이크에 투자를 한 회사 중 하나이며, 나는 Translink 창업자들과는 굉장히 친하다)에서 와튼 학생들을 위하여 주최하는 저녁 약속이 잡혀 있다.

My fond memories of Stanford University

2008년 첫 아침을 조깅으로 시작하였다. 스탠포드 대학 캠퍼스를 한 바퀴 돌고, 학교 뒤에 있는 작은 산을 따라서 걷다 보니 눈앞에 펼쳐진 캠퍼스의 전경이 너무나 아름다워서 한 컷 찍은 사진을 여기에 공개한다. 이 동네는 정말 하나도 바뀌지 않은거같다. 99년에 조깅하던 코스를 그대로 돌았는데, 당시 있었던 건물, 기숙사 등 모든게 그대로인게 8년전 기억이 새록새록 떠올랐다. 그리고 다른 사진은 내가 여기와서 처음으로 살았던 학교 아파트 Escondido Village 143A 사진이다. 아직 박사과정을 마무리하고 있는 성원이형, UC San Diego에서 잘나가는 교수님 영환이형, Takram의 창업자 Moto, Tag Heuer의 Shanghai 담당 브랜드 매니저 Bon 모두 여기서 같이 살았으며 참으로 fond memory들이 많은 집이다. 지금은 또 다른 학생들이 큰 꿈을 가지고 열심히 공부하고 있겠지. 누구나 다 그런다. 미국에 처음 와서 정착한 곳에 가장 정이 많이 간다고….그래서 그런지, 하여튼 나는 이 동네가 참 좋다.

스탠포드 대학의 정식 명칭은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이다. 철도사업으로 인하여 엄청난 부를 축적하고 캘리포니아의 governor를 역임한 Leland Stanford와 그의 와이프 Jane Stanford가 16살 때 장티푸스로 사망한 외동 아들 Leland Stanford Jr.를 기리기 위해서 새운 대학교 이며, 사실인지 아닌지는 아직 밝혀지고 있지는 않지만 학교 설립의 배경 뒤에는 다음과 같은 소문이 있다.

서부에서 온 허름한 복장을 한 스탠포드 부부가 하루는 하버드 대학 총장을 찾아가서, 거금의 돈을 기부할테니 본인들 이름으로 건물을 하나 지어달라고 부탁을 하자 하버드측에서는, “우리는 돈도 중요하지만, 기부하는 분들의 사회적 지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당신과 같이 부적절한 방법 (당시 철도 사업은 부패와 비리가 난무하였다)으로 벌은 돈을 하버드 대학 교정에 투자할 수 없습니다.” 라고 단호하게 거절하였다. 그러자 기분이 몹시 상한 스탠포드씨는 “내가 서부에다가 동부 아이비리그 그 어떤 대학보다 거대하고 유능한 인재들을 배출할 수 있는 대학교를 만들고야 말겠다.” 라는 다짐을 하였으며, 그 산출물이 오늘날의 스탠포드 대학이다.

하버드에서 이 기부금을 거절한게 참 다행이다. 안그랬으면 전세계의 innovation을 주도하는 인물들과 회사들, 그리고 실리콘 밸리가 탄생하지 못하였을 수도 있다. 평방 32km의 대지 위에 설립된 스탠포드 대학은 전세계에서 가장 큰 면적을 가지고 있는 대학이다. Moscow State University와 한때는 1,2등을 다투었지만, Jane Stanford 여사가 죽으면서 본인이 가지고 있던 모든 땅을 대학교에 기부하였기 때문에 지금은 명실상부한 세계 최대/최고의 대학교이다. 우리가 흔하게 알고 있는 Google, Yahoo, SUN Microsystems, Cisco, Macromedia 등 세계 최고의 IT 기업들을 스탠포드 동문들이 설립하였으며, 후버 전 미대통령, Condoleezza Rice 현 미 국무장관과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노벨 수상자들을 스탠포드 대학은 배출하였다.

나에게 있어서 스탠포드 대학은 각별한 의미가 있다. 학부인 중앙대학교, 그리고 현재 다니고 있는 와튼 스쿨 공히 모두 좋은 학교이지만 스탠포드는 내 가치관과 오늘날의 인간 배기홍 형성에지대한 영향을 준 학교이다. 99년 도 미국 유학 당시 top 10 engineering school에 지원하였으며 MIT 빼고는 다 붙었다. 특히, Purdue 공대Michigan 대학으로부터는 전액 장학금까지 받아서 많은 고민을 하였지만 그때는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모르겠지만 결국에는 스탠포드를 선택한게 지금 내 인생을 완전히 바꾼 계기가 된것이다 (물론 좋은 방향으로). 퍼듀나 미시간 모두 굉장히 좋은 학교이다. 하지만, 내가 이 두 학교 중 하나에 갔으면 분명히 지금쯤 기계공학 박사가 되어서 자동차나 전자제품 회사에서 engineer로써의 재미없는 삶을 살고 있을거 같다. 실리콘 밸리에 오기 전에는 나는 벤처기업이니 venture capital에 대해서 전혀 몰랐으며, 이 세상에 대기업이 아닌 다른 professional life가 있다는 거 조차 몰랐던 촌놈이었다. 이런 촌놈이 이 동네에 와서 많은 걸 보고 배우고, 지금은 그래도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 된거 같다.
후배 한 명이 요새 business school에 지원하고 있다. Stanford Business School이 당연 내 첫 번째 recommendation이다. I have great confidence in Stanford and Silicon Valley.

-Writing from Peet’s Coffee & Tea at the intersection of El Camino Real and San Antonio Road, using free Wi-Fi powered by Google

Adios 2007!

이제 9시간만 지나면 다사다난 (한국 뉴스에서 항상 쓰는 말이다) 하였던 2007년이 가고 2008년 새해가 밝아온다. 누구나 이때가 되면 한 해를 겸허한 자세로 뒤돌아 보게 되고, 나 또한 예외는 아니다. 돌아보면 “더 잘할걸”이라는 후회도 많지만, “그래도 이건 잘했네”라는 생각이 드는 부분도 있다. 많은 변화와 시행착오를 겪고, 새로운 분야에 도전을 하였고 실패도 하였지만 나름대로 성공한 한 해인거 같아서 약간은 뿌듯하다. 잘 다니던 직장을 그만 두고, 원하는 business school에 합격하였으며, 사랑하는 여자와 결혼하고 앞으로 내 미래의 기반이 될 비즈니스의 기초를 닦을 수 있었던 보람찬 한 해였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스스로 채찍질하여 변화하는 인간 배기홍임을 나름대로 스스로에게 prove 한 거 같다. 또한, 현 generation에 약간이나마 임팩트를 줄 수 있는, 힘차게 달리는 horse가 될 수 있도록 다짐한다. 나아가서, 좋은 남편, 좋은 아들, 좋은 사위, 좋은 학생,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계속 스스로를 연마할 계획이다. 이명박씨가 대한민국의 새 대통령이 되셨다. 특별히 좋아하지도 않고, 싫어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앞으로 5-10년은 한국인으로써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세대한테 매우 중요한 시기가 될 거 같으며, 이 때문에 이명박 대통령이한테 거는 기대가 매우 크다. God bless Korea!

오전에 Altos VC의 파트너 Han Kim을 만나서 전문 VC가 보는 한국 벤처기업의 미래 및 Altos VC의 투자 방법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던 굉장히 좋은 시간이었다. 많은 돈을 투자받는거 보다는, 필요한 만큼의 돈만 받고, 쓸데없이 인력을 늘리지 말고 적은 비용과 적은 인력으로 최대한 빨리 비즈니스를 흑자전환 시키는 것이 모든 벤처기업의 지상과제이어야 하는데, 너무나 많은 벤처 기업들이 대기업의 마인드를 가지고 쓸데없이 일을 벌리고 돈을 쓰다보니 돈만 날리고 망한다는게 Han Kim의 의견이었다. 어떻게 보면 너무나 당연한 기본 상식인데 일을 하다보면 항상 욕심이 생기는거 같다.

The Crunchies 2007

Crunchies2007

서부답지 않게 우중충하고 매우 흐린 날씨이지만, 날씨와는 다르게 화창한 소식이 있어서 블로그를 통해서 독자 분들에게 소중한 투표를 부탁드리려고 한다. 올해 9월 1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되었던 TechCrunch40에 이이서 뮤직쉐이크가 이번에는 미국 실리콘 벨리가 선정한 2007년을 빛낸 100대 IT 기업에 선정되었다. 공식 행사 명칭은 The Crunchies 2007이며, 실리콘 밸리에서 가장 영향력 있으며 일일 통합 독자 수만 약 2백만명이 넘는 4대 technology blog인 TechCrunch, GigaOm, Read/WriteWeb VentureBeat 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실리콘 밸리 역사상 최초의 행사이다. 행사 성격은 한 해 최고의 영화 및 배우들의 공로를 인정하는 Academy Award와 비슷하며, 2007년 한 해 동안 가장 혁신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인터넷 및 기술 관련 벤처기업들의 공로를 인정 및 시상하는 것이 이 대회의 취지이다.

Web 2.0의 기본 사상인 참여 및 공유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후보 및 최종 수상 기업 선정은 100% 일반 독자들의 투표에 의하여 진행될 예정이며 최종 수상 기업 발표 및 시상은 2008년 1월 18일 (금) 샌프란시스코의 Herbst Theater에서 최종 후보들, 주최측 4개사, 각종 언론사 및 일반 관객의 참석하에 진행된다. 행사 비용 전액은 어도비, Charles River Ventures, Mayfield Fund, 마이크로소프트, OurStage썬 마이크로시스템스가 스폰서쉽 형태로 부담한다. 12월2일부터 12월 12일 열흘 동안 일반인들은 웹사이트를 통해서 2007년 한 해 동안 IT 업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벤처 기업을 자유롭게 추천할 수 있었다. The Crunchies 위원회에서 미리 정의한 20개의 분야 (Best user generated content start-up, Best international start-up, Best overall 등)에 각 한 개의 기업 추천이 가능하였으며, 약 82,000개의 추천을 받았다고 주최측은 밝혔다. 이 후 The Crunchies 2007 위원회는 82,000개의 후보 중 추천 횟수와 벤처 기업을 평가 하여 각 분야에서 5개의 결승 진출 기업을 선정하여, 12월 21일 100개의 최종 후보를 발표 하였다. 여기에서 뮤직쉐이크는 Best international start-up 분야에서 당당하게 유일한 아시아의 벤처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TechCrunch의 Heather Harde 대표이사가 나와 주고받은 이메일에서 “작년 9월 TechCrunch40 행사에서 신선한 충격이었던 뮤직쉐이크가 이번 행사에서도 실리콘 밸리를 강타하길 바란다”라는 말까지 직접하였다. 다른 후보 중에는 이미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Facebook, DiggYelp와 같은 실리콘 밸리를 대표하는 굴지의 Web 2.0 인터넷 기업들이 포함된다.

최종 투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2월 21일부터 웹사이트를 통하여 일반인들은 하루에 한 번씩 본인이 원하는 벤처기업 투표에 참여할 수가 있으며, 인터넷 투표는 2008년 1월 10일까지 웹을 통해서 공개된다. 페이지 상단의 뱃지를 클릭한 후 5개의 Best International Start-up 후보 기업 중 Musicshake를 꾸욱 눌러서 voting을 모든 독자 분들에게 부탁 드리겠습니다.

Back in Silicon Valley

오늘 새벽 6시에 와이프는 한국으로, 그리고 나는 전에도 몇 번 언급하였듯이 Wharton West Coast Trek 및 다른 일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실리콘 밸리로 날라가기 위하여 새벽 5시에 필라델피아 공항에 도착하였다. 오랜만에 일찍 일어나서 그런지 지현이를 보내고 9시 35분 비행기를 타기 전까지 정신없이 공항 의자에 누워서 homeless 아저씨들같이 단잠을 잤다. 다음에는 돈 많이 벌어서 직항 비행기를 타야지…필라델피아<->샌프란시스코 왕복 항공이 $200인 싸구려 Southwest 항공을 이용하였는데 가격이 저렴한 대신 5시간 반이면 올 수 있는 곳을 10시간 걸려 왔다. 라스베가스를 경유하고, 한시간 반 정도 후에 비행기를 갈아타고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할 수 있었다. 거의 미국 서부에서 한국 가는 시간이다 ㅎㅎㅎ.

샌프란시스코 공항에는 스탠포드 후배 기현이와 와이프 신희씨가 나를 마중 나왔다. 나보다 1년 일찍 스탠포드에 입학한 기현이는 학업 중간에 군복무를 하기 위하여 삼성전자에서 병역특례를 무사히 마치고 다시 스탠포드 전자공학 박사과정으로 돌아왔다. 오기전에 그동안 오랫동안 사귀던 여자친구와 결혼하고 왔는데 재미있게 사는거 같아서 참 보기가 좋았다. 서부에 올때마다 기현이와 전화 통화를 하였지만 바쁜 스케줄 때문에 얼굴 보기는 미국와서 이번이 처음이었다. 규성이네 집 및 자동차 키를 전달 받은 후, 짐을 간단하게 풀고 기현이네 집에서 저녁을 먹었는데 두 부부의 cooking 솜씨가 상당히 좋아서 깜짝 놀랐다. 오늘의 메뉴는 타이 음식. Pad Thai, 카레 및 스테이크 샐러드였는데 태국 식당에서 먹는 음식이랑 비교해 보면 전혀 손색이 없어서 극찬을 하면서 돼지같이 먹었다. 식사 후, 아마존에서 1초에 12개씩 팔린다던 닌텐도의 Wii (Xbox 360과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은 게임기)를 가지고 놀았는데 굉장히 innovative하고 재미있는 게임기였다. 테니스와 야구를 너무 열심히 해서 아직까지 왼쪽 어깨가 얼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