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나를 강하게 만드는 것들

Back Camera
나는 운동을 좋아한다. 요새도 일주일에 최소 3번은 동네 gym에 가서 운동한다. 최근에 내가 즐겨 하는 group exercise가 있는데 BodyPump라는 프로그램이다. 포맷은 몇 가지가 있는데 가장 많이 하는 건 60분짜리 프로그램이다. 10개의 곡에 맞춰서 총 8개의 근육을 쉬지 않고 반복운동하는 건데 제대로 하면 상당히 힘들다 – 죽을 거 같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BodyPump를 제대로 하면 60분 동안 800번의 반복 운동을 하게 되고 600 – 1,000칼로리 정도를 소비한다고 한다. 마치 군대의 교관을 방불케 하는 선생님은 앞에서 같이 운동하면서 계속 소리치면서 분위기가 느슨해지지 않게 하려고 군기를 잡는다.

선생 중에 Annette라는 여선생이 있다. 전반적으로 돼지고 하체는 헐크 같은 분이다. 운동하다가 팔이 안 느껴지고 어깨가 빠질 거 같아서 도저히 못 할 거 같으면 옆으로 와서 귀에 대고 “죽을 거 같지? 천만에. 너 몸은 그 정도는 견딜 수 있어. 절대로 죽지 않아. 자신을 도전해봐!”라고 소리친다. 쪽팔려서인지 군중심리 때문인지 아니면 기합이 팍 들어가서인지 안 움직이던 팔이 거의 10번 이상 더 반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 선생의 마지막 곡은 거의 항상 Kelly Clarkson의 Stronger (What Doesn’t Kill You)이다. 60분이 지나면 새로운 사람이 된 느낌이다. 물론 몸은 지치지만, 근육이 찢어지면서 더 강해진 느낌이라고나 할까? 그리고 또 열심히 하루를 산다.

우리 몸은 참 신기하고 유연하다. 일이나 운동을 하면 할수록 체력은 정신력에 지배받는다는 느낌을 받는다. 벤처 일 하는 것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루하루가 지옥같이 힘들다. 큰 문제를 해결했다 싶으면 산 넘어 산이다. 가끔 – 또는 자주 – 이제 한계에 왔고 더는 못 할 거 같다는 생각을 한다. BodyPump에서 “딱 한 번만 더 하자”라는 느낌으로 힘을 내서 딱 한 번만 더 시도해보길 권장한다. 한 번 더. 그리고 한 번만 더. 그러다 보면 아직 죽지 않은 자신을 발견하고, 나를 죽이지 않는 것들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는 걸 스스로 느낄 것이다.

Be Strong!

포화된 시장은 있을 수 없다 – Chobani 이야기

“그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인 거 같은데요.”라는 말을 우리는 이 바닥에서 매일 듣는다. 창업가들이 뭔가 해보려고 하면 주위 사람들은 – 친구, 가족, 투자자, 동료 모두 – 이런 말을 하면서 말린다. 이미 그 시장에는 시장점유율 30% ~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메이저급 플레이어와 수십 개의 잔챙이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같은 시장에서 성공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런 포화 시장 속에서도 소수의 몇 사람들은 비즈니스 기회를 찾고 그 기회를 크게 성장시키기까지 한다. 미국 Chobani 요구르트가 그런 사례이다.

chobani

<이미지 출처 = www.chobani.com>

함디 울루카야(Hamdi Ulukaya)는 아나톨리아 반도(터키령의 아시아 측 흑해와 에게해, 동지중해로 둘러싸여 서쪽으로 돌출한 대반도)의 일리치라는 인구 1,000명이 안 되는 작은 동네 출신이다. 그의 가족은 여기서 양목장을 운영하면서 치즈와 요구르트를 만들고 있었다. 그는 94년도에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 미국에 처음 왔고, 고향을 생각나게 하는 뉴욕의 북부지역에 남기로 했다. 그의 아버지가 아들을 방문했을 때, 함디는 고향에서는 흔히 먹을 수 있는 제대로 된 페타(Feta)치즈를 찾는데 실패하자 직접 Euphrates라는 회사를 창업해서 페타치즈를 만들어서 도매상들에게 팔기 시작했다.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은 아니었지만, 시작은 여느 스타트업 초창기와 다르지 않았다. 비즈니스 경험이 없음으로 모든 건 시행착오와 실패로 배웠고 그는 직접 제조한 치즈를 고물차에 싣고 여기저기 방문 판매했다. “내일 망하면 어떡하지”라는 걱정을 하지 않기까지는 2년이라는 길고 힘든 시간이 걸렸다.

그러다가 그는 2005년도 봄에 우연히 우편물에서 식품업체 Kraft가 85년 된 요구르트 공장을 수 억 원에 매각한다는 광고성 엽서를 보게 되었고, 호기심에 그 공장을 견학하러 갔다. 그가 가서 본 이 낡은 공장은 엉망 그 자체였지만, 그는 여기서 희망을 발견하고 미국의 중소기업청에서 인수 자금의 절반을 빌려서 공장을 인수했다. 2005년 8월 17일 그는 공장의 새로운 주인이 되었고, 당시 공장 직원 55명 중 4명을 채용해서 요구르트 제조를 시작했다. 문제가 하나 있었다: 그 당시 요구르트 시장은 포화상태였다. 메이저급 업체인 Yoplait, Dannon, Danone 등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가 이 시장에서 조금이라도 살아남으려면 뭔가 다른 종류의 제품을 만들어야 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쵸바니(Chobani: 터키어로 “목동”을 뜻함)는 이제는 거의 명사같이 된 ‘Greek 요구르트’에 집중하기로 했다. 일반 요구르트보다 조직이 더 걸쭉한 그리스 요구르트는 콜레스테롤과 설탕 함유량이 적으면서 단백질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솔직히 맛은 나쁘지 않지만, 개인적으로는 일반 요구르트를 더 선호한다).

당시 소수의 고급 슈퍼에서만 팔고 있던 그리스 요구르트에 대기업들이 관심을 두지 않았던 이유는 미국인들은 설탕이 들어가지 않은 담백한 맛의 그리스 요구르트를 먹지 않을 거라는 시장의 편견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함디가 실제 시장에서 발견한 사실들은 이와 완전히 반대였다. 그리스 요구르트를 먹는 소비자들은 더 많은 종류의 그리스 요구르트를 원하고 있었고 그가 내린 결론은 “미국인들이 그리스 요구르트를 좋아하지 않는 게 아니라, 대기업들이 안 만들어서 못 사는거다” 였다. 그의 예상대로 쵸바니는 대성공이었다. 현재 쵸바니는 전 세계에 직원 3,000명을 고용하며 매주 4,000만 파운드의 요구르트를 미국에서 생산한다. 작년 매출은 10억 달러를 넘었다. 가장 재미있는 사실이자 이 글의 핵심은 바로 2007년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던 ‘그리스 요구르트 시장’이라는 카테고리를 쵸바니라는 브랜드가 새로 만들었다는 점이다(당시에는 요구르트 시장은 이미 포화되었다 라는게 기정사실이었다). 2007년도에 팔린 전체 요구르트 중 그리스 요구르트는 1%였는데 2013년 이 수치는 35%이며 쵸바니는 시장의 리더이다. 실제로 미국 대형 슈퍼마켓의 요구르트 코너에 가면 일반 요구르트는 그리스 요구르트에 가려서 뒷 부분에 배열되어 있다. 나도 이제는 쵸바니를 자주 먹는 편이다.

“포화된 시장”은 함디같은 야심 찬 창업가들에게는 특별한 장애물이 아니다. 단지 새로운 혁신을 일으켜야 하는 또 다른 시장일 뿐이다. 포화되었다는 말은 그 시장 자체는 매력적이라는 의미이니, 여기서 뭔가 새로운 걸 하면 된다.

<이미지 출처 = Chobani.com>

이 여자 – Diana Nyad (Never give up!)

살면서 우린 정말 amazing 한 사람들을 직접 만나거나(운이 좋으면), 미디어를 통해서 이들을 간접적으로 만날 수 있다. 지난주에 그런 값진 간접적인 기회가 있었다. 64살 할머니 Diana Nyad가 4번의 실패 후 5번째 시도에 쿠바에서 플로리다까지 177km를 철망 없이 수영하는 데 성공했다.

다이애나 할머니는 보통 사람은 아니다. 작가, 신문기자, 스피커 등으로 유명한 그녀는 이미 장거리 수영 관련 기록을 몇 개 보유하고 있었지만, 며칠 전 세운 신기록 뒤의 스토리는 정말 감동적이다. 1978년 28살에 그녀는 처음으로 쿠바 하바나에서 플로리다 키웨스트까지 바다 수영을 시도했다. 상어 공격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서 철망 안에서 수영했지만, 강한 바람과 물살이 철망을 계속 치는 바람에 코스에서 이탈했고 42시간 만에 중단했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그 이후 30년 동안 그녀는 조용히 살았다.

30년 후인 2011년 8월 7일, 다이애나는 두번째 시도를 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기상 악조건과 물에 들어가자마자 재발한 천식 때문에 29시간 만에 중단했다. 한 달 뒤 세 번째 도전도 실패로 끝났다. 해파리들한테 심하게 물려서 도저히 수영을 계속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 그녀는 그다음 해인 2012년에 다시 시도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2012년 8월 18일 63살의 나이에 그녀는 4번째 시도를 위해서 물에 다시 들어갔다. 이번에는 쿠바와 플로리다 중간 지점까지는 성공적으로 수영했지만, 다시 한번 해파리와 태풍 때문에 중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나이 63살, 4번의 실패, 나이와 함께 어쩔 수 없이 찾아오는 육체적/정신적 붕괴….이 정도 되면 아무리 강인한 사람이라도 그만두지 않았을까? 더군다나 이미 전 세계는 그녀의 4번의 시도에 대한 존경과 박수를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앞에서 말하지 않았는가. 다이애나 나이야드는 우리 옆집에 사는 그런 그냥 보통 사람이 아니었다. 2013년 8월 31일 아침, 그녀는 쿠바 하바나에서 플로리다를 향해서 5번째 수영을 시작했다. 이번엔 철망 대신 35명의 팀원들이 그녀와 같이 배와 카약으로 이동했고, 해파리에 대비하기 위한 바디수트, 장갑, 부츠와 실리콘 마스크로 완전 무장을 했다.

그리고, 하늘이 도왔는지 아니면 하늘도 이 할머니의 고집과 의지에 질렸는지, 수영을 시작한 지 3일 만인 9월 2일 동부 시간 오후 약 1:55분 경에 그녀는 키웨스트 해변에 무사히 도착하면서 상어 보호 철망과 오리발 없이 한 장거리 바다 수영 신기록을 세웠다.

35년 만에, 4번의 큰 실패를 극복하고, 53시간을, 거의 200킬로를 수영해서(직선거리는 177킬로지만, 바다의 움직임 때문에 실제로 수영한 거리는 이 정도 된다고 한다) 이룬 기적이다. 그것도 환갑이 훌쩍 넘은 64살에. 이 스토리 자체가 감동적이지만, 최고의 감동은 바로 그녀가 해변에 도착한 후 잠시 숨을 고른 후 한 말이다:

“절대로 절대로 포기하지 마세요(Never, ever give up). 꿈을 실현함에 있어서 나이는 전혀 상관없습니다(You are never too old to chase your dreams).”

조금만 정신적으로 지치고, 육체적으로 힘들어지면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빠져나갈 궁리만 하는 나약한 나 자신을 상어가 득실거리는 바다로 던져버리고 싶은 순간이었다.

이런 대단한 사람들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전에도 몇 번 있다. GFAJ-1 박테리아를 발견한 Felisa Wolfe-Simon과 아직도 믿기지 않는 초인적인 일본인 히데아끼 아카이와씨가 그 대표적인 예다. Nyad 여사도 이들과 나란히 내 마음속 명예의 전당에 들어왔다.

<이미지 출처 = http://static.guim.co.uk/sys-images/Guardian/Pix/pictures/2013/9/3/1378223039582/Diana-Nyad-008.jpg>

실패를 권장하기

창업가들이나 투자자들은 ‘실패’에 대한 이야기를 종종 한다. 나는 회사원이나 창업가한테 실패는 좋은 거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항상 실패를 권장하는 글을 그동안 많이 써왔다:
성공적으로 실패하기 1
성공적으로 실패하기 2
한국이여 – 실패를 우대하자!

물론, 실패를 바라보는 입장은 모두 다르다. 이 말 자체가 아주 부정적인 이미지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특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는 많이들 꺼려한다. 이런 사람들이 나한테 이메일을 가끔 보내는데 어떤 분들은 흥분한 목소리로 내가 실패를 “권장”하는게 듣기 상당히 거북하고 불쾌하다고 한다.

한가지 확실하게 하고 싶다. 내가 실패를 권장하는건, 잘 하고있는 사람한테 실패하라고 부정적으로 부추기는게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실패를 많이 한다는 건 그만큼 많은 걸 시도해 봤다는 의미이고, 현명한 사람이라면 이런 실패를 통해서 많이 배우고 성장을 한다. 어차피 발전하는 인생을 살고 싶으면 빨리 실패하고, 많이 실패하고, 많이 배우고, 많이 성장하는 과정을 거쳐야지만 성공에 조금이라도 가까이 갈 수 있다. 태어나서 처음 해보는 사업을 크게 성공시키거나 첫 직장에서 맡은 첫 프로젝트를 크게 성공시키는 사람들도 간혹 있지만, 대부분의 일반적인 경우는 그렇지 않다. 처음 하는걸 실패하는 건 너무나 당연하다. 물론 그 실패로부터 얻는 경험이나 배움이 전혀 없다면 문제가 있지만 정상인들은 어느정도 경험하고 배운다. 그리고 성장한다. 살아가면서 내가 1,000번의 실패를 해야 할 운명이고 그 1,000개의 실패 사이에 어디엔가 “성공”이 숨어 있다면 빨리 실패해서 그 수를 줄이면서 “성공”을 찾아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성공이 1과 2 사이에 숨어있든, 999와 1,000 사이에 있던.

곰곰이 생각해보면 살면서 지금까지 단 한번도 실패하지 않은 사람들이 내 주위에 몇 명 있긴 있다. 이들은 지금까지 아무것도 시도해보지 않은 사람들이다. 아무것도 안하니까 실패하지 않는 것이다. 

가족

여름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여름 휴가를 가족들과 보내면서 가족의 중요함과 이들이 있기에 인생이 진정 행복하고 가치있다는 걸 다시 한번 음미하고 느끼게 된다. 나도 가끔 이런 생각들을 하고, 얼마전에 읽었던 조성문님의 “진정한 행복에 대하여 – 가족 중심 문화의 중요성“은 많은 생각으로 나를 기쁘고 슬프게 만들었다.

우리가 투자한 Mayrok Media에서 현재 제작하고 있는 Dan Matthews의 다큐멘터리의 핵심 내용도 바로 ‘가족’이다. 이제 한국에서 거의 촬영을 마쳤고, 미국으로 복귀해서 열심히 편집 작업 해야할 일이 남았다. 예상보다 영상 footage가 많이 생겨서 post-production 작업량도 늘어날 예정이고 이에 따른 비용도 많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Kickstarter 캠페인의 성공이 더욱 더 중요해졌다.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Dan Matthews의 Kickstarter 캠페인에 관심을 표현하고 응원을 보내고 있다. 그런데 이 캠페인의 가장 큰 supporter들은 다름아닌 그의 미국 입양 가족이다.

양어머니뿐만 아니라 친척들과 할머니까지 모두 그의 친가족과의 상봉을 큰 감동, 고마움 그리고 축복으로 응원하고 격려하는 걸 옆에서 보면 참으로 감동이다:

“사랑하는 아들아,
우리 가족한테 네가 왔을때 하나님이 내 기도를 들어주셨구나라고 기뻐했단다. 너보다 더 좋은 아들이 이 세상에 있을까라는 생각을 엄마는 항상 한단다. 비록 아버지는 살아계시지 않지만, 네 모험을 하늘에서 보시면서 분명히 미소짓고 계실 것이다. 엄마는 기도한단다. 네 뿌리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친부모와 가족들, 친구들 그리고 모르는 타인들의 사랑을 듬뿍 경험하고 이 경험이 네 마음에 이해심과 평화를 가져오기를…
-엄마가(Lynne Matthews)”

“Daniel아,
할머니는 매일 네 소식을 확인하고 있단다. 친가족과의 상봉이 성공적이었다는 소식에 어찌나 기뻤던지. 너는 너무나 많은 재능을 가졌단다. Korea Today에서의 (아리랑 TV) 인터뷰 너무 멋지더라! 몸 조심하고 미국에 무사히 돌아오렴. 와서 보자.
-할머니가(Eloise Bienvenu)”

친아들이 부모님을 폭행하고 살인하고, 친엄마가 갓난아기를 죽이는 험한 세상에 우린 살고 있지만, 이렇게 보기 좋은 양아들과 양부모님들도 있다는 사실에 감사한다.

Good luck D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