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종이책의 종말 – Get Ready for eBooks

나는 한 달에 책을 1~2권 정도 읽는다. 단순히 독자로서 책을 읽을 때는 그냥 별 생각 없이 재미있는 책, 재미없는 책 이렇게 분류를 하면서 읽었는데 최근 약 1년 동안 출판사와 같이 작업을 하면서 출판업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 분야를 요새 조금 유심히 관찰하고 있다. 요새 출판업계의 화두는 ebook인 거 같다. 참고로, 미국과 유럽이 특히 그렇고 아직 한국은 그냥 눈치만 보고 있는 거 같다. 솔직히 전자책에 대한 말들과 전자책 device는 그다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1971년도에 Michael Hart는 Gutenberg Project를 통해서 다양한 종류의 e-book 프로토타입을 대중에게 소개하기 시작하였고 여기저기서 작은 제조업체들이 ebook 기기들을 만들어서 시장에 소개하였다. 그렇지만, 아직도 대중은 종이의 냄새, 잉크의 냄새 그리고 물리적인 책을 만졌을 때의 그 뿌듯한 보람과 느낌을 잊지 못하고 책은 무조건 종이의 형태로 소유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지 못하였다.

일반 소비자를 위한 첫 번째 ebook은 1990년대에 시장에 소개되었지만, 그 당시만 해도 휴대용 기기들이 마땅치 않아서 대중적인 인기도를 얻는 데 실패하였다. ebook을 읽을 수 있는 옵션은 투박한 컴퓨터 화면이나 아주 작은 핸드폰 화면만 있었기 때문이다. 2007년도에 Amazon이 Kindle을 시장에 소개하였다. 엄청난 콘텐츠를(Amazon.com의 책들) 기반으로 device를 파는 이 비즈니스 모델은 Apple이 iTunes와 iPod를 가지고 음악 시장을 완전히 바꾸어버린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새로운 각도에서 번들해서 파는 – 신개념의 device play를 그대로 재활용한 모델이었고 이때부터 ebook과 epublishing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10년도 4월 애플의 iPad 출시와 함께 ebook 시장은 말콤 글래드웰이 말하는 ‘tipping point’를 향해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Bold Predictions
8월 3일 Lake Tahoe에서 열렸던 Techonomy Conference에서 CNBC의 여성 앵커 Maria Bartiromo가 진행했던 패널에서 MIT Media Lab의 창시자이자 기술 전도사로 유명한 Nicholas Negroponte는 (그는 또한 “Being Digital: 디지털이다”이라는 책의 저자이다) 남들이 눈치만 보고 있는 와중에 매우 대담한 예언을 하였다. 그는 앞으로 5년 뒤에는 종이로 만든 물리적인 책은 멸종할 것이라는 말을 했다. 아마도 많은 사람이 이러한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힘들겠지만 이미 영화와 음악 산업의 전례를 보면 거부할 수 없는 현상이라는 말을 하였다. 1980년대에 코닥과 같은 회사들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부인하였지만, 많은 전문가는 물리적인 영화의 시대는 이미 끝났다는 예언을 하였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또한, 음반이나 CD 위주의 음악 산업이 이제는 완전히 디지털화된 것도 좋은 예라고 하였다.

물론, ‘멸종’이라고 해서 종이책이 완전히 사라지는걸 의미하는 건 아니지만, 앞으로 시장의 대세는 ebook이 될 것이라는 뜻이며 그는 좋은 예로 그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One Laptop per Child 프로젝트를 제공하였다. 이 저가의 노트북을 그는 수십만 권의 책을 디지털 포맷으로 채워서 제 3세계의 어린이들한테 보급할 수 있지만, 수십만 권의 책을 물리적으로 이 어린이들한테 선적해서 보내준다는 건 불가능하고 비효율적이라고 말을 한다.
“물론 모든 사람이 ‘no, no, no’ 라고 하겠죠. 아직도 서점이 좋고 도서관에 가서 책 냄새를 맡는 게 좋다고 하면서…그렇지만, 그들이 그렇게 이 변화의 물결을 부인하고 있는 바로 지금 변화는 진행되고 있습니다. 10년 후가 아닙니다. 바로 5년 후에는 ebook이 대세가 될 것입니다.”

TechCrunch의 편집자들 또한 매우 충격적인 예언을 한다. 앞으로 5년 후에는 동네의 작은 서점은 모두 문을 닫을 것이며, Barnes & Noble이나 Borders와 같은 대형 서점은 8년 후에 모두 문을 닫을 것이라고 한다. 더욱더 재미있는 사실은 2020년이 되면 모든 물리적인 도서관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 그때가 되면 CD나 레코드판이 우리의 기억 저편에 위치한 까마득한 추억이 된 것처럼, 종이책들은 박물관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유물이 될 것이라고 한다.
TechCrunch에서 인터뷰한 이미 ebook을 출판하고 있는 많은 작가는 ebook에 대해 좋지 않은 의견들과 불평들은 다 근거가 없다고 한다. 종이 책들이 냄새가 더 좋고, 이쁘고…그리고 ebook을 읽으면 눈이 나빠진다니 하는 이 모든 게 사실무근이라고 한다. 이런 말들을 하는 사람들은 애초에 책을 많이 사지 않는 사람들이며, 이미 지금 시중에서 구매 가능한 책 중 10%가 ebook이라고 한다.

버클리 대학교 주변에서 꽤 크고 성공적인 동네 책방을 운영하던 – 2008년도에 Barnes & Noble 때문에 결국 책방을 닫았던 – Andy Ross씨의 말을 빌리자면, “요새 출판업계에서 매일매일 들리는 말은 ebook밖에 없습니다. 저는 음악 산업과 비슷한 그림이 그려질 거 같아요. ebook이 표준이 될 날이 곧 올 것이며, 구텐버그의 500년 종이 역사는 그때 끝날 겁니다.” 그는 한 단계 더 나아가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종이책과 물리적인 서점의 장래는 매우 어둡습니다. 동네 책방은 말할 것도 없고, 대형 서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e-Reading
그런데 정말로 이런 예언들이 맞는 것일까? 물론, 음반 시장이 지금까지 걸어왔던 순탄치 않은 길을 하나씩 짚어보면 우리가 생각하는 거 보다 더 빨리 ebook이 메인스트림이 될 수 있을 거 같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확신이 서지 않는다. 책이라는 게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도구이기도 하지만, 소장가치 면에서도 정신적으로 큰 기쁨을 주는 물건이 아닌가? 이제 더이상 책으로 가득 찬 서재를 친구들과 가족들한테 자랑하면서 보여주지 못한다는 게 얼마나 우울한 상상인가? 그 대신 아이패드의 전자도서관을 보여줘야 하는 것일까? 이 힘들고 복잡한 질문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e-reading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자.

최근에 1,200명의 ebook 기기 사용자들을 (Amazon의 Kindle, Apple의 iPad 그리고 Sony의 Reader의 사용자)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그중 40%가 종이책만 읽을 때보다 ebook 기기를 가지면 독서를 더 많이 한다고 한 적이 있다. 올해 9월 말까지 약 1,100만 명의 미국인들이 ebook 기기를 소유할 것이라고 Forrester Research에서 예측하고 있으며, 작년 대비 올해 상반기에 미국에서의 ebook 매출은 약 183%나 성장하였다. 이미 아마존에서는 전자책 판매가 물리적인 책의 판매를 뛰어넘었다는 발표를 한 적이 있으며, Kindle을 구매한 고객들은 그전보다 3.3배나 많은 양의 책을 구매한다는 수치를 공식적으로 집계한 적이 있다.
매우 놀라운 숫자들이지만, 과연 Kindle과 iPad와 같은 기기들의 신선도가 떨어진 다음에도 e-reading이 이러한 성장을 해서 대중의 삶 속으로 파고 들어갈 수 있을지는 현재 미지수이다. 하지만, 항상 휴대할 수 있다는 – 물리적인 책이 도저히 따라올 수 없는 – 큰 차이점을 생각한다면 나는 개인적으로 e-reading이 대세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현재 내 iPad에 30권 정도의 책을 소유하고 있는데 비행기를 탈 때 30권의 종이책을 들고 탈 수는 없다.

또한, 전통적인 인쇄 기계에 의존하는 종이책과는 달리 최첨단 기술의 지원을 받는 ebook은 단순히 글을 읽고 이해하는 수동적인 독서에 뭔가 다른 차원의 interactivity를 가미한다. 아동 독서 작가인 Lynley Dodd씨는 “Hairy Maclary”라는 시리즈물에서 한 권의 책을 iPad App으로 만들어서 팔고 있다. 이 앱을 사용하면 부모님이나 애들이 책을 직접 읽는 걸 녹음할 수가 있고, 책을 보면서 동화책의 삽화를 직접 색칠할 수도 있다. ebook 기기는 또한, 두 손이 아닌 한 손으로 책장을 넘길 수 있으며, 아이패드와 같은 기기는 손가락으로 글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침대에서 불을 끈 상태에서도 기기의 백라이트를 이용해서 어둠 속에서도 독서가 가능하며 책을 구매하기 전에 무료 샘플을 다운받아서 읽을 수 있는 전통적인 종이책이 제공하지 못하는 장점들이 있다.

물론, 그렇다고 종이책만의 장점이 없다는 말은 아니다. DRM과 보안 기술 때문에 우리는 좋은 책들을 친구와 가족들과 같이 나누어볼 수 있는 미덕을 ebook을 통해서는 누릴 수가 없다. 또한, 비행기 이/착륙하는 기간에는 모든 전자기기를 꺼야 하기 때문에 옆에 앉은 할아버지가 종이책을 읽을 수 있는 동안에 독서의 즐거움을 당분간 접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 Wall Street Journal에서 제시하는 e-reading 관련 재미있는 숫자들을 몇개 소개한다:

  • 지난 1년동안 ebook 기기 소유자들의 51%가 그 전보다 전자책을 더 많이 구매함 (종이책은 9%)
  • ebook 기기로 한달에 읽는 독서량은 2.6권 (종이책은 1.9권)
  • 2008년 대비 2009년도 미국 종이책 판매량은 1.8% 감소
  • 2009년 미국에서의 ebook 판매량은 176% 증가
  • ebook 기기 소유자들의 51%가 매일 ebook 기기로 독서를 함
  • ebook 기기 소유자들의 86%가 일주일에 한번 이상 ebook 기기로 독서를 함

Books vs. E-Books
그러면 일반적인 종이책과 전자책을 조금 더 자세히 항목당 한 번 비교해보자:
1. 생산비용 – $4.05 ($26짜리 종이책) vs. $0.50 ($9.99 전자책 다운로드)
2. 작가한테 떨어지는 원고료 – $3.90 (종이책 한 권당) vs. $2.12 (다운로드 한 건당)
3. 무게 (같은 책 기준) – 1kg 종이책 vs. 0.01kg 킨들 ebook 기기
4. 탄소 배출량 – 50권의 종이책을 만드는데 필요한 탄소 배출량과 1개의 ebook 기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탄소 배출량이 동일 (아직은 종이책이 조금 더 green 한 선택)
5. 2009년도 매출 – $2억5천만 (종이책) vs. $2,900만 (ebook 다운로드)
6. Jane Austen의 “Seven Novels” 가격 – $12.99 (종이책) vs. 공짜 (Kindle Version)

500년 동안 존재하던 종이책과 이제 갓 시작하는 전자책을 이렇게 개별로 비교하는 게 조금은 억지스러운 면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서로 장단점이 존재하는 거 같다. 물리적인 종이책을 손에 쥐는 뿌듯함과 진열대에 배치된 책을 보는 것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건 ebook을 통해서는 절대로 느낄 수 없는 정신적인 즐거움이며, 소중한 친구들과 좋은 책을 서로 빌려보는 공유의 미덕 또한 종이책으로만 경험할 수 있는 색다른 재미이다. 하지만, ebook의 상대적인 저렴함, 휴대성 그리고 날이 갈수록 발달하는 전자책 관련 기술들 또한 ebook을 우리가 무시하면 안 되는 중요한 요인들이다.

The Future of eBooks
그러면 ebook의 미래에 대한 내 생각은? 음…솔직히 출판업의 “출”과 “판” 자도 모르는 내가 감히 이런 예측을 하는 게 조금 우습지만, 지금까지 내가 꼼꼼하게 읽고 느낀 점들을 종합해서 몇 마디 할 수 있다면 나도 ebook에 큰 한 표를 던질 수밖에 없다. 1998년도에 대박 히트한 Meg Ryan 주연 “You’ve Got Mail” 이라는 영화에서 맥 라이언이 운영하는 작은 책방이 대형 체인 서점과의 경쟁에서 밀리는 걸 우리는 목격했다. 1980년대에 큰 성장과 수익을 누릴 수 있었던 이러한 대형 서점들은 불과 10년도 채 되지 못해서 Amazon과 같은 인터넷 책방으로부터 시장을 빼앗기기 시작하였으며, 700개 이상의 물리적인 서점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서점 체인인 Barnes & Noble은 8월 초에 시장에 매물로 나와서 모두를 깜짝 놀라게 했다. 참고로, Barnes & Noble은 현재 아주 추잡한 적대적 인수의 싸움에 휘말려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깜짝 놀랐던 게 700개 이상의 건물에서 책 장사를 하는 Barnes & Noble의 시가총액이 1조 3천억 원밖에 안된다는 거였다. 참고로, Amazon의 시가총액은 무려 70조 원이다.

또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126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Oxford Dictionary를 이제 더 종이책으로 만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며칠 전에 Oxford University Press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연간 $295를 내면 온라인 사전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비해서 옥스포드 사전을 책으로 마련하면 20권짜리 사전이 무려 $1,165이라고 한다. 1989년도에 출판된 버전은 21년 동안 30,000권밖에 팔리지 않았지만, 옥스포드 사전 온라인 서비스는 매달 2백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고 하니 그럴 만도 하다.

세계 최대의 서점이 되어버린 Amazon에서 3년 전에 Kindle을 출시하였는데 3년 만에 이미 종이책보다 더 많은 수의 Kindle 버전의 전자책을 판다고 Jeff Bezos가 발표한 적이 있으며, 올해 안으로 종이책보다 Kindle용 ebook을 더 많이 팔 것이라는 예측을 그는 공식적으로 하였다. 여기에 6개월도 안 되어서 이미 3백만 개가 넘게 팔린 Apple의 iPad와 Google이 곧 출시할 eBook Store를 고려해보면 구텐버그가 지하에서 대성통곡할 만도 하다. 확실히 출판업계에도 기술이 미치는 지대한 영향으로 인해서 큰 지각 변동이 예상되며, 이 바닥에서는 피튀기는 싸움이 벌어지겠지만 모든 게 그렇듯이 이러한 싸움의 최대 수혜자는 바로 우리 소비자들이다. 더 저렴한 가격에 책을 구매할 수 있고, 굳이 차를 몰고 책방에 가지 않고 그냥 원 클릭으로 구매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는 혜택을 우리는 이미 누리고 있다. Kindle보다 역사는 짧지만 나도 얼마 전에 산 애플의 iPad는 e-reading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바로 컬러 독서를 가능케 하고 있다.

앞서 말한 Barnes & Noble과 아마존의 시가총액: 1조3천억원 vs. 70조원 – 바로 기술을 이용한 유통의 경제성과 ebook이 지배할 세상에서의 종이책의 암담한 미래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숫자들이다. 책 장사를 하시는 분들이 보면 말도 안 된다고 하시겠지만, 객관적인 data를 그렇게 부인할 수도 없을 것이다. 과연 ebook의 시대가 올까 말까는 논의조차 하지 말자. 그건 기정사실이다. 이미 그 혁명은 시작되었다. 우리가 진짜로 물어보고 출판업자들이 걱정해야 하는 건 과연 언제일까이다. 5년 후, 10년 후 아니면 1년 후?

아직도 이건 말도 안 된다고 고개를 갸우뚱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미국 레코드 공업협회에서 따온 자료를 소개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음악 시장인 미국의 경우, 현재 디지털 음악의 매출은 전체 미국 음악 시장의 40%를 차지한다. 0%에서 40%까지 되는데 소요된 기간은 단지 8년이었다.”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중국 vs. 구글 – 현재 스코어 2대1

중국인, 중국놈, 짱깨
나는 인종차별 주의자가 아니다. 내 친구들 중에는 당연히 한국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속마음을 편하게 털어놓고 술한잔 하면서 꼬장부릴 수 있는 외국인들도 상당히 많이 있다. 그런데 유독 나는 중국인들을 (짱깨들)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왜 그런지 잘 모르겠지만 (인종차별하는건 절대 아니다), 중국에서 태어난 중국인들도 그렇고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인들도 마찬가지로 그다지 정이 잘 안간다. 그래서 그런지 유독 중국인 친구들이 내 주위에는 그다지 많지는 않다. 참고로, 그다지 많지 않다는거랑 아예 없다는거랑은 완전히 다르다 – 스탠포드에서 내 룸메이트였던 중국인 친구 Bon은 내 부랄친구들만큼 나랑 각별한 사이이며, 작년 겨울에 Bon 결혼식 참석하려고 우리 부부는 대만까지 날라갔다왔다.
하지만, “중국인들”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그다지 좋지않아서일까…사기꾼들, 더러운놈들, 인간이 할 수 없고 하면 안될 일들을 밥먹듯이 하는 놈들…뭐 나한테는 중국인들이 이런 이미지로 밖에 다가오지 않는다. 내가 중국을 싫어하던 말던, 중국은 명실상부한 세계 최대의 시장이다. 물론, 아직 그 가능성이 100% 실현되지는 않았고 언제 현실화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느려터진 중국인들이 요새 매우 빨리 움직이고 있고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의 시장이될 날이 얼마 남지 않은거 같다. 하지만 아직도 중국에서 비즈니스를 상식적으로 하는건 매우 어렵다고 중국에서의 경험이 많은 주위분들은 말을 한다.

실리콘 밸리의 darling인 구글이 요새 중국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떠오르는 아시아의 슈퍼파워인 중국과 직접 한판 떠보자고 맞장을 뜬 기업은 아마도 구글이 최초일것이다. 겉으로 봐서는 censorship과 관련된 대국과 대기업의 자존심 싸움이지만, 그 내면에는 겉으로 봐서는 이해하지 못할 중국인들의 문화와 사고방식이 복합적으로 작용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사업과 관련된 에피소드는 아니지만, 여기 전직 기자출신의 미국인 저자 Warren Kozak씨가 80년대 중국에서 특파원 생활을 하면서 경험하였던 재미있는 일화를 소개한다:

1985년 여름이었습니다. 제가 살고 있던 동네 벽과 전봇대에 “친선 수영 대회” 관련 내용의 벽지들이 하나씩 붙기 시작했죠. 그당시 저는 다른 외국인 특파원들과는 달리 일부러 외국인 동네가 아니라 중국인들만 사는 동네에서 살고 있었지만, 중국 이웃들과 친해지고 어울리는게 쉽지 않았습니다. 밖에서 중국인들을 만나면 눈웃음과 “안녕”이라는 말을 하지만서도 직접 교류할 기회가 없다는게 저와 같이 외향적인 미국인으로써는 항상 안타까웠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수영 대회를 통해서 제 중국 이웃들과 친해져야겠다는 생각으로 “친선 수영 대회” 중 3종목이나 참가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저는 운동을 그다지 즐기거나 잘 하는편은 아니었지만, 고등학교때 수영팀의 멤버로써 수영을 즐겼기 때문에 대회에서 우승은 못해도 쪽팔림을 당하지는 않을거라는 생각으로 시합에 임하였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제가 참가한 3 종목 모두 제가 우승을 하였습니다. 상금이나 상품이 대단하지는 않았지만, 받은 상품을 모두 중국인 친구들과 이웃들에게 다시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런데 그 이후로 뭔가 조금 이상한 느낌을 받기 시작하였습니다 – 중국에 꽤 오래 살았는데 이런걸 처음부터 간과하였던 제가 바보였죠. 하루는 직장 동료랑 길을 걸어가고 있는데 잘 모르는 중국인이 저를 손가락으로 가르키면서 “yo yung”이라는 말을 하더라구요. 친구한테 물어보니까 중국어로 “수영선수”라는 뜻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시합 우승 이후로 우리 동네 모든 사람들이 저를 “수영선수”라고 부르는걸 저만 모르고 있었던거였습니다. 솔직히 저는 수영대회와 관련된 일들을 이미 다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그 말을 듣고 웃으면서 제 동료한테 2주 전에 제가 수영대회에 나가서 3종목에서 우승을 해서 그럴거다라고 설명을 하였습니다.
몇일후에 제 중국인 동료가 저한테 다가오더니 제가 다른 수영 대회에 초청을 받았다고 알려줬습니다. 이번 수영대회는 누구나 다 참가할 수 있는 open 대회가 아니라 초청을 받아야지만 참가할 수 있는 대회라서 저는 솔직히 매우 감사하게 이 대회 초청을 기꺼이 수락하였습니다. 대회 당일은 매우 더운 날이었는데 제가 아무리 기다려도 제 이름을 부르지 않았습니다. 땡볕에서 제 이름이 불릴때까지 기다리다 지쳐있는데 드디어 제 이름을 불러서 출발선에 다른 중국 선수들과 나란히 섰습니다. 참고로, 저는 그 대회에 참가한 유일한 외국인이었습니다. 시작을 알리는 총소리가 들리자마자 저는 제 레인으로 다이빙을 했는데 물속에 들어가자마자 이번 대회는 좀 힘들겠구나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정말 최선을 다해서 수영을 하였지만, 나머지 선수들이 너무 빨랐고 결국 저는 꼴찌로 대회를 끝냈습니다. 이 시합을 지켜봤던 제 미국인 동료는 마치 프로 수영 선수 대회에 아마추어 양놈 한명이 물장구를 치는거 같았다고 하였습니다. 피곤한 몸뚱아리를 간신히 물밖으로 꺼냈을때 어떤 중국인이 저한테 다가오더니 씩 웃으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당신 수영 굉장히 잘했어. 그런데 다른 선수들은 더 잘하더라구.”
사태 파악을 하는데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이번 수영대회는 가짜였고, 중국인들이 짜고친 고스톱 판에 제가 걸려들었던 거죠. 2주 전에 3종목을 우승하면서 저는 외국인으로써 중국인들한테 일종의 건방진 도정장을 던진것이었고, 중국인들은 이런 저를 응징한거였습니다.
저는 25년이 지난 지금도 이 일을 생각하면 웃음이 납니다. 과연 미국인이라면 외국인한테 본때를 보여주기 위해서 일부러 이렇게 가짜 수영대회까지 만들어가면서 오바하였을까하고…

구글 vs. 중국
이런 작은 동네에서 벌어진 일들조차 중국 당원이 예의주시하고 있고 그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였다면, 중국의 모든 이메일과 웹서핑 활동이 중국 정부의 감시를 받는다는게 상상이 간다. 이런 말도 안되는 나라를 상대로 지금 구글이 하고 있는 일련의 행동들은 매우 용감하다고 생각된다. 어떻게 보면 구글 정도 되니까 이렇게 중국을 대상으로 맞설 수 있겠지만, 그래도 여러모로 봤을때 존경스럽고 칭찬할만하다.

지금까지 구글 vs. 중국간에 있었던 일들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998 – 구글 창업
2000 – Google.com의 중국어 버전을 운영/제공하기 시작
2002 가을 – Google.com이 일시적으로 중국에서 접속 불능. 2주 후에 정상으로 복귀
2006 1월 – 외부의 거친 비난속에 Google.cn 서비스 시작. 중국어 서비스를 운영하는대가로 구글은 중국 당국이 제한하는 몇몇 웹사이트들을 막음. Google.com 중국어 버전은 필터링없이 계속 운영
2006 6월 – Google.com이 중국에서 접속 불능. Google.cn은 정상적으로 작동
2007 9월 – 베이징으로부터 Google.cn이 공식적인 사업 라이센스를 받아서 운영됨
2008 12월 – 중국 최대의 검색 엔진인 Baidu를 대상으로 베이징은 미디어 마녀 사냥을 강화. 중국 당국은 구글을 포함한 많은 검색 엔진들이 불법 의료원 웹사이트들의 광고를 호스팅한다고 거세게 비판
2009 1월 – 구글의 검색 결과에 포르노그래피가 필터링 없이 그대로 보여진다고 중국 정부가 구글을 비난
2009 6월 – 중국 정부는 구글 검색 결과의 포르노그래피 컨텐츠와 관련 구글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킴
2010년 1월 – 구글은 중국 서비스의 검열을 중단하고 중국 시장에서 철수할 준비가 되었다고 발표
2010년 3월 – 구글은 중국 서비스의 검색 결과가 검열되는 기능을 제거하였다고 발표. Google.cn의 검색 query는 이제 Hong Kong에 있는 서버로 redirect 됨
2010년 6월 – 베이징은 6월말까지 Google.cn을 완전히 닫아버리겠다고 협박

위의 timeline 중 가장 주목할만한 사건들은 2010년 3월말에 발생하였다. 3월30일 새벽 5시부터 구글의 중국 서비스가 먹통이라는 내용의 글들이 인터넷에 올라오기 시작하였다. 이미 구글은 중국 정부의 독재에 대항하여 Google.cn의 모든 검색 query를 홍콩 사이트인 Google.com.hk로 redirect하고 있었는데, 바로 이 홍콩 서비스까지도 먹통이 되었다는 보고들이 계속 올라오고 있었으며, 심지어는 Google.com의 중국서 서비스마저 잘 안된다는 중국 네티즌들의 불평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같은날 오후 12시반 정도에 구글의 PR 팀은 문제를 파악하였으며, 구글의 내부적인 문제라고 발표하였다. 구글의 검색 결과의 URL에 실수로 텍스트를 몇개 더 추가하는 버그때문에 실수로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하였으며, 이 문제점에 대해서 조금 더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기까지 하였다. 웹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당연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겠구나 모두가 그러려니 하고 생각하였으며, 곧 이 문제가 해결되겠지하고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4시간도 채 되지 않아서 구글은 이 발표를 번복하였고, 중국의 “Great Firewall”한테 이번 문제의 책임을 돌렸다. 즉, 그간 구글의 중국에서의 행동이 상당히 맘에 들지 않았던 중국 정부가 본때를 보여주기 위해서 구글의 중국 서비스를 막아버렸다는 주장이었다.
이러한 구글의 입장에 대해서 중국 정보통신부 대변인 Wang Lijian씨는 중국 정부는 구글의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전혀 아는바가 없다는 말만 하고 일체 그 이상의 어떠한 설명도 제공하지 않았다. 그리고 구글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중국에서 완전히 철수하는걸 아주 심각하게 고려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면서 전세계는 제1차 인터넷대전이 과연 언제 시작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켜보기 시작하였다.

세르게이 브린 (Sergey Brin) vs. 중국
그동안 잘 참고 있던 구글이 갑자기 왜 이렇게 과격한 결론을 내렸는지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구글의 아버지 중 한명인 Sergey Brin을 잘 이해해야한다. 소련 태생으로 소련에서 유년을 보낸 세르게이는 언론의 압박과 검열이 얼마나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박탈하는지를 몸소 경험하면서 어린시절을 보냈다. 세르게이의 가족은 그가 6살이되던 1979년도에 자유를 찾아서 미국으로 이민을 왔다. 지금도 가끔 그의 가족은 그들이 왜 조국을 버리고 미국으로 이민왔는지 그당시 기억을 떠올리면서 이야기를 하곤한다. 세르게이의 아버지는 우주물리학자가 되고 싶었지만 소련 당국의 압박으로 인해서 수학자의 길을 걸었고, 이러한 그의 가족들을 소련 경찰들은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가택수색을 하였다고 한다. 그가 미국으로 오지않고 계속 소련에 남아있었더라면 오늘날의 구글이 과연 탄생할 수 있었을까 지금도 가끔 스스로에게 자문을 한다고 그는 말을한다. Entrepreneurship이라는 단어 조차 낯설은 소련에서는 불가능했을것이다.
이런 그였기에 개방형 플랫폼인 인터넷의 검색 결과를 검열하고 제한하는 중국의 정책을 그는 처음부터 못 마땅하게 여겼던것이 너무나 당연한것이다. 실은 세르게이는 4년전 구글이 중국 정부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서 검색 결과를 검열하면서까지 중국 서비스를 시작한거를 서비스 launch 당일날까지 반대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그의 마음을 바꾸게 하였던것이 바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었다. 중국 정부는 베이징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많은 인터넷 정책을 비즈니스하기 좋은 방향으로 수정하였으며, 그 결과로 인하여 구글의 검색 결과 검열 수준도 점차 낮아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도 올림픽을 위한 눈가리고 아옹정책이었을까…올림픽이 끝나자마자 중국 정부는 전보다 훨씬 강도높게 인터넷 검색 결과를 검열하기 시작하였고 구글의 사소한 정책 하나하나에 대해서 사사건건 제동을 걸기 시작였다.

세르게이 브린은 그때 마음속으로 결심을 하였다. “Don’t be Evil”은 그냥 글로만 존재하는 구글의 모토가 아니었다. 바로 세르게이와 래리가 직접 만들었던 구글의 사훈이자 모든 직원들이 마음속으로 지켜야하는 원칙이며, 더 이상 중국이라는 Evil한테 휘둘리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였다.
“중국은 근래에 눈부신 발전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검열과 관련된 정책에서는 독재주위의 냄새가 진동을 하고 개인적으로 이러한 사실들이 상당히 불쾌합니다. 그동안 구글은 중국의 인터넷 비즈니스의 발전과 중국의 네티즌들을 위해서 많은것을 희생하면서 중국 정부의 요구에 응하였지만 이제는 누군가는 중국의 독재에 제제를 가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그는 이번 사태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

자본주의의 승리
자, 여기까지의 일련 사태들을 보면서 나는 정말 구글이 뱃짱이 두둑하고 어쩌면 정말로 중국에서 완전히 철수를 할 수도 있을거 같다는 생각을 잠깐 한적이 있다. 과연 구글이 중국에서 철수하게 되면 다른 IT/비 IT 기업들의 반응이 어떨까? 미국과 중국의 관계는? 그리고 4억명의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은?
BUT (and this is a big BUT), 아무리 구글이 “Don’t be Evil”을 외치고 세르게이 브린이 “저는 중국 정부가 싫어요”라고 외쳐도 자본주의는 항상 승리하기 마련이다. 2010년 6월 29일, 구글의 법무팀을 이끄는 David Drummond는 구글의 “새로운 중국 전략”을 발표하였다. 주 내용은 Google.cn에서 Google.com.hk로의 redirect를 멈추고 구글의 중국 서비스를 재개하겠다는것과 검열된 검색 결과를 보여주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홍콩 구글 사이트의 검열되지 않은 검색 결과의 링크만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머리는 잘 썼다 – 검색 결과를 검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계속 고수하면서도 모든 검색 query를 홍콩 서버로 redirect하는건 중단한것이다. 왜 그랬을까? 안그러면 중국에서 Google.cn의 비즈니스 라이센스를 갱신하지 않을것이고, 그렇게 되면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에서 구글은 철수를 해야할것이니까.

한마디로 정리하면 중국이 시키는대로 하겠다는 매우 실망스러운 발표였다. 솔직히 어느정도 예상은 했던것이다. 끈임없이 이윤을 만들어야 하는 회사가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에서 비즈니스를 안하겠다는건 정말 멍청하고 논리적으로 말이 안되는 말이니. 내가 구글의 사장이라도 당연히 이렇게 했을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는 이 씁쓸하고 허전한 기분은 무엇일까…구글과 중국의 싸움은 비즈니스적으로 right or wrong 보다는 도덕적으로 right or wrong의 성격이 강하였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나 GE같은 회사들도 힐끔힐끔 눈치만 보는 중국 정부의 면상에 갖다대고 “FUCK YOU”라고 말한 구글을 통해서 그간 솔직히 대리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역시 돈앞에는 장사없고 자본주의는 항상 승리한다는 사실이 조금은 슬프고 실망스러운 그런 밤이다.

All Things Digital – James Cameron편

James Cameron, Director/Writer/Producer – The Director’s Cut
제임스 카메론은 세계 영화 역사상 가장 큰 성공을 거둔 “타이타닉,” “터미네이터,” “에일리언” 그리고 3D 영화를 전세계적으로 유행시키고 공식적으로 상용화시킨 “아바타”의 감독이자, 작가 그리고 제작자이다. 할리우드 영화 산업에서 그를 모르는 사람은 없으며, 죽기전에 단한번만이라도 카메론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영화에 잠깐이라도 출연하기 위해서라면 왠만한 배우들은 무슨 짓이라도 할 준비가 되어 있을것이다. 그는 또한 보수적이고 깐깐한 영화산업의 속성을 깨고 첨단 기술을 영화 제작에 두려움 없이 접목하고 적용하는걸로 유명한 visionary이다. 그의 이러한 노력과 재능은 작년에 전세계 극장가를 강타하였던 Avatar의 컴퓨터 제작 이미지와 3차원 기술을 탄생시켰다.
All Things Digital conference에서 그는 Wall Street Journal의 Walt Mossberg와 Kara Swisher와 현재 제작중인 “타이타닉” 3D와 핸드폰으로 영화를 볼 수 있는 새로운 세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였다. 여기 그 중 몇가지 재미있고 의미있는 내용을 간추려서 소개한다.

Swisher: 당신이 만든 영화들은 모두 대히트를 쳤다. 당신은 물론 명감독으로써 할리우드의 사랑을 받고 있지만, 첨단 기술을 발굴하여 영화산업에 접목시키는걸로도 유명하다. 이러한 기술과의 사랑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Cameron: 제가 처음에 영화 커리어를 특수효과분야에서 시작하였습니다. 아마도 1980년도 였죠…좌/우 뇌를 적절하게 잘 사용해야하는 job이었습니다. 예술적인 감성이 필요한만큼 그에 맞는 visual한 능력이 있어야하는데 이 두가지 다른 프로세스를 잘 접목시키는게 관건이었죠.
Mossberg: 최근에 영화산업에는 훨씬 더 복잡하고 세련된 3D 기술이 등장하였습니다. “아바타”같은 영화를 3D로 보지 않고도 그 영화를 100%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Cameron: 물론입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아바타의 98%는 3D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내용들입니다. 영화의 핵심은 배우의 자질, 스토리라인, 세팅 디자인, 캐릭터 제작, 색채 선택과 음악 선정 등입니다. 3D는 아바타를 보기 위한 필수조건이 아니라 더욱 더 생동감있고 풍부한 viewing을 경험하기 위한 하나의 부가가치적인 요소일 뿐입니다.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거는 영화의 내용과 스토리이지 이 영화가 3D냐 2D냐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Mossberg: 그러면 앞으로는 반드시 3D로만 봐야하는 영화라는 새로운 분야가 생길까요?
Cameron: 저도 잘 모르겠지만 재미있는 실험이 될수도 있을거 같네요. 하지만 “3D로만 봐야하는 영화”라는 말 자체가 영화인으로써는 실패한거라고 생각합니다. 영화의 장점은 화면의 크기와 기기에 상관없이 확장 (scale)이 가능하다는 점인거 같거든요. 아이맥스 스크린에서 보는 영화나 iPhone 화면을 통해서 보는 영화나 그 스토리는 똑같이 재미가 있어야 합니다. 단지 보는 방법에 차이가 있는거지 영화의 quality나 근본적인 내용은 동일해야합니다 – 똑같은 스토리, 똑같은 캐릭터, 똑같은 배우들. 3D는 그냥 영화를 즐길 수 있는 premium 옵션으로써 존재하는게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Swisher: 갑자기 3D의 봇물이 터지고 있습니다. 왜 이렇게 갑자기 그리고 빠르게 3D가 유행하는거죠?
Cameron: 간단한 시장의 법칙이죠. 수요와 공급에 밸런스가 생긴거죠. 모든 사람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3D 기술이 이제 가능하다는걸 할리우드 관계자들이 알게되었고, 3D 영화 상영이 가능한 극장들이 충분히 생기고 컨텐츠 (3D 영화)가 확보되자 모두다 3D를 단순한 애들 장난이 아니라 serious한 business로 간주하게 된겁니다.
Mossberg: “타이타닉” 영화를 3D로 제작하실 계획이 있나요?
Cameron: 계획만 있는게 아니라 현재 제작 중입니다. 2012년 봄이 바로 타이타닉호 침몰 100주년인데 그 시점에 맞추어서 현재 3D로 열심히 제작 중입니다.
Swisher: 할리우드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해보죠.
Cameron: 할리우드는 매우 보수적이고 변화에 민감하지 못했던 시기가 있었죠. 하지만, 이제는 상황이 많이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실리콘 밸리 못지 않게 할리우드도 기술의 발전을 예의주시하면서 좋은 기술을 많이 접목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시험삼아서 신기술을 적용하는거랑 신기술을 적용해서 돈을 벌 수 있는 비즈니스를 만드는거는 다르기 때문에 여기에서 신중함과 현명함이 많이 요구되는거 같습니다.
Mossberg: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이 영화나 TV쇼를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기기를 통해서 볼 수 있어야 한다고 믿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Cameron: 네, 맞습니다. 특히 요새는 더욱 더 그렇죠. 그렇지만 실제로 영화를 만드는데 수천억원의 돈을 투자한 사람들은 그런 생각을 안하죠.
Mossberg: 영화를 만드는데 수천억원의 돈을 투자한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하게 하려면 어떻게하면 되나요? 돈만 내고 본다면 영화를 꼭 극장이 아니라 PC나 iPad와 같은 기기를 통해서 보는건 괜찮은 방법이 아닌가요?
Cameron: 네, 상관없습니다. 저도 항상 “나는 iPhone이 아니라 극장상영을 위한 영화를 제작한다”라고 말하고 다니지만 솔직히 영화의 내용만 좋다면 그 어떤 기기에서 봐도 똑같은 경험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죠. 물론 더 큰 화면에서 보면 더욱 더 쾌적하고 강함 경험을 할 수 있는건 사실입니다.
Mossberg: 그렇다면 당신은 평상시 보통 어떻게 영화나 쇼를 즐기나요? TV는 많이 보시나요? 인터넷을 통해서 streaming은 하시나요? 그렇다면 어떤 기기를 사용하시나요?
Cameron: 왠만한건 다 사용합니다. 노트북, 데스크탑에서 스트리밍을 하고 LCD 화면 (TV)으로도 많이 보구요. 물론, 제 직업이 영화만드는거다보니 저희 집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TV가 있습니다. 스크리닝 방도 있구요.
Mossberg: iPhone이나 iPad에서 영화를 본적은 있나요?
Cameron: iPad에서는 봅니다. iPhone은 조금 작아서요. 아마도 뉴스나, 스포츠와 같은건 아이폰으로 봐도 상관없겠지만 영화는 그래도 조금은 더 큰 화면으로 보는걸 선호합니다. 영화를 본다는건 글쎄요…매우 독특하고 개인적인 경험이기 때문에 저는 큰 화면을 선호합니다.

James Cameron – 그는 돈, 부패, 사치와 허영이 난무한 할리우드에서조차 그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신과 같은 존재이다. 작년에 극장에서 “아바타”를 보고 한동안 말문이 막혔던게 기억나는데 어떻게 하면 영화를 이렇게 잘 만들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영화를 보면서 스스로에게 여러번 질문 하였다. 그런데 이건 단지 시작일뿐이었다. 그 다음 주말에 난 아바타를 다시 한번 3D로 아이맥스 스크린에서 봤다.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엄청난 감동을 받았고 할리우드 영화 산업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었던 (좋은 쪽으로)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카메론 감독은 아바타의 총 제작예산을 공식적으로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영화산업 관계자들은 아바타 제작 총 비용을 2억3천7백만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아바타는 2009년 12월 10일 런던의 시사회를 시작으로 일주일 뒤에 전세계에 동시개봉이 되었다. 아바타는 수많은 박스 오피스 기록을 세우면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번 영화가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그전까지 1위였던 영화는 카메론 감독이 제작한 “타이타닉” 이라는 점도 참 재미있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이미 2개의 아바타 후속편을 제작할거라고 공식석상에서 발표한 적이 있으니 매우 기대가 되는 소식이다.

나는 영화와 엔터테인먼트의 메카인 할리우드가 있는 LA에 산다. 그리고 내 주변에는 영화산업에서 일하고 있는 친구들과 지인들도 꽤 있지만, 영화와 영화 제작은 나에게 있어서는 항상 신비한 직업이자 프로세스이다. 하나의 대작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과 돈, 그리고 무수한 사람들을 적시 적소에 배치해서 그들의 표정과 움직임을 카메라에 담아서 2시간 ~ 3시간짜리 영화를 만드는 작업은 나같이 creativity가 떨어지는 사람한테는 mission impossible과도 같다. 허접한 영화 하나 만드는것도 그렇게 힘들다고 하는데 아바타와 같은 대작을 만든 카메론 감독은 나한테는 존경심은 당연하고 두려움까지 느끼게 하는 천재이자 우리 사회가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스티브 잡스, 마크 저커버그, 스티브 발머와 제임스 카메론과 같이 우리가 감히 상상할 수 없는 방향으로 세상을 re-shaping하는 사람들과 같은 하늘아래에서 같은 공기를 마시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사하면서 살아야한다는 생각을하면서 내년도 All Things Digital conference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내년에는 과연 세상이 어떻게 바뀌었을지…

All Things Digital – Mark Zuckerberg편

Mark Zuckerberg, CEO of Facebook – Getting Personal. But Too Personal?
2004년 하버드 대학 재학 시절, Mark Zuckerberg는 기숙사에서 Facebook 이라는 소셜네트워킹 서비스를 창업하였다. 6년만에 Facebook은 전세계 5억명의 유저들이 매일 활발하게 사용하는 거대한 서비스로 진화하였으며 현재 private 시장에서 대략 30조원이라는 어마어마한 밸류에이션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Facebook이 걸어온 길은 순탄하지만은 않다. 특히 최근에 privacy 정책때문에 도마위에 올라가 있는 Facebook과 어린 CEO Mark Zuckerberg를 WSJ의 Walt Mossberg와 Kara Swisher가 단독 인터뷰할 기회를 가졌다.

Mossberg: Facebook의 개념 자체가 폐쇄된 네트워크 – 싸이월드의 1촌 개념과 같이 친구가 아니면 상대방의 정보를 100% 접근할 수가 없다 – 라는건 저도 이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 개인 정보가 친구들한테 공개되는걸 잘 알고 있지만, 그래도 최근에 유저들이 느끼는점들은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여러가지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너무나 많은 개인정보가 Facebook 네트워크상에서 공유된다는 점인데 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Zuckerberg: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접속하는 서비스인만큼 개개인의 privacy는 우리한테 너무나 중요한 문제입니다. Facebook의 privacy에 대한 정책과 시스템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오해를 하고 있는거 같은데 제가 몇가지 예를 통해서 이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Facebook을 전세계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용도는 다양하지만 대부분 친구들 및 지인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지속적으로 연락을 하기 위해서 애용하고 있습니다. 가령, 휴가를 다녀와서 가족들과 찍은 사진들은 몇몇 아주 친한 친구들과 가족들이랑만 공유하고 싶다면 그렇게 할 수 있는 다양한 setting을 바꾸면 됩니다. 이런 경우는 그렇게 복잡하지 않습니다. 이미 나랑 친구맺기가 되어 있는 사람들과 사진을 공유하는거니까요. 그런데, 이와는 달리 아직 Facebook상에서 친구는 아니지만 나랑 관계가 있는 사람을 찾고싶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 회사 제품개발 담당자는 Chris Cox라는 사람입니다. 아마도 미국에만 Chris Cox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백만명 이상될거예요. 그런데 제가 Facebook에 들어와서 우리회사 동료인 Chris Cox를 찾으려면 – 친구가 이미 안되어 있는 상황에서 – 단순한 이름외에 뭔가 다른 정보가 공개되어야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가령, Facebook이라는 직장에서 일하고 있고, 고향은 어디이며 등등…즉, 이런 경우에는 Chris Cox도 자신의 지인들이 본인을 찾을 수 있도록 이러한 기본적인 정보는 기본적으로 공개를 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을겁니다.
아마도 이러한 사례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Facebook은 개인 신상 정보를 너무 많이 공개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런 주장은 전혀 근거가 없고 틀린 사실들입니다. 친구들과 지인들이랑만 공유해야하는 성격의 정보가 있는가하면, 조금은 더 open하게 모든 사람들한테 공개해야하는 성격의 정보가 존재한다고 저는 생각하며 Facebook은 바로 이런 기능들을 조금 더 사용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과 투자를 감행하고 있습니다. 창업 초기에는 우리는 유저의 행동 하나하나에 이러한 privacy setting을 적용하였는데 많은 사용자들이 이거는 너무 복잡하고 오바인거 같다는 피드백을 제공하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유저들이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모든 정보의 privacy setting을 손쉽게 수정할 수 있는 main setting을 만들었는데 아마도 이게 다시 도마위에 올라와 있는거 같네요.
Mossberg: “Social graph”라는 말의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요?
Zuckerberg: Social graph의 개념은 나 자신과 이 세상 다른 사람들간의 관계를 visual하게 표현해본 일종의 지도이자 도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러한 추상적인 관계가 도표로써 정량화가 된다면 Facebook 자체 서비스나 Face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 서비스를 통해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조금 더 재미있고 의미있게 제공할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Mossberg: 재미있는데, social graph를 가지고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Zuckerberg: 한가지 방법은 광고입니다. Social graph를 잘만 활용한다면 지금까지의 그 어떤 광고 서비스보다 개개인한테 특화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Social graph 상에서는 누구를 알고, 누구와 무엇을 하며, 본인과 친구들의 관심사가 무엇인지가 매우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으니까요. 가령 지금 우리가 스타벅스와 같이 진행하는 캠페인을 예로 든다면, 나만 스타벅스 커피를 좋아하는게 아니라 내 지인 중 누가 스타벅스를 좋아하는지 파악되기 때문에 내가 스타벅스의 광고를 본다면 나는 내 주위의 친구들 중 스타벅스를 좋아하는 사람들한테도 이 광고에 대해서 말을 할 확률이 매우 높아지죠.
Swisher: Facebook의 경쟁사는?
Zuckerberg: 세상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모바일쪽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1년 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플랫폼들이 새로 생기고 있습니다. 아마도 Facebook의 경쟁자는 지금까지 우리가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신흥업체가 될 확률이 높을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은 실체가 없는 경쟁자에 신경쓰는거보다는 우리는 우리가 지금 잘하고 있는 일들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Mark Zuckerberg – 그는 나보다 10년이나 어린 대단한 천재이다. 전문가들의 예상대로 올해나 내년에 Facebook이 나스닥에 상장을 한다면 그는 하룻밤 사이에 역대 최연소 억만장자가 될 것이다. 스티브 잡스와 마찬가지로 내 주위에는 Mark Zuckerberg와 친하게 지내는 사람들이 몇명 있다. 이들의 마크에 대한 평은 비즈니스적으로나 인간적으로나 매우 높은 점수를 주고 있다. David Kirkpatrick이 쓴 “The Facebook Effect”라는 책 – 아직 한국에서는 판매되지 않지만 곧 출간될거다. 나랑 친한 스탠포드 후배가 번역을 하였다 – 을 보면 Facebook과 Mark Zuckerberg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일화들과 이야기들로 재미있게 구성되어져 있는데 물론 책이라는게 어느정도 과장이 가미되어 있겠지만 그런점을 감안하고 읽어봐도 새파랗게 젊었던 (물론 아직도 새파랗게 젊다) 하버드 학부생이 어떤 과정과 어려움을 겪으면서 세계적인 기업의 CEO로써의 자질을 갖추면서 발전할 수 있었는지를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다. 우리가 보는 Facebook은 친구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social networking 서비스이지만, Mark가 보는 Facebook은 세상이 communicate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근간이자 ultimate destination 이다. 나보다 10살 어린 친구의 생각치고는 꽤 괜찮고 근사한 비전인거 같다.

참고로, Facebook의 성장과 함께 성장해온 private 시장에서의 밸류에이션은 다음과 같다:

2004년 6월: 1,000만 달러 – 외부 투자자들이 회사를 통째로 인수하겠다고 오퍼를 줌
2004년 가을:490만 달러 – Peter Thiel (The Founders Fund)이 회사 지분 10.2%에 50만 달러를 투자
2005년 3월: 7,500만 달러 – Viacom이 회사를 통째로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힘
2005년 4월: 9,800만 달러 – Accel Partners가 회사 지분 15%에 1,270만 달러 투자
2006년 4월: 5억5,000만 달러 – Greylock Partners가 275만 달러 투자
2006년 봄: 15억 달러 – Viacom이 8억달러 현금을 포함하여 회사를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힘
2006년 7월: 10억 달러 – 야후가 10억달러를 현금으로 주고 회사를 통째로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힘
2007년 10월: 150억 달러 – 마이크로소프트가 회사 지분 1.6%에 2억4천만 달러 투자
2008년 5월: 100억 달러 – Digital Sky Technologies가 회사 지분 1.96%에 2억 달러 투자
2010년 4월: 240억 달러 – Facebook의 주가가 private 시장에서 아주 급격하게 상승함

All Things Digital – Steve Jobs편

Wall Street Journal이 주최하는 tech관련 conference인 D:All Things Digital이 올해로 8살이 되었다. 올해는 LA 근교 태평양에 인접한 부촌이자 휴양지인 Rancho Palos Verdes에서 이 행사가 열렸었는데 지금까지 내가 경험하였던 그 어떤 conference보다 재미있는 주제들과 카리스마있는 스피커들로 구성되어서 눈, 귀와 머리가 참으로 즐거웠던 내용들로 알차게 구성되었던 행사였다고 생각한다. 특히 WSJ의 tech 컬럼니스트인 Walt Mossberg와 Kara Swisher가 현재 IT 업계를 lead하고 있는 회사들의 CEO들과 일대일로 진행한 인터뷰들은 현재 산업 동향에 대한 이해 및 미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주는 내용들이라고 생각되어서 여기서 시간날때 하나씩 공유하도록 하겠다.

올해의 큰 주제는 “변화”였다. 뭐, 변화라는 단어는 우리한테 생소하지는 않다. 어차피 우리는 매일, 매시, 매초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인생의 소용돌이속에서 혼란스럽게 살고 있으니까. 그렇지만, 최근 12개월 동안 IT 산업은 그동안 우리가 경험하지 못하였던 속도로 변신에 변화를 거듭하였으며 이 바닥에서 매일 숨쉬면서 살고 있는 나조차도 계속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하나씩 다 따라잡는게 벅찰 정도이다. Apple사의 Steve Jobs는 PC는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기기 (iPad와 같은)로 대체될것이라는 발언을 하였고, 이에 대해서 Microsoft의 Steve Ballmer는 할말이 꽤 많았다 ㅎㅎ. Facebook의 Mark Zuckerberg는 개인신상정보를 어디까지 공개해야하며 private과 public의 경계는 어디냐에 대한 어려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제공하느라 똥줄이 탔다고 한다. 아바타의 감독 James Cameron 또한 인터뷰를 통해서 3D 기술의 위대함과 대단함을 찬양하였지만, 아무리 기술이 앞서가더라도 일단 영화의 키포인트는 스토리라인 (컨텐츠)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였다. 실로 이번 D:All Things Digital 행사는 technology, media와 entertainment의 거장들이 직접 참석하여 그들이 생각하는 현재와 미래의 주소가 앞으로 어떻게 바뀔것인지에 대한 개인적이면서도 전문가다운 견해를 제시한 conference라는 점에서 다른 행사와 많이 차별화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메가톤급 변화가 산업전반에 큰 disruption을 가져왔던거는 아마도 15년전에 인터넷과 웹이 상용화되었을때라고 전문가들은 말을 한다. 물론, Wall Street Journal이 주최하였다는 점 또한 이 행사의 권위와 절대로 저렴하지 않은 행사비용을 다시 한번 정당화하였다.

Steve Jobs, CEO of Apple – The iPad: Past, Present, Future
Apple의 대표이사로써 personal computing의 새로운 시대를 개쳑한 스티브 잡스는 창업 33년 후인 오늘날도 지속적인 혁신으로 전세계를 감탄시키고 있다. 그의 지휘하에 애플은 iPod와 iTunes를 가지고 디지탈 음악 시장에 일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iPhone으로 휴대폰 시장의 그 누구도 보지 못하였던 완벽한 블루오션을 창조하였다. 그런 그가 2010년 4월에 다시 한번 세계를 놀래켰다. 바로 iPad라는 태블릿을 시장에 소개하면서 차세대 컴퓨팅에 새로운 물결 (wave)을 창조하였기 때문이다. iPad는 출시 2개월만에 2백만대가 팔리면서 애플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시장 가치를 추월하는데 일등공신의 역할을 하였다. 여기 그가 Walt Mossberg와 Kara Swisher와 진행한 인터뷰의 핵심 내용을 추스려서 공유한다.

Mossberg: 제 기억으로는 당신은 과거에는 태블릿 PC가 상당히 나쁜 아이디어라고 공공연히 말하고 다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에는 아마도 애플은 통신 캐리어들과 절대로 같이 일을 하지 않을거기 때문에 휴대폰 시장으로 진입하는 일은 없을거라고 말한걸로 알고 있는데요.
Jobs: 네, 맞습니다. 그때는 그랬죠.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 시장의 역학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우리는 발견하였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휴대폰을 우리가 원하는 방법으로 팔 수 있는 방법을 결국에는 찾았기 때문에 휴대폰 비즈니스에 뛰어들었죠.
태블릿에 대해서 제가 전에 입버릇처럼 말하고 다녔던거는 아마도 손으로 쓰는 필기야말로 가장 느린 입력 방식이기 때문에 필기도구가 필요한 태블릿은 꽝이라는 말일꺼였을겁니다. 이러한 선상에서 생각을 해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완전히 실패한거죠. 마이크로소프트가 태블릿 관련해서 많은 돈을 투자하였고 재미있는 시도들을 많이 하였지만 결국 만든 제품은 입력용 펜을 필요로 하였죠. 태블릿에 입력용 펜이 필요하면 이건 완전히 쓸모없는 제품이 되는거죠. 우리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작한 태블릿 컴퓨팅에 아주 새로운 생각과 컨셉을 적용하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태블릿은 PC 기반의 제품이었습니다. PC가 필요로하는 모든 제반비용을 가지고 있었고 PC 배터리 수명을 가지고 있었죠. 무게도 PC랑 똑같았죠.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동물 (animal)”을 창조하였습니다. 바로 PC 운영체제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운영 체제 기반의 펜이 필요없는 터치모듈 – 그것도 그냥 터치가 아닌 “멀티터치” – 의 제품을 말입니다.
Mossberg: 손가락 기반의 멀티터치 모듈의 운영체제는 태블릿에 적용하기전에 아이폰에 적용하였잖아요. 아이폰에 적용할 당시 태블릿에 적용할 생각도 하셨나요?
Jobs: 이건 비밀인데요 실은 아이폰보다 태블릿을 먼저 시작하였습니다. 2000년도 초반부터 우리는 태블릿을 연구하기 시작했죠. 저는 키보드가 너무 싫어서 물리적 키보드를 아예 없애버릴 방법을 강구하고 있었고 애플 엔지니어들한테 키보드를 대체할 수 있는 멀티터치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연구를 해보라고 시켰는데 한 6개월 후에 우리 회사의 천재 UI 엔지니어가 꽤 괜찮은 제품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당시에는 태블릿보다는 전화가 우선순위가 더 높은 제품이라서 일단은 전화에 적용을 하고 최근에 와서야 다시 태블릿에 대한 개발에 박차를 가한거죠. 전화를 만들면서 쌓았던 노하우와 경험을 태블릿에 빠르게 적용하였고 우리는 iPad라는 대단한 제품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제가 iPad를 발표하면서 “magical”이라는 말을 쓴거에 대해서 사람들이 말이 상당히 많은데 정말로 마술과도 같은 제품이예요.
Mossberg: 앞으로 태블릿이 laptop을 완전히 대체할거라고 생각하시나요?
Jobs: 미국이 농업국가 였을때에는 모든 자동차가 트럭이었죠. 그렇지만, 자동차가 농장뿐만이 아니라 점점 시내에서도 필요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죠. 오토 트랜스미션이나 파워 핸들과 같이 트럭에는 필요없는 새로운 기능들이 점점 더 중요한 기능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트럭위주의 자동차 산업이 승용차로 바뀌었습니다.
PC는 바로 트럭과도 같은 제품입니다. 없어지지는 않을거고, 많은 사람들한테 유용한 제품이되겠지만 결국 PC를 사용하는 인구는 급격하게 감소할수밖에 없습니다. 과연 PC를 대체할 제품이 iPad일까요? 그건 저도 모르죠. 만약에 그렇다면 언제? 5년 후? 7년 후? 내년? 아무도 이에 대한 명쾌한 답변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아마도 이 방향으로 우리는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Steve Jobs – 그는 정말로 대단하면서도 재미있는 연구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내 주위에는 스티브 잡스와 직접 일을 해본 사람들도 있고 그를 개인적으로 잘 아는 사람들도 몇명 있다. 이들이 스티브 잡스에 대해서 말하는걸 잘 들어보면 제각기 다르지만 한가지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스티브 잡스의 인간성은 제로이다. 비즈니스를 떠나서 인간성에 대해서만 말을 하자면 그는 흔히 우리가 말하는 “인간쓰레기” “나쁜새끼”이자 “개새끼”이다. 하지만, 맨주먹으로 스스로 일으킨 회사에서 쫓겨났다가 다시 돌아와서 쓰러져가는 회사를 15년만에 세상에서 2번째로 가치가 높은 회사로 만들 수 있는 그의 경영/디자인/운영 능력은 정말로 존경스럽고 전설적이라고 말하고 싶다. 아니, 그렇게 말하지 않으면 애플의 현재 위치를 해명할 수 있는 별 다른 단어들이 떠오르지 않는다. 지금 나는 뮤직쉐이크 사무실이 위치한 LA 코리아타운에서 집까지 가는 통근 기차안에서 이 글을 쓰고 있다. 문득 고개를 들어서 내 주위를 돌아보니 참으로 재미있는 광경이 내 눈을 사로잡는다. 내 옆에 있는 몸무게 150kg 아저씨는 iPad를 가지고 그 두꺼운 손가락을 가지고 책을 읽고 있고, 두 좌석 건너편에 있는 동양인 아줌마도 iPad를 가지고 열심히 뭔가를 적고 있는게 보인다. 내 옆의 아저씨랑 바로 앞에 앉은 학생으로 보이는 동양인, 그리고 그 옆 좌석에 앉은 4명 중 3명은 iPhone을 들여다보면서 열심히 게임이랑 이메일을 하고 있는게 보인다. 아마존의 Kindle도 몇개씩 보이는거 같다. 이상하게도 laptop은 몇개 보이지 않는거 같다. 역시 애플과 스티브 잡스는 우리의 삶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것일까?

앞으로 5년 후에 같은 기차를 타면서 내 주위를 돌아보면 그때는 과연 어떤 진풍경이 펼쳐질까 나는 눈을 감고 한번 상상을 해본다. 기술의 발전은 실로 눈부시며, 이러한 발전으로 인한 “변화”는 어쩔때는 겁이 날 정도로 빠르게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일어나고 있다. 이런 변화가 어쩔때는 너무나 스트레스풀해서 그냥 죽을때까지 더이상 변화가 없었으면 하는 생각도 가끔은 한다. 그렇지만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내가 이러한 발전과 변화의 중심에서 사는걸 대단히 감사하게 생각하고, 스티브 잡스만큼은 아니지만 미약하지만서도 조금이라도 이러한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나도 인생을 그렇게 헛살고 있지는 않다는 보람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