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Daniel Matthews – part 2: Kickstarter

전에 Dan Matthews라는 한국 입양인 친구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다.
시작은 소박했다. 우리 투자사 Mayrok Media에서 Dan Matthews의 한국 여정을 YouTube 오리지날 시리즈로 제작하기로 했고, 그가 2013 세계한인입양인대회(International Korean Adoptee Association (IKAA) Summit) 폐막식에서 공연하는걸 위주로 촬영을 하려고 했다. 하지만, 준비하는 과정에 많은 해프닝들이 있었고 이 프로젝트의 규모는 금전적으로나 감정적인 면에서 상당히 커졌다.

일단, Dan Matthews의 친부모와 연락이 되었다. 두 분 모두 살아 계시고 아직 같이 사시며 Dan에 대한 죄책감으로 그동안 마음의 고통을 많이 받고 계셨다. 아주 충격적인 사실은 Dan에게 몇 분 먼저 태어난 쌍둥이 형이 있고, 지금은 늠름한 여경이 된 여동생 또한 존재한다는 것이었다.

Dan의 미국 어머님과 할머니(양아버지는 암으로 얼마전에 사망)

 

오늘 Dan과 Mayrok Media 팀은 촬영을 위해서 한국으로 출국했다. 진심으로 이들에게 행운을 빌며 한국에서의 여정을 무사히 마치고 성공적인 YouTube 시리즈 제작을 기원한다. 하지만, 가장 개인적으로 바라는건 Dan이 친가족과의 상봉을 통해서 가족의 소중함과 따뜻함을 – 친가족과 양가족 모두 – 더욱 더 값지게 경험해서 더 따뜻하고 용감한 젊은이로 성장했으면 한다.

실은 Mayrok의 창업자 Eugene과 이 시리즈를 기획하면서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포트폴리오 회사를 도와주는 차원에서(회사의 성공을 위해서) 개인적으로 많은 배움과 깨달음을 준 프로젝트가 되었다. 한국인으로 태어나서 의식이 생기기도 전에 미국이라는 나라로 입양되어 미국인으로 자라면서 어느날 갑자기 본인이 다른 American 들과는 조금 다르게 생겼고 엄마, 아빠랑 피부색이 다르다는걸 깨달으면서 내 친부모님은 머나먼 Korea라는 나라에 있는데 그들은 나를 – 이유를 막론하고 – 버렸다는 사실을 알았을때 Dan의 기분은 어땠을까? 나라면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했을까…그토록 만나고 싶었지만, 마음 한구석에는 한과 증오가 되어버린, 나를 버린 친부모님과 어느날 갑자기 이메일을 통해서 알게된 쌍둥이 형과 여동생의 존재…

YouTube 시리즈지만 촬영비용이 작은 스타트업이 다 부담하기에는 만만치 않아서 그동안 많은 스폰서들과 이야기를 했고, 우여곡절도 많았지만 기본 비용은 고마운 분들이 지원을 해주셨다. 하지만 촬영이 끝난 후 후작업(post-production) 또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부분이라서 현재 Kickstarter를 통해서 $25,000.00을 모으고 있다. 가능하신 분들은 조금이라도 후원해주시면 좋겠다. 그리고 혹시 서울이나 다른 도시에서 Dan이 촬영하는 걸 목격하면 다가가서 따뜻한 격려의 말 한마디씩…

 

Dan Matthews 다큐멘터리 개요
한국 입양인 출신이자 YouTube의 인기 뮤지션 Dan Matthews는 한국의 친부모로부터 편지를 받습니다. 그는 편지를 통해 그의 친부모님이 살아계시며 한국에 쌍둥이 형과 현재 경찰인 여동생이 있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접합니다. Mayrok Media는 Dan Matthews가 한국의 가족을 찾고, 한국인의 뿌리를 발견하는 과정을 다큐멘터리화 합니다. 또한, 7월 서울에서 열리는 2013 세계한인입양인대회(International Korean Adoptee Association (IKAA) Summit)에서 처음으로 모국에서 수백 명의 입양인들 앞에서 공연하는 과정을 카메라에 담을 예정입니다.
Dan Matthews의 다큐멘터리 촬영은 노련한 영상감독 Jason Hwang이 담당합니다. 본 다큐멘터리는 한국 입양인이 친부모를 찾아가는 과정과 여행을 YouTube 세대에게 맞추어서 현대적인 감각으로 촬영하고 재해석할 계획입니다. 

David Karp의 멋진 부모님

David Karp는 얼마 전에 야후! 가 11억 달러에 인수한 Tumblr의 창업자이다. 오늘 아침 신문에 David Karp의 부모님에 대한 내용을 읽었다. 이런 부모가 있기에 David 같은 젊고 용감한 기업가가 있다는 생각을 했고 가정교육과 부모님의 가르침이 우리의 성장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던 토요일 오전이었다.

David은 뉴욕의 신흥부촌인 Upper West Side에서 자랐고 미국 과학 영재의 산실로 불리는 Bronx 과학 고등학교(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만 8명이나 배출한 미국 동부의 대표적인 공립과학고등학교)에 입학했다. 하지만 고등학교 1학년 때 그의 부모님은 그의 관심과 열정이 학업보다는 다른 곳에 있다는걸 – 컴퓨터 프로그래밍 – 발견하고 David의 나이 15살 때 잠시 학교를 휴학하고 컴퓨터 쪽 일을 해보라고 권유했다. David은 그해 여름 미디어 사업가로 유명한 Fred Seibert 의 회사에서 엔지니어로 인턴일을 시작했다. 아들을 너무 사랑하고 그의 관심사에 항상 관심이 많았던 부모님은 David이 프로그래밍하는걸 너무나 즐기는 걸 금방 알아차렸고 어느 날 그에게 물어봤다. “아들. 고등학교 선생님 중 너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만족하게 하는 선생님이 올해 있니?” David이 “아니요”라고 대답하자 그의 부모는 한국 부모라면 상상도 못 할 – 그리고 내 주위에 이런 한국 부모는 정말 단 한 분도 없다. 우리 부모님을 비롯해서 – 일을 했다. 학교로 복학하지 말고 David이 좋아하는 프로그래밍을 계속하라는 말을 했다. 참고로 David의 어머니는 초/중학교 과학 선생님이다.

미국과 한국을 통틀어 내 주위에 David Karp의 부모님 같은 사람이 있을까 생각해봤다. 미국은 아주 극소수이고 한국 부모는 정말 단 한 분도 없다. 우리나라 부모 중 자기 자식들의 진실한 관심과 재능을 제대로 파악하는 부모가 과연 있을까? 무조건 좋은 학교 가서 좋은 회사 또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 되길 바라면서 그게 자식들을 위한 올바른 길이라고 아직도 믿고 계신다. 또한, David Karp와 같이 프로그래밍에 소질이 있다는 걸 알아차려도 과연 어떤 부모들이 그걸 권장하고 계속 지원해 주려고 할까? 그런 건 취미로 하고 일단은 대학교에 가라고 할 것이다.

고등학교 중퇴 11년 뒤인 오늘, 고등학교 졸업장도 없는 David Karp은 2,800억 원의 재산을 보유한 26살의 ‘어린’ 창업가로 성장했다. 그리고 그는 아직도 가끔 부모님과 영화를 본다고 한다.

아멕스 – 카드사의 변화

난 1999년 미국에서 대학원 생활을 시작하면서 American Express 신용카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비자나 마스터카드 보다는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멕스가 수수료가 더 높아서 상점들이 꺼려하는걸로 알고 있다) 학생들을 위한 좋은 혜택들이 많은 학생카드가 있어서 하나 만들었는데 그 이후로 지금까지 계속 아멕스를 사용하고 있다.

제조업이든 금융기관이든 이제 모두가 인터넷과 소셜 마케팅을 이용해서 기존 고객들을 유지하면서 신규 고객을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어떤 기관들은 다른 기관들보다 이런 새로운 기술을 잘 활용하고 있는데 아메리칸 익스프레스가 그 중 하나이다. 솔직히 ‘카드사’라고 하면 굉장히 보수적인 이미지가 떠오르는데 최근 몇 년 동안 아멕스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상당히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였고 이런 노력들이 이젠 가시화된 결과들로 나타나고 있는거 같다.

얼마전에 아래와 같은 이메일을 받았다. 아멕스 고객들을 위한 특별혜택 이메일이었는데 나랑 와이프랑 자주 이용하는 Whole Foods라는 슈퍼에서 $75 이상 쇼핑을 하면 $10을 돌려 준다는 내용이다. 

아멕스 카드를 사용하는 패턴을 분석해서 내가 Whole Foods에 자주 간다는걸 알았고, 한번 갈때마다 $50 이상 소비한다는 것도 아마도 분석한거 같다 (참고로 Whole Foods는 동네 슈퍼보다는 좀 비싼 물건들을 판다). 당연히 관심 있었고 “Get offer”라는 버튼을 눌렀다. 나는 이 버튼을 누르면, 1. $10를 할인 받을 수 있는 쿠폰을 출력하는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직접 출력) 또는 2. Whole Foods에서 계산할때 스캔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이메일로 받겠지라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누르니까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떴다.

“Get offer”라는 버튼을 누르자마자 내 아멕스 카드와 이 오퍼 내용이 sync되었으니 나는 그냥 Whole Foods에서 계산할때 아멕스 카드만 사용하면 된다는 내용이다. 카운터 점원한테 “저 $75 이상 구매하면 $10 할인 받는 오퍼를 아멕스에서 받았어요.” 뭐 이런 귀찮은 이야기를 할 필요도 없다. 할인 쿠폰이나 코드를 제공할 필요도 없다. 그냥 카드만 긁으면 되고 다음 달 카드명세서에 $10가 할인 된다.

나는 이걸 경험하면서 아멕스가 고객에 대한 많은 고민을 했고 어떻게 하면 고객들이 카드를 더 많이, 그리고 쉽게 긁을 수 있을까에 대한 정말 많은 생각/실험/개발을 했구나 라는 생각을 했다. “Get offer”라는 버튼을 눌렀을때 쿠폰을 다시 출력하거나, 할인 코드를 받아 적어야하거나 또는 다시 아멕스 사이트에 로그인을 해야했다면 사용자들이 절반 이상이 그냥 귀찮아서 할인 혜택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나는 아주 간단하게 $10 할인을 받을 수 있으니 이제 왠만하면 Whole Foods에 가서 $75 이상 쇼핑을 분명히 할거 같다.

모든 서비스들이 이렇게 user-friendly하게 만들어지면 얼마나 좋을까. 솔직히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닌데. 아직도 이메일 수신 거부를 하려면 사이트에 로그인하게 만드는 답답한 서비스들이 이런걸 보고 좀 배우면 좋겠다.

Daniel Matthews – part 1

YouTube가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다. 정확히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믿을만한 소스에 의하면 YouTube는 이미 흑자전환을 했고 성장률도 해마다 가속화되고 있다. 아직 한국에서는 이렇다할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지만 미국의 10대 ~ 30대 초반의 젊은이들은 이제 더이상 TV를 안 본다. 음악이 듣고 싶어? YouTube로 듣는다. 영화 트레일러가 보고 싶어? YouTube로 본다. TechCrunch 컨퍼런스의 특정 세션을 보고 싶어? YouTube에서 검색한다. 이제 미국의 젊은이들은 대부분의 컨텐츠를 YouTube를 통해서 소비하고 있다. 실로 엄청난 플랫폼이자 서비스이다.

이런 트렌드를 일찍 포착하고 매일 실감하고 있는 우리는 Mayrok Media (매력 미디어)라는 회사에 얼마전에 투자를 했다. Mayrok은 다양한 컨텐츠를 – 특히 한국/아시아/미국계 아시아 컨텐츠 – YouTube를 통해서 배포하는 new media 스타트업이다. 또한, 남의 컨텐츠를 배포함과 동시에 자체 컨텐츠도 직접 제작하는 작은 프로덕션 하우스이기도 하다. Mayrok의 창업자인 Eugene Choi는 저렴한 비용으로 재미있는 컨텐츠를 제작한 경험이 풍부한 친구인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LA의 한인타운을 배경으로 한 리얼리티 쇼 K-Town이 있다.

올 여름 Mayrok Media에서 굉장히 재미있는 유튜브 웹시리즈를 기획하고 있다. 태어나자마자 입양되어 현재 미국에서 인기있는 뮤지션으로 활동하고 있는 Daniel Matthews (’85년생)가 그의 친모를 찾으러 한국을 방문하면서 겪는 모험을 10회 분량의 유튜브 시리즈로 만들어서 배포하는 프로젝트인데 돈없는 작은 스타트업이다보니 약 1.5억원이라는 제작비용이 필요하다. 혹시 개인적으로나 또는 기업/단체 차원에서 후원/광고에 관심이 있다면 직접 Eugene Choi(eugene@mayrok.com) 또는 나한테 연락해 주면 된다.

광고주들의 입장에서 보면 웹시리즈의 내용이나 타겟대상면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들이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그동안 이런 류의 컨텐츠는 대부분 최루성 멜로였지만, Daniel Matthews 프로젝트는 젊음/음악/YouTube/technology/소셜/감동이 공존하는 웹시리즈이다. 특히 Daniel Matthews라는 뮤지션으로써의 브랜드가 많이 부각되어서 기존의 내용들과는 확실히 차별화 될 수 있다.
-(실제 launch해봐야지 알겠지만) 최소 1,000만 조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 타겟은 12살 ~ 32살의 젊은층이다. 이 연령대는 교육 수준이 높고 소셜 미디어를 많이 활용하는 집단이기 때문에 미국의 젊은 층을 대상으로 기업의 브랜드나 제품을 제대로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Daniel Matthews는 YouTube 최고의 탑스타들과 친한 친구이며 이들이 모두 이번 웹시리즈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표명했다. 이런 network를 활용하면 조회수는 폭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10회 분량의 웹 시리즈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그리고 너무 억지스럽지 않게) 인터넷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젊은층한테 브랜드와 제품을 더 알리고 노출할 수 있는 매우 저렴한 기회이다.

‘스타트업 바이블 2’ 종이책

이 블로그를 오래 읽으신 분들은 잘 알겠지만, 전통적인 종이책 출판 과정에 존재하는 거품과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작가에서 독자로 direct로 갈 수 있도록 ‘스타트업 바이블 2’는 전자책으로만 출판을 했다. 한국은 미국보다 전자책 도입이 느리지만 아이패드를 비롯한 태블릿의 빠른 보급,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인구가 대중교통에서 보내는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 그리고 엄청난 컨텐츠 소비량의 증가와 같은 현상을 감안했을때 한국의 전자책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은 시간문제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결과는 지금까지 썩 좋지 않다 (여기서 말하는 결과는 절대적인 책 판매량을 가지고 이야기 하는 거다. 책에 대한 피드백과 관심도와는 별개다). 특히, 스타트업 바이블 1권 종이책과 비교해보면 정말로 처참하다.

출간 후 첫 3개월치 판매량을 비교해보면 3,613 vs. 358로 거의 10배가 차이난다. 특히 첫 한달 판매량은 스타트업 바이블 1 종이책 – 3,077권, 스타트업 바이블 2 전자책 – 191권으로 그 차이는 더 심하다. 왜 이럴까? Mary Meeker의 보고서만 봐도 이제 종이책의 시대는 완전히 끝났다는 느낌을 받는데 내 전자책은 왜 이렇게 성적이 저조할까?

내가 출판 전문가는 아니지만 전자책이 잘 안팔리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 플랫폼: 작년 10월 한국에 나갔을때 느꼈던건 우리나라에는 충분히 많은 태블릿과 스마트폰이 배포되었고, 지하철에서 70% 이상의 사람들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 컨텐츠를 소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아직도 전자책이 독자들의 기기로 가는 과정에는 많은 어려움과 장애물이 존재한다. 이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건 아직 iTunes Store가 한국에서 정식으로 오픈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스타트업 바이블2는 아이북스의 quality가 가장 좋다).
  • 독서문화: 전자책의 장점은 독자들이 서점에 갈 필요없이 손가락으로 언제나 바로 책을 – 주로 종이책보다 더 저렴하게 –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복잡한걸 싫어한다. 그래서 전자책이 종이책보다 더 매력있을거라고 생각했지만, 틀린 생각이었다. 한국 사람들에게 책은 매우 특별한 물건이다. 물리적으로 만질 수 있어야 하며, 책장에 진열되어 있는 책을 보면서 정신적으로 흐뭇해질 수 있어야 한다.

혹시 ‘스타트업 바이블2’의 내용이 형편없는건 아닐까? 내가 작가로써 보장하건데 ‘스타트업 바이블2’의 내용이 ‘스타트업 바이블1’보다 더 탄탄하고 재미있다. 절대로 1권에 뒤지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컨텐츠의 수준 때문에 2권의 판매가 저조한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마케팅이 잘 안되어서? 책에도 관련 내용으로 여러 챕터가 있지만 나는 돈 들이는 마케팅 따위는 믿지 않는다. 컨텐츠가 좋다면 알아서 사람들의 입소문을 통해서 유기적으로 마케팅이 된다. ‘스타트업 바이블2’의 컨텐츠는 최고다. 하지만, 전자책 유통의 문제점들 때문에 많은 사람들한테 배포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서 입소문의 속도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아주 중대한 결정을 했다. ‘스타트업 바이블2’를 종이책으로 판매하기로 했다. 물론 나도 오랜 시간과 기회비용을 희생하면서 쓴 책이라서 손익분기는 하고 싶은 이유도 있지만, 더 큰 이유는 이렇게 좋은 내용이 전자책 플랫폼의 한계 때문에 더 많은 사람들한테 읽혀지지 않는게 안타깝다. 그렇다고 전통적인 출판사를 통해서 종이책을 배포하는건 아니고 Amazon과 교보문고의 POD (Print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한 종이책이다. 대량의 책을 인쇄한 후에 판매하는게 아니라, 독자들이 주문을 할때마다 책을 하나씩 on demand로 찍어서 판매를 하는 방식이다. ‘POD’라는 단어가 자칫 오해를 살 수도 있는데, quality는 일반 책과 크게 다르지 않으니 (오히려 더 좋다) 안심하고 구매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