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All Things Digital – Steve Jobs편

Wall Street Journal이 주최하는 tech관련 conference인 D:All Things Digital이 올해로 8살이 되었다. 올해는 LA 근교 태평양에 인접한 부촌이자 휴양지인 Rancho Palos Verdes에서 이 행사가 열렸었는데 지금까지 내가 경험하였던 그 어떤 conference보다 재미있는 주제들과 카리스마있는 스피커들로 구성되어서 눈, 귀와 머리가 참으로 즐거웠던 내용들로 알차게 구성되었던 행사였다고 생각한다. 특히 WSJ의 tech 컬럼니스트인 Walt Mossberg와 Kara Swisher가 현재 IT 업계를 lead하고 있는 회사들의 CEO들과 일대일로 진행한 인터뷰들은 현재 산업 동향에 대한 이해 및 미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주는 내용들이라고 생각되어서 여기서 시간날때 하나씩 공유하도록 하겠다.

올해의 큰 주제는 “변화”였다. 뭐, 변화라는 단어는 우리한테 생소하지는 않다. 어차피 우리는 매일, 매시, 매초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인생의 소용돌이속에서 혼란스럽게 살고 있으니까. 그렇지만, 최근 12개월 동안 IT 산업은 그동안 우리가 경험하지 못하였던 속도로 변신에 변화를 거듭하였으며 이 바닥에서 매일 숨쉬면서 살고 있는 나조차도 계속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하나씩 다 따라잡는게 벅찰 정도이다. Apple사의 Steve Jobs는 PC는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기기 (iPad와 같은)로 대체될것이라는 발언을 하였고, 이에 대해서 Microsoft의 Steve Ballmer는 할말이 꽤 많았다 ㅎㅎ. Facebook의 Mark Zuckerberg는 개인신상정보를 어디까지 공개해야하며 private과 public의 경계는 어디냐에 대한 어려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제공하느라 똥줄이 탔다고 한다. 아바타의 감독 James Cameron 또한 인터뷰를 통해서 3D 기술의 위대함과 대단함을 찬양하였지만, 아무리 기술이 앞서가더라도 일단 영화의 키포인트는 스토리라인 (컨텐츠)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였다. 실로 이번 D:All Things Digital 행사는 technology, media와 entertainment의 거장들이 직접 참석하여 그들이 생각하는 현재와 미래의 주소가 앞으로 어떻게 바뀔것인지에 대한 개인적이면서도 전문가다운 견해를 제시한 conference라는 점에서 다른 행사와 많이 차별화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메가톤급 변화가 산업전반에 큰 disruption을 가져왔던거는 아마도 15년전에 인터넷과 웹이 상용화되었을때라고 전문가들은 말을 한다. 물론, Wall Street Journal이 주최하였다는 점 또한 이 행사의 권위와 절대로 저렴하지 않은 행사비용을 다시 한번 정당화하였다.

Steve Jobs, CEO of Apple – The iPad: Past, Present, Future
Apple의 대표이사로써 personal computing의 새로운 시대를 개쳑한 스티브 잡스는 창업 33년 후인 오늘날도 지속적인 혁신으로 전세계를 감탄시키고 있다. 그의 지휘하에 애플은 iPod와 iTunes를 가지고 디지탈 음악 시장에 일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iPhone으로 휴대폰 시장의 그 누구도 보지 못하였던 완벽한 블루오션을 창조하였다. 그런 그가 2010년 4월에 다시 한번 세계를 놀래켰다. 바로 iPad라는 태블릿을 시장에 소개하면서 차세대 컴퓨팅에 새로운 물결 (wave)을 창조하였기 때문이다. iPad는 출시 2개월만에 2백만대가 팔리면서 애플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시장 가치를 추월하는데 일등공신의 역할을 하였다. 여기 그가 Walt Mossberg와 Kara Swisher와 진행한 인터뷰의 핵심 내용을 추스려서 공유한다.

Mossberg: 제 기억으로는 당신은 과거에는 태블릿 PC가 상당히 나쁜 아이디어라고 공공연히 말하고 다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에는 아마도 애플은 통신 캐리어들과 절대로 같이 일을 하지 않을거기 때문에 휴대폰 시장으로 진입하는 일은 없을거라고 말한걸로 알고 있는데요.
Jobs: 네, 맞습니다. 그때는 그랬죠.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 시장의 역학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우리는 발견하였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휴대폰을 우리가 원하는 방법으로 팔 수 있는 방법을 결국에는 찾았기 때문에 휴대폰 비즈니스에 뛰어들었죠.
태블릿에 대해서 제가 전에 입버릇처럼 말하고 다녔던거는 아마도 손으로 쓰는 필기야말로 가장 느린 입력 방식이기 때문에 필기도구가 필요한 태블릿은 꽝이라는 말일꺼였을겁니다. 이러한 선상에서 생각을 해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완전히 실패한거죠. 마이크로소프트가 태블릿 관련해서 많은 돈을 투자하였고 재미있는 시도들을 많이 하였지만 결국 만든 제품은 입력용 펜을 필요로 하였죠. 태블릿에 입력용 펜이 필요하면 이건 완전히 쓸모없는 제품이 되는거죠. 우리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작한 태블릿 컴퓨팅에 아주 새로운 생각과 컨셉을 적용하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태블릿은 PC 기반의 제품이었습니다. PC가 필요로하는 모든 제반비용을 가지고 있었고 PC 배터리 수명을 가지고 있었죠. 무게도 PC랑 똑같았죠.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동물 (animal)”을 창조하였습니다. 바로 PC 운영체제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운영 체제 기반의 펜이 필요없는 터치모듈 – 그것도 그냥 터치가 아닌 “멀티터치” – 의 제품을 말입니다.
Mossberg: 손가락 기반의 멀티터치 모듈의 운영체제는 태블릿에 적용하기전에 아이폰에 적용하였잖아요. 아이폰에 적용할 당시 태블릿에 적용할 생각도 하셨나요?
Jobs: 이건 비밀인데요 실은 아이폰보다 태블릿을 먼저 시작하였습니다. 2000년도 초반부터 우리는 태블릿을 연구하기 시작했죠. 저는 키보드가 너무 싫어서 물리적 키보드를 아예 없애버릴 방법을 강구하고 있었고 애플 엔지니어들한테 키보드를 대체할 수 있는 멀티터치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연구를 해보라고 시켰는데 한 6개월 후에 우리 회사의 천재 UI 엔지니어가 꽤 괜찮은 제품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당시에는 태블릿보다는 전화가 우선순위가 더 높은 제품이라서 일단은 전화에 적용을 하고 최근에 와서야 다시 태블릿에 대한 개발에 박차를 가한거죠. 전화를 만들면서 쌓았던 노하우와 경험을 태블릿에 빠르게 적용하였고 우리는 iPad라는 대단한 제품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제가 iPad를 발표하면서 “magical”이라는 말을 쓴거에 대해서 사람들이 말이 상당히 많은데 정말로 마술과도 같은 제품이예요.
Mossberg: 앞으로 태블릿이 laptop을 완전히 대체할거라고 생각하시나요?
Jobs: 미국이 농업국가 였을때에는 모든 자동차가 트럭이었죠. 그렇지만, 자동차가 농장뿐만이 아니라 점점 시내에서도 필요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죠. 오토 트랜스미션이나 파워 핸들과 같이 트럭에는 필요없는 새로운 기능들이 점점 더 중요한 기능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트럭위주의 자동차 산업이 승용차로 바뀌었습니다.
PC는 바로 트럭과도 같은 제품입니다. 없어지지는 않을거고, 많은 사람들한테 유용한 제품이되겠지만 결국 PC를 사용하는 인구는 급격하게 감소할수밖에 없습니다. 과연 PC를 대체할 제품이 iPad일까요? 그건 저도 모르죠. 만약에 그렇다면 언제? 5년 후? 7년 후? 내년? 아무도 이에 대한 명쾌한 답변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아마도 이 방향으로 우리는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Steve Jobs – 그는 정말로 대단하면서도 재미있는 연구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내 주위에는 스티브 잡스와 직접 일을 해본 사람들도 있고 그를 개인적으로 잘 아는 사람들도 몇명 있다. 이들이 스티브 잡스에 대해서 말하는걸 잘 들어보면 제각기 다르지만 한가지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스티브 잡스의 인간성은 제로이다. 비즈니스를 떠나서 인간성에 대해서만 말을 하자면 그는 흔히 우리가 말하는 “인간쓰레기” “나쁜새끼”이자 “개새끼”이다. 하지만, 맨주먹으로 스스로 일으킨 회사에서 쫓겨났다가 다시 돌아와서 쓰러져가는 회사를 15년만에 세상에서 2번째로 가치가 높은 회사로 만들 수 있는 그의 경영/디자인/운영 능력은 정말로 존경스럽고 전설적이라고 말하고 싶다. 아니, 그렇게 말하지 않으면 애플의 현재 위치를 해명할 수 있는 별 다른 단어들이 떠오르지 않는다. 지금 나는 뮤직쉐이크 사무실이 위치한 LA 코리아타운에서 집까지 가는 통근 기차안에서 이 글을 쓰고 있다. 문득 고개를 들어서 내 주위를 돌아보니 참으로 재미있는 광경이 내 눈을 사로잡는다. 내 옆에 있는 몸무게 150kg 아저씨는 iPad를 가지고 그 두꺼운 손가락을 가지고 책을 읽고 있고, 두 좌석 건너편에 있는 동양인 아줌마도 iPad를 가지고 열심히 뭔가를 적고 있는게 보인다. 내 옆의 아저씨랑 바로 앞에 앉은 학생으로 보이는 동양인, 그리고 그 옆 좌석에 앉은 4명 중 3명은 iPhone을 들여다보면서 열심히 게임이랑 이메일을 하고 있는게 보인다. 아마존의 Kindle도 몇개씩 보이는거 같다. 이상하게도 laptop은 몇개 보이지 않는거 같다. 역시 애플과 스티브 잡스는 우리의 삶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것일까?

앞으로 5년 후에 같은 기차를 타면서 내 주위를 돌아보면 그때는 과연 어떤 진풍경이 펼쳐질까 나는 눈을 감고 한번 상상을 해본다. 기술의 발전은 실로 눈부시며, 이러한 발전으로 인한 “변화”는 어쩔때는 겁이 날 정도로 빠르게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일어나고 있다. 이런 변화가 어쩔때는 너무나 스트레스풀해서 그냥 죽을때까지 더이상 변화가 없었으면 하는 생각도 가끔은 한다. 그렇지만 다시 한번 생각해보면 내가 이러한 발전과 변화의 중심에서 사는걸 대단히 감사하게 생각하고, 스티브 잡스만큼은 아니지만 미약하지만서도 조금이라도 이러한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나도 인생을 그렇게 헛살고 있지는 않다는 보람을 느낄 수 있다.

유투브 스타가 만든 뮤직쉐이크 동영상

얼마전에 이 블로그를 통해서 YouTube 스타 KevJumba에 대해서 간단히 언급한 적이 있다. 도대체 무엇이 이토록 이 보잘것 없는 동양 소년의 팬들을 열광시키는 것일까? 하루에 수십번도 유투브 비디오를 보면서 생각하지만, 거기에 대한 답은 아직도 못 구하고 있다. 흔히 마케팅 전문가들이 말하는 virality는 과연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지 끈임없이 고민하고 있지만 아마도 죽을때까지 정답을 찾지는 못할것같다.

전에 보여줬던 동영상은 맛배기였고, 이번에는 KevJumba가 제대로 뮤직쉐이크를 위한 동영상을 만들었다. 내용은….KevJumba의 꿈 중에 하나가 항상 음악을 하는거였는데, 드디어 기회가 되어서 할리우드로 스튜디오에서 음반을 녹음하는 내용의 동영상이다. 재미있는거는 스튜디오에서 매니저들이 여러 종류으 악기랑 음반 기구를 보여주고 있는데 KevJumba가 “아..이렇게 복잡한거 필요없구요, 저는 그냥 뮤직쉐이크를 사용하겠습니다.”라는 말을 하면서 뮤직쉐이크로 직접 음악을 만드는 장면이 나온다. 그리고 결국에는 좋은 곡을 만들어서 뮤직쉐이크를 통해서 KevJumba 팬들이 이 곡을 mp3나 링톤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게 이번 캠페인의 큰 전략이었다. 솔직히 이 4분짜리 동영상 중 뮤직쉐이크가 언급되는 부분은 극히 작으며, 왠만큼 집중하지 않으면 그냥 눈치 채지 못하고 지나칠 수도 있는 부분이다. 처음에 이 동영상을 봤을때 내가 스스로나 KevJumba 매니저한테 하였던 질문은 “야, 이거 뮤직쉐이크 노출되는 시간이 너무 작지 않냐…조금 더 홍보를 많이 해야지.” 였는데 KevJumba 쪽에서 극구 그냥 이렇게 가자고 해서 썩 내키지는 않았지만 그냥 go를 하였다.

약 2주 전에 KevJumba의 유투브 채널에 올라갔는데, 그 반응은 정말 폭발적이었다. 자그마치 첫날 뮤직쉐이크 홈페이지로 수만명의 사람들이 접속을 하였으며, 뮤직쉐이크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사용자 음악 제작 등의 숫자들은 지금까지의 뮤직쉐이크 기록을 완전히 다 갈아치울 정도였다. 참고로, 2주가 지난 오늘 이 동영상은 약 90만번 이상 유저들이 view를 하였다. CRAZY!!

그리고 이거는 KevJumba가 직접 녹음한 KevJumba 링톤이다.

YouTube 스타 – KevJumba

정말 바쁜 한주가 지났다. 월요일이 노동절이라서 하루 쉬어서 육체적으로는 편했지만, 밀린 이메일과 업무 때문에 정신없이 short week가 지나갔고 다시 주말이 왔다. 오늘은 아침 일찍 일어나서 동네 테니스 친구 Richard Chen과 아주 힘든 경기 한판 끝내고 (테니스 라켓 3 자루나 줄 끊어먹은 상당한 접전이었다) 집에 와서 뉴욕에서 열리고 있는 US Open 보면서 주말 블로깅을 한다. 작년 이맘때 필라델피아에 있을때는 직접 경기장에 가서 US Open을 봤는데 LA로 이사온 후 거리/시간/돈 관계상 아쉽지만 그냥 TV를 보는걸로 만족해야한다.

요새 내가 많은 조사를 하고 있는 분야가 유투브를 사용한 viral 마케팅이다. 우리같이 작고 마케팅 예산이 많지 않은 회사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알리고 유저들을 불러들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을 해보다가 그 몇가지 방법 중 하나인 유투브를 가지고 여러가지 테스트를 하고 있다. YouTube에 올라가 있는 동영상은 나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이 적어도 일주일에 한두번 정도는 감상하지만, 실제 유투브를 이용해서 기업 마케팅을 하는거는 처음이라서 이런 저런 조사를 해보니 참으로 재미있는 dynamic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일단 유투브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구독자가 많고, 동영상 view가 많은) 유투브 스타 (Vlogger들이라고들 한다. Vlogger = Video Blogger) 들을 나열해 보니 1위부터 10위는 난생 처음 들어보는 일반인들이 대부분이었다. 참고로 우리가 잘아는 가수 브리트니 스피어스는 유투브에서 17번째로 가장 많은 구독자를 가지고 있으니…이런 사실이 참으로 충격적이었다…유명한 가수도 아닌데 어떻게 이렇게 인기가 많은것일까. 더욱 더 놀라운 사실은 유투브 인기 블로거들이 대부분 10대 일반 청소년들이고, 잘생긴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컨텐츠가 재미있거나 웃긴것도 아닌데 (나한테만 이럴지도 모른다 ㅎ) 모든 동영상이 기본 50만번의 view를 기록하는것이었다.

이 사실을 발견한 후 내가 가장 먼저 느낀 점은, 괜히 큰돈 들여서 Beyonce와 같은 대형 스타들과 뮤직쉐이크 프로모션을 하는거 보다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이런 유투브 블로거들과 마케팅 행사를 하는게 좋을거 같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가수 팬들은 음악을 소비하는 사람들이지, 음악을 만드는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아니다. 뮤직쉐이크는 음악을 만드는 툴이기 때문에 음악 창조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해야한다.
-유투브 블로거들은 대부분 10대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스타들의 팬들 또한 10대 또는 그 보다 더 어린 연령층의 사람들이다. 뮤직쉐이크가 원하는 사람들은 이렇게 새로운 것을 좋아하고,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사용해보는거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젊은 층이다.
-유투브 동영상을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층은 인터넷과 매우 친하고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적극적으로 유투브 블로거들을 연락해본 결과, 현재 YouTube에서 3번째로 가장 많은 구독자를 가지고 있는 유투브 스타 KevJumba와 뮤직쉐이크 관련 동영상을 만들기로 하였다. 아직 만들고 있기 때문에 내용을 공개할 수는 없지만, 매우 재미있으니 기대하시라는 말만 일단 하겠다. KevJumba는 올해 대학 진학을 하는 미국계 중국 소년인데 만드는 동영상마다 첫 3주 안에 기본 1백만 view를 기록하고, 지금까지 이 친구가 만든 동영상들의 합계 view는 3천만번이다. 뮤직쉐이크 동영상은 아니지만, 뮤직쉐이크로 만든 음악이 intro곡으로 사용된 최근에 KevJumba가 만든 동영상을 여기에 링크한다. Enjoy!

뮤직쉐이크 Twiistup 4 최종 11대 기업으로 선정

그동안 과도한 업무로 인하여 블로그에 손을 못 댔는데 이제 다시 조금씩 몇자씩 써본다. 벌써 한달 전 행사였지만 여기에서 mention할 만한 내용이라서 소개한다 (실은 내 인터뷰가 있어서 그렇다 ㅋㅋ). TechCrunch40 만큼 큰 규모는 아니지만, 남가주 (LA 지역)에서 권위있는 Twiistup 4 행사에서 10대1의 경쟁률을 뚫고 최종 11개 기업 중 하나로 뮤직쉐이크가 선정되었다. 신청 과정이 상당히 까다로웠으며 (많은 서류 작업..) 그 이후에도 많은 기업들이 온갖 빽을 동원하는 쇼를 벌이기도 했는데 다행히도 좋은 결과가 나왔다.

**Twiistup – 남가주의 권위있는 네트워킹 행사. 특히 IT와 media/entertainment의 사람들과 기업들을 connect하는걸 목적으로 진행되는 행사이며, 매 분기마다 특이한 장소에서 아주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다양한 벤처기업들과 블로거, 벤처기업 CEO들, 투자자들, 언론 등을 대상으로 최고의 tech 벤처기업들이 제품/서비스를 발표하는 자리. 기존의 딱딱한 분위기의 세미나/네트워킹 행사와는 달리 매우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진행되는 실리콘 밸리와는 또 다른 LA만의 특징을 갖는 행사. Twiistup을 통해서 알려진 회사들 중에서는 JibJab, Mint, RubiconProject와 같은 주옥같은 벤처기업들이 있슴.

7월17일 산타모니카 Viceroy 호텔의 나이트클럽에서 진행되었는데, 기존의 IT 행사와는 약간 다르게 11개 기업들이 아주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먹고 떠들고 네트워킹하고 아주 색다른 행사였다. 그리고 아주 재미있는건 Oceans International 파트너이자 불알 친구인 John Nahm의 회사 Phonevite 또한 Twiistup 4 결승에 진출해서 우리 부스 바로 옆에서 있었는데 아주 재미있게 웃고 떠들었던 행사이다. 우리는 이날 Musicshake-Phonevite 통합 서비스를 launch해서 많은 인기를 독차지 하였다 (뮤직쉐이크로 만든 음악을 Phonevite 서비스를 이용해서 친구들한테 바로 전화로 쏴주는 아주 재미있는 파트너쉽이다).

뮤직쉐이크 Twiistup 인터뷰

Phonevite Twiistup 인터뷰

The Crunchies 2007

Crunchies2007

서부답지 않게 우중충하고 매우 흐린 날씨이지만, 날씨와는 다르게 화창한 소식이 있어서 블로그를 통해서 독자 분들에게 소중한 투표를 부탁드리려고 한다. 올해 9월 1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되었던 TechCrunch40에 이이서 뮤직쉐이크가 이번에는 미국 실리콘 벨리가 선정한 2007년을 빛낸 100대 IT 기업에 선정되었다. 공식 행사 명칭은 The Crunchies 2007이며, 실리콘 밸리에서 가장 영향력 있으며 일일 통합 독자 수만 약 2백만명이 넘는 4대 technology blog인 TechCrunch, GigaOm, Read/WriteWeb VentureBeat 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실리콘 밸리 역사상 최초의 행사이다. 행사 성격은 한 해 최고의 영화 및 배우들의 공로를 인정하는 Academy Award와 비슷하며, 2007년 한 해 동안 가장 혁신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인터넷 및 기술 관련 벤처기업들의 공로를 인정 및 시상하는 것이 이 대회의 취지이다.

Web 2.0의 기본 사상인 참여 및 공유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후보 및 최종 수상 기업 선정은 100% 일반 독자들의 투표에 의하여 진행될 예정이며 최종 수상 기업 발표 및 시상은 2008년 1월 18일 (금) 샌프란시스코의 Herbst Theater에서 최종 후보들, 주최측 4개사, 각종 언론사 및 일반 관객의 참석하에 진행된다. 행사 비용 전액은 어도비, Charles River Ventures, Mayfield Fund, 마이크로소프트, OurStage썬 마이크로시스템스가 스폰서쉽 형태로 부담한다. 12월2일부터 12월 12일 열흘 동안 일반인들은 웹사이트를 통해서 2007년 한 해 동안 IT 업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벤처 기업을 자유롭게 추천할 수 있었다. The Crunchies 위원회에서 미리 정의한 20개의 분야 (Best user generated content start-up, Best international start-up, Best overall 등)에 각 한 개의 기업 추천이 가능하였으며, 약 82,000개의 추천을 받았다고 주최측은 밝혔다. 이 후 The Crunchies 2007 위원회는 82,000개의 후보 중 추천 횟수와 벤처 기업을 평가 하여 각 분야에서 5개의 결승 진출 기업을 선정하여, 12월 21일 100개의 최종 후보를 발표 하였다. 여기에서 뮤직쉐이크는 Best international start-up 분야에서 당당하게 유일한 아시아의 벤처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TechCrunch의 Heather Harde 대표이사가 나와 주고받은 이메일에서 “작년 9월 TechCrunch40 행사에서 신선한 충격이었던 뮤직쉐이크가 이번 행사에서도 실리콘 밸리를 강타하길 바란다”라는 말까지 직접하였다. 다른 후보 중에는 이미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Facebook, DiggYelp와 같은 실리콘 밸리를 대표하는 굴지의 Web 2.0 인터넷 기업들이 포함된다.

최종 투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2월 21일부터 웹사이트를 통하여 일반인들은 하루에 한 번씩 본인이 원하는 벤처기업 투표에 참여할 수가 있으며, 인터넷 투표는 2008년 1월 10일까지 웹을 통해서 공개된다. 페이지 상단의 뱃지를 클릭한 후 5개의 Best International Start-up 후보 기업 중 Musicshake를 꾸욱 눌러서 voting을 모든 독자 분들에게 부탁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