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연습생보단 코딩공부를

미국도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한국 젊은이들의 연예인 선호도는 특히 높은거 같다. 내 초등학교 시절에는 장래 희망사항이 매우 다양했던거 같은데 최근에 학생들 대상으로 장래희망을 조사해보면 연예인이 압도적으로 많은거 같다. 연예인이라고 하면 배우, 가수, 무용가 등 entertainment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을 다 포함하지만 한국 학생들이 희망하는 연예인은 미디어에 비치는 화려한 특급 배우 또는 가수인거 같다. 이 중 연기, 노래, 춤을 정말로 사랑하고 예술을 평생 하고 싶어하는 소신있는 젊은 친구들도 있겠지만 대부분이 ‘돈’ 때문이라고 한다. 물론 A 급 배우나 가수들은 돈을 정말 잘 번다. 우리같은 일반인들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번다. 그리고 이런 단편적이 면만을 보면 이쁘게 태어나서(이쁘지 않으면 고치면 된다) 연기랑 춤 연습 좀 열심히 해서 어린 나이에 이만큼 돈을 잘 버니 – 주말도 없이 술과 피로에 쩔어서 쥐꼬리만한 연봉 받으면서 회사다니는 아버지나 주위 어른들과 비교해보면 – 굉장히 ‘쉽게’ 버는거 같다. 확률은 낮지만 그래서인지 모두가 다 연예인이 되고 싶어하나 보다.

그런데 ‘쉽게’ 돈 벌고 싶어서 연예기획사 연습생 준비하고 있는 젊은 친구들한테 나는 오히려 코딩을 공부하라고 권장하고 싶다. 크게 성공을 한다는 가정하에 technology 기반의 회사를 직접 창업해서 성공하는게 유명 연예인이 되는거 보다 훨씬 더 돈을 많이 벌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연예인으로서 성공할수 있는 확률은 매우 낮고 성공한 가수나 배우들 고생한 이야기 들어보면 정말 쉽지 않은 분야라는걸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창업해서 성공할 확률도 만만치 않게 낮다. 정확한 최신 숫자는 나도 잘 모르겠고 별로 관심도 없지만, 창업해서 성공하는게 오히려 연예인으로 성공하는거 보다 더 힘들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정말 성공하면 왠만한 연예인들 수입은 소수점으로 보일 정도로 대박날수 있다.

내가 연예인 공부보다 코딩 공부를 권장하는 다른 이유는 코딩을 제대로만 공부해 놓으면 대박 성공하지 못해도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먹고 살수 있기 때문이다. 가끔씩 TV 에서 소위 말하는 ‘연습생’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정말 열심히 그리고 힘들게 살고 있는 젊은이들이라는 생각을 한다. 안타깝게도 이 친구들 절반 이상이 수년동안 연습만 하다가 데뷔 한번 못해보고 인생의 황금기를 보낸 후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참 생각하고, 일하고, 배우고, 느끼고, 준비했어야할 중요한 젊은 시기를 연습생으로 춤추고 노래했기 때문에 사회에 나오면 적응하는게 쉽지가 않다고 한다. 연예계쪽으로 커리어를 물색해 보지만 A,B급 연예인이 아니면 제대로 밥벌이를 할 수 없는게 현실이다. 그동안 연습한 연기, 노래, 춤 실력을 제값 받으면서 써먹을 기회가 좀처럼 주어지지 않는다. 코딩은 이와는 약간 다른거 같다. 학교에서 또는 스스로 코딩을 배워서 성공하지 못해도 일반 기업에서 개발자로 살아갈 수 있는 다양한 길은 존재한다. 물론 실리콘밸리와 한국에서의 개발자 대우는 매우 다르지만 한국도 점차 좋아질거라고 생각한다. A급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개발자들이 먹고 살수 있는 방법들은 존재한다.

또한 제대로 된 코딩의 배움에 있어서 선천적인 능력이 성공의 필수 조건은 아니다. 물론 IQ가 높고 선천적으로 좋은 머리를 가지고 태어났다면 남들보다 더 빨리 배우고 프로그래밍을 잘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고 해서 절대로 성공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연예인의 경우 조금 다른거 같다. 물론 피나는 노력을 통해서 좋은 연기자나 가수가 된 분들도 있지만, 타고난 능력을 가진 사람보다 일반인이 더 잘하기란 코딩의 경우보다 매우 낮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여러가지 오디션 프로그램만 봐도 알 수 있다. 연예 분야에서 “타고났다” 만큼 유리한 조건은 없다.

연예인이 되고 싶은 목적이 굳이 돈이 아니라 화려함과 대중의 인기라면? 개발자 출신 창업가들도 연예인 못지 않은 슈퍼스타 대접을 받는 세상이 미국은 이미 왔고, 한국도 곧 올 것이다.

시장의 결정

전에 내가 Aereo 라는 회사에 대해서 여러번 글을 쓴 적이 있다:
Disrupt to Create
The Disruptors
허락보다는 용서를 구해라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내가 보기에는 성공할만한 모델이었는데 기존 방송국들과 굴뚝 미디어 산업의 반대와 로비로 인해서 결국 대법원 패소 5개월 후에 파산신청을 했다. 솔직히 Aereo 사례를 분석해보면 저마다 해석이 다르겠지만 내 짧은 소견과 시각으로 봤을때에는 불법이 아닌 비즈니스모델이지만 막강한 파워와 역사를 가진 대형 방송사들의 비즈니스에 엄청난 타격을 입힐 수 있는 파격적인 서비스였기 때문에 파워플레이에서 밀린거 같다. 앞으로 Aereo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그 기술을 다른 회사에서 인수하여 비슷한 서비스를 다른 방법으로 제공할수도 있다. 하지만, Aereo의 패소와 파산으로 인해서 궁극적으로 손해를 보는건 소비자들이다. TV를 볼 수 있는 편리하고 저렴한 서비스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최근에 Uber가 가는곳마다 운송당국과 택시노조와 부딪히는걸 보면 Aereo가 자꾸 생각난다. 특히 서울시는 우버의 Kalanick 사장까지 고소하면서 다른 도시에서는 볼 수 없었던 굉장히 단호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우버의 미래, 그리고 이 사태가 앞으로 우버의 비즈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상당히 궁금하다(솔직히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거 같다). Aereo와 마찬가지로 우버도 상당히 애매모호한 영역에서 비즈니스를 하고 있지만, 엄밀히 봐서는 불법은 아닌거 같다. 그렇다고 완전히 ‘합법’ 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인 이해관계가 엮여있고 어느 도시에서나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택시조합의 밥줄이 달린 문제이기 때문에 이 난관을 단순히 돈과 깡으로 해쳐나가기는 쉽지 않을거 같다. 하지만 우버의 서울시 영업이 전면적으로 불법화 된다면 – Aereo와 마찬가지로 – 궁극적으로 손해를 보는건 안전하고 편리하고 깔끔한 택시 서비스의 경험을 잃는 소비자들이다(‘과거글‘ 글 참조)

쉽지 않은 결정이다. 내가 서울시의 관련 정책결정권자라도 고민하고 또 고민할 것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이 결정은 시장한테(market, not mayor) 맡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존하는 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면 시장은 당연히 더 좋고 효율적인 대체 서비스를 원할것이고,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창업가들은 시장이 원하는 솔루션을 만들어서 제공할 것이다. 아무리 Aereo와 우버같은 서비스를 기존 플레이어나 당국에서 단속해도 시장이 원한다면 이런 서비스는 계속 생길 것이다. 그렇다고 시장이 원한다면 불법 서비스라도 무조건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지는 않았으면 좋겠다. 다른 분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내 개인적인 경험에 의하면 시장은 효율적이기 때문에 법의 태두리 안에서 최선의 선택을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시장이 가장 잘 알기 때문에 시장이 결정하게 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은행의 종말

며칠전에 조금 큰 액수의 현금을 인출할 일이 있어서(미국 은행 대부분 자동인출기 일일 한도는 $300 이다) 우리 사무실 근처 Chase 은행을 직접 방문했다.
Photo Nov 26, 11 42 27 AM이 사진을 찍은 시간이 오전 11시인데 보시다시피 이 시간에 은행이 텅텅 비어있었다. 20명 이상의 직원들을 위한 이 공간에 이날 5명의 Chase 은행원들이 일을 하고 있었고 이렇게 손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현금을 찾는데 20분 정도의 시간이 걸렸다. 손님 수에 비해서 은행원들이 모자랐기 때문이다. 조금 높아 보이는 직원한테 책상은 많은데 왜 이렇게 은행원들은 없냐고 물어보니까 원래 대부분의 은행원들이 여러 Chase 지점을 돌아가면서 교대 근무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조금 더 알아보니까 어떤 직원들은 이 지점에는 일주일에 한번만 나온다고 한다. 6일 중 하루 나오는 직원들 때문에 책상을 마련하고 공간을 이렇게 낭비한다는 생각을 하니까 화가 좀 났다. 그리고 다른 지점들도 상황은 이 지점과 비슷했다.

참 안타까운 공간, 시간, 그리고 자원의 낭비이다. 은행들은 대부분 유동인구가 많은, 땅값이 상대적으로 비싼 곳에 지점을 운영하는데 이렇게 비효율적으로 운영을 하다보니 그 비용이 고객에게 그대로 전가된다. 한국은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미국 은행들은 계좌를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 Chase 은행의 경우 – 그리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기업계좌는 – 미국에서 한국으로 돈을 송금하면 수수료가 $45씩 발생한다. 그리고 계좌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그냥 계좌를 가지고 있으면 내야하는 service fee가 한달에 $95씩 나온적도 있다. 뭐가 이렇게 비싸냐고 물어보면 시스템에 뭐를 입력하고 어쩌고 저쩌고 하기 때문에 Chase 은행한테도 그만큼의 비용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내가 보기엔 bullshit 이다. 은행원도 없는 텅빈 지점들을 유지해야 하니까 이런 비용을 고객한테 청구하는걸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미국에는 이제 아예 물리적인 사무실이 없는 온라인 은행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Ally Bank라는 은행이 그 대표적인 예인데, 신규 계좌 생성을 포함한 모든 업무를 인터넷으로 한다(전화 또는 우편도 가능). 처음에는 나도 약간 갸우뚱 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온라인 은행이 오히려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처음 Ally에 대해 들었을때는 약간 불안했다. 힘들게 번 내 돈을 사무실이나 지점도 없는 은행에 맡긴다는게 불안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점이 없으니까 은행의 입장에서도 그만큼 고정비용이 적게 발생하고 불필요한 비용이 고객에게 전가되지 않기 때문에 이 은행의 모든 비용이나 수수료는 우리가 아는 큰 은행보다 훨씬 저렴하고 이자율 또한 상당히 높다. 그리고 은행원과 이야기를 하려고 전화를 하면 오히려 Chase 은행을 직접 찾아가는거 보다 더 빨리 ‘사람’과 이야기를 할 수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앞으로 20년 후에는 온라인으로만 업무를 하는 은행들이 Bank of America나 Chase 은행보다 더 커질거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20년이 아니라 더 빠를수도 있다. 그리고 어쩌면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가 전통 은행을 아예 대체할 수 있다는 생각과 기대를 한다. 이미 한국의 Korbit이나 미국의 Coinbase는 기본적인 은행업무를 제공하고 있다. 지갑은 은행계좌이고, 다른 곳으로 비트코인을 보내는건 계좌이체이다. 더 편리한 건 수수료가 매우 낮고, 다른 나라로 송금하는게 훨씬 간단하고, 모든 거래가 거의 즉석으로 일어난다는 점이다. 물론 거지같은 공인인증서나 OTP 번호 따윈 없다.

당장 비트코인이 은행을 대체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절대로 대체하지 못할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은행업무를 비트코인으로 할수만 있다면 얼마나 간단하고, 깔끔하고,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까. 이런날이 곧 왔으면 좋겠다.

*공시: 스트롱벤처스는 Korbit의 투자자이다.

조금은 다른 각도의 혁신

얼마전에 저널에서 Mahindra Genze라는 전기 스쿠터에 대한 기사를 읽고 ‘혁신’에 대한 생각을 다시끔 했다. Genze가 사용하는 휴대용 배터리는 11kg 정도로 가벼운 편이어서 사용자들이 배터리만 집안에서 충전할 수 있고, 한번 충전하면 50키로 정도까지 갈 수 있다. 가격도 1,000 달러로 시중에 있는 배터리보다 1/3 정도 저렴하다. 아, 그렇지만 그냥 크기를 작게 했고 가격을 조금 더 저렴하게 한 이 배터리 자체가 혁신적이라는 건 아니다.

그전에 배터리에 대해서 조금만 더 알아보자. 배터리 기술의 발전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더디어서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건 쉽지 않다고 한다.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등에 들어가는 배터리의 용량은 잘해봐야 해마다 몇 % 밖에 증가하지 않는다고 한다. 특히 전기 자동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와 같이 사이즈가 커지면 더 복잡해진다. 단위 무게 당(1 lb)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가솔린에 20배 이상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비용으로 따지면 훨씬 더 차이가 난다: 참고로 Tesla Model S의 배터리팩 가격은 약 3만 달러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전세계적으로 배터리 기술의 비약적 발전을 위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수조원의 자금과 수천명의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이 투입되고 있다. 물론, 실험실에서는 배터리 용량을 2배로 증가할 수 있는 혁신이 매일같이 보도되고 있지만, 이 기술을 상용화 하려면 수십년이 걸릴 것이다.

Genze의 엔지니어들과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잘 쓴게 바로 이 부분이다. 이들은 앞으로 수십년 후에나 현실화 가능한 배터리 혁신을 기다리는 대신 현실과의 타협을 선택했고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 ‘혁신’을 시도했다. 어차피 배터리 용량은 크게 늘리지 못하니까 용량은 상수로(constant) 놔두고 대신 다른 부분을 변수로(variable) 이런저런 실험을 하기 시작했다. 디자이너들은 전반적인 디자인 자체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었고, 여기에 엔지니어들의 피드백과 엔지니어링이 추가된 최종 제품은 기존 전기 스쿠터보다 더 가볍고 효율적인 새로운 차원의 스쿠터 였다.
한번 충전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를 현재 기술로 구현하려면 무겁고 크고 비싸기 때문에 이들은 역발상적으로 자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구상했고, 자주 손쉽게 충전할 수 있게 하려면 무게가 가벼워서 사용자들이 가지고 다니면서 실내에서 충전할 수 있게 해야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작은 배터리로 스쿠터의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스쿠터의 무게를 줄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스쿠터 프레임을 버리고 외부 샤시를 최적화 했다. 즉, 현실과 싸워야 하는 배터리의 혁신보다는 스쿠터 전체의 혁신을 re-engineering하고 re-designing을 한 것이다.

‘혁신’이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은 Dyson의 엔지니어들도 비슷한 과정을 겪은 적이 있다. 2006년에 출시된 무선 진공청소기는 한번 충전에 7분 정도 밖에 작동하지 않았다. 같은 산업과 타 산업군의 엔지니어들은 작동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 더 기발한 배터리 연구와 개발에 집중했지만 다이슨의 엔지니어들과 디자이너들은 배터리 기술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오히려 전기모터 개발에 눈을 돌렸다. 그래서 이들이 개발한 전기모터는 타사 진공청소기 모터보다 효율이 3배 이상이고, 한 번 충전에 작동 시간을 20분까지 연장시켰다 – 배터리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서도.

조금 다른 각도의 혁신 – 앞으로 이런 사례가 더 있는지 예의주시 해야겠다.

<이미지 출처 = http://www.genze.com/>

생존을 위한 변화

10월인데도 LA에는 늦더위가 한참 기승을 부리고 있다. 오늘도 그렇지만 지난 2주 동안 내가 사는 오렌지카운티 낮 온도는 계속 32도 – 35도를 왔다갔다 했다. 그런데 재수없게 에어콘이 고장나서 Yelp를 보고 평이 좋은 수리공들한테 연락을 해보니, 날씨가 갑자기 더워진 관계로 급증한 에어콘 수리 문의 때문에 최소 2주는 기다려야 한다는 답변을 받았다. 괜히 실력없는 수리공들 불렀다가 돈만 쓰고 시간만 낭비한 경험이 있어서 일단 예약을 해놓고 2주를 기다리기로 했다. 그런데 바로 그 다음날 너무 더워서 그냥 한인 전화번호부에서 제일 먼저 눈에 띄는 번호에 전화를 했다. 왠지 영어도 어눌하고 한국어도 좀 어눌한 아저씨가 전화를 받더니 지금 가능하다고 해서 당장 와 달라고 했다.

굉장히 나이드신 할아버지가 오셨다. 경험은 많으신거 같지만 거동도 좀 불편하시고 사다리를 타고 지붕밑에까지 올라가야하는데 작업하시는 동안 내가 내심 불안했지만 나도 딱히 다른 옵션이 없어서 불안한 마음으로 바라보기만 했다. 한 3 시간 정도 작업을 하더니 에어콘/히터 본체의 control unit이 고장나서 이걸 교체해야 한다고 했다. 일단 작업을 중단하고 이 분이 다시 차를 타고 대형 공구점 몇 군데 들리신 후 비슷한 모델을 가져 오셨다(고장난 unit이 단종된 모델이라서 대체모델을 가져왔다). 다시 2 시간 정도 작업을 하더니 기존 모델에는 구멍이 2개 인데 신모델에는 구멍이 1개 밖에 없어서 연결이 힘들다고 하시면서 고개만 절래절래 흔드셨다.

오전/오후 시간 나도 다 날렸는데 인건비는 날라갔고 에어콘은 아직 고장난 상태였다. 아무것도 개선된 게 없었다. 그런데 나를 더 짜증나게 했던 건 바로 이 분의 인터넷과 기술에 대한 무지였다. 솔직히 YouTube나 eHow 같은 사이트에서 찾아보면 대체모델을 설치하는 방법이 굉장히 친절하게 설명된 동영상들이 많이 있는데 – 내가 나중에 찾아보니 상당히 많았다(다만, 봐도 내가 직접 설치를 못 한다는…) – 이런 무료 자원들을 활용하지 못하는게 상당히 답답했다. 전화기도 구식 피쳐폰이라서 직접 디지탈 카메라를 가지고 다니면서 고장난 unit 사진을 찍으면서 작업을 하셨다. 스마트폰으로 바꾸라고 말을해도 본인은 그런거 필요없다고 하면서 고객를 절래절래 저었다. 결국 단종된 모델도 내가 그 다음날 아마존에서 찾아서 주문을 했고, 배달 받자마자 다시 이 분을 불러서 결국 고치긴 고쳤지만 그냥 Yelp에서 평 좋은 미국인 불러서 처리했으면 덜 복잡했을 것이라는 후회가 막심했다.

연세도 많으시고 우리 아버지 생각도 나서 좀 불쌍하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나는 다시는 이 분을 부르지 않을 것이다. 그냥 더 기다리고 더 비싸도 조금 더 professional 하게 일하는 수리공을 부를 것이다. 세상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본인이 불편하고 귀찮다고 구닥다리 방식을 계속 고집한다면 경쟁에서 도태될 것이고 결국은 공룡과 같이 멸종할 수 밖에 없다(전에 카드사 아멕스에 대해서 비슷한 글을 쓴 적이 있다). 로케트 과학자한테도 기술과 인터넷은 중요하지만, 에어콘 수리공한테도 동일하게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