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2 퍼센트’라는 글에서 전 세계 2%의 사람들은 장기적인 혜택을 위해서 단기적인 불편함을 택하고, 이들은 이미 과거에 이렇게 남이 잘 안 가는 길을 갔을 때 받을 수 있는 보상을 이미 경험한 사람이라는 말을 했다. 오늘도 불편함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올해 9월, 10월, 이 두 달이 나에겐 꽤 길게 느껴졌는데, 이 기간에 개인적으로 내가 크게 성장했던 계기가 몇 개 있어서, 60일이 마치 600일 같았다. 짧은 기간 동안 큰 성장을 했다고 생각하는데, 그 성장은 주로 오랜 시간 동안 뭔가를 반복하고 연습해야지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기간이 더 길게 느껴졌던 것 같다. 이 성장을 견인했던 건 불편함이었다. 그동안, 아주 오랫동안 내가 꼭 했어야 하는 대화와 행동이 있었는데, 나는 오랫동안 이 대화를 피했고, 이 행동을 실행에 옮기지 않았다. 그냥 불편했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이런 경험이 있을 것이고, 지금, 이 순간에도 뭔가를 해야 하는데, 그게 불편해서 실행하지 않는 분들도 많이 있을 것이다. 나는 이런 마음속의 불편한 신호를 잘 무시하고, 그래도 실행을 잘하는 편인데, 그럼에도 이 몇 가지 일들은 생각만 해도 스트레스받고 불편해서 그동안 계속 미루고 있다가 이 중 몇 가지를 최근에 다 털어버렸다. 하기 싫은 대화를 했고, 도망가고 싶은 문제를 직면했고, 하기 싫고, 도망가고 싶은 행동을 했는데, 역시나 당시엔 상당히 불편했지만, 그 이후엔 오히려 편해졌고, 지금 생각해 보면 이 불편함에 익숙해짐으로써 나에겐 엄청나게 큰 개인적인 성장이 일어났던 것 같다. 그리고 이젠 오히려 일부러 불편한 일들을 찾아서 처리하면서, 불편함을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체력과 정신력을 키우고 있다.
성장은 편안함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편안하고 익숙한 환경에선 항상 제자리걸음만 하거나 결국엔 도태될 수밖에 없고, 실은 누구나 다 이 사실을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편함을 통해 성장하는 것보다 편안함을 통해 정체되어 있는 게 더 편하기 때문에 대부분은 그냥 불편함을 외면하고 편안함을 택한다.
새로운 걸 배우고, 더 성장하고 싶다면 불편함과 익숙해져야 한다. 그 불편함의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다. 실은 이런 내용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불편함을 받아들이는 건 매번 너무 고통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결국 언젠가는 해야 하는 일이라면, 미루는 걸 지금 당장 멈추고, 그 불편한 일을 하는 걸 권장한다. 결과는 내가 장담할 순 없지만, 본인 스스로는 이를 통해서 한 단계 성장할 것이고, 인생에 있어서 모든 것이 반복과 연습을 통하면 개선할 수 있듯이 이 불편함도 연습하면 편해질 것이다.
성장은 불편함을 받아들이고, 불편함에 익숙해지는 과정이다. 인생이 너무 편하다면, 성장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다는 의미다.
지금 당장 처리해야하는데 불편해서 미루고 있던 일이 있던차에 제목 보고 바로 클릭해서 들어왔네요. 점심시간인데.. 1시에 처리해야겠습니다 ㅎㅎㅎ..
재작년과 작년 너무 불편한, 직면하기 싫은 일들이 많았고 그래서 스트레스로 고통스러웠는데 그 때문에 작게나마 개인적 성장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정보를 주는 글도 유익하지만 공감을하게 하는 글도 참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불편함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성장에서 뿐만 아니라 특히나 이민에서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민 오신 분들 중에 한국에서는 당연히 되거나 편안하게 할 수 있었던 것들을 그 나라에서 못하면 그걸 잘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는 반면에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더라구요. 보통 불편함을 감수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몇 년 못 버티고 돌아가더라구요.
Thank you for sharing the valuable lessons you’ve learned in your life. They really help a 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