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etition

방법을 찾기

유재석 씨와 조세호 씨가 진행하는 ‘유 퀴즈 온 더 블럭(유퀴즈)’을 자주 보진 않지만, 좋은 손님을 초대해서 좋은 이야기를 꾸준히 하는 프로라고 생각한다. 얼마 전 주말에 이전 방송들을 보다가 신순규라는 분이 출연했던 편을 봤는데, 너무 좋았다.

유퀴즈에 나오는 대부분 일반인들은 특별한데, 이분은 다른 분들보다 조금 더 독특했다. 신순규 씨는 아홉 살에 시력을 잃었고, 우연한 기회에 미국으로 유학 하러 가서 여러 가지 시련과 우여곡절을 겪은 후에 현재 월가 투자 회사의 이사로 재직 중이다. 학교 졸업 후 JP모건에 최초의 시각장애인 애널리스트로 취직할 정도로 실력도 좋았지만, 실력만큼 강했던 건 이분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의지인 것 같다.

신순규 씨의 인생 이야기를 들어보니까, 후천적 시각 장애인으로의 삶 그 자체가 너무나 힘들 텐데, 눈이 보이는 사람도 힘든 증권 분석가로 지금까지 살아왔던 인생, 그리고 이분을 바라보는 세상의 편견과 싸워야 했던 인생이 내가 그냥 상상만 해도 너무나 힘들었을 것 같았다. 이분의 이야기를 듣는 내내 나는 내가 얼마나 운이 좋은 사람인지 감사하게 생각했다. 그리고, 나도 나름 인생을 치열하게 열심히 살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더 열심히, 그리고 정말 후회 없이 최선을 다해서 살아야겠다고 다짐했다.

이분의 인생 신조는 ‘일단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방법을 찾아보자.’인데, 나는 이런 태도가 무척 마음에 들었다. 아마도 시각 장애인으로 살면, 일반 사람들이 하는 대부분의 일들을 할 수 없을 텐데, 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한계가 명확한 삶을 사는 대신, 일단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걸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태도는 인생의 결과 자체를 완전히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분의 인생이 그 증거라고 믿는다.

실은 이분의 신조는 우리가 투자하는 많은 창업가들의 신조이자, 이들의 삶 자체라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창업에 대한 꿈이 있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한 방법을 찾아본다. 그런데 이렇게 방법을 먼저 찾아보면, 그 방법이 잘 안 보인다. 대부분 하고 싶은 걸 진짜 할 수 있을지 잘 모르기 때문에, 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기 위해서 방법을 찾아보면, 그 방법이 잘 안 찾아지기 때문이다. 우리가 투자한 창업가들은 대부분 방법을 찾아보고, 그 방법이 보이면 창업하는게 아니라, 일단 무조건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창업을 했고, 그리고 나서 방법을 찾아보는 사람들이다. 이렇게 하면 어떻게 해서든지 방법을 찾을 확률이 조금 더 높아진다.

바로 이전 글에서 경쟁에 임하는 태도에 관해서 썼는데,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태도가 좋은 결과를 만드는 걸 나는 자주 목격하고 있다. 창업가들은 대부분 일단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 방법을 무조건 찾아서 어떻게든 결과를 만드는 사람들이다.

경쟁에 임하는 자세

여전히 난 아침에 운동하면서 음악과 팟캐스트를 번갈아 듣고 있다. 얼마 전에 비즈니스 관련 흥미로운 팟캐스트를 들으면서 몇 가지 메모를 했었는데, 내가 평소 경쟁에 대해서 생각했던 부분과 일맥상통하는 포인트가 있어서, 내 머릿속에서 스스로 정리하는 차원에서 여기서 몇 자 또 적어본다.

미국의 한적한 휴양지 동네에 있는 작은 멕시칸 타코 식당을 운영하는 한 오너쉐프가 사업 하면서 지금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해서 이미 이 분야에서 어느 정도 성공한 선배 창업가의 조언을 듣는 인터뷰인데, 이 자영업자/창업가가 요새 밤잠을 설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나는 처음 들어봤지만, 쉐프들에게 주는 꽤 유명한 상을 받은 이 창업가는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동네에서는 상당히 유명한 타코 가게를 몇 년째 운영 중이다. 인상적인 내용은 살사(소스)를 직접 가게에서 만들고, 또르띠야랑 칩스도 외주 주문하는 게 아니라 가게에서 직접 하나씩 다 만드는, 말 그대로 수제 타코 가게인데, 이 말만 들어도 맛있을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런데 얼마 전에 멕시칸 프랜차이즈의 헤비웨이트인 치포틀레가 이 동네로 진출한다는 발표를 했고, 공교롭게도 치포틀레 매장이 이 창업가의 가게에서 그렇게 멀지 않은 곳에서 오픈한다는 공포스러운 소식 또한 발표됐다.

이 창업가의 질문은, 이런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 예상될 때, 다윗이 취할 자세와 구사할 전략에 관해서였다. 이에 대해 좋은 피드백이 많이 제공됐는데 내가 평소 경쟁에 임하는 자세와 태도에 대해 생각했던 부분과 상당히 비슷했다. 이미 대형 경쟁사와 싸워 본 경험이 있는 선배 창업가들의 피드백과 평소 내 생각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쉽지 않을 것이고, 아무리 치열하게 싸워도 질 수 있을 거라는 마음의 각오를 단단히 해야 한다.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고, 성경에서는 운 좋게 다윗이 이겼지만, 현실에서는 골리앗이 대부분 이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너무 당연한 이야기지만, 우리가 할 수 없는 것들과 할 수 있는 것들을 구분해야 한다. 우리가 할 수 없는 건, 경쟁사의 우리 골목상권 진입을 막거나 방해하는 것이다. 이미 우리 구역으로 진출하기로 했고, 이와 관련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그 어떤 것도 없다. 여기에 괜히 시간과 에너지는 쓰지 말자. 우리가 또 할 수 없는 건, 이들과 가격으로 경쟁하는 것이다. 치포틀레와 같은 대기업은 볼륨의 왕이기 때문에, 우리보다 원가는 항상 낮을 수밖에 없고, 이들이 원한다면 우리보다 항상 가격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이 가격을 낮추든 안 낮추든, 일단 우리 마진의 30%는 무조건 날아갈 것이라는 걸 명확하게 인지해야 하고, 명확하게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속수무책으로 당하기만 하지 않아도 된다. 작은 가게도 충분히 강점이 있고, 할 수 있는 게 있다. 대기업이 잘하는 게 많지만, 작은 가게가 잘하는 것도 많다. 이 타코 가게의 경우 모든 음식을 즉석에서 요리해 주는데, 이렇게 하면 맛은 월등할 수밖에 없다. 대형 프랜차이즈가 제공할 수 없는 탁월한 맛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오랫동안 이 동네에서 장사를 해서 이 가게는 이미 동네 주민 커뮤니티의 일부가 됐고, 이런 소속감과 커뮤니티십을 잘 활용하면 단골 손님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가지 나온 예시가, 지역에서 활동하는 음악인과 밴드를 매주 초대해서 라이브 음악을 들으면서 수제 타코를 먹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대기업이 잘 못 하는 고객과의 접점을 더욱더 강화해서 서비스의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것이었다.

종합하자면, 우리만의 차별점을 더 뾰족하게 만들어야 하고, 식당의 경우 이건 주로 맛과 서비스를 더욱더 갈고 닦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은, 너무나 당연한 건데, 이렇게 당연한 게 대부분 잘 안 지켜진다.

한국은 골목상권과 대기업 간의 싸움이 미국보다 더 언론화되고 큰 이슈 거리가 된다. 대기업이 골목상권에 진입하면, 우리나라의 정서상 대부분의 사람들은 골목상권과 자영업자의 편이 돼서 대기업을 맹공한다. 나도 대기업이 모든 걸 다 하면 안 된다는 생각이 강력하지만, 반대로 누구나 다 자유롭게 경쟁할 수 있다는 세상에 우리가 살고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제일 아쉽고 짜증 나는 건, 위에서 말 한 타코 가게 창업가같이 이 어려운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 치열하게 고민하는 자영업자들이 많이 없다는 점이다. 모두 다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입을 무조건 막아야 한다는 주장만 하는데, 막상 이들의 골목 빵집, 분식집, 슈퍼, 밥집에 가보면 거지 같은 서비스에 형편없는 제품을 팔면서, 힘들어 죽겠다고 불평하는 자영업자들도 너무 많다.

이 치열한 세상에서 뭐라도 제대로 하고 싶다면, 작은 경쟁이든, 큰 경쟁이든, 경쟁을 피할 순 없다. 이럴 때 우리가 경쟁에 어떤 자세와 태도로 임하는지가 매우 많은 걸 결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