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ilure

용기의 재정의

courage지난 몇 년 동안 책을 많이 안 읽었는데 한 6개월 전부터 독서를 다시 시작했다. 말콤글래드웰의 책들을 다시 읽기 시작했는데, 사람은 아는 만큼만 보인다는 말처럼 동일한 책이지만 과거에 경험이나 지식이 별로 없을 때랑 지금이랑은 읽었을 때 많은 차이가 났다. 책의 내용은 그대로지만, 내 지식이 조금 더 깊어졌고 내용을 흡수하는 능력이 질적으로 향상해서인지 더 많이 공감했다. 현재 글래드웰의 David and Goliath 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굉장히 흐뭇하게 읽고 있다. 챕터 하나하나가 주옥같고, 통찰력이 넘치는 책인 거 같다.

이 책에 ‘용기’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 글래드웰은 다음과 같은 예를 제시한다.
2차 대전 직전, 영국 정부는 독일군이 맘먹고 런던에 대해 공중폭격을 시작하면 영국이 완전히 초토화될 거라는 걱정을 하고 있었다. 윈스턴 처칠 수상은 이런 재난이 발생하면 60만 명의 사망자와 120만 명의 부상자가 발생할 것이며, 런던 시민 약 400만 명이 도심 외곽으로 피난 갈 것으로 예측했다. 폭격으로 인한 정신적인 피해는 극에 달할 것이기 때문에 영국은 런던 외곽에 정신병원까지 여러 개 만들어 놓았다.
그리고, 1940년 가을 독일군은 실제로 런던에 엄청난 공중폭격을 하기 시작했다. 57일 연속 폭격을 시작으로 그 이후 8개월 동안 런던에 수 만개의 폭탄을 퍼 부었다. 피해는 참혹했다 – 4만 명 사망, 6만 4,000명 부상, 100만 개의 빌딩 파괴. 영국 정부가 우려하던 악몽이 현실이 되었다. 하지만, 영국이 우려하던 런던 시민들의 반응에 대한 예측만은 완전히 빗나갔다.
우려했던 런던 시민들의 극심한 공포와 공황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다. 외곽에 준비했던 정신병원들을 찾는 사람들도 없었다. 폭격이 지속되고 그 강도는 더욱 심해졌지만, 오히려 런던 시민들은 동요하지 않고 더욱더 평온을 유지했다. 그들은 오히려 폭격에 대해 덤덤해지고 별거 아니라는 생각까지 하게 될 정도였다.

아무리 그래도 전쟁이고, 죽을 수도 있는데 왜 이런 예상과는 반대의 현상이 일어났을까? 2차 대전이 끝난 후 캐나다 정신과 의사 맥커디는 이 현상을 연구하면서, 폭탄이 떨어진 피해지역의 시민들을 세 분류로 구분해봤다.

첫 번째는 사망자들이다. 당연한 거지만 이들한테 이 폭격의 경험은 매우 참혹하다(이미 죽어서 그 참혹함을 남들에게 전달할 수는 없겠지만).

두 번째는 ‘간발의 차이(=near miss)’ 라고 한다. 이들은 폭탄이 명중하지는 않았지만, 그에 상응한 피해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웠던 사람들이다. 폭탄이 떨어지는 걸 목격하고, 파괴력을 직접 경험하고, 다른 사람들이 죽는 걸 목격한다. 그리고 이들이 경험하고 본 건 미래에 지울 수 없는 큰 쇼크로 남는다.

가장 중요한, 그리고 위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세 번째 부류는 ‘큰 차이(=remote miss)’ 이다. 이들은 사이렌 소리를 듣고, 공중에 떠 있는 폭격기들을 목격하고, 폭탄이 떨어지는 소리를 들은 사람들이다. 하지만, 폭탄은 멀리 떨어져서 이 ‘리모트미스’ 군은 그 어떤 피해도 받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한테 이 무시무시한 상황은 완전 반대의 작용을 한다. 이미 폭격을 생존했기 때문에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폭격이 일어나면 폭격과 연관되는 내부 감정은 극심한 공포가 아닌 ‘불사신의 맛이 약간 가미된 흥분감’ 과도 같다고 한다.

독일군의 폭격이 시작되기 전에는 공포에 떨던 런던 시민들이었지만 폭격이 시작되고 끝나고, 다시 시작되고 끝나고를 반복하면서 near miss보다는 remote miss들이 많이 생존했다. 그리고 이들은 “야, 이거 별거 아니네. 폭탄 떨어져도 살아남을 수 있네.”라는 생각을 하면서 용기가 생긴 것이다.

글래드웰은 ‘용기’를 다음과 같이 정의(재정의) 한다.

힘든 상황에서 자신을 용감하게 만드는 용기는 선천적인 게 아니다. 굉장히 힘든 상황을 극복했는데, 되돌아보니 이 상황이 생각만큼 힘들지 않았다고 느낄 때, 그때 후천적으로 습득하는 게 용기이다.

이 부분을 읽고 내가 하는 일에 대해서 생각을 좀 해봤다. 솔직히 두말하면 잔소리지만 창업해서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거나,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거 자체는 많은 용기가 필요하다. 아무도 가지 않는 길을 가는 것도 무섭지만, 그 길을 한발씩 움직일 때마다 결정을 해야 하는데 이런 결정이 창업가와 그의 팀원들을 어떤 힘든 상황으로 몰아갈지 항상 두렵다. 대부분의 결정은 틀리고, 초기 스타트업은 휘청거릴 것이다. 그럴 때마다 죽을 각오로 살아남을 방법을 찾아서 생존하고, 계속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런 결정을 더욱더 많이 할수록, 그리고 계속 죽지 않고 살아남을수록 새로운 용기가 생긴다. 왜냐하면, 망할 거 같았지만 망하지 않고 살아남았다면, 그리고 그 상황을 되돌아보면서 “죽을 거 같았는데 살아남았구나. 별거 아니네!”라고 생각할 때마다 창업가는 더욱더 용감하고 강한 사람이 되기 때문이다.

나도 이 프레임워크를 개인적인 경험에 적용해보면 공감한다. 전에 몇 번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 뮤직쉐이크 시절 2009년은 나한테 – 당시에는 – 매우 힘든 시간이었다. 12개월 동안 수입 한 푼 없이 버텼는데 그땐 정말 죽을 거 같았지만, 막상 그 힘든 상황을 극복한 후에 내가 느낀 건 마치 내가 불사신이라도 된 그런 느낌이었다고나 할까? 이 물가 높은 LA에서도 3 가족이(=사람 2명과 개 한마리) 1년 동안 수입 한 푼 없이 살았는데, 앞으로 내가 뭘 못하겠냐는 생각도 했던 거 같다. 글래드웰의 책을 읽으면서 생각해보면, 나는 그 힘든 상황을 극복했기 때문에 그 상황이 생각만큼 힘들지 않다고 느꼈던 것이고, 이로 인해서 용기가 생긴 것이다. 지금도 나는 계속 남들이 보면 참 쉽지 않은 새로운 일들을 벌이고 있는데, 2009년을 버티면서 습득한 용기 때문인지 별로 걱정이 되지는 않는다. 이 또한 주워 담으면 된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이런 용기를 습득하려면 힘든 상황들을 많이 극복해야 한다. 물론, 그런 상황 앞에서 무릎 꿇고 무너지면 안 된다. 살아남아야 한다. 그래서 나는 젊었을 때부터 과감한 결정을 하고 힘든 상황들을 경험하면서 극복하는 걸 권장한다. 그래야지 더 큰 일을 하기 위한 더 큰 용기를 습득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near miss를 경험해서 큰 충격을 받더라도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회복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릴 적부터 힘든 결정을 하고 힘든 상황을 경험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나도 20대 초반에 위에서 말한 뮤직쉐이크 상황을 경험했다면 지금쯤 더 큰 용기가 생겨서 더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을까 싶다.

<이미지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zkIWHh5XhGg>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article-2006359-0CAAF80200000578-772_638x443지난 2년 동안 한국에서는 많은 다양한 사건과 사고들이 터졌지만 전 국민을 가장 힘들게 하고 불안하게 만들었던 대표적인 사건은 세월호와 메르스인거 같다. 관련 담당자들이 – 물론, 담당자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관계는 지저분하고 복잡하다 – 제대로 신경을 썼다면 충분히 방지할 수 있었던 사고들이었지만, 그 결과는 정말 참혹했다. 대한민국과 같은 선진국? 에서는 발생하면 안되는 그런 사고들이었다.

그런데 더 걱정되는건, 과연 제2의 세월호 사건 또는 제2의 메르스 사태는 방지할 수 있을까? 우리 속담에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라는 말이 있다. 좋지 않은 의미로 사용되는 말이지만, 세상이 복잡해지고 어이없어지면서 이제 이 말은 오히려 좋은 속담이 된거 같다. 이젠 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고치면 다행인 세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대형 실수를 하지 않는게 가장 좋지만, 살다보면 실수는 할 수 있다고 치자. 같은 실수를 두 번 하지는 않는게 중요한데, 대한민국에서는 같은 사고들이 또 발생할 수 있다는 이 불안감은 뭘까.

매우 애석하고 아쉽지만, 발생한 실수는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앞으로 이런 실수의 재발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 전문가들을 적절한 곳에 배치하고, 실수를 철저히 분석해서 대응책을 잘 마련해야 한다. 비행기나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미국의 NTSB에서(연방 교통조사기관) 그 원인을 파악하는데 2-3년 까지 걸리는게 이해가 안 갔었는데 이제 조금씩 이해가 간다. 철저하게,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한 후에 정확한 사고대응 프로토콜을 만들어서 다시는 이런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인거 같다.

스타트업들도 이와 비슷한 과정을 항상 반복한다. 누구도 해보지 않았고, 정답이 없는 길을 가기 때문에 실수를 하는게 당연하다. 중요한 건, 같은 실수를 두 번 하지 않는 것이다. 정확한 측정을 통해서 원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대책과 프로토콜을 준비해야 한다. 모두가 항상 바쁘고 정신없지만, 실수를 분석할때는 시간을 충분히 들여서 근본적인 원인을 밝혀야한다. 작은 회사가 같은 실수를 두 번 하면 회사가 없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소를 잃어버리면 안 되지만, 만약 잃어버렸다면 외양간을 철저히 고쳐서 다시는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는게 중요하다.

<이미지 출처 = 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2006359/Moo-dini-Cow-unusual-intelligence-opens-farm-gate-tongue-herd-escape-shed.html>

로켓을 만드는 중학생

사진 2015. 7. 9. 오전 9 40 02얼마전에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거대한 로켓‘ 이라는 글을 썼다. 로켓을 만드는 정재협 중학생을 만나보지는 않았지만, 어떤 학생일지는 항상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제 재미있는 일이 발생했다. 구글캠퍼스 코리아(=캠퍼스서울)에서 약 한시간 동안 임정민 센터장과 불타는 창업토크를 진행했는데 갑자기 텀블벅에서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한 이 캠페인에 대한 질문을 했다. 오, 그런데 임센터장이 정재협 학생을 초청한 것이다!(이건 연출이 아니라 정말로 나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었다). 마치 ‘TV는 사랑을 싣고’ 와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

요새 중딩같지 않게 상당히 수줍음이 많은 정재협 학생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는 못했지만, 현재 로켓 부품을 주문해서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며 이번에는 꼭 성공적으로 발사하겠다는 다짐을 받았다. 성공하면 좋은거고, 실패하면 다시 시도하면 되니 너무 스트레스 받지 않았으면 좋겠다. 혹시 실패해서 다시 시도할때 또 돈이 필요하면 나한테 연락하라고 했다. 장래 희망이 뭐냐고 물어보니 “과학자입니다” 라고 했는데, 정말로 이 마음가짐을 끝까지 가지고 가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나 engineer가 되길 바란다. 이 학생의 부모님이 정말 자랑스러워 하실거 같다.

참고로 정재협 학생이 4번째 로켓을 작명할 수 있는 영광의 기회를 나한테 줬다. 4번째 로켓의 이름은 ‘Stephanie J’ 이다. 멀리멀리 날 수 있길.

<이미지 출처 = 프라이머 이정훈 팀장님 페이스북>

The Anti-network

관계 형성의 중요성‘이라는 글을 비롯해서 여러 번 강조하지만, 일의 종류를 떠나서 ‘관계’는 너무나 중요하다. 특히 창업가나 투자자 커뮤니티와 같이 좁고 서로가 서로한테 항상 평판을 확인하는 분야에서 관계와 네트워크는 두말할 필요 없이 중요하다. 아니, 어쩌면 이게 전부일지도 모른다. 우리가 투자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텀블벅이 얼마 전에 한국의 네이버와 실리콘밸리의 DCM으로부터 시리즈 A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우리도 다시 같이 참여를 했다). 모든 투자가 그렇지만 실제 계약을 마무리하기 전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많은 우여곡절이 있는데 텀블벅도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기존 투자자였던 우리와 새로 들어오는 투자자인 DCM/네이버와 상당히 많은 communication이 오고 갔었다. 네이버와 DCM 담당자들과 나는 개인적으로 이미 알고 있었고 꽤 친분이 두터웠는데, 특히 DCM 일본사무소의 파트너 Osuke Honda와는 거의 7년 동안 알고 지냈다. 오늘은 이 관계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해보고 싶다.

나는 2008년부터 약 4년 반 동안 미국에서 뮤직쉐이크를 운영했다. 특히 첫 2년 동안은 투자유치를 위해서 실리콘밸리와 LA의 VC들과 정말 많은 미팅을 했고 피칭할 기회가 있었는데, 아마도 거의 70번 이상 한 거 같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 70번의 피칭 중 투자로 연결된 건 0건이다. 투자로 이어질 뻔 한 건 2건이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DCM과 진행하던 투자건 이었다. 당시 DCM에서 뮤직쉐이크를 담당했던 심사역이 바로 지금은 파트너가 된 Osuke 였다. 같은 동양인이고 와튼 출신이라서 그런지(나는 졸업은 안 했지만) 처음부터 나한테 잘 대해줬는데, consumer 제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음악에 대한 관심 때문에 Osuke는 우리를 내부적으로 많이 밀어줬다. 투자를 한 번이라도 제대로 진행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최종 투자 결정은 창투사의 파트너들이 하는 거지만 이 파트너들을 설득할 수 있는 내부 챔피언은 바로 투자를 직접 담당하고 실사를 하는 심사역이기 때문에 심사역한테 잘 보이는 건 중요하다. 뭐, 결국에는 투자가 성사되지 않았지만 이로 인해서 나는 Osuke와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나도 이 친구가 믿을만하고 성실한 투자자라고 생각했지만, 아마도 이 친구도 내가 거짓말 안 하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을 거 같다. 아주 좋게 헤어진 거로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우린 7년 후에 다시 만났다. 이번에는 창업자-투자자가 아닌 같은 VC로 만나서 아주 좋은 회사에 공동투자를 했다. 참 재미있는 인연이다.

다른 69개 이상의 VC들과도 최대한 이렇게 헤어지려고 노력했다(그중에는 좋지 않게 끝난 경우도 있긴 있다. 내가 열 받아서 화를 버럭 내고 자리를 뜬 경우도 있는데 지금 굉장히 후회하고 있다). 그리고 7년이 지난 이 시점에서 나는 내가 당시 피칭했지만 거절당했던 대부분의 VC와 같이 – 창업가가 아니라 같은 투자자로서 – 투자할만한 스타트업과 공동투자 기회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특히 우리와 같이 초기에 투자하는 마이크로 VC들에는 후속 투자가 매우 중요한데 과거에 나와 뮤직쉐이크를 거절했던 VC들이 스트롱벤처스의 훌륭한 후속 투자 네트워크가 되었다. 내가 거절당했기 때문에 네트워크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고, 오히려 anti-network이라고 하는 게 맞지 않을까?

이 분야에서 오래 일하려면 – 솔직히 짧게 일해도 – 네트워크는 너무나 중요하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거와 같이 나를 거절하고 나를 싫어하는 사람들과의 anti-network도 상당히 중요하다.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거대한 로켓

original우리 투자사 텀블벅에 가보면 재미있는 프로젝트들이 상당히 많다. 나도 정기적으로 프로젝트들을 보는데 어제 내 관심을 끈 KMART 라는 프로젝트가 있었다. 자세한 건 프로젝트 페이지를 보면 되지만, 중학교 3학년 학생 2명이 자작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는 데 필요한 자금 40만 원을 크라우드펀딩하고 있다. 이걸 보자마자 난 자신에게 “난 중학교 3학년 때 도대체 뭘 했을까?”라는 질문을 했고, 인류와 역사가 발전할수록 인간은 당연히 진화하지만, 학생들이 그동안 많이 똑똑해지고 당차졌다는 생각을 했다.

프로젝트 오너인 정재협이라는 중학생을 나는 개인적으로 알지도 못하고 이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지켜본 것도 아니지만, 이 젊은 친구들의 패기, 실험정신 그리고 끈기가 맘에 든다. 펀딩 페이지를 본인이 직접 만들었는지, 부모님이 해줬는지, 아니면 텀블벅 팀이 제작했는지 모르지만 어쨌든 이 프로젝트를 크라우드펀딩 하려고 생각한 거 자체가 이미 생각이 앞서가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첫 번째 로켓 KR-1은 발사대가 없어서 중심을 잡지 못하고 옆으로 기울어져 실패, 두 번째 로켓 KR-2는 KR-1의 문제점을 해결해서 350m까지 올라갔지만 여기서 또 로켓이 무게중심을 잡지 못하고 실패했다고 한다. 이제 이들은 KR-1과 KR-2의 문제점을 해결한 KR-3 로켓을 고도 800m까지 올리기 위한 제작비용을 모집하고 있다. KR-3는 성공할까? 잘 모르겠다. 아마도 또 다른 이유로 실패할 거 같다. 하지만, 이 젊은 친구들은 왠지 성공할 때까지 KR-199 까지도 만들 거 같다. 이 과정에서 나는 실패와 실험이 일상이 된 우리가 투자한 많은 스타트업들을 떠올렸다.

나는 전체 목표 중 25%를 후원했다. 현재 40만 원 중 29만 원이 모였고, 11만 원이 모자란다. 11만 원이 적은 돈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주 많이 부담되는 금액도 아닌 거 같다. 막말로 친구들이랑 술 한번 안 먹으면 된다. 누군가 한방에, 아니면 여러 명이 이 11만 원을 꼭 후원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1,000원부터 자유롭게 후원 가능). 참고로 이제 3일 남았다. 텀블벅의 펀딩 방식은 목표 금액이 100% 모이지 않으면 모든 게 무산되기 때문에 40만 원이 안 모이면 이 학생들은 한 푼도 못 받는다.

나는 애들이 없어서 ‘우리 아들 생각이 나서’ 후원한 게 아니다. 한국같이 과학과 공학이 아직도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나라에서는 이런 꿈나무들이 필요하다. 이들이 성공해서 주위 친구들도 이런 좋은 실험에 동참하게 만들어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이들이 대학에 진학하고 졸업할 때 제발 이런 과학적 마인드를 계속 유지하고 이 분야에 종사할 결정을 하면 좋겠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이 지금 당장 더 많이 필요한 건 변호사, 회계사, 선생, 의사, 공무원이 아니라(친구들 미안~) 엔지니어, 과학자 그리고 창업가들이다. 정재협 학생이 Elon Musk의 SpaceX와 같은 회사를 만들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계속 도전하길 바란다. 실패하고, 고치고, 또 실패하고, 또 고치고 하다 보면 언젠가는 근처에는 갈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3학년 학생 두명이서 날리는 거대한 로켓 발사~~] 후원하러 가기


<이미지 출처 = https://tumblbug.com/ko/kmart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