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Two Great Minds and America

실은 이 사진에 대해서는 전에 블로그를 통해서 간단하게 몇자 적은적이 있다. 세계의 갑부 1, 2위인 마이크로소프트 회장 빌 게이츠와 Berkshire Hathaway의 회장 워렌 버펫이다. 이 사진을 스탠포드 대학교 동문잡지를 보다가 처음 발견하였는데 그 당시 너무나 부럽고, 여유있고 마음이 푸근해지는 광고였다. NetJets라는 전용 제트기를 만드는 회사의 광고인데, 우리가 아는 많은 갑부들이 NetJets 제트기 하나씩은 가지고 있는거 같다. 골프선수 타이거우즈, 테니스 선수 로저 페더러, 사진속의 빌 게이츠와 워렌 버펫 등등…

세상에서 돈이 제일 많은 두 사람이 편하게 앉아서 1달러짜리 포커 노름을 하는 광경이란…나도 빨리 돈 많이 벌어야겠다는 다짐을 항상 하게하는 이 광고를 몇일전에 Fortune 잡지에서 또 봐서 여기서 다시 한번 공유한다. 돈을 많이 벌어서 전용제트기를 사겠다는건 아니고 – 내가 그렇게 큰 돈을 만져보지 못해서 그런지, 나는 돈이 아무리 많아도 요트나 제트기에는 욕심을 안 가질거 같다 – 그냥 자잘한 돈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이 두사람의 peace of mind가 너무 부럽다.

Keeping America Great“라는 CNBC의 Town Hall Event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09년 11월에 빌 게이츠와 워렌 버펫이 Columbia 경영 대학원에서 90분짜리 간담회를 한 적이 있다. 사회자의 질문 (주로 미국의 경기와 경제, 그리고 미국의 가능성에 대한)에 대한 두 사람의 편안하고 개인적인 의견을 약 700명의 예비 Columbia MBA들과 공유하였고, 그 이후에는 참석한 학생들과 질의응답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나도 이 방송을 한시간 반 동안 다 봤다. 아버지 잘 만나서 부자가 된것도 아니고, 빠칭코 사업으로 돈을 벌지도 않았고, 졸부도 아닌 정말로 스스로 열심히 일해서 큰 부와 명예를 획득한 이 두명의 great minds의 입에서 나오는 말들은 하나같이 주옥같은 말들이었다. 모든 내용을 여기서 공유하고 싶지만 시간도 없고 공간도 없고 (구글의 서버 공간을 사용하고 있지만) 해서 이 90분 동안 가장 인상깊었던 이야기 2가지를 잠시 언급하고 넘어갔으면 한다.

1. 워렌 버펫의 컬럼비아 MBA 학생들을 위한 $100,000 짜리 오퍼와 $500,000 짜리 조언에 대해서:
“여기 앉아있는 학생들의 졸업 후 미래 수익의 10%를 받는 대가로 지금 당장 제가 100,000 달러를 제안드리겠습니다. 관심있는 분은 끝나고 나랑 잠깐 개인적으로 이야기 하시죠….(웃음과 박수). 그대들의 10%의 가치가 100,000 달러라면 여러분들의 실제 몸값은 백만달러라는 말이 되겠죠? 자신들의 몸값을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하나 가르쳐 드리죠. 나도 학교졸업하기전에 그렇게 했어야하는건데…몸값을 높이려면 communication 스킬을 익히세요. 학교의 정규 코스에서 가르쳐주는건 아니라서 나도 Dale Carengie 교육을 통해서 웅변을 배웠습니다. Communication 스킬을 향상해서 스스로의 몸값을 50%만 높이면 몸값이 500,000 달러 증가하겠죠. Communication 수업을 들은 후에 저를 찾아오면 150,000 달러를 드리죠 (웃음과 박수)”

2. 사회자인 Becky Quick이 다음과 같은 마지막 질문을 하였다. “If America was a stock, would you buy it? (미국이라는 나라가 주식이라면, 사시겠습니까?)”. 빌 게이츠와 워렌 버펫의 대답은 YES 였다. Subprime mortgage 사태로 인해서 미국에서 시작한 경제위기가 전세계를 위험에 빠뜨렸고, 회복하려면 아직도 많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미국인들 특유의 추진력, 창조력, 가능성 그리고 잠재능력을 믿기 때문에 두분 다 미국의 미래는 매우 밝다는데 한표를 던지는 분위기였다. 나도 이와 비슷한 답변을 할거 같다. 미국이라는 나라가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이라면 빚을 내서라도 살것이다. 많은 경제/사회 전문가들은 이제 미국이 세상을 lead하는 체제는 끝나고 중국을 선두로 아시아가 세계 경제활동을 주도할것이라고 예측을 하고 있지만 나는 아직도 – 빌 게이츠와 워렌 버펫과 같이 – 미국의 미래는 너무나 밝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여기서 언급하는 빌 게이츠와 워렌 버펫과 같은 great minds를 가진 비즈니스맨들과 오늘과 같은 연휴에도 세상을 바꿔보려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entrepreneur들이 아직 미국에는 많이 있기 때문이다. 아니, 많은 정도가 아니라 해마다 그 숫자는 늘어나고 있다.

“세상이 바뀌고 아무리 시대가 어렵다고 해도 바뀌지 않는것들이 있는데, 지난 100년 동안 entrepreneurship을 토대로 꾸준히 진화하고 발전해온 시대정신이 아주 대표적인 예입니다. 미국은 혈기왕성하고 야망에 찬 개척가 (maverick)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일시적인 불경기나 시대의 어려움은 이러한 창업가 정신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겁니다 .”라고 저명한 칼럼니스트이자 작가인 Michael S. Malone이 말하였는데, 창업가들과 창업가 정신이 미국땅에 존재하는 한 나는 미국이라는 주식을 구매할것이다.

“한국이라는 나라가 주식이라면 나는 과연 살까?” 내 현재 대답은 straight” NO” 이다. 솔직히 이 질문에 대해서 대답을 하기전에 나는 잠깐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해봤다. “우리 나라에서 이런 토크쇼를 개최한다면 어떤 2명의 비즈니스맨들이 나와야할까?” 과연 Korea’s Great Minds라고 할만한 사람들이 한국에 있을지도 의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광고에서 가장 눈에 띄고 볼때마다 항상 나를 자극시키는 문구:
“빌 게이츠는 1999년에 NetJets의 소유자가 되었고, 워렌 버펫은 1995년에 NetJets를 하나 샀다. (그리고 1998년에 회사를 통째로 사버렸다)”

Microsoft 주식을 지금 사야하는 이유

많은 Web 2.0 entrepreneur들과 나는 공통점들도 많지만 다른 점들도 많다. 그 중 하나가 (at least here in Silicon Valley) GoogleApple보다 나는 Microsoft의 팬이라는 점이다. 글쎄…나도 왜 그럴까 여러가지 생각을 해봤지만, 아무리 생각해봐도 나는 마지막에 웃는건 구글도 애플도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일거거 같다. 이유를 나열하자면 책 한권을 쓸 수 있지만, 오늘은 아니고…그냥 다른 각도에서 이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나는 주식 투자를 잘하지 못한다. 1999년도에 등록금을 “삥땅”해서 왕창 산 노키아 주식이 하루아침만에 70% 폭락했고, 내가 전에 근무하던 ValiCert란 회사의 주식은 결국에는 휴지 처리를 해야만 했다. 그래도 이 멍청한 investor한테 누군가가 “요새 뭐 사야합니까?”라고 물어본다면 1순위는 MICROSOFT이다. 특히 요새같이 주가가 많이 하락한 시점에 투자를 한다면 반드시 앞으로 2-3년 후에는 5x 정도의 return을 맛볼수 있을거다. PC 소프트웨어 시장의 90%를 독점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지만, 현재 주가는 이해못할 정도로 바닥을 치고 있다. 지난 12개월 동안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약 42% 하락을 하였다. 물론 전체적으로 시장이 안 좋은 이유도 있지만 같은 industry의 blue chip인 Apple, IBM, Oracle이 20% ~ 25%만 하락한거와 비교해 보면 좀 많이 떨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이 적기인것이다.

1. 마이크로소프트는 아직도 현금을 찍어내는 공장이다. 2008년 12월31일 부로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지고 있는 현금은 자그마치 24.7조원이었고, 2009년에만 19.5조원의 free cash flow가 추가적으로 생길거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2. 또한, 상당히 시장에서 반응이 좋은 Windows 7 출시가 공식적으로 발표되면 마이크로소프트 주식은 큰 push를 받을거라고 확신한다.
3. 많은 사람들이 마이크로소프트 OS의 독점적인 위치가 계속 새로운 경쟁사들로부터 위협을 받을 것이며, 이러한 불안 요소들이 주가에 반영이 될수밖에 없다고들 하고 있다. 물론, 다 맞는 이야기들이지만…애플한테 마이크로소프트는 시장점유율을 내주었지만, 실제로 보면 2% 밖에 안되고, 구글의 공짜 툴들로 인해서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들의 인기가 하루아침에 죽지는 않을것이다. iPhone과 BlackBerry로 인해서 Windows Mobile의 시장점유율은 만년 제자리이지만, 역사가 보여주듯이 mobile 쪽의 변화는 하루아침에 생기지는 않는다. 즉, 내가 하고 싶은 말은…마이크로소프트의 독점적 위치가 위협을 받고있다는 견해에 대해서 나는 100% 동의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business model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기까지는 수년 심지어는 수십년이라는 시간이 걸릴것이다.
4. 경쟁자들이 이렇게 눈에 쌍라이트를 켜고 덤비는 동안 그러면 MS는 가만히 있을까? 절대 아니다. 최소한, 내가 아는 마이크로소프트는 큰 덩치에 비해서 상당히 빨리 움직일 수 있는 기동성을 가지고 있는 회사이다. 또한 모든 전략을 1-2년으로 보지 않고 10년 단위로 보고 항상 long-term 전략을 세운다. 기동성, long-term outlook, 그리고 여기에다가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지고 있는 현금을 더해보면 그 어떠한 경쟁자가 덤벼도 이길 수 있는 쿠션이 생길것이다.

그러니까 마이크로소프트의 주식을 지금 사둬라…나도 요새 조금씩 계속 사고 있다.

언젠가는 한번 해보고 싶은 patent “trolling”

Patent (특허)라는 말은 어떤 industry에 종사하던간에 누구나 다 들어본 말일 것이다. 특허와 관련해서 내가 최근 몇년 동안 가장 많이 보거나 들어봤던 기사나 말들은 특허로 인한 소송이나 분쟁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인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미국의 HP와 IBM은 엄청나게 많은 특허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특허를 많이 가지고 있는 기업들은 이 특허를 이용한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의 이윤을 창출해주는 PC, 모니터, 의료기기 등의 제품들을 제조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특정 제품을 제조하지 않고 그냥 특허를 계속 모으고 있는 회사를 하나 소개할까 한다. Intellectual Ventures라는 회사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천재 CTO였던 Nathan Myhrvold가 설립한 회사이다. 최근 몇년 사이에 이 회사를 통해서 Nathan은 약 2만개가 넘는 특허를 (그 분야는 레이저에서 컴퓨터 칩과 같이 매우 다양하다) 조용히 긁어 모아왔으며 덕분에 이제 공식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특허 보유자 중 한명이 되었다. 이렇게 많은 특허를 가지고 Intellectural Ventures가 특정 제품을 제조하는게 아니라 생존하기 위해서 이런 특허가 필요한 대형 기술 회사들 (삼성, IBM, 제록스 등) 한테 큰 돈을 받고 특허를 licensing하고 있다.

상당히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 Intellectual Ventures와 같은 회사들이 최근들어서 하나둘씩 생기기 시작하였는데, 이렇게 실제 제품을 만들지는 않지만 특허를 구매하여 licensing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기업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사람들은 “patent troll”이라고 한다. 이 블로그를 처음부터 계속 follow 하셨던 분들은 BlackBerry와 NTP라는 회사에 대한 글을 기억하실거다. 바로 이 NTP라는 회사가 전형적인 patent troll 중 하나이다. 물론 Intellectural Ventures와 같이 큰 스케일로 일을 하지는 않지만.

올해 49세인 Nathan Myhrvold는 물리학 박사 출신의 과학도로써 한때는 스티븐 호킹 박사 밑에서 양자역학을 공부하였으며,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특허가 50개가 넘는 발명가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그 자신 자체가 특허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 더 잘 이해를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Bill Gates가 개인적으로 가장 신뢰하였던 마이크로소프트 경영진 중 한명이었으며 공룡 화석 발굴, 외계 생명체 탐험 및 프랑스 요리와 같이 과학 외의 다양한 interest를 추구하고 있다 (나도 돈만 많으면 하고 싶은건 정말 많다..). 8년전 마이크로소프트의 CTO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같은 지역인 시애틀에서 Intellectual Ventures를 창업 하였으며, 그 명성에 걸맞게 처음부터 대기업들로부터 투자를 많이 받아서 이 비즈니스를 시작하였다. 대기업들이 이런 patent troll에 돈을 투자한데는 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적군들이 특허를 취득해서 본인의 생존을 위협하는 리스크들을 사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Verizon이나 Xerox와 같은 회사들도 이런 이유 때문에 특허를 많이 구매하지만, 그렇다고 하루 24시간 레이다망을 켜놓고 어떤 특허가 새로 나왔고, 이걸 얼마에 사야하는지 고민할 수가 없기 때문에 Myhrvold 씨를 아군으로 생각하고 이렇게 막대한 돈을 투자한거다. 7월달에 Verizon은 약 3,500억원을 특허와 관련된 회사들에 투자를 하겠다는 발표를 하였는데 이 중 Intellectual Ventures에 큰 비중을 투자한걸로 알고 있다. 현재 Intellectual Ventures는 약 400명의 직원들이 일을 하고 있으며, 많은 직원들이 특허 변호사들이다. 이 많은 직원들한테 월급을 주는 방법은 일반 hedge fund, venture capital, private equity 회사들과 크게 다를바 없다. 투자자들의 돈을 굴려주고, 돈을 관리해주는 대가로 2%의 fee를 챙기고 있다. 이 2%는 투자금이 return을 만들던 안 만들던간에 챙기는거고, 수익을 낼 경우에는 또 특정 %를 챙긴다. 쉽게 말하자면, venture capital은 LP들로 부터 받은 돈을 startup 회사들에 투자를 하고, 이 startup들이 상장하거나 다른 회사에 팔려서 exit을 하면 그 이득을 다시 LP들한테 재분배는 모델을 Intellectual Ventures는 startup 회사들이 아닌 ‘특허’에 적용을 하고 있는거다.

이러한 비즈니스에 대해서 일반인들은 항상 그렇듯이 두 부류로 나뉜다. 나같이 “와! 왜 나는 이런 생각을 못했을까…욜라 부럽네..”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저런 쓰레기 같은 놈을 봤나. 남의 살을 갉아 먹으면서 돈을 버는 벼룩같은 놈들..”이라고 욕을 해대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다. 뭐, 어떤게 맞는 건지에 대해서는 정답은 없지만 나야 항상 그렇듯이 실용적으로 생각하고 싶다. 한국도 분명히 여기저기 대학교나 개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특허 중 향 후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 많을텐데, 이런 회사를 통해서 싹쓸이 하면 돈을 잘 벌 수 있을거 같다.

Myhrvold씨는 patent trolling에 대해서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는 사람들한테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우리 회사의 비즈니스에 대해서 잘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남을 고소하려는 목적으로 특허를 사는게 아닙니다. 실제로 우리는 여태까지 특허 관련된 소송에 휘말린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확인해 봤으며, 맞는 말이다). 우리가 이 비즈니스를 하는 이유는 두가지인데 발명가와 대기업이 서로 win-win할 수 있는 mechanism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돈도 없고, 대기업과의 끈이 없는 작은 개인 발명가들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를 대기업들이 껌값에 강도질하는 불상사를 우리와 같은 회사와 일을 하면 막을 수 있으며, 대기업들도 나쁜 사람들/회사들 (NTP와 같은 ㅎ)이 기업의 생존을 위해서 필요로한 특허를 손에 넣어서 평생 고소하고 괴롭힐 수 있는 소지를 사전에 근멸할 수 있습니다. Intellectual Ventures는 바로 이런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서 탄생한겁니다.”

Microsoft Coffee Chat

오늘은 컨디션이 별로 좋지 않았지만 매우 일찍 일어났다. 오전 8시에 Cosi 2층에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하는 와튼 동문들과 간단하게 커피를 마시면서 MBA summer internship이나 full-time employment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Coffee Chat 세션이 있었다.

4월 Welcome Week때 신입생을 위한 small group dinner를 host하였던 와튼 ’07년 졸업생 Vladimir Cole과 와튼 동문 6명이 와서 1학년들과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정보를 교환하고 있었다. 여기 온 마이크로소프트 사람들은 Corporate Strategy Group과 Product Management Group에서 대부분 일하고 있었으며 Vlad는 Xbox 360 제품을 담당하고 있는 수많은 Product Manager 중의 한명이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해봐서 회사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만, 내가 관심있었던 Corporate Strategy Group의 사람들을 더 만나보고 싶었다. 이 그룹이 주로 하는 일은 Bill Gates (이제 곧 회사를 그만 둘 거지만…아직도 마이크로소프트 하면 Office나 Windows보다 빌 게이츠를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나 Steve Ballmer를 보좌하는 팀으로써 말 그대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미래 전략을 정의 하는 그룹이다. 마이크로소프트에는 워낙 똑똑한 사람들이 많이 있지만, 특히 이 그룹에는 인텔리들이 많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Harvard MBA, Stanford MBA, Wharton MBA 출신이다…

이 그룹에서 내가 특히 관심있는 업무는 바로 strategic investment/acquirement이다. 즉, Microsoft가 새로운 분야로 진출하려고 할때 이 분야에 이미 진출해 있는 다른 회사를 인수함으로써 비즈니스를 하냐 아니면 모든걸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로 개발해서 무에서 시작하냐를 결정한 후, 다른 회사를 인수/합병하기로 결정하면 인수할 기업의 가격을 정하고, 인수 후 계획을 세우는 업무이다. 일종의 venture capitalist 작업이지만 기업 내부의 corporate venture capitalist인 샘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단점도 많이 있지만, 장점이 훨씬 많은 회사임이 확실하다. 그리고 그 장점 중 가장 손꼽을 수 있는 부분이 바로 smart people이다. Google로 많은 고급인력이 유출되는것도 사실이지만 아직도 많은 학생들과 IT 관련자들이 마이크로소프트를 존경하는 이유는 바로 이 똑똑한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sheer intellectual power가 아닐까 싶다…

Would I like to go back to Microsoft? 아니…그래도 싫다…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