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는 프라이머의 10기 데모데이가 1월 19일 건설회관에서 성황리에 진행됐다. 실은 5분 안에 어떤 팀이, 어떤 문제점을, 어떤 솔루션으로 해결하는지 설명하는 건 쉽지 않다. 이번에 발표한 19팀 모두 짧은 시간 동안 적은 돈으로 열심히 제품을 만들고, 시장의 반응을 테스트하면서, 항상 꿈꿔왔던 꿈을 현실로 만들고 있는 실행가들이다. 꿈을 현실화하는 이 과정을 5분 안에 압축, 발표하기 위해서 모두 나랑 같이 3번의 리허설 시간을 가졌다. 어떤 대표는 청중을 압도하는 타고난 발표가 이지만, 대부분 무대 공포증에 시달리는 초기 사업가들이다. 데모데이 때마다 느끼는 건데, 발표 당일이 되면 나는 항상 조마조마하지만, 모든걸 직접 부딪히면서 해결해야 하는 창업가라서 그런지, 다들 실전에는 매우 강한 프라이머 팀들이다.

일 년에 두 번 하는, 매번 같은 포맷으로 진행되는 데모데이 행사이지만, 그 현장을 지켜보고 있자면 항상 흥분되고, 짜릿하다. 19팀 중 나는 3개의 팀과 약 3개월 동안 매주 만나면서 집중적으로 같이 일할 수 있는 특권을 누릴 수 있었는데, 대표이사들이 많이 배웠고, 감사하다는 말을 나한테 항상 한다. 그런데 내가 말하고 싶은 건, 실은 이 팀들이 나한테 뭘 배운 거보다는 내가 이 팀들한테 배운 게 훨씬 더 많다는 것이다. 전반적인 비즈니스 경험은 프라이머 스타트업보다 내가 조금 더 많고, 대부분 대표이사보다 내가 더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시행착오를 했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를 더욱 많이 할수록 생기는 편견과 고정관념,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급증하는 변화와 새로운 시도에 대한 두려움과 귀찮음을 극복하는 방법을 나는 프라이머 회사들한테 배우기 때문이다. 우리 아버지도 이런 행사를 좋아하셔서 10기 데모데이에도 오셨다. 복잡한 비즈니스들도 있어서 피칭을 모두 다 이해하시지는 못했지만, “이런 행사에 오면 늘 젊어지는 느낌이다”라는 문자를 보내주신 걸 보면, 위에서 내가 말한 것과 비슷한 생각과 영감을 받으신거 같다.

최근에 우리보다 더 복잡한 투자를 하는 선배가 “기홍아, 너도 어서 펀드 규모를 키워서, 재무제표도 좀 보고하는 투자를 해야지.”라는 말씀을 하셨다(프라이머나 스트롱이 투자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재무제표가 큰 의미가 없다. 매출도 없고, 비용이라곤 월급밖에 없는 초기 스타트업들의 재무제표를 볼 필요가 별로 없고, 실은 나는 재무제표를 봐도 잘 이해하지 못한다). 대부분의 VC가 시간이 지나면서 투자를 더 많이 하면, 펀드 규모를 키우고, 투자 규모도 키우고, 투자인력도 더 늘린다. 그런데, 솔직히 나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리고 투자를 더 많이 할수록, 작은 규모의 펀드를 운용하면서, 계속 초기투자를 하고 싶은 마음이 강해진다. 복잡한 걸 싫어하고, 많은 사람을 관리하는 걸 싫어하는 성격 때문일 수도 있겠지만, 나는 아무래도 초기기업들과 밀착하게 일하면서 같이 성장하는걸 즐기는 거 같다. 한국으로 온 후에, 이런 걸 부쩍 많이 느끼고 있다.

자전거 처음 배울 때를 모두 기억할 것이다. 중심을 못 잡고, 넘어질까 봐 무서워서, 보조 바퀴를 이용하다가, 조금 자신감이 생기면 보조 바퀴를 제거하고 뒤에서 누군가 자전거를 잡아준 상태에서 앞으로 천천히 나아간다. 그러다 어느 순간에 자전거를 뒤에서 잡아주던 손을 놓고, 스스로 페달을 열심히 밟으면서 전진한다. 아마도 뒤에서 자전거를 살짝 잡아주는 이 역할이 나한테는 큰 보람을 주는 거 같다. 실은, 손을 놓자마자 바로 꽈당 넘어지는 자전거들이 더 많은데, 그러면 다시 잡아주면 된다. 반면에, 어떤 자전거들은 손을 놓자마자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나아간다.

It’s all g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