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生生MBA리포트] 다시 한 번의 기회를 줄 수 있는 MBA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씨는 와튼스쿨(Wharton School) 졸업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고, 할 수도 없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대학을 졸업할 당시에는 최선이라고 생각했던 직장과 직종이 만족스럽지 않을 때, 천직이라고 생각했던 일이 애초의 기대와는 너무나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막상 사회에 나와 보니, 대학 다닐 때 조금만 더 발품을 팔고 멀리 봤더라면 찾을 수도 있었던 더 좋은 커리어 기회가 뒤늦게 눈에 보이기도 합니다. 아니면 괜찮았던 업종이, 경제의 소용돌이 가운데에서 부정적인 암운이 드리우면서 전망이 급격히 나빠지는 일도 있고, 맞벌이하고 자녀를 키우면서도 별 희망이 없는 삶에 한탄하기도 합니다. 물론 the grass is always greener on the other side of the fence(남의 떡이 더 커보인다라는 의미)라는 말도 있지만, 냉정하게 현재와 미래를 고려해 봤을 때 더 늦기 전에 다른 길을 찾는 것이 낫겠다는 판단이 들 때는 어떻게 할까요? 일부 사람들은 로스쿨이나 의전원에 가기도 하지만, 이미 그렇게까지 극단적인 변화나 긴 시간을 투자할 수 있는 형편이 아니거나, 법이나 의료분야와는 적성에 맞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럴때, MBA는 분명 커리어를 바꾸면서 한번 더 점프할 수 있는 second chance가 되기도 합니다.

제가 MBA 를 하면서, 혹은 MBA Admission Consultant로 일하면서 만났던 많은 분들은 이러한 커리어 점프에 성공하신 경우들 입니다. 재계 26위 기업 재무팀에 다니다가 MBA 이후 국내 사모펀드에서 일하시는 분도 계시고, 모 대기업 상사에 근무하다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사모펀드 중 하나에서 일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한국에서 회계사로 일하다가 MBA를 거쳐 지금은 맨하탄의 글로벌 금융회사에서 MBA 이전의 몇 배의 연봉을 받고 승승장구하시는 분들도 여럿 있습니다. 국내 외국계 회사에서 근무하시다가 지금은 빅3 컨설팅사의 서울 오피스에서 컨설턴트로 일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물론 해외취업, 혹은 커리어 전환 자체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왠지 ‘이미 닫혀버린 것 같은’ 커리어 점프의 기회를 MBA가 다시 한번 제공해 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MBA가 모든 업종에, 모든 사람에게 제2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합리적인 지원자라면, MBA를 거치면 어떠한 기회를 잡기가 쉬워지는 것인지, 그것이 ‘나’에게도 해당되는 지에 대해서 심사숙고해 봐야 합니다. 우선, MBA에서 커리어 전환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출발점에서 너무 멀리 오지 않았어야 합니다. 즉, 가능하면 젊은 지원자가 유리합니다. 물론 유관산업 및 유사한 function으로 전환하는 것은, 보다 긴 경력으로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아예 다른 업종이나 function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커리어 체인지는 다릅니다. 하나의 산업/직종에 들어가서 일한 지 3년, 혹은 길어도 5년 이내인 편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회사들은 커리어 체인저를 평가할 때, 해당 지원자가 좋은 MBA 과정에 합격했다는 것 자체를 일종의 screening 절차로 보지만, 사실 MBA 이전에 쌓은 네트워크나 업무상 스킬 자체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컨설팅으로 전환하는 많은 이들은 비영리법인부터 광고회사까지 다양한 경력을 가진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MBA 이전의 회사에서 아주 긴 시간 일을 했다면, 그 시간과 경험을 무시하고 새로 시작하는 것은 지원자 본인에게도 큰 낭비일 뿐더러, 회사 입장에사 보는 learning potential 면에 있어서도 좋지 않습니다. 동일한 학교에서 같은 회사에 지원하는 두 사람이 있을 때, 한 명은 3년의 경력(30세), 다른 한 명은 8년의 경력(35세)이라면,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전자가 더 유리합니다. 게다가 요즘은 좋은 학교들을 중심으로 나이가 적은 지원자를 선호하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길이 아니다 싶으면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방향을 트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번째로는, 해당 커리어의 문이 넓으면 넓을수록 유리합니다. 즉, 애초에 들어가기가 어려운 곳은 커리어 전환도 하기 어렵습니다. 유관경력이 없는 지원자에게는 더구나 그렇습니다. MBA에 가서 커리어 전환의 가능성이 확실히 높은 곳은 McKinsey, BCG, Bain과 같은 글로벌 컨설팅 사나 은행(투자은행 뿐 아니라 일반은행도 포함)처럼 MBA 를 많이 뽑는 곳 입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문득 주변을 돌아보니, 학교다닐 때는 조용하던 동기 몇몇이 높은 연봉을 주는 컨설팅사나 외국계 금융회사에 취직한 것을 보고 뒤늦은 후회를 하신 분들이라면 분명 MBA가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로는, 특히 미국내 취업을 염두에 두신 분들의 경우에는, 단순히 영어 뿐만 아니라 미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친화력이 높을수록 유리합니다. 최근 썸머인턴 인터뷰를 하시던 1학년 재학생 분이 마이크로소프트사 인터뷰에서 특정 콘솔게임에 대해서 이해하는 문화적 인지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감했다고 하신 적이 있어서 깊이 공감한 적이 있습니다. 본인에게 편하지 않은 것, 익숙하지 않은 것을 배우고자 하는 자세, 먼저 손을 내밀고 자기를 낮추어 다가가려는 자세가 있는 분일수록 새로운 커리어 체인지의 문은 열리게 됩니다.

불만족스럽거나 정체된 커리어, 불안한 미래의 대안으로 MBA를 고려하고 계시다면 정말로 하시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를 깊이 고민해 보세요. MBA를 통한 커리어 전환의 가능성이 얼마나 될 지를 냉정하게 판단해 보시길 권합니다. 직접 상담을 원하신다면 mbaparkssam@gmail.com 으로 이메일을 주시길 바랍니다.

*블로그 주인장 의견 – 저는 영어 구사나 에세이 작성에 있어 큰 어려움이 없어서 MBA 지원할 때 학원 또는 컨설턴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직접 해결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지원하는 많은 분들은 도움이 필요하고, MBA 어드미션의 경쟁률이 계속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능력있는 컨설턴트와 함께 지원 작업을 하면 합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저도 많은 MBA 컨설턴트들을 알고 있지만, 박은정 선생님 만큼 학생들의 합격에 대해서 고민하고 집착하는 분은 별로 보지 못 했습니다. 혼자 준비하면 모르겠지만, 컨설턴트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한 번 연락해보세요.

교육, 질문, 그리고 창업

전에 내가 쓴 글에서 나는 한국 창업가들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는 바로 영어가 우리의 모국어가 아니라고 했고, 일을 하면 할수록 이걸 실감하고 있다. 그런데 또 한가지의 약점을 집으라고 하면 바로 한국의 ‘교육’ 이라고 하고 싶다. (이 또한 전에 말한 적이 있는데) 한국은 문제점들이 많이 존재하는 나라이다. 이런 문제들은 창업가들한테는 기회가 되기 때문에 이런 각도에서 보면 한국은 창업하기에는 매우 좋은 조건 또한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문제들을 조금 더 깊게 들어가서 보면 미국과 표면적으로는 비슷할지라도 그 정도가 한국이 조금 더 심각하고 해결하기가 어렵다는걸 많이 느낀다.

비슷한 문제라도 그 어려움의 정도가 더 심하다면 그 해결방안도 더 정교해야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창업가들은 그냥 미국의 방식을 맹목적으로 카피하거나, 문제점들의 표면만 긁고 있다는 걸 요새 많이 느끼고 있다. 이런 1차원적인 사고가 실행으로 옮겨지면 겉으로는 멀쩡하지만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반쪽자리 제품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런 제품들은 절대로 오래 살아남을 수가 없다. 고객이 아무리 멍청해도 몇 번 사용해보면 크게 도움이 되지 못 한다는걸 금방 알아채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한국의 모든 스타트업이 이런 후진 제품을 만드는건 아니다. 아주 뛰어난 회사들과 창업가들도 많고, 이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제대로 된 환경이 조성되려면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아무리 복잡해도 그 문제를 여러개의 작고 덜 복잡한 문제들로 쪼개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면 가장 중요한게 질문을 하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공교롭게도 ‘질문’ 분야에 있어서는 한국은 전세계 꼴등이다. 그 누구도 “왜?” , “어떻게?” 와 같은 기본적인 질문도 하지 않고, 하면 괜히 사람 귀찮게 한다고 뭐라고 하는게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왜 우리는 질문을 하지 않을까?

학자들이 더 잘 알겠지만 한국의 교육, 학교 그리고 선생들의 문제가 크다고 본다.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우리의 교육은 사회의 모든 현상을 각자의 시각에서 독창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지 않고, 누군가 만들어 놓은 해석을 암기하고 이와 다른 해석은 틀렸다고 생각하게 주입한다. 15년 이상 이런 방식으로 교육을 받다보면 당연히 질문을 할 수도 없고, 해도 안되는 그런 사고방식을 키우게 된다. 그러다보니 문제가 보이면 뭐가 틀렸는지 스스로 질문하면서 정확한 해결책을 찾기 보다는 기존에 내가 배우고 알던 범위 내에서 계속 그 해결책을 찾으려고 하고 그렇게 해서 찾은 해결책은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답을 제공할 수가 없다.

며칠 전에 우연히 EBS 수능 강의를 잠깐 봤다. 물리학이었고 오목/볼록 렌즈에 대한 강의였는데 정말로 까무라치게 놀랐던 건 내가 고등학교 3학년 때 – 그러니까 23년 전 – 배웠던 수업 내용과 동일하는 점이었다. 뭐, 물리학이라는게 변하는 건 아니지만 23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이 자연의 현상을 주입식으로만 가르치는 걸 보니 기분이 좋지는 않았다. 선생의 말도 거의 똑같았다. “자, 다른 건 다 필요없고 렌즈에 대해서는 이 그림만 외우면 끝!” 선생이 이렇게 마무리를 하는데…그림 하나만 외우면 끝이라는데…누가 질문을 할 것인가.

알파고 때문에 한국이 난리인데, 알파고를 만든 데미스 하사비스같은 인물이 한국에서 나오려면 어릴적부터 질문을 많이 하고,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만드는 교육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 다행히 내가 일하는 스타트업 분야의 창업가들은 그나마 질문들을 좀 하는 편인데 앞으로 더욱 더 많은 질문들을 하면서 문제의 본질을 더 잘 파악해 주면 좋겠다.

[生生MBA리포트] 여성 비즈니스 리더와 MBA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씨는 와튼스쿨(Wharton School) 졸업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고, 할 수도 없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시총 175조원에 달하는 펩시의 CEO인 인드라 누이(Indra Nooyi), 처음으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 GM 사의 CEO로 임명된 메리 바라(Mary Barra), 그리고 Lean In 이라는 책으로 전세계 커리어우먼들에게 반향을 불러 일으킨 페이스북 COO 셰릴 샌드버그의 공통점은? 세계 경제를 이끌어나가는 유명한 비즈니스 리더들이라는 점 뿐만 아니라, 이들 모두 MBA 소지자라는 점입니다. 인드라 누이는 예일, 메리 바라는 스탠포드, 그리고 셰릴 샌드버그는 하버드 MBA 출신입니다.

Fortune이 발표한 “Most Powerful Women in Business” 리스트를 보면 50명 중 22명이 MBA 학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무려 44%에 달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세 명 이외에도, IBM의 CEO/Chairman/President인 Ginni Rometty(켈로그 MBA), 록히드 마틴의 CEO/Chairman/President인 Marilyn Hewson(컬럼비아 MBA), DuPont사의 CEO/Chairman인 Ellen Kullman(켈로그 MBA), Fidelity Investment의 CEO/President인 Abigail Johnson(하버드 MBA), HP의CEO/Chairman/President인 Meg Whitman(하버드 MBA, 10년간 eBay CEO), 그리고 Mondelez의 CEO/Chairman인 Irene Rosenfeld(코넬 존슨 MBA; 몇년 전까지 Kraft사의 CEO였습니다)까지 파이낸스, 식품, 테크놀로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MBA 출신의 여성 리더들이 활약하고 있습니다. 물론 Abigail Johnson과 같은 금수저(Fidelity Investment는 그녀의 가족이 세운 회사입니다)가 없지는 않지만, 이 리스트에 있는 여성 리더들은 본인의 피나는 노력으로 이러한 성공을 거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펩시의 수장인 인드라 누이의 경우 인도에서 태어나 대학까지 마쳤지만 당시 막 문을 연 예일대 MBA에 진학하기 위해 보수적인 가족의 반대를 뚫고 미국으로 건너와 경제난 속에서 간신히 학업을 마쳤습니다. 구직 인터뷰 때 정장 한 벌 살 돈 조차 없어서 사리(인도 전통 의상)를 입고 인터뷰(그러고도 BCG에 들어갔습니다)를 해야 했던, 그녀는 올해 동문으로서 사상 최고 금액을 예일대에 기부한 기록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비즈니스 우먼 자리에 이름을 올린 메리 바라의 아버지는 GM 공장에서 39년간 금형을 만드는 노동자였고, 그녀 또한 18세때부터 GM 공장 조립대에서 인턴 일을 시작했습니다.

MBA 그 자체가 인물들의 성공에 과연 얼마만큼의 기여를 했는지의 여부는 사람마다 다를 것입니다. 인도에서 갓 건너온 인드라 누이가 BCG 컨설팅에 채용되고, 모토로라를 거쳐 펩시로 들어온 지 7년 만인 만 46세의 나이에 CFO 자리를 거머쥔 데에 MBA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임이 분명합니다. 메리 바라의 커리어는 회사의 MBA 스폰서 기회를 잡고 스탠포드에서 공부하게 되면서 성공가도를 달리기 시작했습니다. 어떤 학생이 그녀의 커리어에 있어서 중요한 순간에 대해 물었을 때, 그녀는 MBA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 경험이 그녀의 가치관을 넓혀주고 완전히 새로운 비즈니스 프레임웍을 열어줬다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MBA 학위가 물론 성공을 담보하지는 못합니다. 혹은 MBA가 커리어우먼으로서 겪게 되는 일과 가정의 양립, 육아의 고충과 같은 문제들에 해결책을 제시해 주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성공하고 싶은 열망이 있는 여자라면 분명 고려해 볼 만한 학위가 바로 MBA 라는 것은 분명합니다.

보통 미국의 가장 좋은 MBA 프로그램에서 여성의 비율은 대부분 30%(가끔 20% 후반)에서 40% 초반 정도입니다. 와튼, 하버드, 스탠포드의 여성 비율이 각각 40%, 41%, 42% 이고, top 10 학교들은 대개 30%, 그리고 가끔 20% 후반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 비율은 미국 학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다양성에 대한 학교의 태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기에, 학교들은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역대 최고의 여성 비율을 갱신하면 그것 자체가 광고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남성 지원자들에게는 MBA가 여전히 인기가 많은데 비해, 최근 미국에서는 MBA에 지원하는 뛰어난 여성들의 수가 감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이유가 지목되고 있지만 과거와 비교할 때 MBA의 비용은 커지고 졸업 이후의 불확실성이 커져서, 안정지향성을 가진 여성들이 점차 관심을 줄이게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한, MBA를 졸업하면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이 되는데, 이때가 여성들이 본격적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의 문제에 대해 고민을 하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청운의 꿈을 안고 치열한 과정을 거쳐 MBA 에 입학하고, 20만불 가까이 들여서 졸업을 했는데, 졸업할 때가 되니 전세계를 누비는 알파걸의 모습과는 판이하게, ‘일과 가정의 양립’ , ‘육아 부담’과 같은 것들을 고려해서 직장을 구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는 것이 고민스러운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나 MBA를 고려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경쟁률이 낮아진 지금이 최적의 기회임은 분명합니다. 한국 지원자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선, 한국인 지원자들을 볼 때 남성에 비해 여성 지원자가 훨씬 적은데, 그것은 전체 비율인 6:4 혹은 7:3의 비율보다 더 적은 8:2나 9:1 정도로 추정됩니다(해마다 달라지기는 하지만). 따라서 남성들에 비해 여성들간의 경쟁이 덜 치열합니다. 역시 해마다 달라지기는 하지만, 와튼과 컬럼비아 같은 몇몇 학교들이 한국인 여성 합격자의 비율을 50% 혹은 그 이상으로 크게 끌어올린 적도 있습니다. 미리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이러한 변화 또한 여성 지원자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이 분명합니다.

지금 하는 일보다 보다 더 크고 중요한 일을 하고 싶고, 보다 빠른 시간에 넓은 세계를 접하고 싶은 여성이라면 MBA를 고려해 보시길 바랍니다. 제 경험과 관찰로 볼 때 MBA를 졸업하고 나서 자신의 커리어를 흔들림없이 뚝심있게 갈 수 있는 여성은 가장 똑똑한 여성도, 부자인 여성도 아닙니다 – 자기 커리어에 대한 흔들림 없는 강력한 열정이 있는지의 여부가 그것을 좌우합니다. 야근이나 육아, 가족과의 갈등으로 인한 회오리 바람이 불 때, 자기가 쌓아온 커리어를 꺾을지의 여부가 아니라, 유연하게 두 가지를 함께 해 나갈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을 고민하는 사람이 끝까지 남아 열매를 맺습니다. 그런 분들에게는 MBA 가 날개를 달아줄 수 있는 선택이라고 믿습니다.

[生生MBA리포트] 테크 회사가 가장 좋아하는 MBA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씨는 와튼스쿨(Wharton School) 졸업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고, 할 수도 없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많은 분들이 요즘 가장 입사하기를 원하는 회사들 입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테크 회사와 MBA가 별 연관이 없게 느껴졌지만 요즈음은 이러한 회사들이 신규 인력을 채용할 때 가장 먼저 문을 두드리는 곳이 탑 MBA 학교들입니다. MBA들 역시 과거 투자은행과 같은 파이낸스에 쏟았던 관심을 테크 회사로 돌리고 있습니다. 2007년의 경우 MIT는 단 13.1%가 테크 회사에 입사했지만 작년에는 무려 두 배가 넘는 30.7%를 테크 회사에서 데려갔습니다. 같은 기간동안 파이낸스 회사에 입사한 졸업생 비율은 26.1%에서 12.9%로 급격히 낮아졌습니다. 컨설팅의 경우 37.2%에서 32.1%로 약간 낮아졌네요. MIT 슬론 학생 중 22명은 아마존으로 14명은 구글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각 7명씩 데려갔습니다. 총 350명 정도 되는 학생 중 15%에 가까운 50명이 이 4개 회사에 입사한 셈입니다. 반면 MIT 학생을 가장 많이 데려간 10개 회사 중 파이낸스 계통은 모건 스탠리 단 하나로, 보잉 사와 함께 5명을 채용하는 데 그쳤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다른 학교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양상입니다. 아마존,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어도비, 시스코, 이베이, 페이스북, IBM, 인텔, 링크드인과 같은 회사들이 탑 MBA들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Job offer를 줄 때 stock option을 내 거는 경우들도 있고요. 2015년에 하버드를 졸업한 학생 중 9%는 생긴 지 채 3년이 되지않은 스타트업에 조인했으며, 졸업생의 36%는 취직 시 주식이나 스탁옵션을 약속받았습니다.

MBA 채용에서 가장 박차를 가하고 있는 회사는 아마존입니다. 제프 베조스의 경영 방식이 지나치게 가혹하다고 욕을 먹고 있기는 하나, 일단 MBA 취업 시장에서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음은 분명합니다. Ross를 2015년에 졸업한 학생 중 무려 59명이 아마존으로부터 job offer를 받았고, Ross, Duke, Kellogg, MIT, Columbia 단 다섯 개 학교에서 아마존이 채용한 학생 수는 121명에 달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듀크를 사랑해서 19명을 채용했습니다. 반면 애플은 켈로그에서 8명, MIT에서 7명, 컬럼비아에서 6명, 듀크에서 4명을 데려갔습니다. 구글이 가장 사랑한 학교는 MIT로, 14명이 채용되었습니다.

졸업생의 가장 많은 비율이 테크 회사로 진출한 학교는 어디일까요? 놀랍게도 University of Washington의 Foster School of Business로서 졸업생의 43%가 테크회사에 채용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도 포함되어 있지만, EMC, NetApp, Samsung, Tektronix, VMWare같은 회사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졸업생의 30% 이상이 테크로 진출한 회사는 카네기 멜론, 버클리, UCLA, MIT입니다. 제가 살고 있는 피츠버그의 카네기 멜론은 클래스 규모가 굉장히 작은데도 불구하고 상당수가 이러한 테크 회사에 채용되고 있고 특히 카네기 멜론이 operation쪽에서 가진 강점과 아마존의 해당 분야의 필요성 때문인지 아마존에 채용되는 수가 많습니다. 스탠포드의 28%, 하버드의 20%, 와튼의 11%, 컬럼비아의 6.9%가 테크로 갔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지원자들이 지원 학교를 선정할 때 랭킹보다는 본인이 미래에 일하고 싶은 분야를 더 깊이있게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페이스북의 셰릴 샌드버그가 ‘실리콘 밸리에서 성공하기 위해서 MBA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라는 말을 한 적은 있지만, 테크 회사들은 위에서 보이는 것처럼 점차 MBA 채용을 늘리고 있고, MBA 학생들 역시 기존의 컨설팅이나 파이낸스 회사보다 테크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아무래도 요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핫’한 산업이라는 것도 이유일 테고 조금 더 자유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원하거나 서부에 정착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어필하고 있습니다. 물론 테크는 여전히 컨설팅이나 파이낸스에 비해 기본 연봉이 $125,000 정도로 $15,000 정도 적고, 보너스 역시 비슷하거나 $15,000 정도 적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러한 차이는 스탁옵션 등으로 해소하고 있습니다. UCLA에서도 작년 졸업생의 34.1%는 주식 관련 보상을 받았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선망하는 구글 등의 기업들이 요즘 MBA를 많이 뽑고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MBA에 가서 이 회사들에 취업하겠어!’라고 지원을 시작하기보다는 본인의 장단점과 현재까지의 커리어 패스를 잘 고려하셔야 합니다. 테크회사들이 채용하는 사람 수를 늘리는 것보다 몇 배 이상으로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수는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초기, 소규모 스타트업들은 비자 스폰서를 해줄 수가 없는 경우가 많고, 비자 스폰서를 해줄 수 있는 테크 공룡들의 경우에는 외국인(특히 인도 및 중국인)들과의 극심한 경쟁을 뚫어야 합니다. 때문에 무작정 MBA 지원을 결정하기 보다는 MBA 이후의 목표에 대한 심도있는 고민이 선행되어야 하겠습니다.
tech1
<원문출처 – http://poetsandquants.com/2016/01/16/where-tech-firms-are-finding-their-mba-talent/2/>

부모, 자율적 사고, 스타트업, 그리고 록키

몇 일 전에 EBS에서 방영하고 있는 ‘시험’ 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봤다. 이게 6부작짜리 프로인데 나는 그 중 2개만 봤다. 나도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다녔고, 대학입시 시험을 봤지만(93학번이니까 마지막 학력고사 세대였다), 나는 경험하지 않았던 고등학생들에 대한 여러가지 사실들을 새로 알게 되었다.

한국 고등학생 절 반 이상 – 이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 – 인생의 목표가 아직도 ‘대학진학’이라는 거에 솔직히 좀 놀랐다. 내가 고3 이었던 1992년도에도 이와 비슷했는데 20년도 더 지난 지금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게 좀 의외였다. 세상이 바뀌었고, 할 수 있는 일들도 많아졌고, 다양한 가능성과 기회가 생겼고, 지금 학부형인 부모님들도 우리 부모님들과는 달리 새로운 경험을 많이 하셔서, 학생이나 학부모나 세상을 조금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전혀 그렇지가 않았다. 18년 동안 인생의 유일한 목표가 대학교 가는거면, 그 이후에는 이 젊은 친구들은 무엇을 위해서 살까? 그렇게 힘들게 대학교 들어가면 뭐가 크게 달라질거라고 기대를 하는거 같은데 오히려 이때부터 인생은 더 힘들어 지는데….험한 세상을 어떻게 헤쳐 나갈지 걱정되었다.

그런데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이보다 더 아쉽고 안타까웠던 건 바로 부모님들의 태도였다. 다른 학교, 다른 성적 수준, 다른 진학 진로의 고3 수험생 5명을 집중 취재했는데 이 중 그 어떤 부모도 자식을 격려하거나 자율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가이드를 해주는 분이 없었다. 모의고사를 못 보면 못 봤다고 화를 내고, 잘 보면 왜 한,두 문제 틀렸냐고 화를 내는 이런 부모님들이 과연 애들의 미래에 대해서 진심으로, 장기적으로 고민하시는건지 잘 모르겠다. 부모님이라면 오히려 남들 시선 의식하지 말고 자신만의 인생을 살아야 한다고 격려를 해줘야 하는데, 항상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남들과 비교하면서 “옆 집 누구는 이번에 몇 점 받았고, 어디 갔더라. 개네 엄마 너무 부러워” 라는 말을 하는게 내가 보기엔 참 한심했다.

그런데 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난 후에 “부모님이 반대하셔서 창업을 못 할거 같습니다” 라고 하는 친구들이 이제는 조금 더 이해가 갔다. 인생의 20년을 이런 분위기에서, 이런 부모님들과 함께 살았으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을텐데 어떻게 보면 너무나 당연한 걸 나는 그동안 “왜 저렇게 자립심들이 없을까?” 라면서 고민했던거 같다.

뭐, 그렇다고 내가 교육 전문가도 아니고, 애도 없는데 부모들의 심정을 이해한다고 말할 수 도 없다. 하지만, 창업을 하는데 있어서 자립심과 자율적 사고는 굉장히 중요하고, 이런 습관은 교육과 가정을 통해서 만들어 지는게 맞는거 같다. 그리고 여기에는 부모님들의 역할이 지대하다. 언젠가 내가 Tumblr의 창업가 David Karp의 부모님에 대해 포스팅을 했는데, 다시 한번 읽고 느낀 점이 많았다.

Rocky 6에서 록키와 아들의 다음과 같은 장면이 있다. 나는 부모라면 자식들한테 이런 말을 해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나라의 사회, 정치, 경제, 종교적 상황이 어찌되었던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