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모험

직업을 대하는 태도의 경우, 내 주변 사람들과 내가 많이 다른 건, 나는 내가 하는 일을 즐긴다는 점이다. 실은, 나도 어떻게 하다가 VC를 하고 있는지 신기한데, 다른 건 잘 모르겠지만, 인생에서 중요한 시점마다 큰 모험을 했기 때문에 내가 즐기는 이 일을 할 수 있게 된 거 같다.

2008년 1월 나는 필라델피아에 있는 워튼스쿨에서 MBA 1학년 1학기를 마쳤다. 실은 생각보다 수업도 어려웠고, 프로그램도 학비가 아깝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나한테는 큰 도움이나 영감을 주지 못 했다. 그리고 학교에 다니는 동안 계속 뮤직쉐이크의 미국 일을 도와주면서 뭔가 내 인생의 기회가 왔고, 이걸 이번에 잡지 못하면 나는 평생 후회할 거라는 두려움에 휩싸였다. 그리고 얼마 후 2008년 2월에 나는 학교를 그만두고 LA로 와서, 미래가 불확실했지만 그래도 그 어려움과 불확실함을 남이 아닌 내가 컨트롤 할 수 있는 길을 택했다. 하지만, 2009년 자금줄이 마르면서, 1년을 무급으로 일했다. 다시 학교로 갈 수 있는 옵션도 있었고, 실은 당장 다른 회사에 취직할 수도 있었다. 그래도 난 내가 시작한 걸 한번 마무리 지어 보고 싶었다. 큰 모험이었지만, 내가 잘하면 결과가 좋을 것이고, 못 하면 결과는 나쁠 것이기 때문에, 실은 이건 무모한 모험이라기보단 계산된 모험이라고 하는 게 맞을 것이다.

2012년까지 뮤직쉐이크를 운영했는데, 이후에 몇 가지 커리어 옵션이 있었다. 하지만, 나는 다시 한번 모험을 해보기로 했다. 지금까지의 경험과 배움을 바탕으로 한국 스타트업에 투자해서 이들의 글로벌 시장 확장을 도와줄 수 있는 작은 펀드를 만들기로 했다. 펀드를 만드는 건 내가 예상했던 거 보다 훨씬 더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많은 분의 도움으로 잘 시작해서 좋은 회사에 투자할 수 있었다. 이후 규모가 조금 더 큰 두 번째 펀드도 결성했고, 앞으로 또 어떤 게 될진 모르겠지만, 우린 계속 모험을 하면서 나가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적절한 시기에 감행한 큰 모험들이 차곡차곡 쌓여서 현재 내가 즐기고 있는 일을 하고 있는 거 같다. 당시 이런 모험이 없었다면, 솔직히 지금 나는 뭘 하고 있을지 잘 모르겠다.

우리가 투자한 모든 회사와 팀도 나와 같은 이야기가 최소 하나씩은 있을 것이다. 안전한 길을 가고 있다가, 인생의 어느 시점에 이들은 모험하기로 결심했을 것이다. 실은 이렇게 하면서 주위의 격려나 부러움보다는 질타와 손가락질을 더 많이 받았을 것이고, 아직도 걱정스러운 눈으로 “밥은 먹고 다니니?”라는 질문을 매일 받는 분들이 있을 것이다. 모험을 한 다는 건,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우리 어깨 위에 스스로 더 많은 짐을 실으면서, 안 받아도 되는 스트레스로 자신의 몸을 과부하 시키는 거다. 실은 조금 미친 짓이다. 하지만, 이들은 살면서 지금까지 축적한 기술, 지식, 인맥, 그리고 운이 잘 합쳐지면 언젠가는 더 큰 보상을 맛볼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고,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고 책임질 수 있다는 큰 비전에 의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이런 모험을 한다. 물론, 이런 시도는 대부분 무모한 도전으로 끝날 확률이 더 높지만, 이런 모험을 할 때야 말로 우리는 우리 앞에 놓인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결과만 봐서는 실패와 성공은 하늘과 땅 차이다. 실패는 좋지 않은 결과고, 성공은 좋은 결과다. 하지만, 모험이 우리에게 주는 설렘, 흥분, 그리고 가능성은 실패와 성공을 초월한 그 이상의 정신상태를 우리에게 선사한다.

외국 VC 에게 투자받기

우리가 한국에 투자하는 미국 펀드이다 보니 “어떻게 하면 미국 VC한테 투자받을 수 있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실은 이 질문 자체가 뜬금없고 광범위해서, 이에 대한 정답은 없다. 그래도 워낙 많이 받는 질문이고, 한국에서 스타트업을 하는 많은 창업가가 관심 있어 하고 궁금해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내 기본적인 생각을 몇 자 적어본다. “이렇게 하면 외국 VC한테 투자받을 수 있습니다”라는 답변을 혹시 기대한다면, 더 읽지 않아도 된다.

기본적으로 좋은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제품이 후졌으면 한국이든 미국이든 투자는 절대로 못 받는다. 특히 미국 VC들은 한국보다 유니콘 기업과 초고성장에 익숙하다. 웬만한 수치로는 감동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좋은 수치는 필수다. 좋은 제품을 만들었다면, 대표이사나 공동창업자 또는 회사의 속사정을 아주 잘 아는 직원 중 영어를 모국어 같이 유창하게 하는 팀원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실은 외국 VC에 투자를 받으려면 영어를 해야 하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이야긴데, 우리 투자사를 포함, 많은 팀이 이 부분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걸 자주 느낀다. 참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한국에서만 정규교육을 받았다면, 영어를 잘 할 수가 없다. 많은 분이 한국에서 영어를 배웠다면 스피킹은 잘 못 하지만, 라이팅이라 리딩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고 이걸 주장한다. 그런데, 내가 느끼는 건, 한국 정규 교육 과정에서 15년 이상 영어를 배우지만 대부분 스피킹, 라이팅, 리딩 모두 형편없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영어를 잘 하는 인력’은 우리 회사의 복잡한 비즈니스의 모든 디테일을 투자자한테 아주 완벽하게 전달이 가능한 사람이다.

우리 투자사 중 한국계 파트너가 없는 외국 VC에 투자를 유치한 한국 회사는 코빗, 텀블벅, 미소와 숨고가 있다. 코빗의 유영석 대표는 우리말과 영어를 완벽하게 한다. 텀블벅의 염재승 대표는 영어를 모국어같이 하지는 못하지만, 회사의 모든 사정을 잘 알고 있는 엔지니어 동료 중 영어를 완벽하게 하면서도 비즈니스 감각이 훌륭한 팀원이 있었고, 이 분이 DCM과의 투자협의를 리딩했다. 미소의 대표 Victor Ching은 우리말보다 영어가 더 편한 창업가이다. 숨고의 Robin Kim 대표 또한 한글과 영어를 완벽하게 한다. 물론, 모두 다 훌륭한 제품을 만들었고 이를 기반으로 좋은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만약에 영어를 유창하게 못 했다면 매끄러운 투자유치가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그냥 통역사를 고용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분도 있다. 그런데 이게 생각만큼 간단하지가 않다. 투자유치라는 게 한번 만나서 성사되는 게 아니다. 길게는 6개월 이상 지속해서 소통을 해야 하는데, 이때마다 통역사를 고용할 수는 없고, 매번 똑같은 사람이 배정되는 것도 아니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통역하는 분은 말 그대로 한국어 영어만 담당하는 분이라서, 우리 비즈니스에 대해서는 이해도가 대부분 빵인 분이다. 실은 VC가 관심 있어 하는 건 회사, 제품, 그리고 팀에 대한 아주 자세한 내용인데, 우리 비즈니스를 전혀 모르는 통역사를 중간에 끼고 대화를 하면, 투자자가 영어 질문 하나 할 때마다, 통역사는 다시 대표이사한테 이 질문을 한국어로 번역해서 물어보고, 답을 한글로 받으면, 이걸 또 영어로 통역해서 투자자한테 전달한다. 이렇게 하면 중간에 뻘쭘해지는 시간이 너무 많이 발생하고, 대화의 맥 자체가 끊기기 때문에, 이런 미팅을 나도 몇 번 해봤는데 결과는 좋지 않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도 너무 답답하고 회사와 팀이 unprofessional 해 보일 확률이 높다. 이게 상상이 안 되면, 한국 투자자가 아프리카 스타트업 대표와 미팅을 한다고 생각해보자. 중간에 한국어 아프리카어 통역사를 끼고 회사의 매출이나 DAU/MAU 같은 수치를 물어봤을 때의 시나리오를 생각해보면 금방 이해 갈 것이다.

위에서 나는 “회사의 속사정을 아주 잘 아는 직원 중 영어를 아주 모국어 같이 유창하게 하는 팀원”이라고 했다. 이제 갓 회사에 합류한 직원은 영어를 아무리 잘해도, 투자자가 알고 싶어하는 회사와 제품의 내용에 대해서 깊은 대화를 할 수 있는 경험과 지식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표이사 또는 공동 창업가가 영어를 잘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실은 스트롱 투자사 중에도 미국 VC들의 관심을 충분히 끌 만한 훌륭한 비즈니스를 만들고 있는 회사들이 있고, 대표들이 나한테 외국 VC 소개를 부탁한다. 그런데 이 ‘영어’ 문제 때문에 웬만하면 나는 소개를 안 한다. 아니, 못 한다. 소개는 내가 원하는 만큼 할 수 있지만, 그 이후에 이들과 의미 있는 대화를 지속할 수 있는 그림이 안 그려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표들한테 가능하면 영어 공부를 아주 열심히 하라는 말을 하고, 회사의 규모가 어느 정도 커져서 외국에서 투자유치를 하고 싶다면, 이걸 할 수 있는 적당한 인력을 잘 뽑으라고 조언한다.

이렇게 외국 투자자와 연결되고 대화를 할 때도 영어가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 딜이 만들어져 간다면, term sheet과 계약서 초안이 공유될텐데, 이 또한 모두 영어로 되어 있다. 실은, 투자 규모가 크다면, 전문 변호사와 함께 일하지만, 영어를 전혀 모르고 변호사한테 모든 걸 위임하면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나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우리가 먼저 계약서를 일차적으로 검토하고, 그 이후에 변호사가 투입되면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위에서 말한 게 전부는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나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런지, 외국 VC한테 한국 스타트업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고 소개 원하냐고 하면 가장 먼저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가, “Do they speak English? I mean, REAL English?” 인 거 같다.

착한 사람

6월 30일 프라이머 11기 데모데이에서 메가스터디의 창업자 손주은 회장님이 키노트 연설을 하셨다. 실은 당연히 파워포인트나 PDF 자료 기반으로 발표하실 줄 알았는데, 본인은 자료 같은 거 사용하지 않고 그냥 화이트보드에 직접 쓰신다고 해서, 내부적으로는 좀 당황하긴 했다. 그리고 행사당일, 800명 이상이 모인 큰 장소의 무대 위에 아주 작은 보드에 마커로 이것저것 쓰시면서 시작할 때만 해도 난 솔직히 좀 불안했다. 또한, 손 회장님이 과거 어떤 행사에서 30분이 배당됐는데, 한 시간 이상 이야기하셨다는 소문이 청중에서 나오자 더 조마조마했다.

하지만, 내 걱정과는 반대로, 손주은 회장님의 연설은 프라이머 데모데이에서 들었던 그 어떤 키노트보다 더 값지고 찰졌다. 그리고, 사람의 냄새가 폴폴 날 정도로 매우 인간적이었다. 시간은 조금 오버하셨지만, 내용이 워낙 좋았기 때문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청중이 경청해서 들었다. 실은 나는 이 분을 개인적으로 잘 모르지만, 맨손으로 상장 회사를 만드신 패기와 그 비즈니스를 계속 잘 운영하시는 스킬은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정말 본받고 싶었던 건 이 분의 소명의식과 사회에 많은 걸 환원하고 싶어하는 책임감이었다. 나도 돈 많이 벌면, 저렇게 잘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건 사람인데(이건 누구나 다 알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이냐 하면 ‘착한 사람’이라고 하시면서 키노트를 마쳤다. 이 ‘착한 사람’에 대해서는 나도 시간이 지나고, 경험이 쌓이면서 의견이 계속 바뀐다. 실은, 착한 사람은 그냥 착하지, 비즈니스는 잘못 한다는 게 일반론인 거 같다. 일을 하다 보면, 힘든 결정을 해야 하고, 사람도 해고해야 하고, 남한테 싫은 소리를 더 많이 해야 하는데, 이런 일들을 잘하려면 나쁜 놈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인 거 같다.

우리도 착한 CEO한테 투자해봤고, 내가 봐도 아주 싸가지 없는 못 된 CEO한테 투자도 해봤다. 아직 판단하려면 시간이 걸릴 텐데,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천성이 착한 사람들이 승리하는 방향으로 대세가 기울어지는 거 같다. 단기적으로는 차갑고, 남들한테 욕 많이 먹는 사장들이 비즈니스를 잘하지만, 장사 수준을 벗어나서, 실제 비즈니스를 만들고, 더 좋은 사람들을 채용하고, 제대로 된 비즈니스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요소인 회사의 ‘문화’를 만드는 건 착한 사람들인 거 같다.

실은, 나는 착한 사람에 대해서 한동안 생각을 안 하다가, 데모데이 이후 다시 한번 깊게 고민하게 됐고, 이제 창업자들 만나면, “스스로 착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시나요?”라고 꼭 물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生生MBA리포트] MBA와 스타트업 part.2 – MBA 졸업 후 스타트업에 join한다면?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씨는 와튼스쿨(Wharton School) 졸업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고, 할 수도 없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MBA와 스타트업 1부에서는 MBA 졸업생들이 스타트업 업계에서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료를 살펴보았습니다. 오늘 2부에서는 스스로 창업하는 경우가 아니라 존재하는 스타트업에 합류하는 경우 스타트업들이 MBA 출신들에게 연봉을 얼마나 지급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독립적인 외부기관인 Transparent Career에서 MBA 졸업 직후에 미국의 스타트업에 취업한 15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한국 스타트업 시장에 적용하기에는 분명 무리가 있을 것입니다. 또한, 스타트업은 대기업에 비해서 아무래도 취업 비자 지원이 어렵다는 점도 사실입니다. 이 두 가지 점을 기억하시고 미국 스타트업 생태계에서는 MBA 출신들의 위상이 어느 정도이고, 어느 정도의 대우를 받고 있는지 참고하시는 정도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1
스타트업에 조인하는 MBA 졸업생들은 평균 $104,000, 최저 $35,000부터 최고 $232,000의 패키지(현금성 salary와 기타 주식보상을 포함한 패키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저와 최고가 무려 7배 이상의 차이가 나고 있죠. 그중 Salary(돈으로 주는 금액)는 최저 $32,200부터 최고 $152,438까지 분포되어 있습니다.

2
스타트업에 조인하는 MBA 졸업생들은 평균 $91,000, 최저 $35,000부터 최고 $232,000의 연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저와 최고가 무려 7배 이상의 차이가 나고 있죠. 우선 회사들이 “pre-seed”벤처부터 Uber나 Airbnb 같은 유니콘까지 다양합니다. 우선 funding 단계에 따라 나눈 구분을 보면, “pre-seed”(seed 투자를 받기 전)의 단계에 있는 회사들은 평균 $84,255(한화 약 9600만 원)의 연봉을 지급했습니다. Series A 투자 단계에 있는 회사들은 $96,600(한화 1억1천만 원)을, Series B는 $99,083(한화 약 1억1300만 원)을 평균 연봉으로 지급했습니다. Series B에는 Yelp, Commonbond, BaubleBar같은 회사가 포함되었습니다. 그리고 Airbnb, CreditKarma, SoFi나 Uber 같은 “late-stage” 스타트업은 $114,759(한화 약 1억 3100만 원)를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여기에서 환율은 제가 임의로 1,140원/달러를 적용했음을 밝힙니다.)

3
당연한 이야기지만, 초기 단계에 있는 스타트업일수록 stock compensation(스톡옵션 등의 형태로 돈 대신 주식으로 보상하는 것)의 비중이 큰 경향을 보였습니다. 평균적으로 $24,000 정도, 최저 $1,713부터 최고 $87,222까지 분포가 무척 넓었습니다. 물론 late-stage 회사들은 이미 주식 가치가 상당한 경우들이 있어서 이들의 평균적으로 가장 컸습니다. 우선 pre-seed 스타트업들은 평균 $8,750을 지급했고, 이는 Series B의 경우 $3,750으로 줄어들다가, late-stage로 가면 평균 $19,804로 증가했습니다.

전체 compensation 패키지의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Pre-seed – Seed – Series A – Series B – Late Stage로 갈수록 월급(salary)은 분명 늘어나지만, 기타 보너스, 사이닝 보너스(연봉계약서에 사인할 때 주는 보너스로 계약기간을 채우지 못하면 반납해야 함), stock compensation은 꼭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Late stage 이전까지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가장 적은 게 Seed 단계의 $108,389, 가장 높은 것은 Series B의 $115,508 정도로 약 700만 원 차이밖에 나지 않죠. 그러다가 Late stage 벤처들은 $149,072로 확 뛰어오르는 모습을 보입니다. 연봉도 증가했고 주식보상도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4
스타트업은 대기업처럼 1년이나 반년 전에 채용계획을 짤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어느 정도 표준화된 연봉을 제시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말 그대로 케바케로 회사의 그때그때 사정에 따라 인력을 충원하고, 지급 가능한 액수를 제시합니다. 힘든 과정을 거쳐서 회사의 오퍼를 받아도,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연봉협상을 시작해야 할지 깜깜하기가 일쑤입니다. 그래서 Transparent Career의 정보는 그럴 때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되어줄 것으로 예상합니다. 참고로 보시길 바랍니다.

스케치웨어

sketchware_meta_en우리 투자사 스케치웨어는 모바일 앱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앱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나같이 코딩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모바일 앱을 만드는 건 쉽지 않지만, Scratch 기반의 스케치웨어를 사용하면, 큰 학습곡선 없이 간단한 모바일 앱을 만들고, 이걸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가 있다.

비 개발자에게도 많은 돈과 시간의 투입 없이,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이런 부류의 제품을 흔히 empowerment tool이라고도 하는데, 최근에 이를 증명해주는 재미있는 사례가 생겼다. 시현수라는 한국 여고생이 스케치웨어를 사용해서 만든 앱이 한 달 만에 10만 번 이상 다운되면서 구글플레이스토어 엔터테인먼트 분야 1위에 올라간 것이다. 한국의 인기 보이그룹 EXO 콘서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EXO-LIGHT 라는 앱인데, 물리적인 EXO 라이트스틱은 가격이 4만 원 이상이라서 학생이 사기에는 만만치 않기 때문에, 이 학생이 방법을 찾다가 직접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특히, 콘서트 시즌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EXO 라이트스틱이 출시되기 때문에, 이걸 앱으로 만들어서 적절히 업데이트만 하면, 현수양같은 고등학생들이 비용부담 없이 EXO를 응원할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문제는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어서 – 실은, 고등학교에서 기본적인 코딩 수업을 듣긴 들었지만, 학교 수업이 대부분 그렇듯이 이걸로 모바일 앱을 직접 만든다는 건 거의 불가능했다 – 앱을 만들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을 찾기 시작했고, 플레이스토어에서 여러 가지 앱을 시도해본 후, 가장 직관적으로 앱을 만들 수 있는 스케치웨어를 선택했다. 큰 기대 없이 만든 EXO-LIGHT는 첫날 22,000번 설치되었고, 현재 110,000번 다운로드, 3,500개의 리뷰, 평점 4.9를 받는 인기 앱으로 급부상했다. 지금은 순위가 떨어졌지만, 한때 인도네시아 플레이스토어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9위, 그리고 중국에서는 6위까지 올라갔다.

코딩 지식이 없는 여고생이 며칠 만에 인기 앱을 직접 개발한 것도 대단하지만, 이 과정을 계기로 이 학생은 코딩에 흥미를 갖게 되었고, 앞으로 조금 더 복잡하고 다양한 제품을 만들 계획을 하고 있다. 창업에도 관심이 있다고 하니,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시현수 학생의 꿈을 실현하는데 스케치웨어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스케치웨어팀에서 현수 학생을 직접 인터뷰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고, 누구나 다 스케치웨어앱을 다운받아서(안드로이드 only) 자기만의 모바일 앱을 만들 수 있다.

<이미지 출처 = 스케치웨어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