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한국에서 스타트업을 한다는건

한국의 스타트업들이 외국의 회사들에 비해서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단점과 장점은 무엇일까? 솔직히 이 질문은 내가 벤처쪽 일을 시작했을때부터 나오던 질문이고, 나 자신도 스스로에게 항상 물어보는 질문이다. 15년 전부터 질문은 동일했지만, 시대와 상황이 바뀌면서 그 답변은 항상 달랐다. 얼마전에 구글캠퍼스코리아 제프리 센터장이 이 질문을 했었는데, 나는 다음과 같이 내 답변을 정리해봤다.

한국의 스타트업들이 갖고 있는 가장 큰 단점은 바로 한국의 모국어가 영어가 아니라는 점이다. 어떻게 보면 너무 단순하지만, 내가 미국과 한국을 왔다갔다 하면서 경험해보니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게 한국의 창업가들과 스타트업들에게는 너무나 큰 약점이자 단점이다. 대표이사, 영업, 마케팅, 개발 등 직무와는 상관없이 영어는 필수다. 앞으로 더욱 더 중요해질텐데 우리는 모국어가 아닌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 너무 많은 시간과 돈을 낭비하고 앞으로 또 낭비할것이다. 그리고 유감스럽게도 이는 태생적인 약점이라서 쉽게 단시간 내에 개선되지 않을 것이다.

한국에서 스타트업을 함에 있어서 다른 나라 창업가들보다 가장 유리한 점은? 조금은 아이러니컬하지만 바로 우리는 문제가 매우 많은 나라에 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면에서 봤을때 한국은 참으로 재미있는 나라이다. 전세계 GDP 순위 14위에 걸맞지 않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과 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가끔 나는 우리가 후진국에 살고 있는게 아닌가 라는 생각도 한다. 이번 출장에서도 아침에 출근해서 퇴근할때까지 “왜 한국은 이런게 없을까?” 또는 “왜 미국같이 이렇게 못 할까?” 라는 질문을 수도없이 많이 스스로에게 했다. 결국 이 모든 문제들이 창업가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스타트업을 한다는건 매력적일 수 있다. 그렇다고 문제가 많은 나라일수록 창업가들에게 무조건 좋지는 않다. 왜냐하면 후진국의 경우 문제는 한국보다 훨씬 더 많지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만들 수 있는 인프라가 없기 때문이다. 한국은 이런면에서 매우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모바일과 같은 기본적인 인프라가 매우 잘 갖추어진 나라이며 이러한 좋은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인력들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만난 많은 창업가들과 회사들이 이미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는걸 느꼈다.

가장 힘든 취미생활

3e29a0_598dc11b143e48fcbbd16b1da5a4993c이번 한국 출장에서도 역시 상당히 많은 회사를 만났다. 정확히 말하자면 짧은 기간 동안 32개의 스타트업들을 만났다(몇 개 더 만날 예정). 항상 그렇듯이 괜찮은 스타트업들보다는 뭔가 좀 아쉬웠던 회사들이 더 많았지만, 이 중 마음에 무척 드는 스타트업들도 있었다. 신뢰가 가지 않았던 회사들은 아이디어나 제품보다는 창업자들의 마음가짐이 별로였다. 특히 내가 제일 싫어하는 건 창업팀이 스타트업에 올인하지 못하고 part-time으로 ‘간’을 보는 건데 최근에 창업 열풍이 불어서 그런지 이런 팀들이 꽤 많았다. 이 중 직장인 팀이 제일 많았다. 현재 직장을 다니면서 시간 날 때마다, 또는 주말에 동네 카페에서 만나서 스타트업을 하는 파트타임 창업자들한테 내가 항상 물어보는 건, “그럼 언제 full-time으로 여기에 올인 하실 생각이신가요?” 이다. 대부분 매출 발생, 트래픽증가 또는 펀딩과 같은 뭔가 극적인 발전이나 변화가 있으면 직장을 그만두고 스타트업에 올인하겠다고 한다.

모두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처자식이 있으므로 집안의 현금흐름이 끊기면 안 되고, 부모님을 모셔야 하고, 전세금을 갚아야 하며, 학자금을 대출받아서 계속 빚을 갚아야 하고, 아직 제품이 완성 안 되어서 미래가 불투명하다. 다 충분히 이해하는 사정들이다. 그런데 이건 알아야 한다. 백만가지 이유로 이분들이 스타트업에 100% 집중하지 못하고 있는 동안, 세상 어느 곳에서 미래의 경쟁자들은 올인해서 회사를 만들고 제품을 만들고 있다. 가족 때문에 풀타임 전념을 못 하는 분들은 대부분 어느 정도 나이가 있으신데 이들이 경쟁해야 할 팀들은 젊고, 먹여 살려야 할 가족도 없고, 체력적으로도 월등해서 24시간 코딩을 할 수 있는 똑똑한 창업가들로 구성되어있다. 올인해서 전념을 해도 이런 팀들을 이길까 말까 하는데 스타트업이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아니 월급을 주는 직장 때문에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누가 더 좋은 제품을 개발해서 좋은 비즈니스를 먼저 만들지는 안 봐도 뻔하다.

누군가 “연말에는 꼭 사표 내고 몰방할 겁니다.” 라고 했는데, 나는 이 분에 연말에는 지금과 무엇이 달라지는지 물어봤다. 현재 계획에 의하면 그때까지는 MVP를 출시하고, 고객이 어느 정도 생기고, 매출도 발생하기 때문에 투자를 받을 수 있을 거 같다고 했다. 열심히 잘 해보라고 했다. 제발 그렇게 되면 좋겠다면서. 계획대로 모든 게 척척 진행되어서 진짜로 이 분이 희망하는 시나리오대로 갈 수도 있지만, 나는 이렇게 되는 걸 지금까지 본 적이 없다. 왜냐하면, 아무리 스타트업에 애정을 품고 있어도 이 분의 우선순위는 월급을 주는 현재 직장이기 때문이다. 현재 직장에서 발등에 불이 떨어지고 급하게 완성해야 하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밤새워서 일을 해야 한다. 왜냐하면, 풀타임 직장이고 월급이 나오는 나의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이기 때문이다. 이러는 동안 내 진짜 관심사인 스타트업은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고, 풀타임 직장에 전념하는 동안 발전이 전혀 없다. 몇 달 남지도 않았는데 정말로 연말에 사표 내고 올인할거면, 그냥 지금 하면 안 될까? 만약에 진심으로 연말에 직장 그만두고 스타트업을 할 생각이면, 지금 해도 큰 차이는 없지 않을까? 그렇게 하지 않는 유일한 이유는 창업가 본인도 실은 이 아이디어를 100% 믿지 않고 자신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라고 나는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자꾸 자신의 불확신을 정당화하기 위한 결과를 확인한 후에 스타트업에 올인할 생각을 하지만, 미안하지만 올인해서 전념하지 않으면 이렇게 정당화할 수 있는 결과를 절대로 만들 수가 없다.

현재 상황에서 스타트업에 올인하는게 어렵나? 그러면 아예 스타트업은 생각하지 말고 월급을 주는 직장에 올인하는게 본인과 주위 모든 사람을 위해서 좋다. 취미를 갖는 건 좋다. 하지만, 취미생활로 하기엔 창업은 너무나 힘들고 고달픈 취미이다. 이렇게 취미생활로 스타트업을 하는 사람들이 외부에서 “저 창업해서 벤처 합니다” 말하는 거 자체가 인생을 걸고 열심히 일하는 진짜 창업가들에게 부끄럽고 피해를 주는 거라는걸 알았으면 좋겠다.

<이미지 출처 = RDX Fitness>

로켓을 만드는 중학생

사진 2015. 7. 9. 오전 9 40 02얼마전에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거대한 로켓‘ 이라는 글을 썼다. 로켓을 만드는 정재협 중학생을 만나보지는 않았지만, 어떤 학생일지는 항상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제 재미있는 일이 발생했다. 구글캠퍼스 코리아(=캠퍼스서울)에서 약 한시간 동안 임정민 센터장과 불타는 창업토크를 진행했는데 갑자기 텀블벅에서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한 이 캠페인에 대한 질문을 했다. 오, 그런데 임센터장이 정재협 학생을 초청한 것이다!(이건 연출이 아니라 정말로 나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었다). 마치 ‘TV는 사랑을 싣고’ 와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

요새 중딩같지 않게 상당히 수줍음이 많은 정재협 학생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는 못했지만, 현재 로켓 부품을 주문해서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며 이번에는 꼭 성공적으로 발사하겠다는 다짐을 받았다. 성공하면 좋은거고, 실패하면 다시 시도하면 되니 너무 스트레스 받지 않았으면 좋겠다. 혹시 실패해서 다시 시도할때 또 돈이 필요하면 나한테 연락하라고 했다. 장래 희망이 뭐냐고 물어보니 “과학자입니다” 라고 했는데, 정말로 이 마음가짐을 끝까지 가지고 가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나 engineer가 되길 바란다. 이 학생의 부모님이 정말 자랑스러워 하실거 같다.

참고로 정재협 학생이 4번째 로켓을 작명할 수 있는 영광의 기회를 나한테 줬다. 4번째 로켓의 이름은 ‘Stephanie J’ 이다. 멀리멀리 날 수 있길.

<이미지 출처 = 프라이머 이정훈 팀장님 페이스북>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거대한 로켓

original우리 투자사 텀블벅에 가보면 재미있는 프로젝트들이 상당히 많다. 나도 정기적으로 프로젝트들을 보는데 어제 내 관심을 끈 KMART 라는 프로젝트가 있었다. 자세한 건 프로젝트 페이지를 보면 되지만, 중학교 3학년 학생 2명이 자작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는 데 필요한 자금 40만 원을 크라우드펀딩하고 있다. 이걸 보자마자 난 자신에게 “난 중학교 3학년 때 도대체 뭘 했을까?”라는 질문을 했고, 인류와 역사가 발전할수록 인간은 당연히 진화하지만, 학생들이 그동안 많이 똑똑해지고 당차졌다는 생각을 했다.

프로젝트 오너인 정재협이라는 중학생을 나는 개인적으로 알지도 못하고 이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지켜본 것도 아니지만, 이 젊은 친구들의 패기, 실험정신 그리고 끈기가 맘에 든다. 펀딩 페이지를 본인이 직접 만들었는지, 부모님이 해줬는지, 아니면 텀블벅 팀이 제작했는지 모르지만 어쨌든 이 프로젝트를 크라우드펀딩 하려고 생각한 거 자체가 이미 생각이 앞서가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첫 번째 로켓 KR-1은 발사대가 없어서 중심을 잡지 못하고 옆으로 기울어져 실패, 두 번째 로켓 KR-2는 KR-1의 문제점을 해결해서 350m까지 올라갔지만 여기서 또 로켓이 무게중심을 잡지 못하고 실패했다고 한다. 이제 이들은 KR-1과 KR-2의 문제점을 해결한 KR-3 로켓을 고도 800m까지 올리기 위한 제작비용을 모집하고 있다. KR-3는 성공할까? 잘 모르겠다. 아마도 또 다른 이유로 실패할 거 같다. 하지만, 이 젊은 친구들은 왠지 성공할 때까지 KR-199 까지도 만들 거 같다. 이 과정에서 나는 실패와 실험이 일상이 된 우리가 투자한 많은 스타트업들을 떠올렸다.

나는 전체 목표 중 25%를 후원했다. 현재 40만 원 중 29만 원이 모였고, 11만 원이 모자란다. 11만 원이 적은 돈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주 많이 부담되는 금액도 아닌 거 같다. 막말로 친구들이랑 술 한번 안 먹으면 된다. 누군가 한방에, 아니면 여러 명이 이 11만 원을 꼭 후원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1,000원부터 자유롭게 후원 가능). 참고로 이제 3일 남았다. 텀블벅의 펀딩 방식은 목표 금액이 100% 모이지 않으면 모든 게 무산되기 때문에 40만 원이 안 모이면 이 학생들은 한 푼도 못 받는다.

나는 애들이 없어서 ‘우리 아들 생각이 나서’ 후원한 게 아니다. 한국같이 과학과 공학이 아직도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나라에서는 이런 꿈나무들이 필요하다. 이들이 성공해서 주위 친구들도 이런 좋은 실험에 동참하게 만들어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이들이 대학에 진학하고 졸업할 때 제발 이런 과학적 마인드를 계속 유지하고 이 분야에 종사할 결정을 하면 좋겠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이 지금 당장 더 많이 필요한 건 변호사, 회계사, 선생, 의사, 공무원이 아니라(친구들 미안~) 엔지니어, 과학자 그리고 창업가들이다. 정재협 학생이 Elon Musk의 SpaceX와 같은 회사를 만들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계속 도전하길 바란다. 실패하고, 고치고, 또 실패하고, 또 고치고 하다 보면 언젠가는 근처에는 갈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3학년 학생 두명이서 날리는 거대한 로켓 발사~~] 후원하러 가기


<이미지 출처 = https://tumblbug.com/ko/kmartproject>

젊음, 그리고 용맹

11265245_842532005782427_3523948992242029118_n올해 Masters 골프 대회는 21살의 청년 Jordan Spieth가 많은 사람들을 놀라고 기쁘게 하면서 압도적으로 우승했다. 그리고 골프 대회 중 상금이 가장 높은(100억원 이상) Players 대회는 내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26세의 청년 Rickie Fowler가 우승했다. 실은 조던과 리키의 골프 스타일은 상당히 다르고 성격도 많이 다른걸로 알고 있다. 이들의 골프 패션은 완전히 극과 극이다. 그래도 이 둘은 아주 중요한 공통점이 있는데 바로 젊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젊음’과 항상 동반되는게 있는데 ‘용맹’ 이라는 것이다. 이 두 젊은 골퍼들의 플레잉 스타일을 보면 용감하고 사납다. 안전하게 플레이 할수도 있지만, 이들은 남들과 같이 안전하게 치면 잘 해봤자 그들과 비슷하게 끝난다고 생각을 한다. 장애물이 있어도 극복하려고 치열하게 노력한다. 어렵지만 성공하면 남들이 5번 쳐서 par 할 걸 3번 쳐서 eagle 또는 4번으로 birdie를 해서 우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쉽지 않다. 하지만, 젊다는 거 자체가 이들에게는 무기이다. 이번에 안되면 다음에 또 시도하면 된다. 젊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도 많고 기회도 많다. 이런 젊은 골퍼들의 시원한 플레이를 보면, 터무니 없는 실수를 하고 점수가 형편없어도 보는 사람은 기분이 좋아진다. 젊고 용맹스러운거, 이거 굉장히 멋있다.

내 나이 이제 40이 조금 넘었다. 버릇없게 나이 많이 먹었다는 말은 하지 않겠지만, 솔직히 요새 20대 초반 젊은이들 보면 참 부럽다. 물리적으로 피부도 탱탱하고 체력도 좋은게 부럽지만, 젊기 때문에 용맹할 수 있다는게 실은 너무 부럽다. 그동안 세월과 경험이 – 보잘것 없고, 더 경험 많은 분들이 보면 욕하겠지만 – 나를 나약하게 만들었고, 다시는 20대의 그 용맹함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beGLOBAL Seoul 2015는 작년보다 더 성황리에 마감했다. 스타트업 정신 “do more with less” 를 몸소 실천한 정현욱 대표/전진주 이사와 비석세스 팀한테 다시 한번 존경을 표시한다. 해마다 비글로벌 행사를 통해서 나도 많은걸 느끼고 배우는데 올해 내가 가장 많이 느낀건 바로 젊음과 용맹함이었다. 대부분의 스타트업 부스에는 나보다 15살 정도 어린 젊은 친구들이 열심히 설명을 하고 있었는데 이들의 태도에서는 용맹함이 느껴졌다. 돈 한 푼 못버는 회사 직원들이 지나가는 사람들을 붙잡고 무서울 정도의 열정을 가지고 소개하고 설명하는걸 보면서 정말 대단한 젊은이들이라는 생각을 이틀 내내 했다. 나도 바빴지만 중간 중간에 이층으로 올라가서 행사장의 부스들을 전체적으로 보곤 했는데, 그때마다 용감함과 사나움이 만들어 내는 그 광경과 에너지가 정말 좋았다. 돈을 줘도 볼 수 없고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함 그 자체였다.

실은 비글로벌 행사에서 본 젊은이들은 대한민국 젊은이들의 극소수이다. 한국의 20대 들은 방황하고 있다는 소식을 여기저기서 접할 수 있다. 취직도 안 되고, 인생은 더욱 더 힘들어 지고, 돈이 없어서 결혼도 못하는 젊은이들이 넘쳐 흐르는게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그래서 그런지 비글로벌에서 본 젊은이들은 더욱 더 반가웠다. 어쩌면 경험이 없어서 용맹스러울지도 모른다. 어쩌면 무식해서 그럴지도 모른다. 어쩌면 순박하고 순진해서 그럴지도 모른다. 상관없다. 그냥 젊기 때문에 용맹스러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용맹함은 위대함을 만들 수 있다는걸 우리는 매일 경험하고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비글로벌 행사 참석하신 우리 아버지는 젊은 친구들이 너무 열심히 사는거 같아서 기분이 좋았다고 하셨다. 아마도 아버지도 내가 느낀 그러한 용맹함과 젊음이 부러우셨을거다.

내 나이 20대 초반때 우리 부모님이 시간만큼 소중한게 없고 젊음 만큼 부러운게 없다고 하셨다. 본인들한테 딱 한가지 소원이 주워진다면 “20대 초반으로 돌아가는 것” 이라고 하셨는데 당시에 나는 그게 참 이상하다고 생각했다. 복권 당첨이 되거나 때돈을 버는거와 같이 더 좋은 소원이 있을텐데 왜 굳이 젊어지려고 하시는지…..안 그래도 복잡한 청춘인데…..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그런데 이제는 이해가 간다. 그리고 나이가 조금씩 더 들수록 더 공감할거 같다.

계속 이렇게 용맹스럽게, 그리고 열심히 사세요. 당신들이야 말로 애국자이고, 국가대표이고, 정치인들보다 더 멋진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들고 있다는 걸 잊지 마시구요. 뭐, 굳이 거창하게 ‘나라’를 말하지 않아도 스스로를 위해서 그렇게 살길. 왜냐하면 40대가 되면 그렇게 살지 않았던 자신이 굉장히 미워질것이기 때문에.

<이미지 출처 = 비석세스 정현욱 대표 페이스북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