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y

답답한 회사들, 답답한 서비스들, 답답한 직원들

얼마전에 어떤 스타트업 바이블 독자가 YES24.com에 올라가 있는 내 작가 정보를 업데이트 하라는 이메일을 보내왔다.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던 부분이라서 직접 가서 보니 작가 프로필, 이력, 경력 등이 오래된 내용들이라서 이 기회에 업데이트하고 사진도 바꾸려고 했다. 문제는 아무리 찾아봐도 작가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버튼이 없었다 (참고로 아마존 같은 경우 작가가 직접 작가페이지를 수정할 수 있고 블로그 RSS, 트위터 피드, 동영상, 사진 등 여러가지 컨텐츠를 더할 수도 있다 – 작가가 직접).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이메일을 하나 발견해서 작가 페이지 정보를 수정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문의를 했다.

한 일주일 후에 다음과 같은 답변이 왔다:

“직접 수정할 수 있는 경로가 따로 없으며, auth@yes24.com 혹은 출판사를 통해 수정 요청을 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내가 다시 물어봤다:

“고맙습니다. 작가/독자/IT 종사자/투자자 로써 문의드리는건데, 작가들이 직접 수정할 수 없게 만든 별도의 이유라도 있으신지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답변이 왔다:

“본인 확인에 대한 승인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해야 하고, 검수되지 않은 정보가 게재될 수도 있는 기타 이유로 YES24 내 정보 및 작가 정보는 ‘승인’ 절차 없이 외부에서 등록 및 수정이 불가합니다.”

내가 너무 까칠한건지, 아마존에 너무 익숙한건지 아니면 그냥 한국의 시스템에 대해서 너무 모르는건지 잘 모르겠지만 솔직히 이런 커뮤니케이션을 하다보면 화가 난다. 이 회사는 과연 생각을 하면서 비즈니스를 하는건지 궁금하다. 책을 파는 사이트의 고객은 독자, 출판사 그리고 작가가 있을텐데 고객의 입장에서 한번도 생각해보지 않는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무슨 국방부 핵무기 관리 시스템도 아니고 그냥 사용자 ID/패스워드로 작가 확인하면 될텐데 이게 그리 어려운가? 그리고 작가가 자기 PR을 하기 위해서 재미있고 creative한 내용을 본인 프로필 페이지에 올리는걸 굳이 하나씩 검수를 해야하는 이유도 잘 모르겠다. 어느 작가가 본인한테 해가 되는 내용을 사이트에 올릴까?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치자. 그렇다고 이메일로 “[이력] 부분의 Stnford 대학의 ‘Stnford’에서 n과 f 사이에 ‘a’ 빠졌있네요. 이걸 ‘Stanford’로 바꿔주세요.”라는 식의 장황하고 비효율적인 수정 요청 내용을 보내야하나? 그냥 본인이 직접 수정한 후, 내부적으로 승인과정을 거친 후에 okay하면 되지 않을까.

여기서 아주 명확하게 공시한다. 나는 YES24의 이 담당자를 비난하는게 절대로 아니다. 분명히 이 분도 회사의 내부 방침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히 이런 요청이 나를 비롯한 다른 작가들로부터도 접수됐을텐데 어떻게 이런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이 내부적으로 고려되지도 않고 그냥 NO라는 답변이 올까. 직원들이 이런 사항들을 내부적으로 건의를 하는데도 윗선에서 짤리는건지, 아니면 귀찮으니까 그냥 시키는 일이나 하자고 무시되는건지 잘 모르겠다. 어쨌던간에 나는 고객의 입장에서 이런 일들을 당할때마다 이 회사는 경영진들이 어떤 철학을 가지고 서비스를 운영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든다. 답답한 회사에서는 답답한 서비스가 나오고 어쩔 수 없이 답답한 직원들이 만들어 지는거 같다.

담당자와 경영진들이 회사의 서비스를 깊게 사용해 봤는지도 의심스럽다. 깊게 사용해봤다면 분명히 그들도 사용자의 불편함과 UX 개선의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다. ‘스타트업 바이블2’에서 내가 강조하는 개밥 먹기 (eating our own dogfood)가 전혀 안되는거 같다.

이런 사람들과 비즈니스 하지마라

내가 비즈니스 하면서 가장 싫어하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있다. 두 부류 모두 굉장히 단순한 걸 못하는 사람들이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묻는거에 정확하게 답변을 못하는 사람들이다.

못하는건지 아니면 일부러 안하는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하여튼 상당히 짜증나는 사람들이다. 최근에 이런 사람과 일때문에 어쩔 수 없이 communication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는데 이메일 두번이면 해결할 수 있는게 일주일이나 걸렸다. 그것도 내가 한국으로 전화해서 협박하듯이 물어봐서 답을 받았다.

내 질문은 매우 단순했다. “xxx는 몇개 팔 수 있을거 같고, 가격은 얼마인가?”였고, 상식적으로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xxx를 50,000개 정도 팔 수 있을거 같고, 가격은 100,000만원 입니다” 이다. 이러면 상황 종료되고 각자 일을 진행하면 된다. 그런데 돌아오는 답변은 전혀 엉뚱한 내용이었다. 다시 한번 나는 “내가 알고 싶은건 간단합니다. 몇개를 얼마에 팔 건가요?”라고 이메일을 썼는데 물어보는 질문에 대답은 안하고 또다시 엉뚱한 답변이 왔다. 왜 사람들은 묻는거에 대해서 답변을 하지 못할까? 결국 나는 국제 전화를 했고, 거두절미하고 다그쳐서 물어봤는데 아직 수량이랑 가격을 정하지 못했다는 답변을 들었다. 그러면 그렇게 말을 하던지.

혹시 이런 사람들과 비즈니스를 해야한다면 무조건 찾아가서 얼굴 보고 이야기 하던지 – 물리적으로 가능하다면 – 아니면 전화 통화를 해라. 이메일로 계속 communication을 하다보면 같은 질문만 여러번 반복하다 결론이 안 난다.

다른 부류는 바로 갑자기 연락이 두절되는 사람들이다.

비즈니스 하면서 이런 사람들을 나는 여러번 접했는데, 일이 잘 진행될때는 하루에도 수십번씩 이메일과 전화를 하다가 갑자기 상황이 조금 어려워 지면 완전히 잠수를 탄다. 정말 너무너무 답답하고 짜증난다 – 특히, 선금을 지급했는데 결과물을 못 받았다면. 이런 인간들을 상대하는 방법은 딱 하나다. 일단 연락이 두절된 이유을 정확하게 판단하자. 가끔, 정말 아주 가끔씩 비상사태가 발생해서 연락이 안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교통사고를 당했던지 또는 축구하다가 머리에 공을 너무 세게 맞아서 기억상실증이 걸렸던지…). 하지만 99%는 대부분 뭔가 찔리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연락을 피하는거다. 이런 괘씸한 이유가 확인되면, 회사던 집이던 무조건 찾아가서 협박하는 방법밖에 없다.

나는 이런 경험이 꽤 많다. 어릴적 친구한테 돈을 빌려주고 그 이후 연락이 두절됐을때 그 친구 집으로 찾아가서 부모님한테 수금한거부터 시작해서, 뮤직쉐이크 시절 유명한 YouTube 스타인 KevJumba와 같이 동영상을 제작하면서 선금을 지불한 후 그의 매니저들과 연락이 갑자기 두절되자 베벌리 힐스 사무실을 약속도 없이 불쑥 찾아가서 쌍욕을 퍼부으면서 난동부렸던 경험이 있다. 그때 그의 매니저/비서/변호사 앞에서 고래고래 소리 질렀던게 그대로 기억난다. “Don’t fxxx around with me because you guys have no idea who the fxxx you are dealing with. If I don’t get the final cut of the video by tomorrow, I am going to fxxxing sue you all!”

다음날 아주 완벽한 동영상 최종본이 우리한테 배달되었다.

영국 올림픽팀의 구조조정

내가 워낙 스포츠를 좋아해서 그런지 이 블로그에도 스포츠 관련 글들이 꽤 있다. 그 중 ‘돈과 스포츠’라는 주제로 쓴 글 2개가 있다. 경영 테크닉들이 스포츠 분야에 어떻게 적용되었고, 그로인한 결과들에 대한 내용들이다:
-‘돈과 스포츠 Part 1 – Private Equity and Boston Celtics
-‘돈과 스포츠 Part 2 – Canada and B2ten‘ 

영리단체들의 특징인 숫자기반, 결과기반, 능력위주, 수익창출, 효율성 위주의 경영 기법과 사고가 비영리단체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고 그 결과로 인해 드라마틱한 변화가 생기는걸 보면 놀랄때가 정말 많다. 대영제국 또한 그런 방법으로 올림픽팀을 완전히 구조조정하고 있다.

1996년 아틀랜타 올림픽 폐막 후 영국 올림픽팀은 금메달 1개를 가지고 귀국했다. 이는 금메달 3개를 취득한 카자흐스탄 보다 못한 치욕적인 실적이었다. 영국 타블로이드는 “대영제국이 염소와 양때를 키우고, 독수리를 훈련시켜서 사냥을 하는 카자흐스탄한테 굴육당했다.”라면서 영국 정부, 올림픽 위원회 그리고 올림픽 선수들을 신랄하게 비난했다. 대영제국의 올림픽팀은 이제 완전히 끝났다고 자국민들은 슬퍼했다. 하지만, 그 이후 Team GB(Great Britain)는 드라마틱하게 컴백을 했고 곧 개막할 런던 올림픽 홈그라운드에서는 메달 신기록을 수립할지도 모른다.

1996년 아틀랜타 올림픽에서 영국은 메달 총 15개를 획득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릭픽에서는 메달 28개를 획득해서 전체 랭킹 10위권에 들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30개, 그리고 4년 뒤인 2008년 베이징 올릭픽에서는 무려 메달 47개를 획득하면서 미국, 중국, 러시아에 이어서 4위를 했다. 골드만 삭스의 분석에 의하면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영국이 65개의 메달을 획득해서 러시아를 넘어설거라고 예측하고 있다. 4년 전보다 메달을 무려 38% 더 이긴다는 이론이다.

다 죽어가는 올릭픽 팀을 영국은 어떻게 구조조정 했을까? 핵심을 정리해본다:

1. 대량감원 및 새로운 team – 1997년도에 영국은 기존 올림픽 준비 위원회를 해체하고 기업마인드를 가진 인력으로 재정비했다. 그리고 UK Sport라는 새로운 기관을 만들었다.

2. 뚜렷한 목표 – UK Sport의 목표는 ‘스포츠를 통한 대영제국의 건강 도모’와 같은 애매모호한게 아니다. 목표는 하나였고 ‘올릭픽에서 금메달을 따는거’ 였다. UK Sport의 대표이사인 Liz Nicholl은 버릇처럼 “올릭픽의 목표는 참여가 아니라 이기는 것이다”라고 말을 했다.

3. 대규모 투자 – 1996년 이전 영국 올릭픽팀은 항상 예산 부족에 허덕였다. 아틀랜타 올릭픽 이후 몇명의 영국 올릭픽 선수들이 돈이 없어서 길거리에서 선수복과 장비를 팔았다고 하니까 얼마나 돈이 없었는지 상상이 간다. 결국 올림픽도 돈싸움이라는걸 인식한 영국 정치인들은 UK Sport기관에 예산을 배정하기 위해서 새로운 복권 시스템을 만들었다. 또한, 런던 올림픽에서 메달을 더 많이 획득하기 위해서 영국정부는 UK Sport에 5,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추가로 퍼부었다. 참고로, 한국이나 미국의 올림픽팀의 예산은 대부분 대기업이나 개인후원으로 충당된다.

4. 우선순위 기반의 전략 – UK Sport는 일단 다른 스포츠보다는 메달을 딸 수 있는 스포츠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했다. 조정, 세일링, 사이클, 육상이 이에 해당됐고 이 4개의 스포츠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들을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이미 전성기가 지났지만 계속 국제시합에 나가는 선수들은 일부러 체계적으로 운동선수 생활을 마감시켰다. 더이상 메달 획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선수들을 ‘메달 획득 가능성’ 순위로 재배정 했다. Rebecca Romero 선수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조정 은메달리스트였지만, UK Sport의 반강제적 권장으로 종목을 사이클링으로 바꿨다. 그녀는 2008년 올림픽에서 사이클링 금메달을 획득했다. 

5. 객관적 지표 기반의 평가 – UK Sport는 해마다 영국의 모든 운동 선수들을 객관적인 성적을 기반으로 평가하고 점수를 매긴다. 물론, 모든 평가와 점수는 선수들의 메달 획득 가능성 위주로 실행된다. 시스템은 간단하다. 여러개의 메달 획득 가능성이 있는 선수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으며, 그 선수들에게 가장 많은 예산이 배정된다. Nicholl 대표는 “우리의 시스템이 너무 냉정하고 선수들을 기계와 같이 취급한다는 비난을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목표는 메달 획득이고 이 목표를 위해서 돈을 한푼도 낭비하지 않는게 제가 해야할 일입니다.”라고 마치 대기업 CEO와 같이 단호하게 말한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영국이 과연 몇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몇위 할지 매우 궁금해졌다(물론, 한국이 제일 궁금하다). 하지만, 나는 쓰러져가는 스포츠팀과 정부기관들이 사기업들의 이러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도입해서 성공적인 구조조정 과정을 거친 사례들을 많이 목격했기 때문에 분명히 잘 할거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도 정부나 공기업에 이런 체계적인 경영 기법들이 적용되어서 업무를 더욱 효율적으로 하고 국민 세금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면 좋겠다.

참고:
-The Wall Street Journal “The Return of the British Empire” by Paul Sonne and Jonathan Clegg

모바일 먼저, 그리고 모바일 온리

한국 출장의 여독이 풀리기도 전에 7.10 ~ 7.11 이틀동안 열린VentureBeat 주관의 MobileBeat 2012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이번주는 샌프란시스코에 잠시 다녀왔다(참고로, 우리가 소개하고 데모한 앱 ‘Better Hearing’이 Smartphone App Competition에서 우승했다). 나도 시간이 많이 없어서 컨퍼런스의 모든 세션을 주의깊게 듣지는 못했지만 이번 행사의 주제이자 가장 많이 회자되었던 단어들은 ‘모바일’, ‘UI’, ‘UX’였다. 여기서 내가 느낀 점들은 6월 한국에서 열렸던 beLAUNCH 2012 행사에서 느낀 점들과 거의 동일했다. 모바일의 세상이 활짝 열렸고, 세상은 다시 한번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5년 전만해도 웹을 먼저 하고, 어느정도 성공을 거두면 그제서야 모바일 서비스를 시작했다. 2년전에는 모바일 서비스를 먼저하고, 그 다음에 웹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제는 모바일을 먼저하고, 모바일만 해도 billion dollar business를 충분히 만들 수 있는 재미있는 세상이 왔다. 얼마전에 Facebook한테 10억 달러에 인수된 Instagram이 이런 케이스이다. 소비자 시장은 말할것도 없지만, 기존 Windows 체제가 지배하던 기업용 시장의 기기 중 절반 이상이 이제는 iOS와 Android 기반의 모바일 환경에서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이런 환경을 조성한 일등공신은 역시 스티브 잡스다). 이 바닥에서 일하고 있는 나도 감을 잡기도 전에 이렇게 빨리 온 모바일 환경은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창업자들한테는 일생일대의 기회이다. 왜냐하면, 이미 수십년동안 non-모바일 환경하에서 제품을 개발하고 서비스하던 대기업들이 방향을 틀어서 모바일 전략을 수립하는거 보다는 애초부터 모바일 제품 전략을 가지고 시작하는 스타트업들이 더 빨리 움직이고, 신속하게 결정해서 이길 수 있는 승산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금 현재 본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서비스들을 한번 봐라. 대기업에서 만든 서비스들은 거의 없다. 모든 모바일 혁신은 1-2년 전에는 존재하지도 않던 스타트업들에서 나오고 있다. 이 스타트업들 모두 다 모바일을 회사의 첫째이자 유일한 전략으로 선택하고 제품을 개발하기 때문이다.

모바일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건 UI / UX 디자인이다. 손바닥만한 스마트폰 화면상에서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눈이 어지럽지 않을 정도로 간단하지만 동시에 사용할만한 가치가 없을 정도로 너무 간단하지 않은 서비스를 만드는건 정말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인거 같다. 물론, 좋은 제품을 기획하고 이걸 잘 코딩하는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모바일 UI / UX를 잘 디자인하는게 기획이나 코딩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이번 MobileBeat 컨퍼런스에서 내가 만난 대부분의 창업자들은 이제는 오히려 엔지니어링 보다 디자인이 더 중요하다고 여러번 말을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냥 화면만 이쁘게 만들어서 되는건 아니다. 이뻐서 눈이 즐거워야하는건 기본이고, 사용하기 쉽고(모바일 서비스는 복잡한 ‘사용방법’ 이나 ‘사용자 매뉴얼’ 같은게 존재하면 안된다. 그 자체가 “우리 서비스는 복잡해서 매뉴얼을 읽어야 합니다”라고 말하는거와 같다), 쉽게 사용하지만 그 쉬운 사용이 특정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변덕스러운 고객들은 손가락 하나만 까딱해서 다른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쉽지 않지만, UI / UX 디자인을 제대로만 한다면 어쩌면 Instagram 부럽지 않은 성공 사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5년 전 첫 아이폰이 출시 될때만해도 모바일이 이렇게 뜰줄은 몰랐다. 앞으로 5년 후에는 또 어떤 새로운 기술들이 세상을 지배할지 매우 궁금해지는 주말이다.

Jim Collins의 GREATNESS

경영학, 마케팅, 전략을 조금이나마 공부하거나 아니면 관심있는 사람치고 Jim Collins의 책을 안 읽어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가 25년 동안 출간한 6권의 베스트 셀러 (1994: Built to Last, 1995: Beyond Entrepreneurship, 2001: Good to Great, 2005: Good to Great and the Social Sectors, 2009: How the Mighty Fall, 2011: Great By Choice) 중 나는 3권을 읽었는데 지금도 가끔씩 책장을 여기저기 넘기면서 필요한 자료와 내용을 찾을 정도로 깊이가 있고, 방대한 데이터 기반의 주옥같은 내용들이 즐비한 책들이다. 그의 신작 Great by Choice를 비롯한 그의 모든 책들의 공통적인 주제는 ‘위대한 기업은 뭐가 다른가’이다. 왜 어떤 기업들은 그냥 ‘좋은’ 기업으로 남고 어떤 기업들은 ‘위대한’ 기업으로 남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우리 시대 그 어떤 학자보다 더 많은 지식과 통찰력을 가지고 있는 Jim Collins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위대한 기업의 조건은 무엇일까?

Jim Collins는 위대한 기업을 정의할때 기업의 input과 output을 본다고 한다. 기업의 문화, 내부 시스템 등은 모두 한 기업의 input이고 모두 좋은 기업을 만드는데 기여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위대함을 말할때는 input 보다는 output만이 중요하다고 한다.
위대한 기업을 정의할 수 있는 첫번째 output은 그 분야에 있어서의 월등한 결과이다. NBA 농구팀들은 모두 우수한 선수층을 보유한 좋은 팀들이지만 위대한 팀은 챔피언쉽을 따는 팀들이다. 이와 같이 비즈니스에서도 위대한 기업들은 경쟁사들보다 수익과 매출면에서 월등한 지속적인 결과를 생성한다. 즉, 금전적인 결과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두번째 output은 독보적인 임팩트이다. 만약에 우리 회사가 오늘 망한다면, 지구상의 그 어떠한 기업도 우리가 하던걸 대신할 수 없다면 이게 바로 독보적인 임팩트를 갖는 기업이다. 독보적인 임팩트를 남기기 위해서 기업이 규모 자체가 커야할 필요는 없다. 동네의 조그마한 커피샾이 없어져서, 그 동네 사람들이 오랫동안 그 커피샾을 잊지 못하고 그리워 한다면 이 커피샾은 위대한 output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세번째 output은 지속성이다. 지속성을 보유한 기업들은 외부환경, 대표이사, 경영진, 제품, 시간과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월등한 결과와 독보적인 임팩트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위의 3가지 output 중 한 분야에서 실패를 해도 기엄들은 큰 지장없이 ‘좋은’ 기업이 될 수 있지만, ‘위대한’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이를 모두 다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Jim Collins는 말한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위 3가지 output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기업을 공유해주면 좋겠다.

참고:
Bo Burlingham, “Be Great Now” (Inc., 2012.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