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Web 2.5

Web 2.5라는 단어에 대한 생각을 요새 많이 하고 있는데, 막상 검색해보니 이 개념이 이미 존재하고 있고, 많은 사람이 관련해서 생각을 공유하고 있었다.

요새 Web3에 대해 다양한 글도 읽고, 사람도 가끔 만나서 공부하고 있는데, 매일 새로운 개념과 기술이 나오고 있어서 스스로 독자적인 생각을 하기보단, 따라잡기 하는 데만 급급하다. 그래서 이 분야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우리 투자사 대표님에게 시간을 좀 할애해달라고 부탁했고, 얼마 전에 한 2시간 반 정도 Web3에 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실은 이 미팅 이후에 머리가 더 복잡해지긴 했지만, 기억에 남았던 건 “Web 1.0은 read, Web 2.0은 read and write, 그리고 Web 3.0은 read, write and own”이라는 정의였다. 매우 깔끔하고 직관적인 설명이라서, 나도 이 정의를 요새 자주 인용하고 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Web3가 지향하는 진정한 오너십은 너무 이상주의적이라서 현실에 적용하는 게 어렵다는 생각이 들고, 오히려 나는 Web 2.5라는 Web 2.0과 Web 3.0 중간 어딘가에 걸쳐 있는 형태가 일단 가장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구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런 형태가 그나마 가장 잘 돌아가는 조직이 민주주의 국가라고 나는 생각한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모든 국민들에게 투표권이 주어진다. 개개인의 신분, 경제적 능력, 직업 등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투표권이 주어지는 게 아니라 그냥 모두가 동일한 의사결정권이 있는데, 오너십이 차등적으로 주어지는 Web3 개념과는 약간 다르다. 어쨌든, 이렇게 모든 국민들에게 결정권이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국가는 완벽히 탈중앙화된 조직은 아니다. 결국 사회의 구성원이자 오너인 국민들 위에 군림하는 중앙화 된 정부가 있기 때문에, decentralized는 아니라 centralized 된 형태의 조직이다. 물론, 국민이 뽑는 리더인 대통령과 참모, 그리고 정치인들이 믿을만한 중앙 정부를 만들고 있냐에 대해선 물어보는 사람마다 다른 대답을 얻을 것이지만, 만약에 모든 국민이 믿는, 국가를 위해 항상 최선의 결정을 하는 중앙화된 리더십이라는 게 존재한다면, 이런 반중앙화 된 Web 2.5 형태가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Web이 아닐까 싶다.

물론, 민주주의 국가는 문제가 많다. 어쩌면 이런 국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이 발명됐을 텐데, 그렇다고 Web3로 바로 이동하기엔 아직 해결해야 할 점들이 너무 많다는 생각을 매일 하고 있다.

자산으로서의 디지털 자산

이 내용에 관해서 쓰기 시작한 게 몇 주 전인데, 그동안 다른 글들을 쓴다고 마무리를 못 했었다. 실제로 마무리하는 와중에 알고 스테이블코인 테라/루나 사고가 터져서, 이걸 올리지 말까 하는 생각도 했었는데, 현재 시장의 분위기와는 상관없이 그냥 내 개인적인 생각이니 혹시나 동의하지 않더라도 나한테 증오 이메일은 안 보내면 좋겠다.

전에 The New Consumer의 “Consumer Trends 2022 Report” 라는 보고서에 대한 을 쓴 적이 있는데, 여기엔 흥미로운 내용들이 상당히 많았다. 내가 특히 재미있게 읽은 부분은, MZ 세대들의 Digital Money 현황인데, 다음과 같은 차트가 있었다.

<출처: Consumer Trends Survey / Consumer Trends 2022 Report>

설문 조사한 미국의 MZ 세대 중 21%가 이더리움, 13%가 비트코인, 그리고 11%가 NFT를 2021년도에 구매한 경험이 있다는 차트이다.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을 더 많이 구매했다는 게 처음에는 약간 의외였지만, NFT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ETH가 필요하니까 이런 숫자가 나온 것 같다. 어쨌든 이 차트는 꽤 인상적이었다. 설문조사를 한 모든 개개인의 사정이나 상황을 알 수 없지만, 내가 처음 투자에 입문했을 때 샀던 건 주식이었는데, MZ 세대들은 주식이나 부동산을 그냥 건너뛰고 바로 디지털 자산으로 투자에 입문하고 있다는 시장 상황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2013년도에 코빗에 투자하면서 비트코인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고, 이후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딱 이 두 가지 디지털 자산에만 투자했다. 알트코인이 엄청나게 많이 나왔고, 이후에 ICO 광풍이 불었을 때도 그냥 이 두 가지 자산에만 관심을 가졌다. 아직 다른 디지털 자산에 대한 확신이 없었고, 대부분 망할 거라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생각이 조금씩 변하기 시작했고, 2020년도부터 다른 디지털 자산에도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Cardano/ADA도 조금씩 사보고, Polkadot/DOT도 사고, 심지어는 ApeCoin도 사면서 전통적인 자산을 다각화하듯이 디지털 자산도 다각화하기 시작했다. 공부를 좀 해야 하지만, 내 개인적으로 봤을 때 디지털 자산으로서 의미가 있는 암호화폐들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포트폴리오 다각화/분산화 전략 면에서는 이제는 어느 정도 말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제 디지털 자산이 정말로 자산이 되고 있다는 확신이 매일 매일 강해지고 있기도 하다.

흔히들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라고 하고, 많은 전문가와 학자들이 금과 비트코인을 여러 가지 면에서 비교하는데, MZ 세대에겐 비트코인이 정말로 금일지도 모르고,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은 어쩌면 우리가 아는 금덩어리 자체가 뭔지 모를 수도 있을 것 같다. 마치, MZ 세대가 VHS 비디오와 워크맨이 뭔지 모르듯이.

이런 각도에서 보면, 디지털 자산은 앞으로 부동산, 주식, 현금 등과 같은 실제 자산으로 인식될 확률이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인간 대 기계

나도 정기적으로 글을 쓰고 있지만, 이 세상에는 글을 잘 쓰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특히, 이 tech 분야에는 코딩도 잘하고, 마케팅도 잘하고, 투자도 잘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 중 글을 아주 맛깔나게 잘 쓰는 분들도 상당히 많다. YC의 폴 그레이엄, 그리고 USV의 프레드 윌슨은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최고의 VC이자, 글쟁이들이다. 특히 프레드 윌슨의 블로그를 나는 수년 동안 매일 정독하고 있다(이제 이분이 반 은퇴하셔서 그런지, 글을 훨씬 덜 쓴다).

그런데, 과거 10년 동안 가장 임팩트가 컸던 글을 딱 하나만 꼽자면, 개인적으로는 바로 a16z 마크 앤드리슨의 “Why Software Is Eating the World“를 선택하겠다. 2011년 8월 20일 월스트리트저널에 기고된 이 글은 우리가 하는 일, 그리고 우리가 투자하는 스타트업들이 하는 일을 잘 설명하고, 앞으로 이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서 간단명료하게, 하지만 총체적으로 설명해준다.

그리고 11년이 지난 현재, 정말로 소프트웨어가 이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다. 특히 가장 빨리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는 기술이 AI라고 나는 생각한다. 인간의 두뇌로는 처리하기 힘든 대용량 데이터를 소프트웨어가 학습해서 처리하는 AI가 그동안 일반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 치운 속도보다 훨씬 더 빨리 이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는데, 갈수록 성능이 좋아지는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과거에는 ‘인공’만 존재하던 AI에 실제 ‘지능’이 더해졌고, 점점 더 발전되고 있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지난 5년 동안 실제로 AI 분야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스타트업이 나왔고, tech 분야에서 내가 아는 가장 똑똑한 엔지니어들이 AI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이 분야는 앞으로 지금보다 훨씬 더 비약적인 발전을 할 것이고, 그동안 사람만이 할 수 있던 많은 일들을 앞으로는 소프트웨어가 대체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나는 의심하지 않는다. AI가 인간의 업무를 일부 대체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대해서는, 각자 의견이 조금씩 다르고, 나는 여기에 있어서는 조금 더 보수적인 입장이긴 하지만, when의 문제이지, if의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AI가 인간의 뇌를 완벽하게 대체하진 않을 것이다. 아무리 소프트웨어가 발달하고, AI의 지능이 뇌의 수준을 따라가도, 인간 고유의 영역은 언제나 인간의 것으로 남을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이런 분야를 잘 연구해서, 이 분야에서 사업을 하면 AI가 아무리 발달해도 좋은 기회가 존재할 것이고, 기술이 더 발달할수록, 인간 고유의 영역은 이 기술을 보완하고 견제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커질 수도 있을 생각한다.

대표적인 것들이 데이터에만 의존할 수 없는, 창의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들, 또는 아주 오랜 기간 동안 쌓인 지식과 경험을 순간적으로 압축해서 복잡도가 높은 결정을 해야 하는 그런 분야인데, 예술, 운전, 심지어는 내가 하는 초기 벤처 투자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 같다. 또는, 기계의 성능보단 많은 사람의 집단 지성이 더 큰 힘과 정확도를 발휘하는 분야도 소프트웨어가 아무리 발달해도 AI가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는 분야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 치울 것이고, 이 중에서도 AI가 그 으뜸일 것이지만, 그럴수록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영역 또한 아주 커지고 세분화 될 것이다. 여기서 나오는 기회를 항상 예의주시해야 한다.

DAO에 대한 생각

작년까지만 해도 매달 마지막 포스팅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내 생각에 관해서 썼는데, 이 분야가 너무나 빨리 변하고 있고, 우리가 이 분야에만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VC가 아니라서, 이젠 캣치업 하는 것 자체가 너무 힘들다. 매일 전 세계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 읽고, 공부하고,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서, 올해는 정기적으로 글을 쓰고 있진 않고, 가끔 기사를 통해서 공부하고, 이 분야의 회사들을 만나면 간접적으로 최신 트렌드, 기술, 제품, 창업가들에 대한 소식을 듣고 학습하고 있다.

그래도 요새 가장 관심을 갖고 보는 분야가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이다. 2016년에 이더리움을 접했을 때 DAO라는 말을 처음 들었고, 꽤 재미있는 컨셉이라는 생각을 했는데, 이게 7년 후인 지금 이렇게 난리가 날 줄은 몰랐다. 최근에 나름 여러 의견을 듣고, 참여도 좀 해보고, 시간 날 때마다 이 새로운 커뮤니티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내 개인적인 의견, 느낌, 경험이지만, 나는 DAO에 대해서는 아직도 갸우뚱이다. 비트코인을 처음 접했을 때도 실은 잘 이해는 못 했지만, 굉장히 긍정적인 믿음이 있었고, 이더리움도 비슷한 느낌이었다. 솔직히 이더리움을 최초의 DAO라고 보는 의견도 있지만, 지금 업계에서 흥분하고 있는 DAO에 대해서는 나는 아직은 좀 부정적이다. DAO가 정말로 메인스트림 커뮤니티/organization이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도 많고, 시간도 상당히 많이 걸릴 것 같다.

일단 DAO라는 약자 자체가 난 오해의 소지가 다분하다고 생각한다. 내가 봤을 때 현재 DAO는 D(Decentralized)도 없고, A(Autonomous)도 없다. 단지, O(Organization)만 있을 뿐이다. DAO가 약속하는 건,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미리 약속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완전히 투명하고, 완전히 탈중앙화된, 조직의 안건에 대해서 모두 다 투표권을 갖게 되는 가장 이상적인 조직이다. 말은 너무 좋다. D와 A는 그 어디에 갖다 붙여도 쿨해 보이고, 민주적이고, 모두가 바라던 그런 이상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만들어진 DAO를 보면, 조직의 많은 권한이 오히려 불투명하게 중앙화 되어 있고, 모두 다 결정권이 있는 것 같지만, 결정을 하는 모든 사람들이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는 구조가 안 만들어져 있어서 자율성 또한 부족한 것 같다. 실은, 내가 봤던 많은 DAO는 그냥 주식회사나 유한회사를 제대로 설립해서 투자받는 복잡한 프로세스를 우회하기 위해서 만들어졌고, 그러면서 전혀 모르는 사람들로부터 돈을 받고, 소수의 멤버가 본인들이 하고 싶었던 일을 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그리고 아직은 법의 테두리 안에서 존재하는 형태의 조직이 아니라서, 투자금을 날리거나, 사기를 당해도 별로 할 수 있는 게 없는 게 현실이다.

(나도 조금 보유하고 있는) 요새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ApeCoinDAO만 보더라도, D와 A는 없고, O만 있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정확한 수치는 확인을 못 했지만, 내가 알기론 BAYC NFT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들한테도 ApeCoin이 배포됐지만, 모기업인 Yuga Labs와 Yuga Labs의 창업자들에게 많은 코인이 배포됐고, a16z와 같은 ‘파트너’들에게도 많은 코인이 배포됐는데, 잘 알다시피 a16z는 Yuga Labs의 투자자이다. 깊게 생각하지 않아도, ApeCoinDAO는 decentralized가 아니라 오히려 centralized에 가깝고, 뭔가 이벤트가 있을 때 투표도 on chain에서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autonomous의 성질 또한 매우 약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렇다고 모든 DAO를 싸잡아서 비방하는 건 아니다. 어떤 DAO는 잘 설계됐고, 거버넌스와 코디네이션 또한 잘 되어 있지만, 극소수인 것 같다. 한 번도 안 만나봐서 본질적인 신뢰가 구축되지 않은 다수로부터 펀딩받기엔, DAO는 아주 쉽고 효과적인 커뮤니티임엔 틀림없다. 하지만, 남의 돈을 투자받으면, 그 뒤에 따라오는 여러 가지 책임, 권리, 거버넌스, 운영 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데, 이게 빠진 것 같다.

내가 이런 이야기를 어떤 지인과 했는데, 대뜸 이분이 나한테 하는 말이, “그런데 Sequoia와 a16z와 같은 엄청난 VC들이 DAO를 지지하고 여기에 투자하는데, 네가 이 사람들보다 똑똑해? 투자를 더 잘해? 니가 뭔데 DAO가 이상하다고 해?” 였다.

솔직히 잘 모르겠다. 이들이 우리보다 훨씬 더 큰 펀드를 운용하면서, 어마한 투자를 하고 있는 건 맞지만, 그렇다고 내가 투자를 이들보다 못하거나, 멍청하다고 생각해 본 적은 없다. 그냥 이건 욕심, 두려움, 잡음, 그리고 시장의 흥분을 배제하고, 아주 냉철하고 냉정하게 생각을 해보면, DAO라는 유행어 때문에 본질을 놓치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든다. 우리가 모두 진정으로 원하는 DAO가 만들어지기 위해선 생태계 많은 분들의 단결, 노력과 협력이 필요하다.

편리함에 대해

우리 누님이 미국에 사시는데, 조만간 한국을 잠깐 방문할 예정이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안 파는 마일로 사료를 부탁하기 위해서 아마존 앱을 열고 이것저것 장바구니에 집어넣었다. 그런데 이걸 집에서 한 게 아니라, 영동대로를 건너기 위해서 신호대기를 하는 도중에 했다. 그리고 신호등이 바뀌어서 횡단보도를 건너면서 결제했다. 한 3분 만에 모든 걸 처리한 셈인데, 실제로 아마존 앱을 통해서 구매하고 결제 완료한 건 1분도 안 걸렸다.

이게 뭐 그렇게 대단한 일은 아니고, 항상 내가 하는 거라서 별생각은 하지 않았는데, 이후에 버스를 타고 사무실에 가면서 생각해보니, 우리가 참 편리한 세상에 살고 있다는 감사함이 들었다. 전에는 – 스마트폰 이전 시절 – 인터넷으로 뭔가를 구매하고 싶으면, 일단 저녁에 집에 가서 밥을 먹고, 컴퓨터 앞에 앉아서 쇼핑몰에 접속해서, 신용카드를 지갑에서 꺼내고, 집 주소를 입력하고,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하고 구매 프로세스를 완료했다. 이게 당시에는 시간도 좀 걸렸지만, 무엇보다도 인터넷으로 뭔가를 구매하려면, 마음의 준비를 해야 했다.

기술이 점점 더 좋아졌고, 세상도 좋아졌다. PC와 노트북이 작은 핸드폰으로 대체됐고, 랩탑 화면도 이미 작지만, 이보다 훨씬 더 작아진 스마트폰 화면에서 작동되는 모바일 앱은 낮은 가독성 때문에 앱 자체가 훨씬 더 심플하고 사용성이 좋아졌다. 그리고 결제 관련 기술과 API 또한 좋아져서 그냥 원클릭으로 결제가 가능한 서비스들도 많아졌다. 이 모든 개선 사항을 종합한 결과물이 위에서 내가 언급한 경험이다. 우리 모두가 다 기술의 발전의 최대 수혜자가 된 것이다.

나는 그동안 한국과 미국의 많은 이커머스 서비스를 사용해봤는데, 이 중 아마존이 가장 돈을 쉽고 편리하게 쓸 수 있는 UI와 UX를 만들었고, 아마도 아마존의 이 프로세스는 점점 더 완벽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한국의 쿠팡도 만만치 않게 편리한 모바일 제품을 만들었다. 가끔은 돈을 써서 물건을 사는 과정이 이렇게 쉬워도 되는 거느냐는 착각을 할 정도로 사용자에게 친숙한 UI와 UX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전에 내가 제품의 비가역성(irreversibility)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다. 기존 제품보다 더 좋은 제품을 사용하면서, 더 편리한 경험을 한 사용자들은 절대로 그 전의 불편한 경험으로 다시 돌아갈 수 없다는 특성인데, 바쁜 도시의 대로를 건너면서 작은 스마트폰으로 반려동물 사료를 1분 만에 구매할 수 있는 아마존의 이런 경험은 전형적인 비가역성의 성질을 갖고 있다. 구매 경험이 불편한 서비스를 나는 다시는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어쩌면 나같이 삐삐, 일반 핸드폰, 스마트폰, 그리고 PC, 노트북, 모바일을 모두 다 경험한 사람만 이런 생각을 할지도 모른다. 태어날 때부터 모바일 기기를 접했고, 첫 인터넷 구매와 결제를 쿠팡이나 아마존을 통해서 경험한 세대에겐 이 내용이 그렇게 새롭진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아직도 사용자의 편리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 회사와 사람들이 너무 많다. 실은, 불편한 서비스가 이 세상에는 훨씬 더 많다.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이런 비가역적인 편리한 경험을 갖게 하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길 수 있는 제품을 만들긴 쉽지 않다. 한 번 편리한 경험을 한 고객은 절대로 불편한 경험으로 돌아갈 수가 없기 때문이고, 불편한 제품에 대한 시장의 인내심은 점점 바닥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