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가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요새 내가 “이분은 이렇다. 저분은 저렇다.”라고 구분할 때 자주 사용하는 비유가 missionary와 mercenary 창업가다. 우리말로 딱 떨어지는 번역은 없지만, 편의를 위해서 나는 missionary 파운더를 사명형 창업가라고 하고, mercenary 파운더를 용병형 창업가라고 한다. 사명형 창업가는 어떤 깊은 목적이나 사명감 때문에 창업했고, 사업을 하면서도 결국 이 사명감을 실천하는 것에 집중한다. 용병형 창업가는 이 반대의 의미인데 단기적인 수익이나 큰 엑싯을 꿈꾸면서 창업했고, 사업을 하면서도 계속 돈에 집중한다.
쉽게 말하면, 사명형 창업가는 큰 비전으로 세상을 바꾸고 싶어 하고, 용병형 창업가는 세상을 바꾸는 건 잘 모르겠고, 그냥 돈을 엄청 많이 벌고 싶어 한다. 실은, 막상 이 두 유형의 창업가들을 만나보면, 이런 사전적인 의미같이 흑백으로 이분들을 구분하기보단, 어떤 쪽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냐,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사명형 창업가도 엑싯을 하고 싶고 돈도 벌고 싶어 하지만, 미션/비전 또는 돈 중 하나만 선택하자면 전자이고, 용병형 창업가도 세상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고 싶은 미션과 비전이 있지만, 하나만 선택하자면 돈을 선택한다.
나한테 굳이 어떤 유형의 창업가를 선호하는지 물어본다면 나는 항상 용병형 창업가를 조금 더 선호했다고 할 수 있고, 최근 5년간 이런 내 선택은 더욱더 돈을 벌고 싶어 하는 용병들 쪽으로 기울어졌다. 많은 투자자가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아이디어에 투자하고, 물질적인 욕심보단 세상에 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창업가들을 선호하는데, 나는 세상을 바꾸겠다는 거창한 미션을 주장하는 창업가보단, 그냥 미팅에서 “어렸을 때 가난해서, 돈을 정말 많이 벌고 싶다.”라고 솔직히 말하는 창업가들을 좋아했다. 돈 벌기 위해서 사업하는 건 어떤 사람들이 보기엔 깊이가 없고 얕아 보일 수 있지만, 지금까지 내 경험에 의하면 돈은 사업의 성공을 위한 최고의 동기 부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개인적으로 보고 느낀, 이 두 부류 창업가들의 또 다른 점은 바로 이들의 진화의 과정이다. 나는 오히려 용병형 창업가가 시간이 갈수록 사명형 창업가가 되는 걸 봤는데, 사명형 창업가는 계속 더 사명형 창업가가 되는 걸 경험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세상을 바꾸는 것과 미션 따위는 전혀 상관없이 그냥 단순히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 창업한 분들이 시간이 흐르고 사업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면, 이들에겐 아직도 돈이 매우 중요하지만, 뭔가 세상에 좋은 기여를 하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된다. 아마도 돈이 생기면 마음의 여유가 조금 더 생기기 때문에 이런 생각을 하는 것 같다. 반대로, 사명형 창업가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계속 세상을 바꾸겠다는 미션에 대해 더 집착하고 더 깊은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같다. 내가 아는 많은 하드코어 사명형 창업가들은 이런 강한 개인적인 성향을 주장하면서 돈을 버는 것엔 관심을 덜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용병형 창업가들은 거창한 전략이나 로켓 성장하는 미래를 약속하기보단, 그냥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매출을 만들고 사업을 잘 돌아가게 만드는 데 집중한다. 대부분 학벌이나 경험이 그다지 대단하진 않지만, 무조건 돈을 벌고, 사업 놀이가 아닌, 진짜로 사업을 하겠다는 그릿(grit)이 다른 창업가들보단 강한데, 얼마나 강한가 하면 이런 용병 정신이 실제로 눈빛에서 보인다.
나는 미셔너리인가, 아니면 머서너리인가? 돈 버는 사업을 하고 있는가, 아니면 돈을 벌고 싶어 하는 사업 놀이를 하고 있는가? 모두 한번 생각해 보자.
런치랩
[…] 그러다 런치랩을 검토하게 됐고, 비즈니스 모델도 꽤 단단하고, 창업가도 용병형 성향이 강해서 몇 달 전에 런치랩의 첫 기관투자자가 […]
아직 돈을 많이 번건 아니지만 이 구절이 너무 공감가네요…!
‘세상을 바꾸는 것과 미션 따위는 전혀 상관없이 그냥 단순히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 창업한 분들이 시간이 흐르고 사업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면, 이들에겐 아직도 돈이 매우 중요하지만, 뭔가 세상에 좋은 기여를 하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된다’
많이 버셔서 이렇게 되길 바래요 🙂
멍청한악플을 볼때마다 한숨이 나옵니다
저는 글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는게 창업가는 당연히 돈을 버는건 기본인 것이고 그다음에 어떤 목적이 있는지에 따라 미셔너리건 머셔너리든 구분되는거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그 구분은 꼭 창업을통해서만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자신이 생각하는 가치관에따라 이루는거라 생각합니다. 내 소득의 30%를 가난한 사람을 후원을 통해 돕고싶어하는 사람은 미셔너리인가요 머셔너리인가요?
익명이라고 함부로 말하는 사람들이 많네요. 제 경험상 사명형인 분들은 대부분 망하고. 10명중 1명 이내 분들이 남아서 크게 되는거 같고요.
돈을 추구하는 분들의 망함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은거같습니다. 그리고 그 분들이 돈을 많이 벌게되고 점점 돈에 대한 한계효용이 낮아지며 더 큰 가치를 찾아 미셔너리로 바뀌게되는게 자연스러운거 같아요.
삼성 이병철도 첨에는 돈 벌라고 설탕이랑 국수부터 팔고 그러다보니 대기업이 된거구요. 에어비앤비도 돈 벌라고 시리얼 팔았죠
가치와 선택의 문제이지 뭐가 더 낫고 숭고한 것은 아닙니다. 저위에 악플단 사람은 자신의 멍청함을 반성하세요.
아 그리고 경험상 사업 초창기에 있는 사명가형 창업가들은 용병형 창업가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존경하는 그리고 더욱 존경해야 하는 시대의 리더가 더더더 돈이나 벌라는 메세지만
남기다니요…. 씨발. 정신차려개색히야.
정신병자세요?
내가 쓴 악플은 세상 누구도 안 읽을 수도 있지만, 쓰시는 분은 반드시 읽습니다. 이 악플은 남을 향하기 전에 자기 자신에게 먼저 향합니다.
결론이 오류인 것 같습니다.
“나는 미셔너리인가, 아니면 머서너리인가? 돈 버는 사업을 하고 있는가, 아니면 돈을 벌고 싶어 하는 사업 놀이를 하고 있는가? 모두 한번 생각해 보자.”
미셔너리건 머서너리건 돈을 벌겠다는 것은 기본입니다. 이 두 종류 중 하나가 돈을 덜 벌고 싶어한다는 것은 그냥 창업가 자질이 아닌거죠.
마치 학교를 다니면서 학교 생활에 충실한 것은 성적만 올리겠다는 학생과 사명으로 성적을 좋게 받는 것이 같은 것 처럼요.
어쨋든 둘다 성공한다고 봅니다. 단 사명으로 사업하는 사람들이 더 사회를 발전시킨다고 봅니다. 돈만 벌겠다는 사람들이 성공하는 부류가 가장 많은 곳은 어둠의 세계인 것은 팩트죠.
오스카 쉰들러는 흔해빠진 기회주의자요, 부패한 사업가였다.
그러나 거대한 악이 이 세상을 집어삼킬 것 처럼 보였을 때,
그 악에 대항하여 생명을 구한 이는 귀족도, 성직자도, 지식인도 아닌
부패한 기회주의자 오스카 쉰들러였다.
투자를 받았으면 미션이고 사명은 둘째치고 그 응당의 책임을 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을 내고 직원들에게 월급을 제대로 주는 일보다 더 신성한 미션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시대가 사명형 창업가도 용병형 창업가로 바꾸고 있다 생각합니다. 엄동설한에 생존 말고 다른 선택지가 없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