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를 통해 올해 내가 가장 많이 듣는 팟캐스트가 엘리트 운동선수들 인터뷰라고 했는데, 운동선수들 팟캐스트 외에 또 자주 듣는 건 전직 특수부대 출신 군인들의(미군) 팟캐스트다. 일단 미국의 엘리트 운동선수와 특수부대원의 팟캐스트를 들을 때마다 가장 놀라운 건, 말을 너무 논리적으로 잘 한다는 건데, 내가 아는 한국의 운동선수와 군인들과 비교하면 너무 차이가 난다. 물론, 말을 잘하니까 팟캐스트도 하고 사업도 하겠지만, 이건 미국의 교육과 환경의 힘이 크다고 생각한다.
건강, 노화, 장수에 대한 전문가 중 한 명인 앤드류 후버만의 팟캐스트 Huberman Lab에서 네이비씰 군인 출신의 인플루언서이자 사업가인 DJ Shipley를 인터뷰했다. ‘How to Make Yourself Unbreakable’이라는 다소 자극적인 이름의 인터뷰이지만, 내용은 너무너무 좋다. 팟캐스트를 듣고 난 후에 나도 DJ의 습관, 루틴, 사고, 태도를 그대로 따라 해서 unbreakable이 되고 싶을 정도였다.
일단 전 세계에서 가장 빡센 훈련을 거치는 특수부대 중의 특수부대 네이비씰 출신이라는 사실만으로 이분은 나의 존경을 받을 자격이 있다. 나는 정신력(=멘탈)과 체력(=피시컬)이 별개가 아니라 하나라고 생각하고, 정신이 몸을 지배하는 게 아니라 몸이 정신을 지배한다고 믿는 사람이라서 일단 일반인이 상상도 할 수 없는 육체적 훈련을 거치고, 그 악명높은 BUD/S(Basic Underwater Demolition/SEAL) 6개월 훈련을 통과해서 네이비씰이 된 군인들을 기본적으로 존경한다. 또한, 내가 아는 대부분의 육체가 강한 사람들은 정신력도 강하기 때문에 더욱더 특수부대원들을 존경한다.
이 팟캐스트에서 계속 언급되는 내용은 “반복” , “루틴” , “책임”이다. 특히 DJ의 루틴은 10년 이상 매일 같은 루틴을 나름 엄격하게 반복하는 나 같은 사람이 들어도 아주 짜증 날 정도로 엄격하다. 이런 사람과 같이 사는 이분의 가족이 존경스러운데, 종교보다 더 종교다운 루틴을 이분은 오랜 시간 동안 변함없이 매일 반복하고 있다. 매일 같은 시간에 기상하고, 아침마다 같은 루틴을 반복하고, 거의 같은 시간에 퇴근하고, 저녁마다 같은 루틴을 반복하고, 같은 시간에 잔다. 조금이라도 이 루틴이 어그러지면, 하루를 완전히 망치고, 하루를 망치면, 일주일을 망치고, 일주일을 망치면, 한 달이 힘들고,,,결국엔 인생이 불행해지고 정리가 안 되기 때문에, DJ의 가족은 정말 급한 위기 상황이 아니면 이 루틴을 절대로 방해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분의 루틴은 내가 완벽하게 따라 하기엔 무리지만, 배울 점이 상당히 많다고 생각했다. 네이비씰이 전시에 지키는 그 엄격한 루틴을 제대한 후에도 인생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고, 이런 삶을 살면 남들보다 더 앞설 수 있다는 건 누구가 잘 알지만, 또 동시에 이런 삶을 모두가 다 살 수 없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이런 루틴은 이분의 삶의 극히 일부만 반영하고, 실제 배울 점은 이런 루틴을 기반으로 자신을 unbreakable 하게 만들 수 있는 습관, 태도, 사고방식인데, 이런 것들이 이 팟캐스트의 핵심이다.
인터뷰에서 DJ가 “내가 어떤 사람이 될 진,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내가 결정한다.”라는 너무나 당연한 말을 했는데, 나는 이 말이 제일 맘에 들었고 이거 하나만 제대로 해도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거창하지 않은, 평범한 예시를 들었다. 우리 주변에 항상 있는데, 매일 아침 늦게 일어나서 허둥지둥 회사에 미친 듯이 뛰어오고, 이 와중에 지하철에서 지갑이나 폰을 분실하고, 일에 집중 못 해서 매일 깨지는,,,그런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스스로에게 “왜 내 인생은 항상 이럴까?” , “왜 나는 항상 여유가 없을까?”라면서 자책한다.
근데 정말 왜 그럴까? 이런 사람들은 왜 항상 이렇게 살까? 간단하다. 본인이 인생을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계속 이러면 평생 지각하고 평생 여유 없는 인생을 살 것이다. 본인이 스스로 이런 사람이 되는 결정을 했기 때문이다. 자신을 진지하게 대하고, 스스로의 선택과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 그리고, 이건 네이비씰이 아니라도 누구나 다 할 수 있다.
아프니까 청춘이다 인가….
좋은 글 감사합니다.
네이비씰도 사실은 개인의지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지만요..
대표님의 글을 읽으며, 한 인간이 스스로를 단련하고 통제하는 힘이 얼마나 큰지를 새삼 느꼈습니다. 엘리트 운동선수나 전직 네이비씰 같은 인물들이 보여주는 규율과 집중력은, 누구라도 고개를 끄덕이게 만듭니다. 그들이 만들어낸 루틴과 일상의 규칙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일종의 철학처럼 보입니다. 그런 삶을 존경하고 닮고 싶어 하는 마음, 충분히 이해됩니다.
하지만 글을 읽는 내내 한 가지 의문이 남았습니다.
“정말 모든 것은 개인의 의지로 설명될 수 있을까?”
대표님께서는 “인생이 늘 어수선한 사람은 스스로 그렇게 살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하셨지요.
이 문장은 단호하고, 듣기에 시원합니다. 그러나 그 단호함 속에서 사회라는 배경이 완전히 사라집니다. 누군가는 루틴을 지킬 여건조차 가지지 못한 채 살아갑니다.
그들의 하루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연속입니다.
강한 의지는 분명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의지가 발휘될 수 있으려면, 사회가 그 토양을 마련해 주어야 합니다.
적절한 휴식, 안전한 일터, 공정한 교육 환경, 기본적인 의료 접근성 같은 것들 말입니다.
이런 요소들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더 강해져라”, “책임져라”는 말은 결국 개인에게만 짐을 지웁니다. 그것은 사회의 책임을 조용히 회피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대표님이 존경하신 ‘Unbreakable’한 인물들은 사실, 이미 체계적 훈련과 국가적 지원 속에서 자라난 분들입니다. 그들이 단단할 수 있었던 이유는 개인의 노력뿐 아니라, 그 노력을 가능하게 만든 구조 덕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표님의 글은 그 배경을 거의 언급하지 않습니다.
결국 ‘누구나 마음먹으면 된다’는 결론으로 귀결되는데, 이 믿음은 현실의 불평등과 격차를 가리기 쉽습니다.
강한 개인은 필요하지만, 그것이 사회를 단단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기 시작하면, 공동체는 점점 더 냉소적이고 무감해집니다.
진짜 강인함은 자기 루틴을 완벽히 지키는 데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타인의 약함을 이해하고, 그 약함이 덜 고통스러운 환경을 함께 만드는 데서 완성됩니다.
대표님의 성찰이 개인의 성장에 머물지 않고, 사회 전체의 성숙으로 확장되기를 바랍니다.
우리가 진정 지향해야 할 것은 혼자 부서지지 않는 사람이 아니라, 함께 부서지지 않는 사회일 것입니다.
항상 생각할 여유를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 의견 잘 읽었습니다. 솔직히 저는 사회와 같이 거창한 부분은 생각해보지 않았고, 솔직히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사회적 토양을 만드는 건, 저보단 정치인들이 먼저 시작을 해야 하는데요, 이건 제가 콘트롤 못 하기 때문에, 제가 바꿀 수 없는 것들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주신 의견에 강한 반박을 해보고 싶은 부분은 있습니다. 저는 모든 건 개인의 의지에 달렸다고 생각합니다. 사회가 개인의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토양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말, 그리고 사회가 개인을 만든다는 말은 너무 이상적이예요. 개개인이 모여서 사회가 되고, 모두다 스스로를 통제하고 최선을 다해서 이게 사회에 반영되게 하는게 우리가 콘트롤 할 수 있는 일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덜 고통스러운 사회를 만들고 싶으시면, 스스로 먼저 그렇게 행동해야 합니다. 사회가 개인을 책임져주진 않잖아요.
고맙습니다.
바꾸기 가장 쉬운 것, 어쩌면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것은 본인 자신 뿐이고 그렇게 개개인이 바뀌어 사회 변화로 나아가겠죠. 그리고 창업정신이 그것의 실현이라 생각합니다.
“본인이 스스로 이런 사람이 되는 결정을 했기 때문이다.”
“스스로의 선택과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 그리고, 이건 네이비씰이 아니라도 누구나 다 할 수 있다.”
Thank you for your insight!
Thank you sir. Glad you liked it.
완벽한 자유는 완벽한 자신의 통제로부터 나온다
너무 공감합니다 🙂
좋은 에피소드 소개 및 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소개 부탁드려요!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