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Tribute to 마이클 크라이튼

이 글은 한참 전에 쓰려고 했는데 짬이 안나서 이제서야 한마디 적는다. 11월4일 우리에게는 ‘쥬라기 공원’, ‘콩고’, TV 시리즈 ‘ER’과 같은 주옥같은 작품으로 유명한 이시대 최고의 storyteller Michael Crichton이 66세의 나이로 그동안 계속 투병하던 암으로 이 세상을 떠났다. 내가 죽기전에 마이클 크라이튼과 같은 작가의 책을 다시 읽을 수 있을까? 분명히 “No”일거다.

미국인들은 마이클 크라이튼을 ‘the master of the unputdownable novel’이라고 말하는데 정말 딱 맞는 말인거 같다. 크라이튼은 1995년 Time지의 표시모델로 아주 큰 티라노사우루스의 뼈와 같이 포즈하였는데 Time 지는 “The Hit Man”이라고 크라이튼을 설명하였다. 내 기억으로는 작가를 타임지가 표지모델로써 선정한거는 아마도 크라이튼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던걸로 알고 있다. 크라이튼의 소설은 전세계 1.5억권 이상이 팔렸으며, 장시간 비행기 여행이나 주말에 소파에 앉아서 아무 생각없이 읽기 시작하다가 전권을 다 정독하기에는 딱인 책들이다. 크라이튼의 storytelling 능력은 거의 예술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건 단순한 작가의 관점 보다는 과학도 (크라이튼은 하버드 의대 출신이다)의 입장에서 사물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또한, 재미있는 이야기로 포장된 크라이튼의 소설들을 조금 더 깊게 읽는다면 우리한테 뭔가를 알려주고 경고하는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의 대표적인 소설 “쥬라기 공원”은 한 돈많은 부호가 외딴 섬에서 공룡들을 다시 부활시키는 내용이지만 과학이 넘어서는 안되는 신의 영역과 과학의 거만함 등에 대해서 신랄하게 비판을 하는 생각이 그 중심에 있다. 물론 이러한 면에서 보면 “프랑켄슈타인”이나 “Brave New World”와 같은 수준까지는 오르지는 못하였지만 어찌되었던간에 이 두 고전보다는 훨씬 재미있다. 아마도 크라이튼의 “쥬라기 공원”을 보고 영감을 받아서 고고학 공부를 시작한 꿈과 호기심 많은 청년들도 알게 모르게 많이 있을거다…마치 내가 한때 인디아나 존스를 보고 이집트의 보물을 발굴하고 싶어하였듯이…“Rising Sun”이라는 소설에서는 크라이튼은 일본인들의 자본주의가 미국을 지배하여 악영향을 끼칠거라는 민감한 내용에 대해서 신랄하게 비판하였는데 이는 비미국인들, 특히 아시아인들의 미움을 사기에 충분하였으며 인종차별주의자라는 말까지 언론으로부터 들었던게 기억난다.

정통 소설가/작가들로부터 마이클 크라이튼은 평생 인정은 못 받았다. 상업주의에 물들어서 너무 ‘재미’ 위주의 소설을 쓴다는 비판을 죽을때까지 받았으며 과학자들은 100% 정확하지 않은 사실에 근거하여 증명할 수 없는 주관적인 의견을 너무 많이 갖다 붙였다는 비판도 많이 했다. 그렇지만 나는 소설이던 영화던 간에 그 줄거리를 떠나서 무조건 재미있는게 좋은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시는 크라이튼의 소설을 읽을 수 없다는 사실에 안타까운 심정을 감출 수가 없네…

한경희 – The 50 Women to Watch 2008

올해도 어김없이 Wall Street Journal에서는 “The 50 Women to Watch 2008” 리스트를 발표하였다. Journal의 성격상 대부분의 candidate들은 경제와 비즈니스 관련된 어셩분들이고 정부나 비영리 단체 또는 종교계에서 종사하고 계신 분들은 거의 없었는데, 쭉 훌터보다가 48위에서 내 눈이 멈췄다. Romi Haan – Founder of Haan Corp. 사진을 보니 동양 사람이니 독일인은 아니고..분명히 한국의 ‘한’씨 같은데 처음 들어보는 회사인거 같은데…한글과 컴퓨터인가? 클릭하고 첫 페이지가 뜨자마자 “뜨악~” 했는데 바로 한국에서 그 유명한 ‘한경희 스팀 청소기’였다. 이 회사 잘나가는건 알았지만 창업자 한경희 여사가 이렇게 유명해지다니…말이 WSJ의 50 Women to Watch지 Wall Street Journal에서 선택을 하였으면 세계 최고의 한인 여성 CEO란 말인데.

나도 한국에서 혼자 살때 홈쇼핑을 통해서 한경희 스팀 청소기를 사서 사용을 하긴 하였는데 제품은 정말 좋았다. 9년 전 편하던 공무원 직장을 그만두고 이미 삼성LG라는 가전제품의 제왕들이 꽉 잡고 있는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용기 자체가 가상하기도 하였지만, 아무것도 모르고 깡으로 무장한 한 ‘아줌마’가 한국이라는 폐쇄적인 사회에서 여성의 입장에서 창업을 하는건 상당히 위험하고 황당한 모험이었다고 한사장님은 당시 상황에 대해서 말을한다. 참고로 스팀 청소기를 만들어야겠다는 발상은 본인의 필요에서 나온것이다. 성공한 벤처기업들의 탄생 배경에는 한경희 스팀 청소기와 같이 “necessity”가 깊게 자리를 잡고 있다. “허리를 굽혀서 빗자루질을 하고, 다시 걸레질을 하는게 너무 불편해서 그냥 서서 걸레질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라는 고민을 하다가 시중에 나와있는 물건들을 사용해 봤는데 별로 맘에 안들었어요.” 자, 이 생각과 이런 말은 누구나 다 한번씩 해보는 고민과 말들이다. 보통 사람들은 여기서 그냥 멈춘다. “맘에 안들지만 우짜겠노…파는게 이거 밖에 없는데 그냥 사용해야지.”라는 생각을 대부분 사람들은 하지만entrepreneur들은 다르다. 한사장과 같은 entrepreneur들은 불편함이라는 단점을 비즈니스 idea로 승화시켜서 새로운 Blue Ocean을 만드는 남다른 제주와 끈기가 있는거 같다.

그리고 내가 보기에는 한사장님은 제주 보다는 끈기가 더 많았던거 같다. 한사장의 원래 계획은 한 5천만원 정도 투자해서 6개월만에 스팀 청소기를 만드는거였는데 결국에는 그 액수의 10배가 넘는 5억원 이상을 써서 2001년도에 첫 제품을 출시하였다. 야심차게 출시하였지만, 결과는 아주 비참한 실패였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지 않고 지속적인 연구와 고민 끝에 그로부터 3년뒤에 10만원대 가격의 스팀 청소기를 홈 쇼핑 채널에서 판매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게 바로 주부들의 입소문을 통해서 대한민국에서 대박이 터진거다. 작년 매출 1,200억이면 중견 기업이나 다름없는 규모인데,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아줌마가 맨손으로 시작하여 일궈낸 사업치고는 정말 not bad이다. 특히, 한국에서 돈 좀 있는 여자들은 대부분 재산을 물려받았거나, 연예인이거나 아니면 골프 선수인데 스스로 성공한 드문 여성 사업가의 케이스를 한경희 사장은 만들어 내었다. 앞으로 이런 케이스가 계속 더 많이 생기길 같은 한국사람의 입장에서 기대를 한다.

외국 나오면 다들 애국자가 된다고 하는데, 나도 그런거 같다. 자랑스럽다. 솔직히 속으로 애국가를 부르고 싶을 정도로 통쾌하고 자랑스러운데, 가사를 다 몰라서 humming만 잠깐 했다 🙂

45분만에 끝내는 골프 게임

Golf – 이 단어를 보기만 해도 지금 당장 골프채를 가지고 필드로 나가고 싶을 정도로 요새 골프에 많이 심취해 있다. 그렇다고 잘치는거는 절대 아니고 이제 막 골프에 재미를 붙일 정도의 실력이 생기고 있다고나 할까. 오늘은 골프 관련하여 참으로 신기한 사람이 있어서 잠시 몇자 적어보려고 한다. Christopher Smith는 3년 전에 시카고에서 speed-golf 신기록을 세운 사람이다. Speed-golf는 말 그대로 빨리 치는 골프인데, 얼마나 빨리 쳤냐하면 정규 코스 18홀을 (par 72) 약 44분 만에 돌았으며, score는 경이로운 -6이었다. 이 블로그 독자분들 중 골프를 치시는 분들고 있고, 안 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 안 치시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드리면 보통 18홀 골프 경기에 소요되는 시간은 4시간+ 정도이며, -6이라는 점수는 프로 선수급이다. 골프 선수들은 대부분 14개의 골프채를 가지고 경기에 임하는데 Smith씨는 무게를 줄이려고 골프채를 6개만 가지고 쳤으며, 공을 치자마자 손쌀같이 달려가서 다시 공을 치고…하여튼 뭐 이렇게 해서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스피드 골프에서는 생각할 시간이 없습니다. 감각적으로 상황을 판단하고, 거리를 판단하여 그냥 망성일 없이 공을 쳐야합니다. 이렇게 경기를 진행하면 골프는 생각하면서 하는 운동이 아니라 반사적인 운동이 되어버리는거죠. 마치 테니스와 같은 운동과 비슷해 진다고 할까요. 상황을 보고 생각을 오래 하고 행동하는게 아니라, 나한테 날아오는 공에 대해서 몸이 마치 자동으로 반작용하는게 되는거죠.” 스피드 골프에서 가장 방해가 되는거는 생각과 의식이라고 스미스씨는 말한다. 골프를 비롯한 다른 운동에서 실수를 하는거는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대부분의 골퍼들은 그냥 잘못 쳤으니까 다음부터는 잘쳐야지라고 간단하게 생각하지 않고, “이번에는 팔을 너무 굽혔으니까 다음에는 왼팔을 쫙 펴야지. 그리고 머리도 들었는데 머리는 계속 땅을 보고. 음, 허리도 잘 안돌아가는데 어깨로 스윙을 해야지.” 뭐 이런 끈임없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되는데 바로 이렇게 생각하고 스스로 잘못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점들을 지적하는 순간부터 몸이 최상의 컨디션으로 행동하는걸 방해하개 된다고 한다.

즉, 스미스씨의 요점은 생각을 할수록 골프 경기를 망치게 된다는 말이다. 바로 이 점이 내가 “아 정말 그렇구나!”라고 생각을 하였던 부분인데 정말 아무 생각없이 공을 치는 경우가 오히려 생각을 많이 하고, 여러가지 상황을 simulation하면서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보다 훨씬 점수가 잘 나온적이 많은거 같다. 한번도 이렇게 생각해본적은 없지만 생각할 수록 맞는 말인거같고 골프 뿐만이 아니라 인생을 삶에 있어서, 그리고 일함에 있어서도 이런 “생각하지 않고 몸이 가는데로 내버려둬라” 라는 이론을 적용하면 결과가 더욱 더 좋아질것도 같은 생각이 든다.

그런데 다른 각도에서 또 생각을 해보면, 특정 상황에 대해서 몸이 자동으로 반사하기까지는 얼마나 많은 연습과 피땀을 흘렸을까라는 생각도 하게 된다. 결론은 뭐든지 죽도록 열심히 해야한다는 말인거 같다. 공부던 일이던 운동이던간에…

주는것의 즐거움

Chicago 대학은 공식적인 Ivy League에 속하는 학교는 아니지만, 서부의 스탠포드 대학과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Ivy League 대학들 보다 높게 평가하는 학교 중 하나이다. 특히 경제학부는 그 어떤 대학보다 우수한 강사진 (Robert Lucas와 같은 노벨 수상 경제학자)과 역사를 자랑하고 있으며, 우리가 아는 많은 경제학 이론이 시카고 대학 경제학과에서 탄생하였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시카고 대학의 경영대학원인 Chicago GSB는 하버드/스탠포드/워튼과 같은 top 3 MBA 스쿨로 객관적으로 ranking 되지는 않지만 (시카고 MBA들은 여기에 동의 하지 않을수도 있다 ㅎ) top 10에는 해마다 ranking되는 아주 우수한 경영 대학원이다. 어제부로 이 Chicago GSB가 Chicago Booth School of Business로 이름을 바꾸었다. Dimensional Fund Advisors라는 mutual fund의 CEO이자 시카고 MBA 동문 (class of 1971) David Booth가 자그마치 3,900억원이라는 거금을 한방에 이 학교에 기부를 하였으며, 역사상 전례없는 액수의 기부금과 David Booth를 honor하기 위하여 Chicago 대학도 그 동안 고수하던 GSB라는 이름을 버리고 Booth School of Business로 개명을 한 것이다. 이 액수는 2006년도에 Nike의 회장인 Phil Knight이 모교인 스탠포드 경영대학원에 기부하였던 그 당시 경영대학원에 기부한 금액치고는 최고였던 1,100억을 3배 이상이나 능가하는 금액이다. David Booth는 업계에서는 상당히 알려지지 않은 low profile한 인물이다. 27년 전에 Dimensional Fund Advisors를 설립한 이후로 한번도 공개석상에 나와서 얼굴을 비추거나 말을 한적이 없었는데, 그렇다고 실적이 low profile이었던거는 절대 아니다. 1981년에 시작된 이 mutual fund는 현재 300개의 다른 fund에 약 156조원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는 상당히 탄탄한 fund이다 (나도 전혀 모르다가 최근 몇일 동안 알게된 사실이다).

Chicago Booth School of Business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이번 기부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In honor of David Booth’s generous financial contributions and spirited affirmation of our philosohpy, we are honored – and privileged – to add his name to our nameplate. David Booth has always credited Chicago GSB for his success. Now, with his unprecedented gift, David has ensured that we will remain not just a business school, but a business FORCE.”

미국인들을 보면 부러운 점들도 있고 “저런점은 한국 사람들이 훨 낫다”라고 생각하는 점들이 있는데, 미국인들의 기부문화를 보면 항상 나는 부러움을 금치 못한다. 그리고 언제쯤이면 우리나라 부자들은 주는것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하기도 한다. 물론 절세와 관련하여 기부를 많이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어찌되었던간에 피땀흘려 평생을 일해서 모은 돈을, 그것도 억단위의 거금을 선뜻 나랑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남한테 준다는거는 누가 생각해도 쉽지는 않다. Booth 선생과 같이 모교에 기부를 하는 한국 사람들은 억지로 생각을 해봐도 떠오르는 사람이 없으니 참 아쉽다. 고대앞에서 평생 떡복기를 팔아서 모은 돈 전액을 대학교에 기부하는 할머니들에 대한 이야기는 가끔씩 뉴스에서 보지만, 이렇게 어렵게 사시는 분들은 그냥 본인들한테 이 돈을 투자하고 좀 사는 기업가들이 모교에 기부하면 어디가 덧나냐? 돈 벌어서 죽을때 무덤까지 싸들고 가는것도 아닌데 도대체 이 돈으로 다 뭐하는지 모르겠다. 자식들한테 물려주더라도 많이 남을텐데…(그러면 증여세라도 제대로 내던지).

여기서 reality check를 한번 하고 넘어가자. 솔직히 나는 부자의 생각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한번도 이 사람들과 같은 거금의 돈을 만져본 적도 없고, 기부에 대해서 고민을 할 정도의 위치 근처까지 가본적도 없다 🙁 하지만, 나에게 사람들이 “너 같으면 그 위치에서 1,000억대의 돈을 선뜻 기부하겠냐?” 라고 묻는다면 나는 한치의 망성일 없이 “Yes”라고 대답할 수 있다. 나는 철저한 실용주의자이자 meritocracy의 강력한 지지자이다. 즉, 이 사회에서 열심히 일한 사람들은 성공해야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성공하면 안된다라는 생각을 강력하게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길거리에서 거지들을 만나면 동정의 25센트를 주기 보다는 그냥 무시하고 지나가는 스타일인데 기본적으로 “그 거지들은 스스로 노력하지 않아서 그렇게 된건데 왜 내가 개같이 일해서 벌은 돈을 저 사람들한테 줘야하냐”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나의 성격에 대해서 냉정한 이기주의자라고 욕을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that’s just the way I am and I never want to change who I am. 하지만, 학교나 사회는 오늘날의 나를 인격적으로, 그리고 학문적으로 훈련 시켜준 institution이기 때문에 반드시 내가 성공하고 벌은만큼은 돌려줘야한다는게 내 생각이다. 대부분 사람들이 학교는 시간낭비이고 학교에서 배운 것 중 일하면서 써먹을 수 있는게 하나도 없다는 생각을 하고 나도 이 부분들에 대해서는 동의를 하기도 한다 (그렇게 때문에 학교를 나왔지만 ㅎ).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학교가 없었으면 내가 과연 여기까지라도 올 수 있었을까? 학교에서 만난 사람들, 제대로 알고 있지는 않지만 졸면서 들었던 강의 내용들, 학교를 다니면서 경험하였던 여러가지 과정들 등등…이 모든것들의 결정체가 오늘날의 인간 배기홍이 아닌가 싶다.

나도 빨리 잘되어서 David Booth와 같이 모교에 기부하는 즐거움을 맛 볼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한국의 기업인들도 기부의 즐거움에 대해서 빨리 깨달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인도네시아 쓰나미 사태 해결을 위해서 유명한 F-1 자동차 레이서인 Michael Schumacher가 선뜻 100억을 기부하였는데, 삼성그룹의 이건희 회장도 100억원을 내놨다고 한다. 그것도 내가 알기로는 개인자산이 아닌 회사돈으로 (물론 회사돈이 본인돈이지만…)이었는데 이거 뭔가 좀 문제가 있는거 아닌가?

하여튼, kudos to Chicago MBA alumni/students! 이렇게 훌륭한 선배를 둔 시카고 MBA 학생들이 부럽네. 이런 선배들을 보고 공부하는 후배들도 분명히 좋은 일들을 많이 할거라고 믿고 있다.

Warren Buffett의 또다른 실력

Warren Buffett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 블로그를 읽는 분들 정도의 실력이라면 나보다 훨씬 Buffett 형님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실테다. 요새와 같이 경기가 좋지 않을때는 현금 보유량이 많은 기업/개인들이 가장 큰소리를 많이 칠 수 있는데 이 대표적인 사례가 기업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이고 개인의 경우 워렌 버펫이다.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9월24일 Goldman Sachs에 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버펫이 일주일 후인 10월1일 오마하의 자택에서 팝콘을 먹으면서 TV를 보다가 갑자기 GE에 3조원을 투자하겠다고 결정을 하고 그 다음날 바로 현금을 쏴주었다고 한다. 복잡한 금융상품들 (파생상품 등..)과 과도한 부채 때문에 언젠가는 세계 경제가 크게 위험해질거라고 항상 잔소리같이 하시던 Buffett의 예언이 다시 한번 적중하는걸 본 나로써는 “무조건 믿습니다”라는 말밖에는 할 말이 없어졌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버펫의 오늘날의 성공은 좋은 주식을 고를 수 있는 능력 때문이라고들 말한다. 물론 이게 절대로 틀린말은 아니다. 버펫은 여기저기 다양한 주식에 투자해서 자산을 분산하는 portfolio diversification 전략을 포기하고 한 주식에 몰빵을 하는 “put all your eggs in one basket” 전략을 통해서 엄청난 부를 창출하였고 스스로도 본인의 career 첫 20년 동안의 성공은 이러한 투자 능력 때문이었다고 한다. 그렇지만, 최근들어서는 버펫은 이러한 투자를 잘하는 능력 자체 보다는 투자 능력 때문에 본인에게만 독점적으로 주어지는 기회덕에 계속 성공을 하고 있다고 한다. 즉, 특정 회사들의 주식을 사는걸로 시작을 하였지만 이제는 아예 비즈니스 자체를 통째로 사서 투자만 하는 투자자로써 그치는게 아니라 비즈니스 자체에 관여를 하고 있다.

Berkshire Hathaway는 마치 주식을 사는거와 같이 비즈니스를 사고 있습니다. 또한, 비즈니스를 사는거와 같이 주식을 사고 있죠.” 이 말은 즉 버펫이 비즈니스를 살때는 단순하게 그 기업이 현재 시장 가치보다 가격이 낮은가만을 보는게 아니라 실제 기업이 현금을 어떻게 창출하고, 누가 이 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객은 누구이며, 만약에 이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나 제품의 가격이 올라가더라고 고객들이 계속 남아 있을건지 등등의 다양한 factor를 충분히 이해한 후에야 비로써 비즈니스를 산다는 말이다. “비즈니스를 알면 더 좋은 투자자가 될 수 있고, 투자에 대해서 알면 더 좋은 비즈니스맨이 될 수 있죠.”라고 버펫은 설명한다. “대부분의 비즈니스맨들은 자기 비즈니스밖에 모르고,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비즈니스 자체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는데 이 두가지를 적절히 혼합하면 불경기를 이길 수 있는 능력을 갖출수도 있습니다.”

저평가 되어 있는 주식을 잘 고르는 능력과 저평가 되어 있는 비즈니스를 사서 경영에 관여하는 이 두가지 능력을 골고루 갖추고 있는 버펫이지만, 어찌 되었던 간에 좋은 투자 대상을 고르는 능력은 탁월한거 같다. 버펫의 투자는 마치 동전을 던져서 앞/뒤를 예측하는거와 비슷한거 같다. 다만, 앞이 나와도 버펫이 이기고, 뒤가 나와도 버펫이 항상 이기게 되어 있는게 좀 재수가 없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