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BD (Becton, Dickinson)라는 의료 장비 제조 및 biosciences에 투자를 많이하는 회사의 저녁 리셉션에 초대받아서 매섭게 오는 눈을 뚫고 오후 6시반에 Penne라는 고급 이태리 식당에 갔다. 큰 기대를 하고 가지는 않았지만, 나름대로 BD에서 이력서를 screen한 후에 와튼 학생 10명을 초대한 행사인 만큼, 의미가 있는 행사인거 같아서 갔는데 결론적으로는 굉장히 훌륭한 저녁이었다. 실은, 내가 지금까지 필라델피아에 와서 가본 기업 설명회/리셉션 중에서는 가장 최고였다고 감히 말할 수 있을거 같다. 일단 학생 10명과 BD 직원 5명, 즉 학생:BD 비율이 1:2였는데, 어제 참석하였던 UBS와 같은 투자은행의 기업설명회와는 여기에서 질적으로 차이가 났다. (보통 investment bank의 행사에 가면 학생 500명에 banker들 10명 정도가 참석을 한다) 더욱 나를 놀라게 하였던 점은, BD의 직원들이 오늘 참석한 모든 학생들의 이력서를 매우 꼼꼼히 봤다는 점이다. 내가 학교오기전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하고 있으며, 현재 Oceans International을 운영하며 어렸을적에 스페인에서 자랐다는 세세한 사항까지 알고 있었다. 이렇게 미래의 직원들한테 관심을 많이 갖는 회사에서 일하면 참 좋겠다라는 생각을 잠시 할 정도로 나에 대해서 많은 질문을 하고, MBA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Uncategorized
UBS West Coast Office 리셉션
블로그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표현한거 같은데, 나는 investment banking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그 이유는 두가지인데, 일단 일을 너무 많이 하며 (보통 일주일에 120시간씩 일하는 살인적인 업무를 하고 싶지는 않다), 갖 졸업한 MBA가 하는 일이 과연 이 세상에 얼마나 많은 가치를 더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때문이다. 물론, 모든일들이 다 그렇겠지만 그냥 돈을 많이 벌기 때문에 졸업 후 청춘을 사무실에서 보내기는 싫다. 그런데, 오늘 처음으로 major investment bank 중 하나인 UBS 서부 사무실 (San Francisco와 Los Angeles)에서 주최하는 리셉션에 가보기로 했다.
오늘 행사는 모든 와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행사는 아니다. 엄선된 50명의 학생 한테 사전에 invitation이 배포되었으며 그 대상은 학교 오기전에 technology 관련된 일을 하였으며, 앞으로 finance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고 표시를 한 학생들이다. 학교의 career office에서 해마다 850명 와튼 학생들의 이력서가 다 포함된 resume book을 만들어서 와튼 학생들 채용에 관심있는 회사들한테 이 resume book을 돈 받고 판매하고 있다 (정말 돈을 버는 방법도 가지각색이다…). 아마도 이 책에서 이력서를 추린 후 학생들을 초대한거 같다. 하여튼, 나도 우연히 초청을 받아서 그래도 MBA 학생이라면 investment bank 행사에는 한번 정도 가야하지 않을까 하고 처음으로 가봤다. 마침 같은 learning team인 Sujit도 초청을 받아서 같이 사이좋게 택시를 타고 갔다. 필라델피아에서 잘나간다는 Roy’s라는 식당에서 진행된 행사인데, 일단 도착하니 많은 학생들이 이미 술과 음료수를 하나씩 마시면서 UBS의 banker들과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나도 돌아다니면서 San Francisco office의 Technology 팀 담당자들과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summer internship 및 banker들이 삶과 생활에 대해서 담소를 나누었다. Networking은 처음에는 재미있다가 갈수록 그 흥미가 급격하게 떨어지게 마련이다. 똑같은 사람들을 가는 곳마다 만나고, 대부분 똑같은 이야기를 하기 때문이다. 오늘도 만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내가 한 질문은 거의 판에 박힌 질문들이다 ㅎㅎㅎ
“왜 많은 investment bank 중 UBS에 갔냐?” “MBA 졸업 후 UBS 가면 어떤 일들을 하냐?” “과연 학교에서 배운 finance 과목들이 실제 일할 때 도움이 되는가?”
뭐 이정도의 질문들로 한 1시간 정도 이야기를 하니,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스넥을 나누어 주면서 UBS 회사에 대한 간단한 발표로 전체 리셉션이 마무리 되었다.
그러면, 이런 행사 후에는 뭘 어떻게 해야하는가? 좋은 질문이다. 일단 이야기 한 사람들의 명함을 받아야 한다. 행사 후 모든 사람들에게 “만나서 반가웠으면 앞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면 연락을 하겠다”라는 이메일로 follow up 한 후 지속적으로 컨택을 하는게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행사에서 수십명의 와튼 학생들과 이야기 한 담당자도 내 이름을 기억할 것이다. 여기서 부터는 전적으로 본인한테 달려있다. 계속 연락을 하면서 좋은 인상을 심어주었으면, opening이나 다른 행사가 있으면 분명히 담당자한테 연락이 올겄이다. 그리고 나서 인터뷰를 잘하면 억대 연봉을 받는 잘나가는 investment banker가 되는거다. 별거 아닌거 같지만, 막상 잘 하려고 하면 매우 힘들고 피곤한 프로세스인걸 와튼 동기분들은 잘 알것이다….
FNCE601 – Google valuation
Corporate Finance 기초 과목인 FNCE601의 마지막 프로젝트를 어제 새벽 3시까지 했다. 때는 2004년 6월 Google이 상장 하기 전이다. 상장 가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investment banker들이 하는 share price valuation을 하는 프로젝트인데, 양이 상당히 많아서 2-3명의 팀으로 일을 해야한다. 귀찮아서 그냥 우리 learning team의 David Kakembo와 Sujit Nair와 같이 하기로 하였는데 마지막 날까지 아무도 신경을 안 쓰고 있다가 막판 벼락치기를 하다보니 늦게까지 힘들게 프로젝트를 끝냈다. 업친데 덥쳤다고 하나? 그 다음날이 바로 많은 투자은행들의 내년 여름 인턴쉽을 위한 job application deadline이라서 여러모로 할일이 많은 하루였다. 나는 투자은행에는 관심이 없어서 상관없었지만 David과 Sujit은 투자은행에 목숨을 건 친구들이라서 이력서와 coverletter를 계속 썼다가 고치는 과정을 반복했다. 숙제도 중요하지만 직장 구하는거는 MBA들에게는 더욱 더 중요한 지상과제이기 때문에, 그냥 내가 대부분의 숙제를 하기로 맘먹었다. 밤 9시에 우리 아파트 1층 미팅 룸에서 시작한 숙제가 새벽 2시 정도가 되서야 마무리되었다.
Google의 앞으로 10년 동안의 cash flow를 예측하여 이 숫자들을 이자율 (WAC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을 이용하여 현재가치 (Present Value)로 discount한 후, 전체 주식 수로 나누면 대략적인 상장 주가를 구할 수 있게 되는데 보통 노가다 작업이 아니었다..investment banker가 되면 1년 내내 하는 일이 이런일이란걸 생각해 보면 많은 MBA들이 꿈꾸는 investment banker가 조금 불쌍해 지기까지 하더라….그래도 돈 많이 버니까 하겠지…마지막에 우리가 구한 주식 가격은 약 $16인데, 다른 팀이 구한 가격보다는 턱없이 낮았다…실제 구글의 공모가격은 $225불이었나? 그래도 우리는 내가 계산한 숫자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그냥 이 가격으로 밀어붙이기로 하였다. 실제로 2005년 여름 구글의 상장가격에는 말도 안되는 바람과 거품이 들어가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우리의 입장을 정당화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시부터 새벽 3시까지는 그냥 그동안의 학교 생활, 겨울 방학 계획 및 앞으로 우리가 어떻게 하면 돈을 긁어 모을 수 있을까에 대해서 웃고 떠들면서 수다 떨다가 내일 아침 9시 Sarah Kaplan 교수 수업에 늦으면 안되기 때문에 (Kaplan 교수는 수업에 늦는 학생들을 죄인 취급한다…) 이만 들어왔다.
Gotham City – Philadelphia
2007 Wharton Winter Ball
전에 말하였듯이 금요일은 수업은 없으며, 다양한 행사와 파티를 한다. 오늘은 약간 특별하고 새로운 파티가 있어서 몇일전부터 지현이랑 아주 단단히 준비를 하고 있었다. 바로 일년에 한번 하는 2007 Wharton Winter Ball이 오늘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DoubleTree Hotel에서 열린다. Ball이라고 하면 굉장히 fancy하게 들리는데 실제로 상당히 fancy하다. 모두들 화려하게 차려입고 (여자들은 드레스 / 남자들은 턱시도 또는 정장+tie) 수업시간과는 사뭇 다르게 술도 먹으면서 춤도 추고, 같은 cohort가 아닌 classmate들과 이야기도 하는 멋진 행사이다.
나는 턱시도가 없어서 그냥 양복에 타이, 지현이는 새로산 드레스를 입고 오래간만에 부부가 화려한 외출을 했다. 인당 $85 이라는 만만치 않은 입장료를 지불하였기 때문에 본전을 뽑기 위해서 최대한 술을 많이 먹기로 하고 Ball이 열리는 Ormandy Hall에 들어갔다. Open Bar에는 우리와 비슷한 생각으로 술을 먹기 위한 엄청난 줄이 있었고, 여기저기 삼삼오오 사람들이 서서 웃으면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저쪽에 Travis와 Karen 부부가 보여서 술 한잔 하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또 여기저기서 아는 얼굴들이 등장하여 인사하고 지현이 인사시켜주고, 또 상대방 파트너와 인사하고…이러다 보니 이미 자정이 넘어버렸다. 안타깝게도 한국 학생들은 거의 볼 수가 없었다. George Song과 Sunny 정도만 보였고, 그 많은 80명이나 되는 한국 학생들은 한명도 볼 수 없었다. 이런 social 행사에 오고 안오고는 물론 본인이 결정할 문제이다. But, 이왕 미국에 온김에 이런 미국적인 행사는 참석하는게 좋은게 아닌가 싶다. 나는 특히 좋았던 점이 우리 두 부부가 서로 즐길 수 있는 자리여서 더 뜻깊었던거 같았다. 나도 나름대로 멋지게 입고 파티에 가서 즐거웠지만, 같이 미국 생활을 하는 지현이도 이런 자리를 통해서 남편이 어떤 사람들과 같이 공부하고 어떤 분위기에 노출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랜만에 늦게까지 술마시면서 시끄러운 음악에 노출되서 귀도 멍멍하였지만, 기분 좋은 하루였다.
집에 와서 Prison Break 몇 편을 더 보다가 잠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