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The Crunchies 2007

Crunchies2007

서부답지 않게 우중충하고 매우 흐린 날씨이지만, 날씨와는 다르게 화창한 소식이 있어서 블로그를 통해서 독자 분들에게 소중한 투표를 부탁드리려고 한다. 올해 9월 1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진행되었던 TechCrunch40에 이이서 뮤직쉐이크가 이번에는 미국 실리콘 벨리가 선정한 2007년을 빛낸 100대 IT 기업에 선정되었다. 공식 행사 명칭은 The Crunchies 2007이며, 실리콘 밸리에서 가장 영향력 있으며 일일 통합 독자 수만 약 2백만명이 넘는 4대 technology blog인 TechCrunch, GigaOm, Read/WriteWeb VentureBeat 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실리콘 밸리 역사상 최초의 행사이다. 행사 성격은 한 해 최고의 영화 및 배우들의 공로를 인정하는 Academy Award와 비슷하며, 2007년 한 해 동안 가장 혁신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인터넷 및 기술 관련 벤처기업들의 공로를 인정 및 시상하는 것이 이 대회의 취지이다.

Web 2.0의 기본 사상인 참여 및 공유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후보 및 최종 수상 기업 선정은 100% 일반 독자들의 투표에 의하여 진행될 예정이며 최종 수상 기업 발표 및 시상은 2008년 1월 18일 (금) 샌프란시스코의 Herbst Theater에서 최종 후보들, 주최측 4개사, 각종 언론사 및 일반 관객의 참석하에 진행된다. 행사 비용 전액은 어도비, Charles River Ventures, Mayfield Fund, 마이크로소프트, OurStage썬 마이크로시스템스가 스폰서쉽 형태로 부담한다. 12월2일부터 12월 12일 열흘 동안 일반인들은 웹사이트를 통해서 2007년 한 해 동안 IT 업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벤처 기업을 자유롭게 추천할 수 있었다. The Crunchies 위원회에서 미리 정의한 20개의 분야 (Best user generated content start-up, Best international start-up, Best overall 등)에 각 한 개의 기업 추천이 가능하였으며, 약 82,000개의 추천을 받았다고 주최측은 밝혔다. 이 후 The Crunchies 2007 위원회는 82,000개의 후보 중 추천 횟수와 벤처 기업을 평가 하여 각 분야에서 5개의 결승 진출 기업을 선정하여, 12월 21일 100개의 최종 후보를 발표 하였다. 여기에서 뮤직쉐이크는 Best international start-up 분야에서 당당하게 유일한 아시아의 벤처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TechCrunch의 Heather Harde 대표이사가 나와 주고받은 이메일에서 “작년 9월 TechCrunch40 행사에서 신선한 충격이었던 뮤직쉐이크가 이번 행사에서도 실리콘 밸리를 강타하길 바란다”라는 말까지 직접하였다. 다른 후보 중에는 이미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Facebook, DiggYelp와 같은 실리콘 밸리를 대표하는 굴지의 Web 2.0 인터넷 기업들이 포함된다.

최종 투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2월 21일부터 웹사이트를 통하여 일반인들은 하루에 한 번씩 본인이 원하는 벤처기업 투표에 참여할 수가 있으며, 인터넷 투표는 2008년 1월 10일까지 웹을 통해서 공개된다. 페이지 상단의 뱃지를 클릭한 후 5개의 Best International Start-up 후보 기업 중 Musicshake를 꾸욱 눌러서 voting을 모든 독자 분들에게 부탁 드리겠습니다.

Back in Silicon Valley

오늘 새벽 6시에 와이프는 한국으로, 그리고 나는 전에도 몇 번 언급하였듯이 Wharton West Coast Trek 및 다른 일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실리콘 밸리로 날라가기 위하여 새벽 5시에 필라델피아 공항에 도착하였다. 오랜만에 일찍 일어나서 그런지 지현이를 보내고 9시 35분 비행기를 타기 전까지 정신없이 공항 의자에 누워서 homeless 아저씨들같이 단잠을 잤다. 다음에는 돈 많이 벌어서 직항 비행기를 타야지…필라델피아<->샌프란시스코 왕복 항공이 $200인 싸구려 Southwest 항공을 이용하였는데 가격이 저렴한 대신 5시간 반이면 올 수 있는 곳을 10시간 걸려 왔다. 라스베가스를 경유하고, 한시간 반 정도 후에 비행기를 갈아타고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할 수 있었다. 거의 미국 서부에서 한국 가는 시간이다 ㅎㅎㅎ.

샌프란시스코 공항에는 스탠포드 후배 기현이와 와이프 신희씨가 나를 마중 나왔다. 나보다 1년 일찍 스탠포드에 입학한 기현이는 학업 중간에 군복무를 하기 위하여 삼성전자에서 병역특례를 무사히 마치고 다시 스탠포드 전자공학 박사과정으로 돌아왔다. 오기전에 그동안 오랫동안 사귀던 여자친구와 결혼하고 왔는데 재미있게 사는거 같아서 참 보기가 좋았다. 서부에 올때마다 기현이와 전화 통화를 하였지만 바쁜 스케줄 때문에 얼굴 보기는 미국와서 이번이 처음이었다. 규성이네 집 및 자동차 키를 전달 받은 후, 짐을 간단하게 풀고 기현이네 집에서 저녁을 먹었는데 두 부부의 cooking 솜씨가 상당히 좋아서 깜짝 놀랐다. 오늘의 메뉴는 타이 음식. Pad Thai, 카레 및 스테이크 샐러드였는데 태국 식당에서 먹는 음식이랑 비교해 보면 전혀 손색이 없어서 극찬을 하면서 돼지같이 먹었다. 식사 후, 아마존에서 1초에 12개씩 팔린다던 닌텐도의 Wii (Xbox 360과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은 게임기)를 가지고 놀았는데 굉장히 innovative하고 재미있는 게임기였다. 테니스와 야구를 너무 열심히 해서 아직까지 왼쪽 어깨가 얼럴하다…

My 1st Christmas as a married man

최근 들어 이 블로그를 보시는 독자분들이 부쩍 증가한거 같아서 매우 기분이 좋다 🙂


Merry Christmas to everyone!!


이번 크리스마스는 나한테는 상당히 특별한 날이었다. 일단 유부남으로써 처음으로 가족과 함께 하는 크리스마스였으며, 한국이 아닌 머나먼 미국 땅에서 다시 학생의 신분으로 맞이하는 크리스마스였다. 와이프한테 어떤 선물을 할까 고민하다가 보통 남자들이 여자들에게 하는 옷, 신발, 향수 같은 물건들 보다는 실용적으로 지현이가 정말 매일매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을 사주기로 하였다. 바로 새로나온 Adobe Photoshop CS3!! (지금까지 샀던 그 어떤 선물보다 비쌌다 ㅜㅜ) 디자인에 소질이 많고, 전부터 포토샾과 일러스트레이터를 가지고 싶어하던걸 알기 때문에 선물하였는데 지금 열심히 온라인 강의 들으면서 열공 (=심히 부) 하고 있다. 나는 속옷, 남방 등이 포함된 폴로 4종 선물 세트를 받았다.

한국에 있으면 크리스마스를 보통 친구들과 같이 즐기는데, 올해는 동부에 계신 우리 누님과 처형 그리고 우리 식구 2명이 오붓하게 family dinner를 하기로 하고 통상 모이는 뉴욕이나 필라델피아가 아닌, 필라델피아에서 약 1시간 15분 정도 떨어진 동부의 카지노 리조트인 Atlantic City에서 만나기로 하였다. 운 좋게도 우리 누나가 아시는 분이 Atlantic City Caesar’s Palace의 VIP 고객인 관계로 큰 suite room을 무료로 예약할 수 있었다. 오랜만에 4명이서 모이니까 참 재미있었다. 이런저런 이야기도 많이 하고, 머나먼 미국 땅에서 extended family가 이렇게 만날 수 있다는 걸 매우 감사하고 신기하게 생각하면서 크리스마스를 맞이하였다. 새벽 2시까지 slot machine을 열심히 하였는데 (참고로 나는 도박을 전혀 못해서 Poker나 Blackjack과 같은 table game은 안하기 때문에 큰 돈을 잃지는 않는다) 막판에 그래도 “777”이 여러번 나와서 최종 전적은 괜찮은 편이었다. 지현이는 남편보다는 통크게 Blackjack을 $100 어치 하였는데, 경제학/통계학 교수님들이 가르쳐준 이론과 같이 모든게 딱딱 맞아 떨어지지는 않는게 현실인거 같다.

가끔씩 답답할때 대서양도 보고 갬블링도 하기에는 딱 좋은 동네가 Atlantic City인거 같다. 내일 지현이는 새벽 6시 비행기로 한국으로, 나는 8일간 실리콘 밸리로 가서 네트워킹을 할 계획이다. 추운 필라델피아를 탈출해서 따뜻한 서부로…..

Private Equity의 진실

여기는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내에 있는 Borders 책방이다. 오늘 잠시 뉴욕에서 볼일이 있어 2시에 미팅 후 6시에 필라델피아로 돌아가는 버스를 기다리면서 잠시 짬을 내서 블로깅을 하고있다. 몇 일전에 peHUB에서 private equity industry 관련된 재미있는 기사를 읽고 이메일을 보관하 있다가 여기서 간단하게 소개한다. 블로그에서 여러 번 소개한 적이 있듯이, 내가 MBA 졸업 후 가장 하고 싶은 분야가 private equity (사모펀드)와 venture capital (벤처 캐피탈)이다. Private equity에 대해서 10명한테 물어보면 10명 다 다른 대답을 제공하겠지만, 간단하게 말하자면 private equity란 기업의 (주로 private이지만, 요새는 public 기업도 많이 거래된다) 전부 또는 majority 일부를 시가보다 약간 비싸게 구매를 하여 기업의 소유권을 장악 한 후, 구조 조정을 통하여 매출 또는 이익을 개선 한 후 다시 상장 시키거나 아니면 또 다른 기관에 구매한 금액 보다 훨씬 비싸게 파는 비즈니스를 말한다. 즉, 싸게 산 후 비싸게 팔아서 엄청난 이익을 챙기는 비즈니스이며 소위 말하는 “돈으로 돈을 먹는” 비즈니스라고 보면 된다. 아직도 이해가 안 가시는 분들은 최근에 한국에서 크게 욕을 먹고 있는 론스타를 생각하면 된다. 론스타야 말고 가장 전형적인 private equity 회사라고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이 블로그를 읽으시는 분들한테 질문하고 싶다. 이런식으로 기업 사냥하는 경제 행위가 과연 매각을 당하는 기업이나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좋을까 아니면 나쁠까? 결론을 내리기 전에, 사모펀드 회사들이 기업을 합병/매각하고 구조조정을 어떤 식으로 하는지 한번 짚고 넘어가보자. 현재 Getzler Henrich라는 사모펀드 (구조조정 전문) 회사의 managing director인 Dino Mauricio는 1998년부터 2002년, 4년 동안 6개의 세탁/청소 서비스 관련된 지역적인 회사들을 인수 합병하여 SMS Modern Cleaning Services라는 직원 7,000명 이상 규모의 전국적인 세탁/청소 서비스 회사로 통합하였다. 작은 회사들을 인수/합병하는 과정에서 인력, 특히 중간 경영진이 불필요하게 남아돌아서 전체 직원의 약 15%를 해고하였다. (사모펀드 회사들은 고용 창출을 저해한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통합된 회사의 비즈니스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결국 해고된 15%의 인력 이상의 직원들을 고용하였다. (사모펀드 회사들은 고용 창출을 촉진한다!) 또 다른 각도에서 보면, SMS Modern Cleaning Services가 성장하면서 규모의 경제의 싸움에서 밀린 동네 구멍가게들은 지속적으로 문을 닫을 수 밖에 없었다. (사모펀드 회사들은 고용 창출을 저해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문을 닫은 구멍가게에서 일하던 대부분의 인력들이 SMS Modern Cleaning Services에 취직하여 직원이 된다. (사모펀드 회사들은 고용 창출을 촉진한다!)

이 글을 읽고 생각이 바뀌었는가? 다시 한번 물어보겠다. 사모펀드가 경제에 이바지 하는가 아니면 해가 되는가? 꼬투리를 잡고 계속 drill down하면 골치 아프지만, 내 생각은 무조건 도움이 된다라는 입장이다. 기업이란 물과 비슷하다. 한 용기에 너무 오래 고여 있으면 아무리 깨끗하던 물이라도 썩기 마련이다. 적절한 시기에 용기를 바꾸거나, 물 자체를 완전히 갈아야 한다. 기업 또한 지속적으로 변화를 해야 한다. 스스로 변화를 하지 못하면, 누군가 외부에서 구조조정이나 대량해고를 통하여 강압적으로라도 변화를 줘야 하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private equity의 업무라고 나는 생각을 한다. 물론, 법의 테두리 안에서 이 모든 행위가 이루어 져야 한다. 법의 헛점을 잘만 이용하면 엄청난 부와 명예를 단기간에 창출할 수 있는 industry가 이 사모펀드 industry이기도 하며, 대한민국 국민 대부분이 이런 어두운 부분만을 봐서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거 같다. 이명박 대통령과 연관되었던 BBK의 김경준씨 또한 불법적인 방법을 통하여 부를 축적하려다가 법의 응징을 받은 것이다. 와튼 스쿨 선배님이 이런 불미스러운 일에 연관된게 유감이며, 학교에서 가르쳐준 방법을 합법적으로 사용하셨어도 충분히 부와 명예를 얻으셨을텐데…왜 그러셨습니까 선배님…

시험 끝 – Timberland Case Study

MGMT654 전략 시험으로 드디어 1학기 모든 시험과 프로젝트가 끝났다. “전략”에 대한 시험 자체를 보는게 약간 아이러니컬했지만, 워낙 꼼꼼하신 Sarah Kaplan 교수니까…시험은 open book, open notes 그리고 open mind (하하 이 말 또한 웃기지 않은가..) 방식으로 2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수업과는 크게 다르지는 않았다. 짧은 case study가 주어졌으며, case에 주어진 내용 및 data를 바탕으로 30점 짜리 문제 하나와 35점 짜리 문제 두개에 대한 답을 적는거다. 정답은 없으며, 얼마나 지금까지 배운 수업 내용을 충실히 알고 있으며 실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평가이다.

기능성 신발을 만드는 Timberland에 대한 case였는데, 역시나 쉽지는 않았다. 신발 산업에 어울리지 않는 최첨단 R&D;를 기반으로 high-performance footwear를 판매함으로써 다른 신발 업체보다 큰 마진을 고수하던 Timberland가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 및 경쟁사의 출현으로 인하여 시장에서의 위치 및 market share가 위기에 쳐해있는 상황에서 선택하여야 하는 경쟁 전략을 제안해야하는데, 잡다한 말을 얼마나 많이 썼는지 2시간 시험 후에 팔 근육에 경련이 올 정도였다 ㅋㅋㅋ.

어쨌던 시험이 끝났으니까 축하하기 위하여 Sujit과 David이랑 한잔 하기로 하고 밤 10시에 다시 만났다. 일단 Old City에 있는 바에 가서 맥주 몇 잔을 가볍게 한 후 당구 몇 게임 친 후에, 집에 오기 전에 Walnut 23번가에 있는 Roosevelt라는 바에 마지막으로 들렸는데 여기에 대부분의 와튼 학생들이 와서 놀고 있었다. 우리 learning team 멤버들 (Brian, Julia, Courtney)도 이미 오후 5시부터 시작해서 술이 많이 취해있었고, 이런 저런 이야기 하면서 떼낄라 한잔 한 후에 새벽 2시 정도에 집에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