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릅팍 도사 – ‘비’편을 보고

한국에 있을때는 한국 드라마나 쇼프로를 그다지 즐겨 보지는 않았지만 (‘하얀거탑’이라는 드라마는 정말 열심히 봤다. 시시콜콜한 사랑 이야기가 없는 남자들을 위한 hard core 드라마여서 한편도 안 빼고 봤는데, 마지막 편에 조금 슬프기까지 했던 기억이 난다), 미국 와서부터 어느 순간부터 조금씩 재미를 붙이기 시작했다. “태양의 여자”라는 드라마를 와이프랑 밤새면서 봤고, 요새는 강호동씨와 유세윤씨가 진행하는 무릅팍 도사를 재미있게 시청하고 있다. 미국 CNN의 Larry King Show만큼 솔직하고 심각한 인터뷰/토크쇼 스타일의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그나마 한국 쇼프로 치고는 서로 짜고치는게 없는 편이고 연예인들 뿐만이 아니라 장미랑씨나 최민호씨같은 운동선수들이나 일반인들 (솔직히 일반인들은 아니고 그래도 조금은 유명한 사람들이지만)이 나와서 공감대가 많이 형성되는거 같아서 인거 같다.

최근 무릅팍 도사에 한국의 가수 ‘비’씨가 나왔다. 와이프가 다운로드 받아서 보자고 할때는 그냥 춤 잘추고 잘생긴 비 (비 – 미안! 노래 잘부르는 가수가 되려면 아직 멀었다 ㅎㅎ)가 나와서 볼거리는 많겠구나 했는데, 보고난 소감은 지금까지 봤던 무릅팍 도사 시리즈 중 가장 좋았던거 같다. 비에 대해서 내가 그동안 몰랐던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고 내가 비에 대해서 가지고 있었던 편견을 많이 씻어낼 수 있었던 (부끄럽지만 연예인들에 대해서는 약간의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좋은 기회였다. 비가 부유하게 자라지 않았던거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그 정도로 힘들게 자란 줄은 몰랐었고, 더 맘에 드는 부분은 아주 독하게 그런 역경을 이겨낸 부분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억울하면 출세해라”라는 생각이랑 비슷한 부분이 많이 있기도 하였다. 무명 가수 시절 박진영씨라는 은인을 만나고 죽도록 고생하고, 돈이 없어서 밥 한끼 제대로 먹지 못하던 가난한 딴다라에서 지금은 세계적인 스타로 발돋움하기 일보 직전인 비가 나보다 오래 살지는 않았지만 그동안 얼마나 더러운 꼴을 많이 보면서 자랐을까라는 생각과, 그런 더러운 꼴들로 인해서 좌절하고 그냥 인생 막살았으면 더 쉬웠을 텐데, 그러지 않고 그런 꼴들을 더이상 보지 않기 위해서 스스로를 더욱 더 채찍질하고 연마하여서 성공한 이야기는 요새는 참으로 찾기 힘든 이야기인거 같다. 아마도 우리 집 근처에 있을텐데 (우리집은 영화 스튜디오나 방송국들이 밀집되어 있는 Burbank에서 굉장히 가깝고, Hollywood도 그다지 멀지 않다) 혹시나 미국에서 마주치면 사인이나 받아야겠다.

나는 요새 어떻게 살고 있냐에 대한 반성의 시간도 잠시 가졌다. 미국에서 작은 한국의 벤처기업을 운영한다는건 쉬운일은 아니다. 그렇지만 정지훈이가 살아왔던거 보다 힘든가? 나는 양놈들한테 더러운 꼴을 당하면 사무실로 다시 와서 “그 새끼 어쩌고 저쩌고” 욕하기 바빴지, 그 사람을 뛰어 넘어보기 위해서 스스로 반성하고 더욱 더 노력하고 있는가? 조금 잘된다고 우쭐해 하지 않는가? 이 모든 질문들에 대해서 스스로 답을 달아보면 부끄러워지기만 한다. 이번 주는 시애틀에서 conference가 있어서 뮤직쉐이크 직원 모두가 참석을 한다. 지금 시애틀로 날아가는 비행기 안인데 여기서도 다시 한번 다짐을 해 본다. “남들이 나를 무시하고, 도와주지 않고, 나랑 같이 일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이유는 100% 나한테 있는거다. 꼬으면 출세하자.”

친구와 같이 일하는거에 대해서

요샌 정말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 모르겠다. 오늘 아침이 월요일 같았는데 벌써 일주일이 후딱 지나가서 금요일 밤에 이렇게 집에서 편안하게 커피한잔 하면서 몇 자 적어본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이 블로그를 보시는 분들이 더 많아진걸 요새 부쩍 느낀다. 처음에 이걸 시작한 의도는 MBA 생활 2년에 대한 생생한 소식을 전달하고, 나중에 가능하면 책을 한권 출판하는거 였는데 어쩌다가 이렇게 진로를 바꾸는 바람에 MBA는 고사하고 그냥 내 인생 자체와 이런저런 씨잘데기 없는 이야기 위주로 가끔씩 글을 남기는데도 불구하고 재미있게 읽어 주시는 분들이 고마울 따름이다. Personally 그리고 professionally 아무쪼록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몇일전에 회사에 직원 한명을 더 채용했다는 이야기는 내가 여기에도 쓴거 같다. Luke Seo (서철)이라는 친구인데 실은 나랑 25년지기 x알 친구이다. 철이랑 John Nahm이랑은 전부 다 같이 스페인에서 같이 자란 친구들이다. 이후 나는 한국으로 다시 돌아왔고, 둘은 미국으로 와서 한동안 뿔뿔히 흩어졌다가 이메일과 인터넷으로 다시 connect하였으며 어쩌다가 다덜 LA에서 살게 되었고, 우연히 IT 쪽으로 종사하게 되어서 이렇게 같은 회사에서 일하게 되었다. 우리야 당사자들이라서 그냥 그려러니 하고 살지만 이 사실을 주위 분들한테 말해주면 너무너무 신기하다고 한다. 철이 자랑을 조금만 더 하자면, 대학교에서는 음악 (피아노 전공)을 공부하였고 일은 IT쪽으로 해서 뮤직쉐이크랑은 너무나 완벽한 fit이다. 거기다가 아직은 뮤직쉐이크 미국 사무실 직원들은 한국에 있는 개발팀과 긴밀하게 communicate를 해야하기 때문에 영어는 당연히 해야하고 우리말도 유창하게 해야하는데 이렇게 모든 3박자 (음악/IT/언어)를 갖추고 있는 사람을 찾는건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번에 full time으로 조인하기 전에 철이는 약 6개월 동안 part-time으로 뮤직쉐이크 일을 도와주고 있었는데 사장님이나 한국 직원분들이 모두 만장일치로 철이를 full time으로 데려오자는데 동의하여서 아주 어렵게 일하던 직장에서 스카웃을 해온거다. 직책은 product manager (우리말로 하면 기획팀장 정도일거 같다)로써 시장에서 고객들이 요구하는 사항들을 제품으로 승화시키는 상당히 challenging한 포지션이다. 고객의 의도 및 시장의 트렌드를 잘 파악할 수있는 능력과, 이런 요구사항을 기술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engineering knowledge 및 마케팅/기술 용어를 두루두루 알고 있는 사람만이 뮤직쉐이크의 product manager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게 바로 내 친구 서철이다.

우리말에 절대 친구랑 사업은 같이 하지 말라는 말이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 말이 맞다고 하지만, 나는 조금 다르게 생각한다. 나는 한술 더 떠서 사업은 무조건 친구랑 같이 하라고 권유를 하고 싶다. 사업, 특히 우리와 같이 doing more with less가 중요한 벤처기업에서는 동료들이 서로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와 믿음을 가지고 일을 하는게 너무나 중요하고 실은 이것만 잘되면 그 어떤 회사들도 성공할 수 밖에 없다. 잘 모르는 사람을 채용하면, 이 사람을 내 친구로 만드는데 수개월의 시간이 걸린다. 솔직히, 같이 일하는 사람이 내 모든것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으면 절대로 마음을 열고 일을 같이 못 한다. 이 시점이 되어야지만 진짜 business를 할 수 있는데 뭐하러 이런 고통스러운 과정을 거치면서 사업을 하는가? 그냥 처음부터 내가 잘알고 믿고 일할 수 있는 직장 동료를 채용하면 모든 문제들이 해결될텐데…그렇기 때문에 나는 비즈니스를 하시려는 모든 분들에게 “괜히 멀리서 찾지 말고, 친구와 같이 사업을 하세요. 그래야지만 사업 첫날부터 진정한 비즈니스를 할 수 있습니다.”라고 무조건 권유하고 싶다. 친구와 같이 고생하면서 땀흘리고, 나중에 기쁨을 같이 만끽하고, 운이 좋아서 같이 대박나서 다 잘되는거 만큼 행복한게 이 세상에 어디 있을까?

친구랑 같이 사업하면 그 친구마져 잃는다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믿지 말고 왠만하면 내가 가장 믿을 수 있는 친구와 사업을 해라. 만약 같이 사업을 하다가 관계가 틀어져서 이제는 서로 원수가 되었다면 그 사람은 처음부터 친구가 이니었을지도 모른다.

Trophy Kids

베이비 부머 (Baby Boomer)라는 말을 우리는 자주 듣는데, 솔직히 그 정확한 시기를 여지껏 나는 모르고 있었다. 오늘 신문을 보다가 베이비 부머 세대가 1946년과 1964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을 뜻한다는걸 알았다. 그리고 또한 1980년과 2001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보통 millennial generation이라고들 하는데 또 다른 용어는 ‘Trophy Kids’라는것도 배웠다. Trophy Kids라고 부르는 이유는 워낙 부유한 시대에 태어난 세대들이라서 모든걸 다 가졌으며, 부모들의 과잉보호 속에서 “너는 크면 반드시 큰 사람이 될거야”라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잘하면 상 (trophy)를 받았고, 못해도 기죽지 말라고 상을 받으면서 자랐기 때문이다. 생각해보면 공감이 가는 이야기이다. 솔직히 우리 세대 (나는 1974년 생이다)도 부모님들의 사랑과 기대를 듬뿍 받으면서 기죽지 말라고 부모들이 ‘오냐 오냐’ 하면서 키우셨는데 우리 다음에 태어난 애들은 오죽 하겠냐.

The Trophy Kids Grow Up“이라는 책에서는 이런 Trophy Kids들의 성향 및 직장에서 이 세대를 만나면 어떻게 다루어야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는데 몇가지 사실들은 은근히 재미있다. 일단 이 세대들은 옛날 사람들과 같은 직장에 대한 충성심이 전혀 없다. 꼬박꼬박 월급을 주고, 개개인의 꿈을 실현시켜 주는 직장이 있어서 행복하다라고 생각하는 구세대와는 달리 트로피 세대들은 잘난 자신들이 직장에서 일을 하니까 조직이 개인한테 고맙게 생각해줘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의식은 대부분 근거없는 우월감에서 출발한다 (근거 있는 우월감인 경우도 간혹있다. 진짜 잘난 애들이 가끔 있으니까…). 실제로 Trophy 세대들과 이야기를 해보면 대부분의 인간들이 “나는 남들보다 많은 재능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라는 생각을 머리 깊숙히 하고 있다는걸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우월감은 부모들의 잘못된 교육과 관심 때문에 생긴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혹시나 직장 신삥 중 이런 애들이 입사 해서 같이 일을 해야한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 세대들을 내편으로 만들 수 있을거라고 이 책에서는 조언한다.

1. “그냥 열심히 일해라”라는 식으로 임무를 주지 말고, 정확한 책임과 권한을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전달하고, 목표를 달성 하였을 경우 어떤 보상이 주어질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설명을 해야 한다. “잘하면 다 같이 회식 한번 하자” 또는 “잘하면 우리팀원 모두 연봉의 10% 보너스”와 같이 동일한 보상이 아닌 잘하는 사람한테는 더 많은 보상이 간다라는 식의 보상 말이다.
2. 단순하고 의미없는 일을 시키려면 “그냥 시키는 일이니까 해라”라고 말하지 말고 그 일이 왜 중요하고 회사 전체 업무에 어떤 식으로 기여하는 일인지 잘 설명해라.
3. Trophy Kids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억압받지 않는 분위기에 익숙한 세대들이다. 헛소리 같아도 열심히 들어주는 척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해주는 습관을 키워라. 또한, 의사결정에 Trophy Kids들이 한 몫을 하였다는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왠만하면 모든 decision making 프로세스에 관여 시켜줘라.

이 책을 보면서 나는 동의하는 부분이 있었고 절대 동의 못하는 부분들이 있었는데, 이 세대들은 확실히 다른 환경과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자란 사람들이기 때문에 우리 세대와는 조금은 다르게 대하고 조금 더 open한 사고를 가지고 대화를 해야한다는 점은 100% 동의 한다. 나 또한 이 세대들과 교류가 많고 우리 사무실에도 Trophy Kid가 한명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이 세대들은 사고 방식 자체가 다르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꼭 이 세대들한테 맞추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반대이다. 엄연히 사회나 직장에서는 규칙들이 있는거고, 한국이나 미국이던간에 신입사원들은 직장상사와 선배들, 특히 직속 manager들의 말은 어떻게 보면 군대보다 더 엄격하게 지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 과정은 군대와 같이 딱딱해서는 안되고 유연하고 재미있어야 겠지만 아찌되었던간에 궁극적으로는 직장상사가 까라면 까야하는게 사회이다. 이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적용되는 진리이다. 미국의 경우 수평관계의 직장, 벤처기업의 자유로움 등등하는거 때문에 그렇지 않다고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자세히 열어보면 미국이 한국보다 심하면 더 심했지 덜하지는 않다.

아…하여튼 이야기가 조금 삼천포로 빠졌는데…하여튼 millenial generation들은 참으로 재미있는 세대이다.

용감한 KKR의 Henry Kravis 선생

한국에서 회사 다닐때는 약 3년 동안 매일 아침 새벽 5시반에 일어나서 2시간 정도 헬스클럽에서 운동하고 출근하면서 나름대로 아침형 인간의 습관이 몸에 배었는데, 미국와서 긴장이 풀려서인지 아니면 나이를 먹어서인지 운동을 많이 못하다가 최근에 다시 웨이트를 시작하였다. 새벽 대신 점심 시간을 이용해서 한시간 정도 운동 후 샤워하고 사무실에 다시 오는데 한국 같으면 점심시간에 눈치보이고 여유가 없어서 상상도 못할텐데 미국이니 가능한거 같다. 이렇게 1시간 30분 or 길게는 2시간 동안 long lunch hour를 보내도 전혀 일하는데 지장이 없을 뿐더러 어떻게 보면 일하는 효율이나 업무 자체는 더 늘어난거 같다. 그리고 주말에는 왠만하면 하루는 아주 일찍 일어나서 책을 보던지, 운동을 하던지 하는데 어제 오늘 이틀 내내 새벽 5시반에 일어나서 그런지 계속 소파에 앉아서 주말 내내 꾸벅꾸벅 졸고있다 ㅋ. 오늘은 아침 일찍 동네 친구 Richard Chen이랑 테니스를 쳤는데 아주 오랜만에 깨끗하게 set score 2-0으로 이겨서 기분이 참 좋네.

오늘은 내가 직접 들은 내용은 아니고 남한테 들은 내용이지만, 상당히 공감이 가는 이야기라서 공유하고자 한다. 세계 3대 사모펀드를 꼽으라고하면 아마 대부분 TPG (Texas Pacific Group), Carlyle GroupKKR (Kohlberg Kravis Roberts)을 말할텐데 지난 주 수요일 두바이에서 열렸던 Super Return Conference에서 KKR의 창업자이신 Henry Kravis 선생께서 아주 고마운 말씀을 하셨다. KKR의 대빵 아저씨는:

“이 업에 종사하고 있는 우리 모두 다 현재 금융권 위기에 대한 책임을 져야합니다. 부실 기업을 인수한 후 바로 경쟁력없는 경영진들을 해고하고 새로운 사람들도 교체해야하는데 어떤 경우에는 이렇게 하지 못했습니다. 좀 기다려보면 잘 하겠지라는 말도 안되는 희망을 가지고 계속 기다리기도 하였는데 잘 안된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항상 short-term value에만 집중을 하였지, 모든 이해관계자들한테 집중해서 long term value를 만들지는 못하였습니다. 이제는 우리도 정신을 조금 차렸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물을 볼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Long term value는 한 기업의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득을 볼 수 있을때만이 달성 가능합니다. 주주, 직원, 사회, 정부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가치획득에 집중을 해야합니다. 또한, 우리와 같은 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기업의 이해관계자 뿐만 아니라 열심히 일해서 땀으로 이 사회를 만든 성실한 사람들과 우리 펀드에 투자하는 대학교들의 수탁자라는 사실을 절대로 잊으면 안됩니다. 이 돈으로 우리가 정확히 뭐를 하는지 일반인들은 잘 모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충분히 설명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투자자들은 우리가 그들에게 벌어다 주는 수익에 매우 행복해 하지만 솔직히 우리가 정확히 그들의 돈으로 뭘 하는지는 모르고 있습니다.”

라는 말을 하였다. 번역이 약간 매끄럽지 못하였는데 (이런 사람들 말을 번역하는건 참 힘들다 ㅎㅎ. 특히 영문에서 한글로는 너무 힘들다..) 대략적인 내용은 현재 경제위기에 대해서 정부나 전통적인 금융권에서만 책임이 있는게 아니라 사모펀드와 같은 private fund도 지대한 잘못이 있다고 인정을 하는 것이다. 또한, 먹물같이 불투명한 사모펀드 industry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투명해져야 한다는 말을 한것이다. 좀처럼 자신들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머리좋은 인간들로 소문난 집단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사람의 입에서 나온 말 치고는 굉장히 솔직한 말이다. 그리고 아마도 처음 한 말인거 같다. 물론 showing을 위해서 한 말일 수도 있지만 어찌되었던간에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첫번째로 할일은 그 문제를 인식하고 인정하는건데 Henry Kravis는 쪽팔림을 무릎쓰고 이 점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금융업계, 특히 private market에 종사하시는 다른 분들도 “나는 아무 잘못없고 전반적인 시장이 개판이라서 어쩔 수 없다”라는 무책임한 생각을 하지 마시고 다덜 반성하시기를 바란다.

Consulting vs. Banking

이미 학교를 떠난 몸이지만 계속 MBA 동기들이랑은 연락을 유지하고 있는데 최근에 부쩍 친구/동기/선배님들과 communication이 많아졌다. 많은 이야기를 하지만, 결국 모든 discussion의 결론은 월가의 경기 및 졸업 후 진로로 끝난다. 좀처런 고민거리 이야기 안하는 사람들도 죽는 소리를 하는거 보면 요새 정말 job market이 안 좋은가 보다. 내년 4월 졸업이니까 이미 full-time recruiting 프로세스가 시작하였을텐데 job interview 자체를 잡는게 힘들다고 하니..(경기 좋을때는 맘만 먹으면 100개 이상의 인터뷰가 잡히는것도 많이 봤다).

금융권의 위기로 인해서 MBA job market에는 재미있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데, 졸업 후 억대 연봉이 보장되는 투자 은행으로 집중되던 관심들이 이제는 경영 컨설팅 쪽으로 집중되고 있는게 그 중 하나이다. 솔직히 나는 뱅킹도 해본적이 없고 컨설팅도 해본적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detail에 대해서는 말을 못하지만 그래도 여기저기서 들은 이야기들을 종합해 보면 뱅킹이나 컨설팅이나 갓 졸업한 MBA가 하는 일은 크게 다르지 않다. 두 분야 다 죽도록 일하고 (일주일에 기본 100시간), 윗 상사들이 부탁하는 자료 욜라 준비하고, 비싼 양복 입고 머리에 기름칠하고 노가다하는 직업들인데 전반적으로 컨설팅 보다는 뱅킹이 돈을 훨씬 많이 벌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대부분의 MBA들이 졸업 후 뱅킹쪽으로 진출하고 싶어한다. 물론 컨설팅 비즈니스라고 불경기에 타격을 안 받는건 아니지만 그나마 뱅킹보다는 훨씬 healthy한거 같고, 불경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기업들이 정리해고, restructuring, restrategizing 등등을 하는데 단독으로 하는건 아니고 이럴때 McKinseyBCG와 같은 경영 컨설팅 회사들의 자문을 구한다. 그리고 컨설팅 분야에서 일하는 많은 친구들이 정신없이 바빠서 친구들 결혼식에도 못오는거 봐서는 확실히 컨설팅 경기는 그나마 좋은게 틀림없다.

Job을 구하는 MBA 학생들한테는 경쟁이 배가 되어서 상당히 stressful 하겠지만, 좋은 인재를 구하는 컨설팅 업체들한테는 전례없는 횡재이다. 이렇게 많은 똑똑한 인재들의 pool을 언제 볼 수 있을까? 전에는 5명 중 한명을 골라야 했다면 지금은 10명 중 한명을 골라야 한다는 행복한 고민을 해야한다. 보통 뱅킹에서 찾는 인재들은 MBA 전에 이미 뱅킹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적인 뱅킹을 하지 않은 사람들이 졸업 후 투자은행으로 진로를 바꾸는건 상당히 어렵다 (물론 불가능한거는 절대 아니다). 그와는 반대로 컨설팅은 매우 다양한 백그라운드의 사람들을 선호한다. 논리적으로 사고 할 수 있고, 전반적인 raw intelligence가 있는 사람들이라면 MBA를 따기 전에 백수, 운동 선수, 군인 등 뭐를 했던지 상관없이 잘나가는 컨설턴트가 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다. Sujit (나 학교 다닐때 learning team 친구)도 죽어도 뱅킹에서 죽고 기절해도 뱅킹에서 기절하겠다는 굳은 신조를 깨고 이제는 컨설팅으로 눈을 돌려야 겠다고 하더라. 몇 일 전에 통화했는데 1학년 때만해도 넘쳐흐르던 컨설팅 회사들의 인터뷰 요청이 이제는 정말 찾기 힘들다고 하더라. 쯧쯧쯧…

마지막으로 – 뱅킹을 하고 싶어하는 MBA 분들은 반드시 명심하기를 바란다. 현재 이 금융 위기가 왜 왔는지, 그리고 그 책임은 누구한테 있는지…스스로 머리 좋다고 자처하는 엘리트 인간들이 세계 최고의 명문 경영 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한 후 월가로 진출해서 자만과 돈에 대한 탐욕 때문에 정도가 아닌 shortcut만을 추구하다가 발생된 이 사태를 왜 무고한 서민들과 그들의 자녀들이 죄값을 치뤄야 하는지…나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은 곰곰히 반성해야할 것이다. 이런 사태가 미래에 다시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