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rton

Consulting vs. Banking

이미 학교를 떠난 몸이지만 계속 MBA 동기들이랑은 연락을 유지하고 있는데 최근에 부쩍 친구/동기/선배님들과 communication이 많아졌다. 많은 이야기를 하지만, 결국 모든 discussion의 결론은 월가의 경기 및 졸업 후 진로로 끝난다. 좀처런 고민거리 이야기 안하는 사람들도 죽는 소리를 하는거 보면 요새 정말 job market이 안 좋은가 보다. 내년 4월 졸업이니까 이미 full-time recruiting 프로세스가 시작하였을텐데 job interview 자체를 잡는게 힘들다고 하니..(경기 좋을때는 맘만 먹으면 100개 이상의 인터뷰가 잡히는것도 많이 봤다).

금융권의 위기로 인해서 MBA job market에는 재미있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데, 졸업 후 억대 연봉이 보장되는 투자 은행으로 집중되던 관심들이 이제는 경영 컨설팅 쪽으로 집중되고 있는게 그 중 하나이다. 솔직히 나는 뱅킹도 해본적이 없고 컨설팅도 해본적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detail에 대해서는 말을 못하지만 그래도 여기저기서 들은 이야기들을 종합해 보면 뱅킹이나 컨설팅이나 갓 졸업한 MBA가 하는 일은 크게 다르지 않다. 두 분야 다 죽도록 일하고 (일주일에 기본 100시간), 윗 상사들이 부탁하는 자료 욜라 준비하고, 비싼 양복 입고 머리에 기름칠하고 노가다하는 직업들인데 전반적으로 컨설팅 보다는 뱅킹이 돈을 훨씬 많이 벌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대부분의 MBA들이 졸업 후 뱅킹쪽으로 진출하고 싶어한다. 물론 컨설팅 비즈니스라고 불경기에 타격을 안 받는건 아니지만 그나마 뱅킹보다는 훨씬 healthy한거 같고, 불경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기업들이 정리해고, restructuring, restrategizing 등등을 하는데 단독으로 하는건 아니고 이럴때 McKinseyBCG와 같은 경영 컨설팅 회사들의 자문을 구한다. 그리고 컨설팅 분야에서 일하는 많은 친구들이 정신없이 바빠서 친구들 결혼식에도 못오는거 봐서는 확실히 컨설팅 경기는 그나마 좋은게 틀림없다.

Job을 구하는 MBA 학생들한테는 경쟁이 배가 되어서 상당히 stressful 하겠지만, 좋은 인재를 구하는 컨설팅 업체들한테는 전례없는 횡재이다. 이렇게 많은 똑똑한 인재들의 pool을 언제 볼 수 있을까? 전에는 5명 중 한명을 골라야 했다면 지금은 10명 중 한명을 골라야 한다는 행복한 고민을 해야한다. 보통 뱅킹에서 찾는 인재들은 MBA 전에 이미 뱅킹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적인 뱅킹을 하지 않은 사람들이 졸업 후 투자은행으로 진로를 바꾸는건 상당히 어렵다 (물론 불가능한거는 절대 아니다). 그와는 반대로 컨설팅은 매우 다양한 백그라운드의 사람들을 선호한다. 논리적으로 사고 할 수 있고, 전반적인 raw intelligence가 있는 사람들이라면 MBA를 따기 전에 백수, 운동 선수, 군인 등 뭐를 했던지 상관없이 잘나가는 컨설턴트가 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다. Sujit (나 학교 다닐때 learning team 친구)도 죽어도 뱅킹에서 죽고 기절해도 뱅킹에서 기절하겠다는 굳은 신조를 깨고 이제는 컨설팅으로 눈을 돌려야 겠다고 하더라. 몇 일 전에 통화했는데 1학년 때만해도 넘쳐흐르던 컨설팅 회사들의 인터뷰 요청이 이제는 정말 찾기 힘들다고 하더라. 쯧쯧쯧…

마지막으로 – 뱅킹을 하고 싶어하는 MBA 분들은 반드시 명심하기를 바란다. 현재 이 금융 위기가 왜 왔는지, 그리고 그 책임은 누구한테 있는지…스스로 머리 좋다고 자처하는 엘리트 인간들이 세계 최고의 명문 경영 대학원에서 MBA를 취득한 후 월가로 진출해서 자만과 돈에 대한 탐욕 때문에 정도가 아닌 shortcut만을 추구하다가 발생된 이 사태를 왜 무고한 서민들과 그들의 자녀들이 죄값을 치뤄야 하는지…나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은 곰곰히 반성해야할 것이다. 이런 사태가 미래에 다시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Life Beyond Wharton

벌써 학교를 떠난지 반년이 다 되었다. 사람이 참 간사한게 학교에 있을때는 그렇게 수업이 싫고 공부하는게 싫더니, 이제 학교를 떠나서 직업 전선에 뛰어들으니 가끔씩은 강의실과 MBA 교우들이 그릴울 때가 있다. (그런데 다시 학교 가면 분명히 또 일하고 싶어질거다 ㅎㅎ).

Anyways, 그동안 “Life at Wharton”이라는 이름 하에 이 블로그를 운영하였는데 이제는 이 이름을 바꿔야할때가 온거 같다. 여러가지 이름을 생각해 봤는데 (Life in LA, Life of a Korean Startup in the US, Life as a Musicshaker 등등…) 그냥 심플하게 “Life Beyond Wharton”으로 고쳤다. 아마도 다시 워튼으로 복학하게 되면 Life at Wharton으로 바꾸겠지..

당분간 블로그는 쉬도록 하겠습니다

나도 몰랐는데 이 블로그를 읽으시는 한국 독자분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걸 최근 깨달았다. 모르는 분들이 이 블로그를 보고 와튼이나 MBA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 많은 질문을 하는 걸 보고 다시 한 번 인터넷과 crowd intelligence의 힘에 대해서 감탄을 하였다. 이렇게 traffic이 많으니 이제부터는 이 블로그를 통해서 광고 수익을 벌 수 있지 않으냐는 생각도 하였지만 ㅎ 당분간 이 블로그 운영을 중단해야 할 거 같다. 아마 이 글이 한 2년 동안 마지막으로 쓰는 글이 될 거 같다.

그동안 도와주던 뮤직쉐이크의 미국 비즈니스를 full-time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학교를 떠나기로 드디어 결심하고 2월 20일 범죄의 도시 필라델피아를 떠나서 천사의 도시 LA로 이사를 왔다. 학교에서 배운 cost-benefit/break-even/opp’ty cost analysis 등을 통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내린 결정이니만큼 후회는 없으며 인생 최고의 기회를 잡기 위하여 막상 바닥에서 다시 뭔가를 시작한다고 생각하기 흥분까지 된다. 실은, 와튼 오면서 당분간 다시는 벤처기업일은 하지 않는다고 다짐을 하고 왔지만, 나는 역시 뭔가 unstructured된 조직에서 맨땅에 헤딩하면서 일을 할 때가 가장 행복한 거 같다. 아마 2010년에 다시 와튼으로 복학하지 않을까 싶으며 그때부터 다시 이 블로그를 운영할 거 같다.

Thanks to all the readers out there.

Intellectual Property

오늘 BPUB/LGST 621 수업의 주제는 흔히 줄여서 IP라고 하는 “지적재산권: Intellectual Property” 이었다. 벌써 4번째 수업이지만, 항상 느끼는 점은 역시 법이란 너무 애매모호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법에다가 비즈니스라는걸 더하면, 법+비즈니스가 되는게 이건 더욱더 애매하고…모든 질문에 대한 답은 “It depends…”로 시작할만큼 경우에 따라서 다르며, 그때마다 모든게 다르다.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Blackberry 기기로 유명한 Research in Motion이라는 회사와 NTP, Inc.라는 회사의 2006년도 소송 사건은 지적재산권 문제가 얼마나 애매모호한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케이스다. NTP라는 회사는 흔히 말하는 patent troll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 회사다. 특허권을 소유만 하고 있고 실제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 회사이다. 즉, 본인들은 특허권만 가지고 있고 다른 회사들이 이 특허를 사용하여 제품을 상용화하려고 하면 꼬박꼬박 로얄티를 받거나, 특허권을 거액을 받고 파는 회사다. 악덕 patent troll 회사들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교묘히 숨기고 있다가, 이 특허를 사용한 제품이나 회사가 유명해지면 특허권 침해로 바로 고소를 해버리는걸 업으로 하고 있다. 특허 침해로 항상 고소 당하는 대표적인 회사가 마이크로소프트이다. 워낙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니, 이런 회사들의 집중 타겟이 되는게 당연하다.

무선 기기를 통해서 이메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가 바로 이 NTP라는 회사였지만, RIM은 이 사실과는 전혀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Blackberry라는 기기를 보편화하여 엄청난 매출과 브랜드 인지도를 얻을 수 있었다. 아마도 NTP라는 회사가 존재하는지도 몰랐을테고, 이러한 기술에 대한 특허권에 대한 부분은 생각도 안하고 비즈니스를 시작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갑자기 생뚱맞게 NTP라는 회사가 어느날 Blackberry의 원천 기술을 본인들이 소유하고 있으니, 지금까지의 물질적/정신적 피해에 대한 보상을 RIM으로 청구하였다. 여기서 RIM이 그냥 몇십억 정도 NTP한테 주고 그냥 끝냈으면 될걸…이러한 고소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항소하고 다시 맞고소하고…하는 과정에서 소송금액은 눈덩이 같이 늘어났고 결국 RIM은 이 소송에서 졌다. 결국 2006년 RIM이 NTP에 얼마를 지급하였을까? 자그마치 한화 6,120억원!!!

정말 말도 안되는거다…어찌되었던간에 미국의 법은 이 부분을 인정하고 결국 직원 5명도 안되었던 유령회사와 같았던 NTP는 이 건 하나로 엄청난 fortune을 챙기게 되었다. 아마 그 이후 바로 회사 문 닫고 지금은 모두 다 어느 섬나라에서 편하게 은퇴하지 않았을까…뮤직쉐이크도 음악이라는 분야의 비즈니스를 하기 때문에 향 후 법적 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없지는 않을거 같다. 이런 부분을 처음부터 단디 챙겨야될거 같다…

FNCE602 – Maceoeconomics

거시 경제…처음 이 말을 들었을때는 개념적으로만 이해를 했었는데, 정확히 거시경제와 미시경제의 차이점에 대해서 이해를 못했다. 오늘 수업에서 Zin 교수님이 이러한 궁금증을 간단하게 해결해 주었다. 보통 기업금융학에서 회사의 가치나 돈의 가치를 산정할때 Present Value와 Net Present Value를 항상 계산하게 되어있다. 일정 기간 동안의 cash flow가 주어지며, 이 현금 흐름을 discount할 수 있는 이자율이 주어지면 아주 간단하게 특정 기간에 돈의 가치를 backward discount 또는 forward discount할 수 있다. 항상 “이자율”은 주어지는데 이자율은 어떻게 정하는걸까? 바로 여기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 것이 거시경제이다. 끄덕끄덕~

둘째 수업시간은 GDP와 GNP의 정의 및 GDP (요새는 GNP보다는 GDP를 압도적으로 더 많이 사용한다)를 산정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서 배웠는데, 역시나 정답은 없는거 같다. 모든 사회/경제 현상을 하나의 공식으로 설명할 수는 없으며, 많은 가정 (assumption)이 동반되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가정들이 현실성이 많이 떨어지는거 같다. 수업이 거의 끝날 즈음, 내 눈길을 끈 하나의 슬라이드가 있었다. 중국/한국/미국의 경제 성장률을 그래프로 표시한 슬라이드인데 중간의 파란 선이 한국의 성장이다. 엄청난 성장이다…98/99년 IMF 타격 당시 성장이 뚝 떨어졌지만, 금새 다시 가파른 성장을 하고 있는걸 볼 수 있다. 규모의 면에서는 미국 (초록)에 뒤지지만, 동양의 볼품없는 작은 나라가 이룩한 성장은 정말 breathtaking 하다고 할 수 있다. Zin 교수도 한국 이야기를 자주 하는데, 90%가 아주 좋은 말들이다. 나머지 10%는 재벌 위주 경제의 취약점 등인데 그래도 한국은 앞으로 큰 문제없이 성장할 국가라는 말들 많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