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함

처음 창업하는 분이나, 몇 번 해 본 분이나, 투자자를 만나면 흔히 듣는 말이 있다. 바로, 경험이 없고, 너무 모르고, 미숙하다는 이야기다. 실은, 나도 창업가들한테 미숙하다는 이야기를 자주 했던 거 같다. 내가 보기엔 말도 안 되고, 절대로 성공할 수 없을 거 같은 비즈니스를 하겠다는 젊은 창업가들한테 이런 말을 많이 했다.

그런데 나도 경험이 조금씩 생기고, 내가 미숙하다고 했던 팀이 상상치 못한 방향에서 큰 비즈니스를 만드는걸 여러 번 보면서 요새 드는 생각은, 이 미숙함이야말로 창업가의 가장 큰 자산이자 에너지의 근원이 아닌가 싶다. 어떻게 보면, 멍청할 정도로 순진하고 미숙한 창업가들이야말로 그 누구도 상상할 수 없던 새로운 방식으로, 수십 년 동안 바뀌지 않거나 풀리지 않은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실은 우리가 아는 모든 기존 산업에서는 나이와 성공의 확률이 선형적으로 같이 커진다. 즉, 대기업에 입사해서, 큰 사고 안 치면, 나이가 들수록 위치는 높아지고, 이게 경험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된다. 시간이 흐르면, 나이를 먹으면서, 지위가 높아지고, 경험이 많아지고, 성공의 확률은 높아진다. 대기업 먹이사슬의 꼭대기를 보면, 수십 년 동안 이 회사에서 경험을 축적하면서 승진한 나이 드신 분들이 대부분이다. 물론, 예외도 있지만.

하지만, 스타트업은 좀 다르다. 여기는 나이와 성공의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유일한 세상이다. 한국만 봐도, 스타트업 먹이사슬 꼭대기에는 경험이 없는 ‘미숙한’ 젊은 친구들이 많다. 경험 많은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하고, ‘원래 그런 거’에 대해서 미숙한 창업가는 모든 걸 의심하고 질문한다. 이들은 경험이 없기 때문에 전통적이고 당연한 사고방식에 찌들지 않았고, 미숙하기 때문에 과거의 방식을 탈피하려고 노력한다. 물론, 힘든 과정이고, 이 과정에서 대부분 실패하지만, 운이 억세게 좋으면 그 누구도 찾지 못 했던, 완전히 새로운 해답을 찾는다.

헨리 포드가 말했다 “Most people spend more time and energy going around problems than in trying to solve them(많은 사람이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문제를 돌아가는데/비껴가는데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 나이 많고 경험이 많은 사람은 대부분 문제를 돌아가려고 하지만, 미숙하고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문제를 직접 해결하려고 한다. 그만큼 에너지가 많고, 낡은 사상에 물들여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 미숙한 사고방식을 모든 분야에 적용한다고 무조건 큰 비즈니스가 되는 건 아니다. 단순히 ‘xx를 위한 우버’ 또는 ‘xx를 위한 에어비앤비’가 아닌, 부동산, 헬스케어, 공공, 운송 등 오랫동안 변화가 없던 산업에 이런 생각을 적용하면 완전히 새로운 해답을 찾을 확률이 높다. 물론, 그만큼 힘들다. 수십 년 또는 수백 년 동안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변화의 기회를 찾으려면 정말 많은 산과 강을 넘어야 하지만, 하게 된다면 그 보상은 어마어마할 것이다.

네트워킹에 대해서

나는 행사나 모임 같은데 거의 참석하지 않는다. 참석하지 않는 이유는, 첫 번째는 시간이 없고, 두 번째는 개인적으로 사람 많은 걸 별로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에 우리 투자사가 이제 40개가 넘는다. 나는 매달 우리 투자사를 3그룹으로 분류한다. 아마도 이런 걸 영어로 triage라고 하는데, 굳이 우리말로 번역하면 ‘치료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부상자 분류’라고 할 수 있다. 전쟁터에서는 의사가 귀하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를 3그룹으로 분류한다. 다쳤지만 가만히 놔두어도 생존할 병사; 너무 심하게 다쳐서 수술해도 죽을 병사; 그리고 다쳤지만, 수술을 잘 하면 생존할 수 있는 병사, 이렇게 분류한다. 전장에서 의사는 이 마지막 그룹을 집중적으로 치료한다. 우리 투자사도 대략 이렇게 분류할 수 있다. 내가 굳이 적극적으로 도와주지 않아도 잘 하는 회사; 내가 아무리 개입을 해서 도움을 줘도 생존하기 힘든 회사; 그리고 지금 엄청 어렵지만 내가 많이 도와주면, 어쩌면 가능성이 조금 높아지는 회사다. 나는 여기서 주로 두 그룹의 회사와 적극적으로 같이 일을 하려고 노력한다(어떤 두 그룹인지는 말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그런데, 이게 참 힘들다. 고생하는 창업가를 옆에서 지켜보는 거 자체가 심한 스트레스인데, 이런 회사가 한두 개가 아니라서, 같이 미팅 한 번만 해도 내 진이 다 빠진다. 그리고 우리 기투자사와도 이렇게 같이 일해야하지만, 우리도 신규 투자를 하려면 새로운 회사를 또 많이 만나야 한다. 이렇게 하다 보면, 오후 6시 정도 되면 나는 녹초가 된다. 그래서 일 –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리 비즈니스인 투자와 직접 연관된 일 – 외의 행사나 모임은 거의 참석하지 않는다. 그다음 날이 너무 힘들고, 내가 정말로 잘 해야 할 일이 그렇지 않은 일 때문에 지장을 받는 게 싫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내가 개인적으로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싫어하기 때문이다. 요샌 귀도 잘 안 들려서 그런지, 너무 사람이 많고 시끄러운 곳에 가면 대화 자체가 힘들어져서, 가능하면 식당도 예약할 때 단체 손님이 혹시 그 날 있는지, 방은 있는지 등 아주 까칠하게 따져가면서 예약한다. 또한, 모임을 위한 모임 자체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한국도 스타트업 분야의 모임, 데모데이, 네트워킹, 이벤트 등이 이젠 실리콘밸리만큼 많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한다면, 매일 이런 행사가 있기 때문에, 가서 사람들과 만나고 이야기하고 즐길 수 있다. 그런데, 나도 몇 번 행사에 참석해 봤는데, 항상 똑같은 얼굴이고, 흔히 우리가 원하는 비즈니스 기회가 만들어질 수 있는 분위기는 아녔다. 내가 항상 느끼는 건, 정말로 좋은 제품을 만드는 창업가는 이런 모임에 참석할 시간에 제품에 집중하거나 고객과 만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네트워킹이 쓸모없다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뭔가 확실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 즉, 내가 비즈니스 때문에 꼭 만나야 하는 사람이 참석하거나, 내가 꼭 이야기하고 싶었던 VC가 참석하면, 가서 인사하고 이야기를 하는 건 좋다. 하지만, 한국의 대부분 네트워킹 행사는 참석자 리스트를 제공하지 않아서 이게 쉽지가 않다. 나도 뮤직쉐이크 할때 1년 반 동안 LA와 실리콘밸리에서 한다는 tech와 스타트업 이벤트에 50번 이상 참석했다. 그땐 정말 아무것도 몰랐고, 그냥 이런 행사에는 무조건 가야 하는지 알았다. 하지만, 그렇게 1년 반 동안 여기저기 기웃거리다 보니 얻은 건 없었고, 소중한 시간만 잃었다는 걸 금방 깨달았다. 사람 만나고, 즐겁게 이야기하고, 술 먹는다고 의미 있는 네트워크가 생기지는 않았다.

우린 흔히 어떤 행사에 유명한 사람이 오니까 꼭 가서 만나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데, 내가 잘해서 좋은 제품을 만들면, 내가 바로 그 남들이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결국, 제품과 고객에게 모든 시간을 투자하는 게 정답인 거 같다.

이걸 굳이 여기서 왜 말하냐 하면, 얼마 전에 누가 나한테 네트워킹 혐오증이 있다고 해서 내가 정말 그 정도로 심한가 생각해봤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맞는 거 같다. 나는 정말 네트워킹 혐오증이 있을 정도로, 이런 모임 같은 걸 싫어하는 게 맞다. 그냥 개인 취향이다.

ICO 조심

ico scam얼마 전에, ICO는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지만, 제대로 알고 투자하라는 내용의 글을 올렸는데, 이번 주 월요일 Fred Wilson이 비슷한 맥락의 포스팅을 해서 또 몇 자 적어본다.

Fred는 얼마 전에 맥그레거와 세기의 대결에서 이긴 권투선수 메이웨더가 Centra 토큰이라는 ICO를 홍보했고, 이로 인해 젊은 창업가들이 벼락부자가 된 이야기를 예로 들었다. 판단이야 각자 하겠지만, 이 기사를 읽어보니 전형적인 사기꾼들이 돌대가리 유명인사를 이용해, 멍청하고 순진한 일반 투자자들을 속인 내용이다.

토큰데이터에 의하면 올해만 대략 300개의 ICO를 통해서 자그마치 4조 원에 육박하는 자금이 모집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블룸버그 기사에 의하면 토큰판매 후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코인은 9%도 안 된다고 한다. 즉 10개 ICO 중 9개는 실패한다는 의미이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ICO 하기 전에는 잔뜩 거품 들어간 홍보를 하고, 개인적인 친분들을 이용해서 소셜에서 영향력이 있는 연예인이나 인플루엔서들을 이용해서 토큰을 팔아서 벼락부자가 되지만, 그 이후에 토큰이 활용되지 않아서 그 유용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토큰의 가치 자체는 상승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코어 비즈니스가 블록체인 기반이 아니면, 토큰은 단순한 투기상품이 되는데, 이러면 이 토큰의 장래는 어둡다. 실제 비즈니스모델에 사용되어야지만 토큰은 유용하다.

Fred Wilson은 “ICO 조심”이라는 경고를 하면서, 사기당하지 않으려면, ICO에 대해서 최소한 다음 5가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1/ 프로젝트의 복잡성과 모집하는 금액 간의 관계
2/ 블록체인의 분산기술이 제대로 활용되는 실제 비즈니스 케이스의 존재 여부
3/ 너무 황당하지 않은, 적당한 밸류에이션
4/ ICO를 제대로 할 수 있는 팀
5/ 백서 상으로만 존재하는 게 아닌, 실제로 볼 수 있는 기본적인 기술이나 제품의 존재 여부

나도 이 다섯 가지 기준에 대해서 잘 생각해보니, 여기에 적합한 토큰은 비트코인과 이더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기까지 한다.

한국도 조심해야 한다. 그런데, 앞으로 이런 사기극들이 너무 많이 발생할 거라는 게 안 봐도 뻔하다.

외국 VC 에게 투자받기

우리가 한국에 투자하는 미국 펀드이다 보니 “어떻게 하면 미국 VC한테 투자받을 수 있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실은 이 질문 자체가 뜬금없고 광범위해서, 이에 대한 정답은 없다. 그래도 워낙 많이 받는 질문이고, 한국에서 스타트업을 하는 많은 창업가가 관심 있어 하고 궁금해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내 기본적인 생각을 몇 자 적어본다. “이렇게 하면 외국 VC한테 투자받을 수 있습니다”라는 답변을 혹시 기대한다면, 더 읽지 않아도 된다.

기본적으로 좋은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제품이 후졌으면 한국이든 미국이든 투자는 절대로 못 받는다. 특히 미국 VC들은 한국보다 유니콘 기업과 초고성장에 익숙하다. 웬만한 수치로는 감동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좋은 수치는 필수다. 좋은 제품을 만들었다면, 대표이사나 공동창업자 또는 회사의 속사정을 아주 잘 아는 직원 중 영어를 모국어 같이 유창하게 하는 팀원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실은 외국 VC에 투자를 받으려면 영어를 해야 하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이야긴데, 우리 투자사를 포함, 많은 팀이 이 부분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걸 자주 느낀다. 참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한국에서만 정규교육을 받았다면, 영어를 잘 할 수가 없다. 많은 분이 한국에서 영어를 배웠다면 스피킹은 잘 못 하지만, 라이팅이라 리딩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고 이걸 주장한다. 그런데, 내가 느끼는 건, 한국 정규 교육 과정에서 15년 이상 영어를 배우지만 대부분 스피킹, 라이팅, 리딩 모두 형편없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영어를 잘 하는 인력’은 우리 회사의 복잡한 비즈니스의 모든 디테일을 투자자한테 아주 완벽하게 전달이 가능한 사람이다.

우리 투자사 중 한국계 파트너가 없는 외국 VC에 투자를 유치한 한국 회사는 코빗, 텀블벅, 미소와 숨고가 있다. 코빗의 유영석 대표는 우리말과 영어를 완벽하게 한다. 텀블벅의 염재승 대표는 영어를 모국어같이 하지는 못하지만, 회사의 모든 사정을 잘 알고 있는 엔지니어 동료 중 영어를 완벽하게 하면서도 비즈니스 감각이 훌륭한 팀원이 있었고, 이 분이 DCM과의 투자협의를 리딩했다. 미소의 대표 Victor Ching은 우리말보다 영어가 더 편한 창업가이다. 숨고의 Robin Kim 대표 또한 한글과 영어를 완벽하게 한다. 물론, 모두 다 훌륭한 제품을 만들었고 이를 기반으로 좋은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만약에 영어를 유창하게 못 했다면 매끄러운 투자유치가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그냥 통역사를 고용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분도 있다. 그런데 이게 생각만큼 간단하지가 않다. 투자유치라는 게 한번 만나서 성사되는 게 아니다. 길게는 6개월 이상 지속해서 소통을 해야 하는데, 이때마다 통역사를 고용할 수는 없고, 매번 똑같은 사람이 배정되는 것도 아니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통역하는 분은 말 그대로 한국어 영어만 담당하는 분이라서, 우리 비즈니스에 대해서는 이해도가 대부분 빵인 분이다. 실은 VC가 관심 있어 하는 건 회사, 제품, 그리고 팀에 대한 아주 자세한 내용인데, 우리 비즈니스를 전혀 모르는 통역사를 중간에 끼고 대화를 하면, 투자자가 영어 질문 하나 할 때마다, 통역사는 다시 대표이사한테 이 질문을 한국어로 번역해서 물어보고, 답을 한글로 받으면, 이걸 또 영어로 통역해서 투자자한테 전달한다. 이렇게 하면 중간에 뻘쭘해지는 시간이 너무 많이 발생하고, 대화의 맥 자체가 끊기기 때문에, 이런 미팅을 나도 몇 번 해봤는데 결과는 좋지 않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도 너무 답답하고 회사와 팀이 unprofessional 해 보일 확률이 높다. 이게 상상이 안 되면, 한국 투자자가 아프리카 스타트업 대표와 미팅을 한다고 생각해보자. 중간에 한국어 아프리카어 통역사를 끼고 회사의 매출이나 DAU/MAU 같은 수치를 물어봤을 때의 시나리오를 생각해보면 금방 이해 갈 것이다.

위에서 나는 “회사의 속사정을 아주 잘 아는 직원 중 영어를 아주 모국어 같이 유창하게 하는 팀원”이라고 했다. 이제 갓 회사에 합류한 직원은 영어를 아무리 잘해도, 투자자가 알고 싶어하는 회사와 제품의 내용에 대해서 깊은 대화를 할 수 있는 경험과 지식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표이사 또는 공동 창업가가 영어를 잘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실은 스트롱 투자사 중에도 미국 VC들의 관심을 충분히 끌 만한 훌륭한 비즈니스를 만들고 있는 회사들이 있고, 대표들이 나한테 외국 VC 소개를 부탁한다. 그런데 이 ‘영어’ 문제 때문에 웬만하면 나는 소개를 안 한다. 아니, 못 한다. 소개는 내가 원하는 만큼 할 수 있지만, 그 이후에 이들과 의미 있는 대화를 지속할 수 있는 그림이 안 그려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표들한테 가능하면 영어 공부를 아주 열심히 하라는 말을 하고, 회사의 규모가 어느 정도 커져서 외국에서 투자유치를 하고 싶다면, 이걸 할 수 있는 적당한 인력을 잘 뽑으라고 조언한다.

이렇게 외국 투자자와 연결되고 대화를 할 때도 영어가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 딜이 만들어져 간다면, term sheet과 계약서 초안이 공유될텐데, 이 또한 모두 영어로 되어 있다. 실은, 투자 규모가 크다면, 전문 변호사와 함께 일하지만, 영어를 전혀 모르고 변호사한테 모든 걸 위임하면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나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우리가 먼저 계약서를 일차적으로 검토하고, 그 이후에 변호사가 투입되면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위에서 말한 게 전부는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나는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런지, 외국 VC한테 한국 스타트업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고 소개 원하냐고 하면 가장 먼저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가, “Do they speak English? I mean, REAL English?” 인 거 같다.

하지 말아야 할 일

peanut butter더 많은 회사를 보고, 더 많은 회사에 투자할수록 회사와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이 넓어지기도 하지만, 기존의 가치관과 고정관념 또한 많이 파괴되기 때문에 가끔은 혼란스럽기도 하다. 예를 들면, 성공하는 회사에 대한 이미지를 어느 정도 머릿속에 갖고 있었는데, 어느 날 모든 걸 이와 완전히 반대로 하는 성공하는 회사를 발견하면 ‘성공’에 대한 기준 자체가 흔들린다. 실은 투자하다 보면 워낙 다양한 케이스를 많이 접하기 때문에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다.

그래도 누군가 나한테 잘 하는 회사의 공통점 하나만 지목하라고 하면 나는 바로 “하지 말아야 할 일을 가차 없이 쳐내는” 결단력이라고 할 것이다. 실은 많은 사람이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고 생각하지만, 벤처를 운영하는 분들이라면 세상은 넓지만 하지 말아야 할 일이 많다는 생각을 해야 할 것이다. 스타트업은 대기업이 아니다. 그런데도 다른 스타트업은 물론, 대기업과 경쟁해야 한다. 대기업과 같은 자원은 없지만, 대기업과 경쟁하려면 뭘 어떻게 해야 할까? 답은 간단하다. 본인이 하는 사업의 맥을 잘 짚어야 하고, 그 사업의 본질을 잘 파악해야 한다. 본질을 잘 파악하려면, 가지고 있는 모든 걸 딱 한 가지에만 집중해야 한다. 셋도 아니고, 둘도 아니다. 딱 한 가지다.

한 가지에만 집중을 해도 될까 말까 한 게 비즈니스인데, 너무 많은 일을 벌려놓고, 이 모든 걸 다 어쭙잖게 하려는 창업가를 나는 너무 많이 만난다. 실은 이분들도 선택과 집중의 중요성을 잘 안다. 모두 다 책에서 읽었을 것이고, 선후배 창업가들한테 한두 번 정도는 들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본인들은 항상 그물을 너무 넓게 던져서 강의 모든 물고기를 잡으려는 성향이 강하다. 왜 이런 쓸데없는 짓을 하느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비슷한 답을 한다. 내가 보기엔 너무 많은 거 같지만 실은 다 똑같은 걸 포장만 조금씩 다르게 하는 거라는 답을 한다. 그리고 이렇게 다르게 포장하는데 들어가는 자원이나 비용은 거의 없다는 말과 함께.

그렇지 않다. 이 세상에 자원이 들어가지 않는 일은 없다. 그냥 여러 가지 일들을 벌리다 보면 뭐라도 하나 걸려서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창업가들은 제대로 된 비즈니스를 해보지 않은 사람들이다. 아마도 수년째 이런저런 일만 벌이면서, 이 중 뭐라도 되겠지라는 꿈만 꾸면서 인생을 낭비할 확률이 높다. 제대로 하는 창업가는 본인이 잘 하고, 하고 싶고, 해야 되는 일 한 가지에만 집중한다. 그리고 될 때까지 아주 깊게 파고 들어가서 끝을 본다.

가장 능력 있는 대표는 회사가 집중해야 할 일과 집중하지 말아야 할 일을 잘 구분한다. 그리고 하지 말아야 할 일을 한 치의 망설임 없이 가차 없이 포기한다. 결국, 해야 할 일이 딱 한 가지만 남을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 그리고 그 한가지에만 집중한다.

실은, 이렇게 해도 잘 안되는 게 스타트업인데, 선택과 집중을 하지 않는 벤처는 ‘식빵에 땅콩버터를 아주 얇게 바르기‘만 하다가 없어진다. ‘야후’라는 회사가 그랬듯이.

<이미지 출처 = Trade Magaz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