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Boston Strong

요새 이런저런 일들도 많고, 사람들도 더욱 더 많이 만나면서 책임감과 소신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그 와중에 얼마전에 보스톤이 2024년 올림픽 게임 유치를 포기한 기사를 읽었다. 솔직히 좀 의외였다. 올림픽이라면 나라와 도시를 막론하고 모두가 다 유치하고 싶어하는 글로벌 축제이자 행사가 아닌가?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올림픽 유치를 위해 막대한 자본과 인력을 동원해서 마케팅을 하고 로비하는걸 봤던 나로써는 유치를 스스로 포기하는게 약간 이해가 가지 않았다. 솔직히 정확한 이유와 원인은 나도 잘 모르지만, 마티 월쉬 보스톤 시장은 납세자들에게 더 이상 위험 부담을 떠안으라고 할 수 없어서 올림픽 유치를 포기하고 시 예산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그 어떠한 올림픽 유치 관련 계약도 서명하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화려함 보다는 실용성을 추구하는 편인 나도 보스톤 시민들의 결정에 많이 공감한다. 내가 사는 도시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면 좋지만, 이로 인해서 내가 얻을 수 있는 게 상대적으로 적고, 금전적인 부담이 납세자들에게 전가되어야 하면 그냥 안 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개인적으로 나는 이런 국제 행사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 중 한 명이다. 올림픽이나 월드컵 유치를 위해 국가의 리더들과 정치인들은 적극적인 홍보와 로비를 하지만 – 임기 중 이런 행사를 유치하면 아마도 본인들의 이력이 더 화려해 지기 때문에 – 솔직히 행사 이후 경제적으로 힘들어하는 도시들과 막대한 돈을 들여 건설했지만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시설들이 낭비되는걸 보면서 누구를 위한 행사인지 의문점들도 생긴다. 그래서 그런지 이런 결정을 한 보스톤 시민들, 그리고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용한 월쉬 시장 – 실은 본인은 정말 유치하고 싶어했다 – 모두 용감하고 책임감 있다고 생각한다.

보스톤 시장과 보스톤이 속해있는 매사츄세츠 주지사 및 관련 담당자와 공무원들은 분명히 유치하고 싶어 했을거 같다. 일단 유치에 성공을 하면 많은 공은 자기들이 가져가지만 솔직히 말해서 실제적인 부담, 책임 및 후유증은 2024년도 이후의 공무원들 몫이기 때문이다. 막말로 똥싸서 시원해 하는 놈 따로 있고, 똥 치우면서 고생하는 놈 따로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만난 사람들 중 이런 태도와 멘탈리티를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아서 답답했는데, 보스톤의 결정을 보고 약간 통쾌하기까지 했다.

나는 보스톤에 3번 가봤는데 아주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다. 올림픽을 하기에는 부족함이 없는 world-class 도시임은 확실하다. 많은 분들이 기억하시겠지만 2013년 4월 보스톤마라톤 테러는 끔찍했다. 보스톤 시민들이 이 비극을 잘 핸들링하고 극복하는 모습을 보면서 ‘시민의식’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했는데 이번에도 다시 한번 Boston Strong을 느꼈다.

*공시 – 나는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 보스톤과 그 어떤 관계도 없다

간결함의 미학

Gottshalden-05-800x600지금도 진행 중이지만 지난 몇 주 동안 개인적으로 굉장히 바쁜 일이 있었다. 그 와중에 업무적으로 새로운 일들을 벌리고, 그동안 벌려놓았던 일들 정리하면서 정말로 시간 가는줄 모르고 몇 주를 살았던거 같다. 오늘 아침에 눈을 뜨면서 문득 우린 참 바쁘고 복잡한 세상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것도 안하려니 불안하고, 너무 많은걸 하려니 이 또한 불안하고…..기술의 발전이 여기에 크게 기여한거 같다. 눈부신 기술의 발전 때문에 분명히 과거에는 상상도 못하거나 아니면 시간과 돈이 많이 들어가는 일들을 이젠 작은 전화기 하나로 해결할 수 있다는건 분명히 좋은 점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서 몰라도 되는 것들과 당장 하지 않아도 되는 일들에 계속 신경을 써야 하고, 정신은 24 시간 ON 으로 유지해야하니 육체적/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어두운 면도 존재한다.

최근에 이런 생각들을 해서 그런지,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 사양길에 접어들고 있다는 트위터를 나는 오히려 더 좋고 도움이 많이 되는 서비스라고 느끼고 있다. 처음에 내가 트위터를 사용하기 시작했을때 왜 트윗을 140자로 제한했을까라는 불만이 많았다. 뭐 하나 쓰려고 해도 항상 140자의 제한을 받아서 내용을 다시 지우고, 줄이고, 또 쓰고 하길 몇 번이나 반복한 후에야 트윗을 날렸다. 페이스북은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주저리 주저리 다 적을 수 있는데 트위터는 왜 이 제한을 풀지 않을까라는 불만을 트위터에서 일하는 친구들한테도 자주 표현했다.

그런데 한 1년 정도 써보니까 이렇게 문자 수에 제한을 주는게 오히려 더 고마웠다. 내가 하고 싶은 말과 생각을 140자로 줄여야 하니까 생각을 상당히 많이 한 후에 간결하게 트윗을 포스팅 하는 습관을 키우게 되었다. 트위터는 서론과 결론은 다 잘라버리고 본론만, 그것도 하고자 하는 말의 포인트만 아주 간결하게 정리해서 글을 쓰는 법을 스스로 훈련시킬 수 있는 좋은 툴이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하다보니 우리 일상생활에서의 communication에 얼마나 많은 ‘낭비’가 존재하는지 깨닫게 되었다. 물론, 트윗과 일상생활에서의 대화는 다르고, 대화를 하면서 본론만 너무 짧게 말하면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하지만 말하고자 하는 내용과 상관없는 말들을 우리는 너무 많이 하고 있다는 걸 트윗을 140자로 줄이면서 항상 공감하고 있다.

또 다른 건, 내가 하고 싶은 말은 대부분 140자로 표현할 수 있다는 재미있는 사실도 발견했다. 블로그에 쓰면 A4 용지 거의 1장 짜리 내용을 140자로 ‘엑기스’만 추려서 트윗할 수 있다는 걸 직접 경험하면서 또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가끔씩 아무리 고치고 다시 써봐도 140자로 압축하지 못하는 내용들이 있다. 이런 건 아예 트윗하지 않는다. 140자로 간결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내용들은 어쩌면 남들에게 방송할 정도로 중요하거나 의미있는 내용이 아닐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다.

트위터뿐만 아니라 우리 일상 생활에도 이 간결함의 미학을 모두가 적용했으면…

<이미지 출처 = http://blog.naver.com/leedamweb/80205847072>

젊음, 그리고 용맹

11265245_842532005782427_3523948992242029118_n올해 Masters 골프 대회는 21살의 청년 Jordan Spieth가 많은 사람들을 놀라고 기쁘게 하면서 압도적으로 우승했다. 그리고 골프 대회 중 상금이 가장 높은(100억원 이상) Players 대회는 내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26세의 청년 Rickie Fowler가 우승했다. 실은 조던과 리키의 골프 스타일은 상당히 다르고 성격도 많이 다른걸로 알고 있다. 이들의 골프 패션은 완전히 극과 극이다. 그래도 이 둘은 아주 중요한 공통점이 있는데 바로 젊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젊음’과 항상 동반되는게 있는데 ‘용맹’ 이라는 것이다. 이 두 젊은 골퍼들의 플레잉 스타일을 보면 용감하고 사납다. 안전하게 플레이 할수도 있지만, 이들은 남들과 같이 안전하게 치면 잘 해봤자 그들과 비슷하게 끝난다고 생각을 한다. 장애물이 있어도 극복하려고 치열하게 노력한다. 어렵지만 성공하면 남들이 5번 쳐서 par 할 걸 3번 쳐서 eagle 또는 4번으로 birdie를 해서 우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쉽지 않다. 하지만, 젊다는 거 자체가 이들에게는 무기이다. 이번에 안되면 다음에 또 시도하면 된다. 젊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도 많고 기회도 많다. 이런 젊은 골퍼들의 시원한 플레이를 보면, 터무니 없는 실수를 하고 점수가 형편없어도 보는 사람은 기분이 좋아진다. 젊고 용맹스러운거, 이거 굉장히 멋있다.

내 나이 이제 40이 조금 넘었다. 버릇없게 나이 많이 먹었다는 말은 하지 않겠지만, 솔직히 요새 20대 초반 젊은이들 보면 참 부럽다. 물리적으로 피부도 탱탱하고 체력도 좋은게 부럽지만, 젊기 때문에 용맹할 수 있다는게 실은 너무 부럽다. 그동안 세월과 경험이 – 보잘것 없고, 더 경험 많은 분들이 보면 욕하겠지만 – 나를 나약하게 만들었고, 다시는 20대의 그 용맹함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beGLOBAL Seoul 2015는 작년보다 더 성황리에 마감했다. 스타트업 정신 “do more with less” 를 몸소 실천한 정현욱 대표/전진주 이사와 비석세스 팀한테 다시 한번 존경을 표시한다. 해마다 비글로벌 행사를 통해서 나도 많은걸 느끼고 배우는데 올해 내가 가장 많이 느낀건 바로 젊음과 용맹함이었다. 대부분의 스타트업 부스에는 나보다 15살 정도 어린 젊은 친구들이 열심히 설명을 하고 있었는데 이들의 태도에서는 용맹함이 느껴졌다. 돈 한 푼 못버는 회사 직원들이 지나가는 사람들을 붙잡고 무서울 정도의 열정을 가지고 소개하고 설명하는걸 보면서 정말 대단한 젊은이들이라는 생각을 이틀 내내 했다. 나도 바빴지만 중간 중간에 이층으로 올라가서 행사장의 부스들을 전체적으로 보곤 했는데, 그때마다 용감함과 사나움이 만들어 내는 그 광경과 에너지가 정말 좋았다. 돈을 줘도 볼 수 없고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함 그 자체였다.

실은 비글로벌 행사에서 본 젊은이들은 대한민국 젊은이들의 극소수이다. 한국의 20대 들은 방황하고 있다는 소식을 여기저기서 접할 수 있다. 취직도 안 되고, 인생은 더욱 더 힘들어 지고, 돈이 없어서 결혼도 못하는 젊은이들이 넘쳐 흐르는게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그래서 그런지 비글로벌에서 본 젊은이들은 더욱 더 반가웠다. 어쩌면 경험이 없어서 용맹스러울지도 모른다. 어쩌면 무식해서 그럴지도 모른다. 어쩌면 순박하고 순진해서 그럴지도 모른다. 상관없다. 그냥 젊기 때문에 용맹스러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용맹함은 위대함을 만들 수 있다는걸 우리는 매일 경험하고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비글로벌 행사 참석하신 우리 아버지는 젊은 친구들이 너무 열심히 사는거 같아서 기분이 좋았다고 하셨다. 아마도 아버지도 내가 느낀 그러한 용맹함과 젊음이 부러우셨을거다.

내 나이 20대 초반때 우리 부모님이 시간만큼 소중한게 없고 젊음 만큼 부러운게 없다고 하셨다. 본인들한테 딱 한가지 소원이 주워진다면 “20대 초반으로 돌아가는 것” 이라고 하셨는데 당시에 나는 그게 참 이상하다고 생각했다. 복권 당첨이 되거나 때돈을 버는거와 같이 더 좋은 소원이 있을텐데 왜 굳이 젊어지려고 하시는지…..안 그래도 복잡한 청춘인데…..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그런데 이제는 이해가 간다. 그리고 나이가 조금씩 더 들수록 더 공감할거 같다.

계속 이렇게 용맹스럽게, 그리고 열심히 사세요. 당신들이야 말로 애국자이고, 국가대표이고, 정치인들보다 더 멋진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들고 있다는 걸 잊지 마시구요. 뭐, 굳이 거창하게 ‘나라’를 말하지 않아도 스스로를 위해서 그렇게 살길. 왜냐하면 40대가 되면 그렇게 살지 않았던 자신이 굉장히 미워질것이기 때문에.

<이미지 출처 = 비석세스 정현욱 대표 페이스북 페이지>

Ode to My Father

사진 2015. 5. 14. 오후 3 42 39얼마전에 비행기 안에서 영화 ‘국제시장’을 봤다. 내가 개인적으로 아는 분이 잠깐 출연도 하고, 워낙 여기저기서 이야기를 많이 들어서 기대가 너무 컸던지…..솔직히 영화 자체는 so so 였다. 내용도 좀 뻔했고, 그냥 한국판 포레스트 검프라는 느낌만 받았다.

하지만 감동은 있었다.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우리 아버지의 삶을 한번 간접적으로 상상해봤다. 우리 아버지가 1940년 생이시니 아마도 이 영화의 주인공 덕수랑 비슷한 시대에 태어나서 영화에서 묘사된 전쟁, 경제적 파탄, 경제적 성장, 이산가족 등의 모든 과정을 겪으셨을 것이다. 물론 이 영화만큼 드라마틱하게 사시지는 않았겠지만 내가 알기로는 경제적으로 정말 어려운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나서 맨손으로 집안을 일으키신 분이다. 공부도 잘 했지만 어려운 집안 사정 때문에 자신의 학업도 일부 포기하면서 어린 나이에 취업 전선으로 뛰어들어 5명의 형제들을 먹여살린 ‘가장’인 우리 아버지가 얼마나 많은걸 희생했고, 얼마나 열심히 일을 했는지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다. 우리 아버지도 경상도 분이시고, 나도 부산에서 몇 년 살았고, 실제로 남포동 국제시장에 가봐서 그런지 영화가 끝날 때에는 마음이 짠 했다. 우리 고모들이 이 영화를 보고 오빠(=우리 아버지) 생각이 많이 났다고 했는데 아마도 이런 이유 때문이었던거 같다.

열심히 사신 아버지는 이제 은퇴하신지 꽤 되셨고, ‘가장’의 바톤을 내가 이어 받았다. 릴레이 경기에서 이기려면 선발주자보다 후발주자들이 더 열심히 뛰어야 하는데 – 나는 나름 열심히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 과연 내가 아버지보다 더 열심히 인생을 살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더 열심히 살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제 시대가 바뀌었고 ‘국제시장’ 과는 달리 우리나라도 강대국이 되었지만, 우리 아버지 세대들의 노력을 이어받아서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좀 했다.

‘국제시장’의 영어 제목은 ‘Ode to My Father(아버지에게 바치는 서시)’ 인데 이번 포스팅은 정말로 ‘아버지에게 바치는 서시’ 이다. 아버지 수고하셨구요, 이제 좀 쉬세요. 우리가 잘 이어가겠습니다.

beGlobal Seoul 2015 – 배석훈 대표 B2B 세션

beGlobal 2015-2전에 내 파트너 John이 쓴 ‘한국의 유니콘들‘ 이라는 글을 기억하실 것이다. 상당히 재미있고 생각을 많이 하게한 글인데 나한테 개인적으로 가장 큰 시사점은 “한국에는 아직 B2B 유니콘 스타트업이 없다” 였다. 왜 한국에는 아직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enterprise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 안 나왔을까? 나는 개인적으로 앞으로 분명히 B2B 유니콘 기업들이 나올 것이라고 믿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많다. 일반 소비자들이 아닌 기업들을 상대해야하는 B2B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그만큼 대기업들한테 영향을 많이 받고, 외산이 아닌 이상 왠만하면 대기업이 그냥 자체적으로 이런 소프트웨어들을 만들어서 작은 스타트업들을 죽이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지배적인거 같다.

그렇기 때문에 5월 14일과 15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리는 beGlobal Seoul 2015에서(한국의 메인 행사는 beLaunch, 규모가 더 작은 미국 행사는 beGlobal 이었는데 올해부터 beGlobal 이라는 브랜드로 통합) 내가 인터뷰하는 3D Systems의 배석훈 대표와의 세션이 더욱 더 기대된다. 자세한 건 5월 15일(금) 오후 4:30분 동대문디자인플라자로 직접 와서 보면 되지만(세션: How to Build a B2B Startup in Korea and Exit It Twice in Silicon Valley / 한국 B2B 스타트업이 실리콘 밸리에서 두 번 액싯하기), 다음은 배석훈 대표 관련 특이하고 재미있는 사항들이다:

  • 한국토종 엔지니어 출신으로 보기 드물게 B2B 스타트업을 창업했다. 그것도 한 번도 아니라 두 번 창업했다
  • 한 번은 한국에서 창업했고, 한 번은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했다
  • 첫번째로 창업한 INUS 테크놀로지는 2012년도에 3D 프린팅의 리더 3D Systems에 인수되었다
  • 두번째로 창업한 VisPower Technology도 2013년도에 3D Systems에 인수되었다

한국에서는 절대로 B2B 소프트웨어가 나올 수 없다는 분들이 있는가 하면, B2B 창업을 두 번이나 해서 두 회사를 모두 다 같은 미국의 대기업에 매각한 분도 있다. 아마도 굉장히 재미있고 많은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세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이너스 테크놀로지나 VisPower Technology는 유니콘 스타트업은 아니었다(정확한 인수가격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1조원은 넘지 않는걸로 추측). 그리고 우리가 잘 아는 1조원 가치가 넘는 게임회사들이나 전자상거래 업체들보다 기업가치는 떨어지지만 한국의 창업 생태계를 위해서는 훨씬 더 중요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B2C 제품이나 회사들보다는 훨씬 덜 섹시하고, 수천만명이나 수억명의 사용자들이 있진 않지만, 확실한 비즈니스모델이 있고, 제품의 core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기업사용자들이 제대로 된 가격을 내는 B2B 소프트웨어는 한국에서도 앞으로 많이 탄생할 것이라고 믿는다. 아니, 반드시 탄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