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조금은 다른 각도의 혁신

얼마전에 저널에서 Mahindra Genze라는 전기 스쿠터에 대한 기사를 읽고 ‘혁신’에 대한 생각을 다시끔 했다. Genze가 사용하는 휴대용 배터리는 11kg 정도로 가벼운 편이어서 사용자들이 배터리만 집안에서 충전할 수 있고, 한번 충전하면 50키로 정도까지 갈 수 있다. 가격도 1,000 달러로 시중에 있는 배터리보다 1/3 정도 저렴하다. 아, 그렇지만 그냥 크기를 작게 했고 가격을 조금 더 저렴하게 한 이 배터리 자체가 혁신적이라는 건 아니다.

그전에 배터리에 대해서 조금만 더 알아보자. 배터리 기술의 발전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더디어서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건 쉽지 않다고 한다.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등에 들어가는 배터리의 용량은 잘해봐야 해마다 몇 % 밖에 증가하지 않는다고 한다. 특히 전기 자동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와 같이 사이즈가 커지면 더 복잡해진다. 단위 무게 당(1 lb)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가솔린에 20배 이상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비용으로 따지면 훨씬 더 차이가 난다: 참고로 Tesla Model S의 배터리팩 가격은 약 3만 달러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전세계적으로 배터리 기술의 비약적 발전을 위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수조원의 자금과 수천명의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이 투입되고 있다. 물론, 실험실에서는 배터리 용량을 2배로 증가할 수 있는 혁신이 매일같이 보도되고 있지만, 이 기술을 상용화 하려면 수십년이 걸릴 것이다.

Genze의 엔지니어들과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잘 쓴게 바로 이 부분이다. 이들은 앞으로 수십년 후에나 현실화 가능한 배터리 혁신을 기다리는 대신 현실과의 타협을 선택했고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 ‘혁신’을 시도했다. 어차피 배터리 용량은 크게 늘리지 못하니까 용량은 상수로(constant) 놔두고 대신 다른 부분을 변수로(variable) 이런저런 실험을 하기 시작했다. 디자이너들은 전반적인 디자인 자체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었고, 여기에 엔지니어들의 피드백과 엔지니어링이 추가된 최종 제품은 기존 전기 스쿠터보다 더 가볍고 효율적인 새로운 차원의 스쿠터 였다.
한번 충전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를 현재 기술로 구현하려면 무겁고 크고 비싸기 때문에 이들은 역발상적으로 자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구상했고, 자주 손쉽게 충전할 수 있게 하려면 무게가 가벼워서 사용자들이 가지고 다니면서 실내에서 충전할 수 있게 해야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작은 배터리로 스쿠터의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스쿠터의 무게를 줄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스쿠터 프레임을 버리고 외부 샤시를 최적화 했다. 즉, 현실과 싸워야 하는 배터리의 혁신보다는 스쿠터 전체의 혁신을 re-engineering하고 re-designing을 한 것이다.

‘혁신’이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은 Dyson의 엔지니어들도 비슷한 과정을 겪은 적이 있다. 2006년에 출시된 무선 진공청소기는 한번 충전에 7분 정도 밖에 작동하지 않았다. 같은 산업과 타 산업군의 엔지니어들은 작동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 더 기발한 배터리 연구와 개발에 집중했지만 다이슨의 엔지니어들과 디자이너들은 배터리 기술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오히려 전기모터 개발에 눈을 돌렸다. 그래서 이들이 개발한 전기모터는 타사 진공청소기 모터보다 효율이 3배 이상이고, 한 번 충전에 작동 시간을 20분까지 연장시켰다 – 배터리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서도.

조금 다른 각도의 혁신 – 앞으로 이런 사례가 더 있는지 예의주시 해야겠다.

<이미지 출처 = http://www.genze.com/>

인간미 넘치는 실리콘밸리

미국 ABC 방송국의 Shark Tank는 투자나 기술과는 상관없는 미국인들도 많이 즐겨보는 가장 인기있는 쇼 중 하나다(Shark Tank 관련 자세한 설명은 성문님의 글 참고). 투자나 tech을 전혀 모르는 분들이 이 쇼를 보면 마치 창업가나 투자자들은 전부 다 자존심으로 가득찬 돈 밖에 모르는 냉혈인간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솔직히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실리콘밸리는 강한 자존심 하나로 무에서 수 조원의 비즈니스를 만들어 내는 재수없는 jerk들이 많고 이런 사람들에게 돈을 퍼부어 주는 돈밖에 모르는 투자자들로 득실거린다.

하지만, 그렇다고 tech 창업가/투자자들이 모두 이렇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9월 12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비글로벌 행사에서 피칭한 한국의 스타트업 중 프라센이라는 회사가 있었다. IoT, 웨어러블, 감각 분야의 회사인데 첫번째 제품은 수면 관련 제품이다. 대표이사가 회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다음과 같다. 어느 날 그는 어머니가 밤에 잠을 잘 못 주무셔서 괴로워 하는 걸 목격했다. 나같이 특별한 지식이나 기술이 없는 사람은 그냥 병원에 보내거나 약을 사드렸을텐데 기계공학을 공부한 프라센의 대표이사는 어머니의 고충을 덜어드리기 위해서 이 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왜 우리 어머니는 잠을 잘 못 주무실까?”라는 질문을 하면서 노화, 잠, 건강, 빛의 상관관계에 대해 더 깊게 공부했고 점점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 갔다고 한다. 이렇게 5년 동안 스스로 독학한 결과를 프라센을 창업하면서 제품화 했다. 아직 완성품은 아니지만 생각하는 대로 제품이 만들어 진다면 우리의 삶을 더 건강하고 윤택하게 만들 수 있는 좋은 제품이 될거라고 생각된다.

부모님이 편찮으셔서 의학이나 공학을 공부한 아들이 직접 해결책을 찾는 이야기 – 솔직히 식상할 수 있다. 하지만 프라센 대표의 발표를 들으면서 나는 짦은 시간 동안 많은 생각을 했다. 실은 몇 년 전에 우리 어머니도 암 수술을 했고 다행히도 지금은 건강하시다. 암 걸리셨다는 이야기는 나한테 상당히 충격적이었지만 나는 한번도 “왜 사람은 암에 걸릴까? 내가 어머니를 치료할 수 없을까?”라는 생각은 한번도 해보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한테는 그런 기술이나 지식이 없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내가 생각했던 방향은 돈 많이 벌어서 좋은 병원에서 치료받게 해드리고 좋은 약을 사드리는거 였다.

왜 창업했냐고 물어보면 창업가마다 그 이유는 다르다. 어떤 사람들은 취직을 못해서 창업했다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때돈을 벌기 위해서 창업했다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더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창업했다고 한다. 솔직히 투자자의 마인드만 가지고 생각한다면 창업한 이유는 상관없다. 우린 투자한 금액보다 더 많은 돈만 벌면 된다. 그리고 실리콘밸리의 많은 투자자들이 이렇게 생각을 한다. 하지만, 투자자보다는 이 시대를 같이 살아가는 한 ‘사람’의 마인드로 생각한다면 나는 더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창업하는 사람들을 좋아할 수 밖에 없다. 특히 프라센과 같이 고통받는 가족을 위해서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이용해서 뭔가를 만드는 건 거룩하기까지(holy) 한 아름다운 그림과 같다. 그리고 이런 여행에 동참하는 투자자들도 상당히 높게 평가하고 싶다.

이런 회사/창업가/투자자들이 실리콘밸리에 생각보다 많다. 아마도 수억명의 사용자들이 이 제품들을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세상을 좋은 방향으로 바꿀 수 있고 사랑하는 우리 주변 사람들을 더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 그래, 실리콘밸리에는 돈과 자존심에 눈 먼 사람들만 있는 건 아니다. 인간미가 생각보다 많이 넘치고 있다.

제품의 갑

10615584_752536748126336_3247264656462536935_n9월 12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비글로벌 행사의 마지막 세션은 Twitch의 COO Kevin Lin과의(얼마 전에 아마존에 1조 원+에 회사를 매각) 대화였는데 운 좋게도 이 젊은 창업가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사회자의 영광이 나에게 주어졌다. 나도 처음 만나는 친구라서 무대 올라가기 약 30분 전에 만나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편안하게 했는데 정말 착하고 똑똑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많이 받았다.

무대 위에서는 제한된 시간안에 나는 많은 질문을 던졌다. 구글에 인수당할 뻔 하다가 아마존에 인수된 사연, 회사를 시작하게 된 계기, 게임의 전통 강국으로서 한국의 현주소 등 재미있게 이야기를 하다 보니 시간이 금방 갔고 비글로벌 행사가 막을 내렸다.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Kevin의 말은 바로 ‘좋은 제품’에 대한 내용이었다. 실은 비글로벌 행사의 핵심은 ‘글로벌’이고 이날 주제 대부분은 어떻게 하면 한국 회사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입해서 성공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였는데 많은 분들의 공통된 의견은 “한 나라에서 대박이 났다고 그 제품이 다른 시장에서도 똑같이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착각이다.” 였다. 나라마다 고객이 다르고, 언어가 다르고, 문화가 다르고 여러 가지 다른 점이 많아서 현지에서 인력을 채용하고 이 인력들이 그 나라 시장에 맞게 제품을 재포장, 심지어는 완전히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Twitch는 이런 전문가들의 의견을 직접 반박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Twitch의 6,000만 명이 넘는 월 방문자 중 절반 이상이 해외 사용자(비미국인)라고 하는데 얼마 전까지만 해도 Twitch는 영어 외의 다른 언어로 번역조차 되어 있지 않았었다. 서비스도 구글과 같이 나라마다 customize 되어 있지 않고 그냥 딱 한 개의 미국용 버전밖에 없었다. 그런데도 전 세계 사용자들이 접속해서 즐기고 있는 서비스로 성장할 수 있었다. Kevin이 여기서 재미있는 한국 관련 이야기를 했다. 잘 아시다시피 한국은 스타크래프트나 LoL과 같은 게임이 굉장히 인기 있고 이를 광적으로 하는 게이머들이 많다. 이런 한국의 젊은 게이머들이 자신만의 멋진 게임플레이를 Twitch를 통해서 글로벌 청중을 대상으로 뽐내기 위해서 일부러 영어를 배우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이야기를 했는데 나는 이 이야기를 진짜 재미있게 들었다. 대부분의 회사들이 고객을 위해서 제품을 고치는데 Twitch는 완전히 반대였기 때문이다. 거의 “Twitch 사용하고 싶으면 고객님이 알아서 영어 배우고 우리가 만들어 놓은 거 그대로 사용하세요.” 인데 그래도 이렇게 많은 사용자들이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걸 보면 정말로 제품이 좋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했다. 물론 일반 소비자들과 게이머들은 성향 자체가 많이 다르다는 점도 감안을 해야 한다.

에버노트의 아시아 태평양 담당자 Troy Malone이 오전 세션에서 이런 말을 했다. “진짜로 좋은 제품은 특별한 customization이나 localization이 필요가 없습니다. 정말로 좋은 제품은 국가, 언어, 문화를 초월하고 ‘사람’을 감동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번역과 같은 최소한의 현지화 작업만 하면 됩니다”

그런데 Twitch는 – 지금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이 되어있지만 – 번역조차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 세계의 사용자들을 사로잡은 갑 중의 갑이다. 결국은 제품이다.

장기전을 뛰면서 드는 생각

1999년 9월에 나는 스탠포드 대학원으로 유학을 왔다. 이때 내 나이 25살이었고, 당시 스스로 다짐했던 건 “빨리 대박 터트려서 35살에 은퇴해야지” 였다. 지금 내 나이 40이다. 그리고 대박은커녕 자발적 은퇴랑은 매우 거리가 먼 상황이다 (실은 아직도 “5년 후에는…..” 이라는 생각은 항상 하고 있지만, 현실은 만만치 않다는 걸 이제 잘 안다.) 인생 선배들의 인생은 장기전이고 마라톤이니 너무 조바심내지 말고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살아가는 게 중요하다는 조언을 이젠 몸소 체험하면서 매일 매일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그래도 두려움과 의구심은 매일 든다. 하루에도 몇 번씩 내가 가고 있는 길이 과연 올바른 길인지, 나는 제대로 하고 있는 건지, 가끔은 도대체 내가 뭘 하는 건지 스스로 질문할 때가 있다. 이런 내 기분과 상황을 내가 조금 보유하고 있는 나이키(Nike)의 주가가 잘 반영하고 있다. 이 차트는 2014년 9월 9일 나이키사 주가의 변동을 보여준다.

Nike-20140909

개장하고 폐장할 때까지 주가는 올라 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한다. 나도 좋은 소식이 있으면 희망으로 가득 차고, 문제가 발생하면 다시 불안해하고 하루에도 몇 번씩 기분이 왔다 갔다 한다.

그런데 나이키사의 1982년부터 지금까지 32년 동안의 주가 차트를 보면 상당히 다른 그림이 보인다.

Nike-1982

굴곡은 있고 이 또한 왔다갔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주가는 계속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내가 언제 은퇴할 수 있는 형편이 될지 모르겠지만 – 속으로는 항상 5년 후 – 내 40년 인생도 생각해 보면 나이키사의 주가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단기적으로 볼 때는 잘하기도 하고 못 하기도 하고 실수도 엄청 많이 한다. 항상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있지만, 불안하기도 하고, 이게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반복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나는 계속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에 대해서는 스스로 매우 자랑스럽고 대견스럽다.

벤처도 마찬가지이다. 전진하는 거 같아 보이지만, 어느새 또 후진하고 이걸 계속 반복하다 보면 과연 내가 앞으로 나가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단기적으로 하루하루를 보면 이 비즈니스가 과연 뭐가 될지 창업가 자신도 의심이 든다. 하지만 분명히 이러한 경험과 실수로부터의 배움이 차곡차곡 쌓이다 보면 장기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것이다. 너무 조바심내지 말고, 주위에서(도움 안 되는) 사람들이 하는 말들 너무 많이 듣지 말고, 소신 있게 꾸준히 하다 보면 어느새 크게 성장해 있을 것이다. 인생은 장기전이고 살아남는 놈이 이 장기전에서 이기는 것이다.

<이미지 출처 = http://investors.nikeinc.com/Investors/OVERVIEW/default.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