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무릅팍 도사 – ‘비’편을 보고

한국에 있을때는 한국 드라마나 쇼프로를 그다지 즐겨 보지는 않았지만 (‘하얀거탑’이라는 드라마는 정말 열심히 봤다. 시시콜콜한 사랑 이야기가 없는 남자들을 위한 hard core 드라마여서 한편도 안 빼고 봤는데, 마지막 편에 조금 슬프기까지 했던 기억이 난다), 미국 와서부터 어느 순간부터 조금씩 재미를 붙이기 시작했다. “태양의 여자”라는 드라마를 와이프랑 밤새면서 봤고, 요새는 강호동씨와 유세윤씨가 진행하는 무릅팍 도사를 재미있게 시청하고 있다. 미국 CNN의 Larry King Show만큼 솔직하고 심각한 인터뷰/토크쇼 스타일의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그나마 한국 쇼프로 치고는 서로 짜고치는게 없는 편이고 연예인들 뿐만이 아니라 장미랑씨나 최민호씨같은 운동선수들이나 일반인들 (솔직히 일반인들은 아니고 그래도 조금은 유명한 사람들이지만)이 나와서 공감대가 많이 형성되는거 같아서 인거 같다.

최근 무릅팍 도사에 한국의 가수 ‘비’씨가 나왔다. 와이프가 다운로드 받아서 보자고 할때는 그냥 춤 잘추고 잘생긴 비 (비 – 미안! 노래 잘부르는 가수가 되려면 아직 멀었다 ㅎㅎ)가 나와서 볼거리는 많겠구나 했는데, 보고난 소감은 지금까지 봤던 무릅팍 도사 시리즈 중 가장 좋았던거 같다. 비에 대해서 내가 그동안 몰랐던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고 내가 비에 대해서 가지고 있었던 편견을 많이 씻어낼 수 있었던 (부끄럽지만 연예인들에 대해서는 약간의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좋은 기회였다. 비가 부유하게 자라지 않았던거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그 정도로 힘들게 자란 줄은 몰랐었고, 더 맘에 드는 부분은 아주 독하게 그런 역경을 이겨낸 부분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억울하면 출세해라”라는 생각이랑 비슷한 부분이 많이 있기도 하였다. 무명 가수 시절 박진영씨라는 은인을 만나고 죽도록 고생하고, 돈이 없어서 밥 한끼 제대로 먹지 못하던 가난한 딴다라에서 지금은 세계적인 스타로 발돋움하기 일보 직전인 비가 나보다 오래 살지는 않았지만 그동안 얼마나 더러운 꼴을 많이 보면서 자랐을까라는 생각과, 그런 더러운 꼴들로 인해서 좌절하고 그냥 인생 막살았으면 더 쉬웠을 텐데, 그러지 않고 그런 꼴들을 더이상 보지 않기 위해서 스스로를 더욱 더 채찍질하고 연마하여서 성공한 이야기는 요새는 참으로 찾기 힘든 이야기인거 같다. 아마도 우리 집 근처에 있을텐데 (우리집은 영화 스튜디오나 방송국들이 밀집되어 있는 Burbank에서 굉장히 가깝고, Hollywood도 그다지 멀지 않다) 혹시나 미국에서 마주치면 사인이나 받아야겠다.

나는 요새 어떻게 살고 있냐에 대한 반성의 시간도 잠시 가졌다. 미국에서 작은 한국의 벤처기업을 운영한다는건 쉬운일은 아니다. 그렇지만 정지훈이가 살아왔던거 보다 힘든가? 나는 양놈들한테 더러운 꼴을 당하면 사무실로 다시 와서 “그 새끼 어쩌고 저쩌고” 욕하기 바빴지, 그 사람을 뛰어 넘어보기 위해서 스스로 반성하고 더욱 더 노력하고 있는가? 조금 잘된다고 우쭐해 하지 않는가? 이 모든 질문들에 대해서 스스로 답을 달아보면 부끄러워지기만 한다. 이번 주는 시애틀에서 conference가 있어서 뮤직쉐이크 직원 모두가 참석을 한다. 지금 시애틀로 날아가는 비행기 안인데 여기서도 다시 한번 다짐을 해 본다. “남들이 나를 무시하고, 도와주지 않고, 나랑 같이 일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이유는 100% 나한테 있는거다. 꼬으면 출세하자.”

TechCrunch50 Day 2 – Interview w/ Mark Cuban

TechCrunch50 행사 둘째날에 Mark Cuban이 특별 panelist로 나와서 host 중 한명인 Jason Calacanis랑 상당히 진솔하고 자극이 되는 대화를 나누었다. 전체 discussion을 여기에 쓰기에는 손가락이 너무 아프니, 그냥 액기스만 공유하도록 하겠다. 마크 큐반은 이 바닥에서 굉장히 유명한 사람이다. 성공적인 serial entrepreneur이자, 댈라스 매버릭스 농구 구단 소유자이고 다양한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 억만 장자이다. 여러가지 사업을 하였지만, 가장 유명한거는 Broadcast.com이라는 인터넷으로 스포츠 경기를 stream하는 사이트를 창업하고 몇년 뒤에 이 회사를 야후에 약 5조9천억원에 판 일화이다. 덕분에 30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더이상 돈 걱정을 하지 않고 은퇴하고 현재는 HDNet을 운영하고 있다.

젊은 창업가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충고는?
MC(마크 큐반): 모든 사람들이 이기려고 하는 의지는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액션을 취하는거는 항상 내가 아니라 다른 사람이다. 꾸준히 준비를 해서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몇명 되지 않는다. 팔고 있는 제품에 대해서 100% 이해를 해야하며, 시장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한다. 아무리 똑똑하고, 아무리 비즈니스를 잘해도 뛰는놈 위에 나는놈 있다는 인생의 진리를 항상 깨달아야한다. 일단 파는 제품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도 더 잘 알아야한다. 그리고 나서는 매출을 어떻게 만들지에 대해서 생각을 해야한다.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를 해야한다. 그리고 한가지 더 추가하자면, 일이지만 스스로 즐길 수 있는거를 찾아라. 나는 하루하루가 인생을 즐긴다고 생각한다. 일을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죽었다가 다시 태어난다해도 나는 “나”로 태어나고 싶다.

스스로를 어떻게 교육시키는가?
MC: 인터넷 시절 전에는 책과 잡지를 엄청나게 읽었다. 10년전 PCWeek 잡지를 아직도 가지고 있다. 그 당시는 하루에 2-3시간을 독서하는데 보냈다. 지금은 온라인 잡지/기사 등등을 수시로 본다.

다른 사람들이 당신과 컨택하고 싶다면?
MC: 이메일이 가장 빠르다. 너무 길게 쓰지 말고 한 3단락정도의 이메일을 보내라. 다른 쓸데없는 내용은 다 빼고, 투자를 원하는 비즈니스가 어떻게 매출을 발생시키고 내가 그 비즈니스에 개입하면 어떻게 가치를 더할 수 있을지 알려줘라. 만약 웹사이트가 있다면 URL을 알려주면 나머지는 내가 알아서 보겠다. 나한테 컨택한 사람 중 5% 정도는 내 답변을 받을 수 있을거다.

벤처를 시작할때 team을 어떻게 구하냐?
MC: 나랑 다른 사람들 (나의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사람들), 그리고 내가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 실리콘 밸리는 좋은 사람을 찾을 우 있는 곳이 아니다. 왜냐하면, 실리콘 밸리에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를 너무 과대평가하기 때문이다. 나랑 비슷한 사람들과 같이 일하는걸 나는 싫어한다. 내가 할 수 있는걸 할 수 있는 사람들을 왜 또 한명 더 채용하냐? 내가 잘 못하는걸 보완해줄 수 있는 사람들, 그리고 지금 잘하는 사람들보다는 앞으로 잘 할 수 있는 사람들을 나는 선호한다.

나를 자극시키는 사진 하나 – Bill Gates and Warren Buffett

8월27일이 내 생일이었는데 요즈음 일이 좀 많이 바빠서 와이프랑 저녁식사도 못하고 밤 늦게 집에 왔다. 그 다음날 갈비랑 냉면으로 때웠는데 이 블로그를 통해서나마 와이프한테 사과를 하고 싶다 🙂

얼마전에 스탠포드 동문 잡지를 보다가 잡지 뒷면을 보니 옆에 있는 사진이 눈이 확 들어왔는데 한동안 내 머리속을 떠나지 않았던 사진이라서 여기서 소개를 하고자 한다. 세계 갑부 1, 2위인 빌게이츠워렌버페가 전용 제트기 안에서 신발을 벗고 포커를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사진이다. 실은 그냥 파파라치한테 찍힌 사진이 아니라 NetJets라는 개인제트기 제조업체의 광고용 사진이지만, 전세계 모든 사람들한테 존경을 받고 있는 이 두사람의 표정이 너무나 행복하고 천진난만한거 같아서 참으로 기분이 좋아지는 사진이다. 사진을 책상앞에 올려놓고, 힘들거나 피곤할때 보면 힘이 솟는다.

남들이 보면 그냥 광고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내가 오바하는걸지도 모른다), 이 두사람의 얼굴을 보면 행복함과 여유로움이 저절로 배어나오는거 같다. 그것도 누구들과 같이 돈 많은 아버지 때문에 재수좋게 태어날때부터 운이 좋았던 사람들이 아니라 스스로 열심히 노력하고 일해서 성공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더욱 더 이들의 여유로움은 값진거 같다. 나는 언제 이렇게 될 수 있을까? 아니, 이 두사람들과 같이 세계 제일의 갑부가 되지는 않더라도 인생에서 뭔가 이룩한 후 이렇게 여유롭게 카드놀이를 하면서 미소 지을 수 있을까…앞으로 몇 년 후에 알 수 있을것이다.

이 사진밑을 보면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말이 써있다.

“Bill Gates는 1993년에 NetJets의 소유자가 되었고, Warren Buffett는 1995년에 NetJets를 하나 샀다. (그리고 1998년에 회사를 통째로 사버렸다)”

The Snowball

“Life is like a snowball. The important thing is finding wet snow and a really long hill.”

전세계에서 가장 돈이 많은 사람 중 한명인 Warren Buffett (Bill Gates와 Carlos Slim과 더불어서 계속 3위안에 들어감)가 언젠가 한 말이다. 이 말에 영감을 받은, 올해 가을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는 워런 버페에 대한 책 “The Snowball: Warren Buffett and the Business of Life.“가 9월29일에 출간될 예정이다. 출판사인 Bantam사는 이 책의 북미 판매권을 약 72억원에 구매하였으며 책 자체만 1백만권 이상 팔릴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미 버페에 대해서는 약 60권 정도의 책들이 팔리고 있지만 이 책이 유독 관심을 끌고 있는 이유는 다른 책들과는 달리 처음으로 버페가 직접 이 책의 작가에게 협조를 하였으며, 그동안 다른 사람들은 접근하기 힘들었던 희귀?자료에 대한 접근을 허락했다는 점이다. 아마도 다른 책들과는 다르게 워런 버페의 투자 철학, 경영 철학 및 사생활에 대해서 조금 더 생생한 정보가 이 책에 실리지 않을까 싶다.

The Snowball은 Alice Schroeder라는 처녀작가가 작업한 책이다. Alice는 Paine Webber (UBS가 매각을 하였다)라는 증권 브로커리지 회사에서 1990년대에 워런 버페의 회사인 Berkshire Hathaway를 분석하는 analyst로 일하면서 처음으로 버페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Alice의 말을 빌리자면, 이 책을 쓰기 위해서 워런 버페와 약 2,000 시간을 같이 보냈으며 실제 인터뷰를 약 300시간을 하였다고 한다. 얼만큼 재미있고 정확한 정보가 이 책에 쓰여질지는 모르겠지만 버페라는 사람에 대해서 항상 경외심을 가지고 있던 나로써는 매우 기대되는 책이다.

2008년 스탠포드 대학 졸업연사

2005년 스탠포드 대학 졸업연사를 많은 사람들은 기억할것이다. Apple사의 CEO Steve Jobs가 졸업 연사를 deliver하였는데 여기서 그 유명한 “Stay hungry, stay foolish”라는 말이 유래하였다 (솔직히 말하자면, 유래한거는 아니고 전에 다른 사람들도 이 말을 하였지만, 스티브 잡스같은 멋진 사람이 이런 말을 하니까 더욱 더 멋지더라).

올해 2008년 졸업생들을 위해서는 Global Media Leader이자 International Philanthropist인 Oprah Winfrey가 졸업연사를 deliver하는 영광을 거머 쥐었다 (내가 졸업하던 2001년도에는 전 HP CEO인 Carly Fiorina 여사가 졸업 연사를 하였다. 어떤 사람들이 졸업 연사를 하냐는 졸업생들의 의견이 많이 반영된다. 졸업생들이 만나보고 싶은 사람들이 리스트를 제출하면 학교 졸업 위원회에서 다양한 factor를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유명인사를 초청한다. 그 누구도 이 invitation을 거절한 적이 없다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ㅎㅎ). 오프라 윈프리는 나도 개인적으로 매우 존경하는 여성 중 한명이다. 처음에는 그냥 말을 잘하고 재미있는 앵커우먼이라고만 생각을 했지만, 점점 더 이 여성에 대해서 알수록 참으로 매력적이고 그 생각이 깊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그렇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도 이 흑인여성을 global media leader라고만 하는게 아니라 international philanthropist라고 할 것이다. 하여튼, 여기 30분 짜리 동영상을 직접 볼 수 있다 (영어를 배워야하는 이유 중 하나는, 대부분 배울게 많은 연설과 컨텐츠들이 영어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연설의 내용을 전부다 쓰기는 좀 그렇고…연설의 핵심만 몇개 나열해 보도록 하겠다.
1. Follow your feelings – 오프라는 모든 중대 결정을 할때 논리적으로 이것저것을 따지기 보다는 느낌으로 판단을 한다고 한다. 마음이 내키면 하고, 내키지 않으면 하지 마라. If it feels good, go for it. If it doesn’t feel good, don’t. 오프라가 지금까지 하였던 옳은 결정은 gut feeling을 기반으로 하였고, 마음이 내키지는 않지만 요모조모 따져서 맞다는 생각하여 움직이면 항상 실패하였다고 한다.
2. 실패에 대하여 – 항상 옳은 결정만 하면서 살수는 없다. 모든 사람들이 실패를 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실패로부터 뭐라도 배우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똑같은 실패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If you fail, it’s time to change course. 실패할 때마다 스스로에게 물어봐라, “이 경험이 나에게 말하고자 하는게 무엇일까?” 여기서 하나라도 배울 수 있다면 이건 실패가 아니다.
3. Help others – 인생을 하나의 서비스라고 생각해라. 즉, 내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가 남들에게 봉사를 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해라. 인생을 하나의 서비스라고 생각한다면 우리의 직업이 단순히 돈을 벌고 시간을 보내기 위한 수단이 아닌, job이 나에게 주어진 선물 (gift)이라고 보여질거다. 남들을 위해서 좋은 일을 하면, 스스로도 기분이 좋아질것이다.

솔직히 별 내용은 아니다. 배울 만큼 배우고, 알만큼 아는 사람들은 누구나 다 아는 내용들이다. 그렇지만 오프라 윈프리 같이 성공한 사람들이 이런 말들을 하는거 보면 정말로 이런 말들이 맞는 말들인거 같다. 우리들 중 이런 말들을 들으면, “야, 그거 모르는 사람들이 어디있냐? 교과서에서 나오는 말들 나도 할 수 있겠다.” 라고들 하지만, 실제도 이런 내용을들을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서 적용하여 잘되는 인간들은 몇이나 될까…오프라의 말을 인용하여 BB King이 ‘배움’에 대해서 남겼던 명언으로 이 post를 마무리 한다.

“The beautiful thing about learning is that nobody can take it away from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