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한국의 어린이들 10명에게 나중에 커서 뭐 하고 싶은지 물어보면 절반 이상이 연예인, 가수 또는 유튜버가 되고 싶다고 대답한다는 이야기를 전에 어디서 들었다. 관련 자료를 찾아보려고 했는데, 공식적인 시장 조사 자료는 없지만 한국 사회의 분위기를 보면 대충 맞을 것 같고 아마도 몇 년 후에는 이렇게 대답하는 어린이들이 10명 중 10명이 될 것 같은 느낌도 든다.
나이가 좀 있는 분들과의 식사 자리였는데, 당시 모임에서 대부분 한국의 장래가 어둡고, 요새 젊은 애들 정말 문제가 많다는 분위기 속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오긴 했는데 솔직히 나는 이게 그렇게 한국의 미래에 나쁜 영향을 미칠 건 아니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내가 초등학생일 때 “너희 장래 희망이 뭐니? (너희 커서 뭐가 되고 싶니?)”라고 물어보면 대부분 대통령, 과학자, 교수님, 의사, 변호사, 경찰관, 소방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등과 같은 사회에서 전반적으로 존경받고, 좋고 안정적으로 인식되는 직업을 택했다. 나도 아마도 과학자라고 항상 대답했던 것 같은데, 지금 생각해 보면 솔직히 내가 원하는 것보단 주위 사람들이 바라던 답을 했던 것 같다.
연예인과 유튜버가 과연 과학자나 대통령보다 못 한 직업일까? 일단 위에서 이야기한 모임에 있던 분들 대부분은 그렇게 생각했던 것 같다. 실은 나도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연예인과 유튜버는 제대로 된 직업이 아니라고 생각했었지만, 이젠 완전히 생각이 바뀌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동안 보고 검토했던 사업들과 빠르게 변하고 있는 세상 때문에 바뀌기도 했지만, 내가 스스로 내 생각과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기도 했다. 어쨌든, 나는 위의 모임에서 왜 유튜버, 인플루언서 등을 지칭하는 크리에이터라는 업종이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직장과 크게 다르지 않고 실은 왜 훨씬 더 좋은 직업인지 열심히 내 생각을 말했고, 그분들에게 계속 이런 고리타분한 생각을 하면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점점 더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경고도 여러 번 날렸다.
우리 아버지 세대, 그리고 우리 세대 초반까지만 해도 돈을 벌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회사에 출근하는 것이었다.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하는 게 남과 내가 생각하는, 합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정상적인 직장 생활이었다. 그런데 요새 우리는 회사로 출근은커녕, 침대에서 잠옷 입고 전 세계 1억 명을 대상으로 말도 안 되는 이야기와 행동을 하면서 연 매출 10억 원을 만들 수 있는, 나같이 올드한 세대가 봤을 땐 참으로 신기한 세상에 살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이런 변화와 신기함은 계속 가속화될 것이다. 우리가 만나는 창업가들을 보면서 나는 이 변화를 직접 매일매일 느낄 수 있다. 왜냐하면 점점 더 많은 창업가와 이들이 하는 사업에 대해서 듣다 보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이게 뭐야 ?”이고, 어떤 사업은 내가 전혀 이해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실은, 이런 창업가와 사업을 접할 때마다 “이런 건 사업이 아냐. 제대로 된 직장 경험도 없는 어린애가 폰 앞에서 말도 안 되는 이야기 하는 걸 누가 봐.”라고 생각하면서 그냥 무시하고 패스하는 게 속 편할 수도 있지만, 새로운 시각과 생각으로 모든 걸 바라봐야 한다는 걸 나는 잘 알기 때문에, 불편하기도 하지만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새로운 세상에는 새로운 시각과 새로운 생각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의 미래가 걱정이라면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산업을 비생산적이라며 까는 모순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정말 제조업이 걱정이라면 다른 산업을 비하하기 전에 모범을 보이세요
제조업이 한국의 경쟁력의 메인 스트림이라는 말이 다른 산업을 비하하는 건가요?
내 인생에서 가장 후회되는 일 순위
https://www.studyholic.com/m/parent/board/?action=read&tn=PAR_005&cate=1&idx=59472
제조업 판타지를 가진 분들이 너무 많네요. 여러분의 생각을 근거도 안대고 남에게 강요하지 마세요;; 200년전 사람이 농임업 광산업이 제조업보다 중요하다고 말하는 것과 그렇게 다르지 않습니다.
현대산업에서 부가가치가 가장 큰 사슬이 제조업이라고 말씀하시고 싶은건 잘 이해합니다만(그리고 역사적으로든 심정적으로든 공감합니다만) 여러분의 문해력은 많이들 낮으신 것 같네요..
제조업이 중요한 근거라면 자유무역이라는 환상이라는 책을 읽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님이 말씀하시는 문해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겁니다.
제조업이 중요한 근거라는게 무슨 말씀이신지? 문장구조를 좀더 다듬어보시는게 어떨까요?
죄송합니다. 개떡같이 써도 찰떡같이 알아들으신 것 같네요. 아무튼 추천드린 책을 읽어 보시면 세상이 다르게 보일 겁니다.
제조업이 얼마나 중요하고 소중한지 잘 설명한 동영상입니다. https://youtu.be/Aco6bz_MiNE?si=NmUghQSXSmuhBNHk
생산적이거나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을 희망하는 것과 여가를 즐기고 재미를 추구하는 일을 희망하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전 그래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굉장히 어둡게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의 미래를 굉장히 어둡게 보시는 이유에 대해서 조금 더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고맙습니다.
한국은 지금도 GDP 대비 총수출 비중이 40% 이상이고, 수출 상품 중 제조업 비중이 90% 정도입니다. 즉, 좋은 상품을 공장에서 만들어서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였습니다. 엔터 사업이 아무리 커져도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을 능가할 수 없습니다. 제조업은 한국의 근본적인 국가 경쟁력입니다.
이미 공대 기피 현상으로 한국 제조업은 점점 약해지고 있습니다.
아직은 공대 우선이었던 2차 베이비붐 세대 (1968~1974년생)가 현역이라서 그렇게 체감되지 않을지 모릅니다. 10년 후에는 많은 제조업 종사자들이 은퇴하면서 급격히 제조 인력 기반이 약해질 건데 그 때도 치열한 경쟁을 버틸 수 있을지 심히 우려됩니다.
엔터사업이 아무리 커져도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을 능가할 수 없나요?
“산업구조가 바뀌는 상황에서 옛날 세대는 그게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산업구조가 바뀌어도 세상은(한국은) 나름대로 잘돌아간다” 라는 주장에 익명님이 반박하는 상황이신데 동어반복을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엔터사업이 아무리 커져도 반도체, 자동차, 선박을 능가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시면 서로에게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대한민국을 믿으세요. 전세계 최강대국들 사이에서 버티고 살아남은것도 모자라 전세계10위권 대열에 들어선 저력이 있는 나라입니다. 우리 아래 세대들도 틀림없이 잘 해낼거에요. 지금도 전세계 다양한 사람들과 일하고 있지만 한국인의 저력은 전세계 탑클래스 수준입니다.
무슨 말씀이신지..
뜬금없는 응원을 받았네요.. 그래요 힘냅시다..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습니다. 지금 미국이 어려운 것은 제조업 기반이 처참하게 무너져서 입니다.
제조업은 모든 산업화된 국가들의 근본입니다. 대체는 절대 불가능합니다.
공감합니다. 제조업은 대한민국의 기반산업입니다. 10년 후 어떻게 될 지 모르겠네요.. 현재도 보면 창업씬에도 제조업하겠다고 나서는 곳이 있나요? 먼지나고 더럽고 힘들고.. 하겠나고 나서는 분들 있으면 존경스러울 정도입니다.
윗글에 답변을 달아야하는데, 여기다 작성을 해버렸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