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Korea has a bright future

와튼의 간판 스타이신 Jeremy Siegel 교수님이 오늘 Yahoo Finance에 한국에 대한 글을 쓰셨다. 미래에셋에서 돈을 받고 쓴 글이 아닐지 의심될 정도로 내용이 좋아서 여기에서 공유한다. 조금 길지만, 한국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하니 모두들 사전을 하나씩 옆에 두시고 끝까지 읽어보시기 바란다.

Why Korea Has a Bright Future
by Jeremy Siegel, Ph.D.

My 14-hour Korean Air flight on a non-stop Boeing 747 airliner from New York to Seoul took the polar route over Siberia and China right towards the South Korean capital. But when the plane approached North Korea, it turned sharply east to the Yellow Sea and then hugged the coast before veering west to land at Incheon, the sparkling new airport completed in 2001, a year before Korea hosted the World Cup.

The detour is mandated by North Korea which does not allow South Korean aircraft over their airspace, a restriction that adds nearly an hour to the flight. The north-south division has been a central feature of Korea over the past half century, influencing its politics and economics. But the country is now looking forward, seeking its place in Asia’s future amid the growing economic power of China.

I was invited to Seoul by Mr. Park Hyeon-Joo, Founder and Chairman of the Mirae Asset Group, one of Korea’s fastest growing financial companies. The firm was one of the sponsors of a conference honoring the 20th anniversary of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Korea, in contrast to the US, invests some of its massive $250 billion trust fund in equities and was considering the advantages of an even higher allocation.

An Asian Economic Success

South Korea is enormously successful. Its per capita income is more than 60% of that of the US, up from only 8% in the early 1960s. Seoul is the second most populated metropolitan area in the world (behind Tokyo), with over 22,000,000 residents. It is a modern Asian metropolis with little sign of poverty.

The country has come a long way from the 1998 Asian crisis that spread from South Asia to Korea. At the height of the crisis, the South Korea’s market index, the KOSPI, fell 74% from 1150 to 277. But lately the market has been surging and in October the index surpassed 2000 and Korean stocks now have a market value over $1 trillion.

Despite the recent bull market, the valuation of Korea’s stock market is still quite compelling. The KOSPI index is selling at only 15.5 times this year’s earnings, a valuation that compares favorably with 19 time earnings in Indonesia, 24 in India, and the 50s for the booming Chinese stock market.

Investors looking to invest in the country can buy the iShares MSCI South Korea Index ETF (EWY), which trades on the New York Stock Exchange.

The Korean won is also strong, rising from 2000 to the dollar at the height of the crisis to 900 today, about the same rate it was before the Asian turmoil began. In dollar terms, the Korean stock market has increased more than ten-fold over the past decade.

But despite this recovery, the country is at a crossroads. It is aging more rapidly than the US, and its fertility rate of 1.2 rivals Japan as one of the lowest in the world. Geopolitical risks abound as the divis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hangs over the country.

Koreans constantly debate the pros and cons of an eventual merger with the North. They are acutely aware of the cost that West Germany incurred in the absorption of East Germany. They rightfully argue that if the South absorbed the North, the cost to South Korea would be greater since North Korea is so much poorer than East Germany was when the Berlin Wall fell. Yet many feel that eventually the two countries will be united.

But there are more immediate challenges. Korea’s manufacturing is being squeezed by cheap labor from China and its electronics giant, Samsung, has been floundering of late. Increased competition is everywhere. For example, the Koreans once dominated the computer game market in China, but are now feeling stiff competition from the Chinese themselves.

Blueprint for the Future

Mr. Park, the far-sighted chairman of Mirae Asset Management, believes that Seoul can make its mark in financial services and become the financial center of East Asia. The financial industry is growing and clearly has an important place in Korea’s future. But to insure future growth Seoul would have to reduce regulation and foster an innovative and dynamic image. Today there are far too many restrictions on short selling, hedge funds, and its financial institutions are small by today’s international standards.

Yet Korea has some decided advantages. Its people are highly educated and the country sends more students to the US than any other Asian nation, including China and India. Recent political trends have turned more conservative and economic growth is being giving top priority. The five year rule of Roh Moo-hyun, a populist who promised to redress the inequalities of wealth and break up monopolies, has not been successful.
As a result, Lee Myung-bak, the former Hyundai executive and mayor of Seoul, enjoys a strong lead in the polls for the upcoming presidential election.

A pro-business government is important, but Korea must do more. To achieve economic success, Seoul must retain its foreign-educated students and entice others to make their mark in Korea. Mr. Park’s presentation at the conferenc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eing a magnet for top talent. His slides showed the vibrant and colorful skyline of Pudong area of Shanghai and compared it to the clean, white, but uninteresting skyline of Seoul.

He is right: Seoul, like other Asian capitals, must compete with Hong Kong, Singapore, Shanghai, and others cities to attract the best people.
We Americans should also not become complacent, as many rightfully claim that the world’s financial center is moving from New York to London and the Far East. All cities now compete in the global marketplace.
Korea’s greatest resource is its people as it has a highly educated and motivated workforce. The country rose from poverty to become one of the richest nations in Asia in a few short decades. As long as it stays focused on the future, I see no reasons why Korea cannot continue to be a leader in Asia.

Sarah Chang Plays Mendelssohn

주말에 와이프와 오랜만에 문화생활을 해볼까 인터넷을 뒤져보니 이번 주말에 바이올리니스트 장영주 (Sarah Chang) 씨의 멘델스존 콘서트가 있어서 큰 맘 먹고 $83 표를 두개 샀다. 지현이는 예술에 조예가 깊지만, 나야 뭐 무식해서 클래식 음악은 잘 모르지만 그래도 장영주씨와 같이 유명한 Korean을 필라델피아 촌구석에서 볼 수 있다는 기대를 하고 Verizon Hall에 입장하였다.

부끄러운 사실이지만, 오늘 태어나서 처음으로 오케스트라 연주를 봤다 ㅎㅎㅎ. 그리고 아주 대박으로 감동을 받았다. 일단, 장영주씨의 집중력과 열정에 크게 감동을 받았다. 어떻게 이 많은 관중들 앞에서 저렇게 작은 바이올린에 온 정신을 집중할 수 있을까…솔직히 조금 부러웠다. 나는 장영주씨 같이 현재 내 본분에 110%의 열정을 쏟아 붇고 있는가…스스로 매우 초라해졌다. 

그리고 또 놀란점은 오케스트라에서 뿜어져나오는 에너지였다. TV에서 보는 오케스트라는 상당히 정적이었으며, 얌전한 group이었는데 실제로 콘서트 홀에서 보니 엄청난 에너지를 발산하는 dynamic한 유기체라는 느낌을 받았다. 50개가 넘는 재각기 다른 악기들이 지휘자의 leadership하에 보이는 극도의 절제…그리고 그 절제된 움직에서 발산되는 에너지…상당히 좋았으며 오케스트라의 에너지를 내가 흡수한거와 같이 기분이 좋아졌다.

집에와서 조사를 해보니 장영주씨가 태어난 곳이 필라델피아였다. 그래서 필라델피아 사람들이 그렇게 기립박수를 치고 좋아했구나…

MGMT804 – Venture Capital and Entrepreneurial Management

나의 favorite 과목이다. 일주일에 한번, 3시간 동안 진행하는 수업인데, 와튼 교수가 아니라 현재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Novitas Venture Capital에서 활동하는 두 파트너 Scott Nissenbaum과 Dean Miller가 번갈아 가면서 강의를 한다. 항상 느끼는 점이지만, 교수보다는 현업에 종사하고 계시는 분들이 역시 가장 최신의 industry knowledge를 가지고 있는거 같다. 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두부류가 있는거 같다. 나와 같이 졸업 후 venture capitalist가 되고 싶어하는 학생들과, 졸업 후 창업을 생각하고 있는 entrepreneur 들이다. Entrepreneur들도 VC들의 성향과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있어야지만, 향 후 투자를 받을 때 더 좋은 조건에 돈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많은 예비 창업가 들이 이 수업을 듣는다. 수업 진행 방식은 다른 수업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일단 수업 참여도가 매우 중요하다. 원형 강의실 앞에 조교가 앉아서 어떤 학생들이 손을 들고, 어떤 질문이나 어떤 comment를 하며, 그 comment가 수업 내용과 적절한지를 즉시 평가 한다. 이 점수들이 학기말에 모여서 성적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너도 나도 한마디라도 더 하려고 아예 3시간 내내 손을 들고 있는 학생들도 있다 (나도 그런적이 있는데 발표를 너무 많이 하면 잘 안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교수가 일부러 시선을 피하고 다른 곳을 보고 그러더라) 사업계획서를 보는 방법, 매출이 전혀 없는 인터넷 기업을 평가 (valuation)하는 다양한 방법, term sheet 작성, 벤처 기업 평가와 관련된 legal issue 등과 같이 실제로 일을 할 때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살아있는 지식을 가르치는 이 수업을 나는 상당히 좋아한다. 어느정도 이론이 바탕이 되지만,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이 두 명의 노련한 VC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 하나하나가 주옥 같은 지식이기 때문에 MGMT804 수업 시간에는 맨 앞 줄에 앉아서 집중을 많이 하는 편이다. Venture Capitalist나 창업을 고려하고 있다면 반드시 들어보라고 추천하는 수업 중 하나이다.

이 수업도 reading 만만치 않다. 매 수업 시간마다 약 50장의 reading을 해야하는데 왠만하면 다 읽어 보려고 항상 노력은 한다 (그런데 결국은 다 못 읽는다 ㅎㅎㅎ). 그리고 수업 시작하기 전에 매 시간마다 제출 해야하는 숙제가 있는데 주어진 미니 케이스 (caselette)를 읽고 5-6개의 문제에 대해서 간단하게 2장의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혼자서는 못하고 팀을 만들어서 같이 일을 해야 한다. 불행하게도 이 수업을 듣는 1학년이 거의 없다. 대부분 다른 core 과목 (나는 몇 개는 waive를 했다)과 수업 시간이 겹치기 때문에 2학년 학생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내가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첫 수업 시간에 내 옆에 앉은 중국 여자 Ming Fu와 같은 팀을 만들었는데 Ming은 와튼 학생이 아니라 프랑스의 INSEAD에서 온 교환 학생이다. 와튼의 장점 중 하나가 유럽과 아시아의 다양한 business school과 partnership을 맺어서 원한다면 일년에 3-4개월 정도는 다른 대륙에 있는 학교에서 공부를 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들이 많다는 점이다. 물론 학점 interchange가 된다.

MGMT654 – Competitive Strategy

Q2에 새로 수강하는 과목 중 하나가 MGMT654 Competitive Strategy이다. 우리는 살면서 “전략”이라는 말을 상당히 많이 한다. 특히,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일수록 툭하면 “전략적 사고” 이니 “전략적 xxx”라는 말을 상당히 많이 하는데 과연 전략이란 무엇일까? 성공하는 기업은 왜 성공할 수 있으며, Toyota나 GE 같은 기업은 어떻게 몇 십년 동안 해마다 성장에 성장을 반복할 수 있을까? Sarah Kaplan 교수는 적절한 business strategy와 corporate strategy의 절묘한 조화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거라고 말한다. 전 McKinsey Engagement Manager 출신이자 비즈니스 베스트셀러 “창조적 파괴: Creative Destruction”의 저자인 Sarah Kaplan 교수는 멋쟁이 노처녀 교수이다. 키도 크고, 몸매도 늘씬하고, 뿔테 안경 넘어로 보이는 눈빛에서는 가끔씩 광선이 나온다. 희끗희끗해지는 머리 염색은 일부러 안하는건지, 왠지 약간 무서워 보이기 까지도한다. 하지만 성격은 상당히 재미있다. 약간 정신 없지만, 수업 시간에 굉장히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하며, 학생들을 수업에 많이 engage 시키려고 상당히 노력을 많이 하는 부분은 높게 평가하고 싶다. MGMT654 수업 방식 또한 매우 재미있다. 매 class마다 읽어야할 전략 과목 교과서의 reading이 있으며, 이 reading과 관련된 실제 case study가 있다. 전체 reading을 다 하면 매 수업 마다 약 50장의 reading을 해와야 하는데 나는 reading 보다는 case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편이다. Case를 안 읽으면, 수업 참여를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 학생들이 reading은 잘 해오는 편이다. (class participation이 성적을 많이 좌지우지 하기 때문에, 모든 학생이 한 번 정도는 손을 들고 의견 발표를 한다. 물론, smart한 발표를 하는 학생들도 많이 있지만 정말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은데 이럴 경우에는 교수가 직접 제지를 가하기도 한다). Learning Team과 같이 분석해야하는 case가 학기 중 2개 있으며, soft한 과목이지만 기말 고사를 보는 “빡센” 과목이기도 하다.

전략의 대가인 Michael Porter는 기업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기업전략은 크게 corporate strategy와 business strategy로 나눌 수 있다. Corporate strategy는 A라는 기업이 어느 industry에서 (WHERE) 경쟁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며, business strategy는 어떻게 (HOW) 경쟁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공한다. 이 두 전략을 적절하게 조합 하는 기업이야 말로 경쟁자들이 절대로 모방할 수 없는 competitive advantage를 얻음으로써항상 남들보다 한발 앞설 수 있는 것이다.”


과연 나는 앞으로 어떤 industry에서 일해야 하며, 어떻게 남들과 경쟁을 해야할까 라는 질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을 해봤다.

Lunch with Min

오늘 (금)은 와튼의 여성 비즈니스 클럽인 WWIB (Wharton Women In Business) 주최의 conference가 시내에서 열려서 그런지 검은 정장 입은 여자들이 시내에서 많이 보였다. 2007년 와튼 졸업생이자, 어린 시절 나와 같이 스페인에서 자란 민정이가 WWIB 행사의 한 세션인 Tea Chat (차를 마시면서 자유롭게 재학생과 동문이 career와 관련하여 이야기하는 세션)에 동문 자격으로 초청받아서, 오랜만에 필라델피아에서 같이 점심을 먹기로 하였다.

민정이는 스페인에서 고등학교까지 다니고 Brown 대학 졸업 후 부동산 관련 투자 회사에서 일을 하였다. 직장을 그만두고 글을 쓰는 작가 준비를 하다가 (원래 글 쓰는 솜씨가 좋았다) 갑자기 와튼에 입학을 하였는데, 졸업 후에도 부동산 관련일을 계속 하고 있다. 현재는 Morgan Stanley의 부동산 Investment Management (정확히 뭐하는건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ㅎㅎ) 부서에서 굉장히 잘나가고 있는걸로 알고 있다. 민정, 민정이와 같은 해에 졸업한 또 다른 한국인인 Lana, 우리 와이프 그리고 나 이렇게 4명이서 Walnut 17번가에 있는 Pietro’s Coal Oven Pizza에서 옛날 이야기 하면서 재미있게 식사를 하였다. 결국 이야기의 주제는 Wharton과 와튼의 수업, 인터뷰를 어떻게 하는가 등등…

친구이지만 학교 선배의 입장에서 유용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었다. 그러고 보면 내 주위에도 참 좋은 사람들과 잘 나가는 친구들이 많은거 같다. 물론, 스스로 잘되는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그 주위 사람들과 같이 성공하면 인생의 즐거움이 배가 되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