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

Public Speaking

Photo Dec 21, 9 24 25 AM이번에 대통령 후보 토론을 보면서 많은 분들이 실망했을 것이다. 특히, 미국에서 가장 말을 잘 한다는 두명의 – 오바마 대통령과 롬니 전 대통령 후보 – 진지하고 긴장감까지 돌았던 토론의 기억이 아직도 머리속에서 가시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하면서 더 큰 실망이 있었을 것이다. 어쩜 이렇게 두 나라 대통령 후보 토론의 수준 차이가 이렇게 많이 날까? 정말 황당하고 보기가 민망할 정도였다.

왜 그럴까? 박근혜씨 박근혜 대통령과 문재인씨가 머리가 나쁘거나 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아닌거 같다. 다만, 남들 앞에서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스킬이 매우 딸리는 사람들인거 같다. 즉, 남 앞에서 말하는 public speaking 기술이 없었기 때문인거 같다. 몇일전에 나는 오바마-롬니의 토론을 다시 한번 봤다. 이번에는 서로가 하는 말보다는 그들의 눈빛, 얼굴 표정, 손짓 그리고 자세를 위주로 봤다. 역시 둘 다 professional한 스피커들이였다. 어느 순간에 언성을 높여야 하는지, 언제 3초 쉬어야 하는지, 언제 손과 손가락을 사용해야하는지, 그리고 언제 어떤 식의 스탠스를 취해야 하는지 이들은 잘 알고 있었다. 물론, 토론 전날 밤을 새면서 습득한 기술/실력은 아닐 것이다. 오랜 세월 동안 연습해서 몸에 완전히 베인, 아주 자연스러운 동작들이었다.

나는 스탠포드에서 ‘Public Speaking’ 이라는 수업을 2학기나 들었다. 참고로 3학점 짜리 수업이니까 총 6학점을 들은 것이다. 스탠포드와 워튼에서 들었던 가장 인상깊고 인생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나한테 묻는다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교수의 강의도 아니고 경제학상을 받은 교수의 경제학 수업도 아니다. 바로 남들 앞에서 효과적으로 말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public speaking 수업이다. 매 수업마다 특정 주제에 대해서 각자 3~5분 동안 발표를 하고, 이걸 동영상으로 촬영한 후 각자에게 전담된 코치와 함께 자세하게 분석해서 발표 실력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아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 다음 수업에서는 지난 주에 지적 받았던 사항들이 개선되었는지, 안되었다면 뭐가 문제인지 등에 대해서 진지하게 연구하고, 발표하고 또 발표를 한다. 시험은 없고 마지막 수업시간에 자유 주제를 기반으로 10 ~ 15분 동안 발표를 한다. 학기 중 배운 모든 기술을 발표하면서 구사하는지에 대한 채점을 기반으로 최종 평가를 받게 된다.
나는 첫 학기에 B-를 받았지만 – 참고로 B 이하는 매우 형편없는 점수이다 – 그 다음 학기는 B+를 받았다. 성적은 두 단계만 향상을 했지만 단지 몇개월 만에 내 발표 실력과 청중 앞에 섰을때의 자신감은 200배 정도 상승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에도 이런 수업들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있다면 모두에게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싶다. 발표는 그 어떤 수업에서 배우는 지식보다도 사회 생활할때 도움이 되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나는 지금도 남들이 발표할때 Public Speaking 수업에서 배웠던 사항들을 (다 기억하는건 아니다) 하나씩 마음속으로 check하면서 듣는다.

발표의 달인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죽은 Steve Jobs를 생각한다. 잡스는 우리 시대가 낳은 최고의 communicator 중 한명이긴 하지만, 내가 생각하는 우리 시대 최고의 public speaker는 ‘긍정의 힘’의 저자이자 Lakewood 교회의 담임목사인 Joel Osteen이다. 종교적인 관점에서 보면 오스틴 목사에 대해서는 돈을 밝힌다니, 이단이니 등등 말들이 많다. 하지만, 이런걸 떠나서 오스틴 목사의 설교 장면을 보면 – 내용은 상관없이 – 사람들을 매료하는 public speaking의 진수를 경험할 수 있을것이다. 모두가 한 번 정도는 오스틴 목사의 설교 장면을 보면서 그의 말투, 눈빛, 제스처, tone 등을 잘 연구하길 바란다. 그리고 거울을 보면서 그를 100번만 따라해보면 갑자기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 그 자신감을 무대로 그대로 가져가면 된다.

Guy Kawasaki가 말하는 “남들 앞에서 말을 잘할 수 있는 11가지 기술

한국의 tech 기자들은 어디에?

스페인의 청년 실업률은 56%다. 스페인 청년 2명 중 1명은 놀고 있다는 것이다. 이 정도는 아니지만, 한국의 청년실업도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구직 중인 한국의 취업희망생들에게 내가 추천해 주고 싶은 유망 업종이 하나 있다. 바로 tech 전문 기자/편집자이다. 최근 들어 내가 매일같이 느끼고 있는 게 바로 한국에는 전문성을 가진 tech 기자가 없다는 점이다 (혹시 내가 몰라서 그럴지도 모르니 만약에 있다면 이름이랑 연락처를 좀 알려주세요).

우리는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Tech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전자신문이나 디지털타임스와 같은 IT 전문 신문 (내가 보기에 전문성은 별로 없지만), 조/중/동 메이저 신문의 IT 취재팀들 그리고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이 있는 블로터, 비석세스 (공시: Strong Ventures는 비석세스의 투자사이다), 벤처스퀘어, 플래텀과 같은 tech 블로그들이 매일같이 수십 개 ~ 수백 개의 tech 관련 기사들을 만들어서 발행한다. 문제는 이 많은 기사 중 정말 시간을 내서 읽을만한 기사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나는 주로 미국의 tech 기사들을 먼저 읽고 한국의 매체를 접한다. 대부분 전날 미국의 기사들을 재탕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미국의 매체)에 의하면….”으로 대부분 기사가 시작된다..

왜 한국에는 제대로 된 tech 기사들을 찾을 수가 없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제대로 된 tech 기자들이 없기 때문이다. 제대로 된 tech 기자들이 없고, 이들이 쓰는 제대로 된 tech 기사들이 없는 내가 생각하는 이유는:

1. 대부분의 기자는 한 분야만 파고들지 않는다. 대부분 2~3년을 주기로 한 기자가 문화부/정치부/사회부/IT부 등 뺑뺑이 돌려진다. 한 분야를 제대로 알려면 최소 5년에서 10년이라는 기간이 필요한데 이렇게 단기간 뺑뺑이를 돌면 아주 얄팍한 지식만 쌓일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진정성이 있고 통찰력이 있는 기사가 나올 수 있을까.

2. 물리적인 거리 문제도 있다. 기사의 생명은 originality와 희소성인데 이런 내용의 기사를 쓰려면 정보력이 매우 중요하다. Tech의 메카인 실리콘 밸리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서울에서 이런 정보력을 확보하는 건 매우 힘들다. 하지만, 그나마 Facebook이나 Twitter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열심히 노력하면 거의 실시간으로 정보력 확보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3. 영어를 잘 못한다. 창업가들한테도 영어는 골칫거리지만, tech 기자라면 영어는 더욱 중요하다. 위 2번 포인트에서 말했듯이 tech의 메카인 실리콘 밸리의 모든 소식은 영어인데 영어를 잘 못 하면 이해를 못 할뿐더러 오번역을 하기가 너무 쉽다. 외주 번역을 맡기면 그만큼 시간이 낭비되고 originality 또한 희석된다. (추가됨: 2014년 9월 13일)

4. 기자들이 게으르고 생각이 없다. 이게 가장 심각한 이유라고 나는 생각한다. 진득하게 앉아서 생각한 후에 자신만의 생각과 객관적인 data를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들을 써야 하는데 그냥 외국 기사들을 베끼는 데에만 집착하다 보니 수준 낮은 글들만 만들어지는 것이다.

나는 여러 tech 매체 중 TechCrunch를 가장 즐겨 읽고 좋아하는데 – AOL에 인수된 후에 quality가 많이 떨어졌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 대기업이나 정부의 눈치는 신경 쓰지 않는 기자들의 대담함과 진지하게 생각하고 data를 분석할 수 있는 통찰력이 맘에 들기 때문이다. 실제로 같은 내용에 대해서 (e.g. Facebook의 주가 하락) 미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신문 중 하나인 Wall Street Journal의 기사를 비교해서 읽어봐도 TechCrunch의 내용이 훨씬 더 깊은 통찰력과 조사/연구가 뒷받침되어 있는 거 같다.

이런 이야기를 한국의 기자분들이나 미디어에 하면 모두 다 위에서 내가 말했던 이유나 다른 변명을 한다. 본인들도 실리콘 밸리에 있고, TechCrunch의 기자들과 같은 대우와 권위를 가질 수 있다면 높은 수준의 기사를 쓸 수 있다고 말한다. 어쩌면 그럴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떻게 대한민국에서 10년 이상 기자 생활을 하신 분들이 TechCrunch의 대학생 인턴 (19살)보다도 통찰력이 없고 형편없는 글들을 쓸까…

나도 글을 꽤 많이 쓰는 편이다. 물론 나는 직접 tech 업계에서 일하고 있고, 많은 정보를 현지에서 접하고, 많은 사람을 만나기 때문에 적합한 타이밍에 적절한 글들을 많이 쓴다. 그렇지만 아무리 그래도 ‘기자’라는 명함을 가지고 글 쓰는 걸 밥벌이로 하는 분들이 취미로 글을 쓰는 나보다 수준이 떨어지는 기사를 쓰는 건 정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왜 그럴까?” , “다른 회사/사람들은 어떻게 했을까?” ,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은?”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 하지도 않고 고민도 하지 않으니까 좋은 글보다는 인터뷰만 여기저기에 실리게 되는 것이다. 인터뷰가 나쁘다는 건 절대로 아니다. 하지만 인터뷰에서 가장 중요한 거는 답변이 아니라 질문들인데 뭘 알아야지 좋은 질문을 할 수 있지. “어떻게 회사를 시작하셨나요?” 뭐 이런 류의 식상한 질문으로 만들어진 인물 인터뷰는 솔직히 이제 질린다..

2012년 9월 4일 Mashable에 “Gangnam Style! The Anatomy of a Viral Sensation [INFOGRAPHIC]“이라는 기사를 Sam Laird라는 미국 기자가 썼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기반으로, 1. 다른 유투브 뮤직비디오와 비교 2. 한국이라는 나라 3. 강남이라는 지역 4. 싸이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고 재미있게 비교한 내용이다. 그런데 이 기사를 미국 기자가 썼어야 했을까? 싸이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 있는 한국의 tech 기자들은 왜 이런 재미있고 통찰력 있는 비교 분석을 하지 못했을까?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모든 정보와 data는 그냥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그런 흔한 숫자들이다.
‘싸이 요새 잘나간다.’라는 생각만 하지 이런 식으로 분석을 해볼 생각조차 못 했을 것이다. 관심도 없고 생각도 없기 때문이다.

오늘의 커피

In Beans We Trust‘라는 커피 예찬을 할 정도로 나는 커피를 즐긴다. 향도 즐기고 맛도 즐기고 분위기도 즐기고 다 좋아한다. 대신 맛은 좋아야 한다. 살짝 맛만 보거나, 아니면 향만 맡아도 그 커피의 원산지를 정확히 맞출 정도의 실력은 절대 아니지만 그래도 맛이 없는 커피랑 맛있는 커피 정도는 구분을 할 수 있다.

지난 2년 동안 한국을 왔다갔다 하면서 느낀게 있는데 바로 한국의 커피샾에는 ‘오늘의 커피’를 찾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까페 베네, 탐앤탐스, 파스쿠치와 같은 국내 커피샾에서 “오늘의 커피 주세요”라고 하면 “그건 없고 아메리카노 있습니다”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막상 아메리카노는 drip brewed 커피랑은 완전히 다른건데도 바리스타들은 계속 아메리카노만을 고집한다. 오늘의 커피는 그날 그날 커피를 정해서 계속 내려놓고 손님들이 찾을때마다 부어서 서빙하는 커피고, 아메리카노는 에스프레소를 뜨거운 물에 탄 커피다. 결과는 주로 아메리카노가 물탄 맛의 연한 커피고 오늘의 커피는 조금 더 진한 맛의 커피다. 미국의 경우 아메리카노가 주로 더 비싸고 에스프레소를 내려야하기 때문에 제조 시간도 더 걸린다. 물론, 아메리카노에 샷을 추가해서 먹으면 더 진해지지만 에스프레소에 물을 탄거랑 커피를 drip brew한거랑은 맛 자체가 매우 다르다.

스타벅스나 커피빈과 같은 미국계 커피샾에 가면 메뉴에는 ‘오늘의 커피’가 있긴 있다. 그런데 아무도 찾지 않아서 그런지 주문하면 항상 3분을 기다리라고 한다. 왜 기다려야하냐 물어보면 주문을 받을때마다 커피를 내려기 때문이라고 한다. 기다리지 않고 빨리 커피 한잔 사가려고 하는 ‘오늘의 커피’의 의미를 무색하게 만든다. 그리고, 다른 분들은 모르겠지만 내가 제일 싫어하는 커피가 the first and the last brew이다. 가장 첫번째 커피는 맛이 좀 밍밍하고 마지막 커피는 너무 독하고 커피 가루가 항상 섞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렇게 시킬때마다 내리면 내 오늘의 커피는 항상 first brew가 된다.

뭐, 이게 잘못되었다는건 아니고….하지만 최소한 바리스타들은 이런 차이점을 좀 알았으면 한다. 서울에서 제대로 된 ‘오늘의 커피’를 먹을 수 있는 곳은 5년 전이나 지금이나 던킨 도넛 밖에 없었다.

AT&T 청구서

나는 거의 6년째 AT&T;를 통해서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다. 좋은 점도있고 나쁜점도 있지만 확실히 Verizon에 비해서는 coverage도 약하고 통화도 자주 끊긴다. 한국에 사시는 분들은 상상하기 힘들겠지만 미국은 아직도 핸드폰 통화가 자주 끊긴다. 지하에서는 당연히 안되고, 엘리베이터에서도 거의 안된다. 가족끼리 같이 가입하면 할인을 받을 수 있는 family plan으로 우리 가족이 매달 내는 핸드폰 요금은 (무한 data랑 문자 포함) 대략 $160 정도인데 지난 달 요금이 $200가 넘게 나왔다. 나는 신용카드나 핸드폰 청구서는 항목 하나하나 보는게 귀찮아서 잘 안보는데 오늘은 시간이 좀 있어서 왜 $40이 더 추가되었는지 자세히 한번 봤다.
*참고로 정확히는 $36이지만 세금이랑 이것저것 다 합치면 $40이 조금 넘는다.

‘One-time upgrade charge’라는 항목하에 $40가 청구되었다. 아주 어렵게 기계음들을 하나씩 통과해서 AT&T; 고객 서비스 담당자랑 통화를 했더니 이번에 새로 구매한 iPhone 5로 “쉽고 smooth하게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 청구되는 서비스 비용이라고 했다. 내가 직접 주문해서 받았고, 집에서 내가 직접 업그레이드 했는데 무슨 서비스 비용이냐고 아주 세게 반박했더니, AT&T; 여직원은 1초도 생각하지 않고 바로 “아, 그러면 저희가 그 비용은 그냥 까드리겠습니다”라고 했다.

시간도 없고 이런거 때문에 싸우기 싫어서 – 쌈닭의 이미지를 벗기 위해 – 그냥 나는 전화를 끊고 넘어갔지만 생각해보면 정말 화가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나와같이 청구서를 자세히 안 보니까 일단은 이런 ‘서비스’ 비용을 청구하고 아무말 없으면 그냥 넘어가고, 이번과 같이 항의를 하면 그냥 까주는 이런 비겁하고 야비한 수법을 통해서 많은 이통사들이 이익을 챙긴다는 생각을 할 수 밖에 없다. 물론, 법적으로 소송을 걸면 분명히 계약서나 이용약관 어딘가에 눈에 보이지도 않게 깨알같은 글씨로 적혀있는 항목들을 보여주겠지.

이걸 계기로 앞으로 신용카드, 핸드폰, 인터넷 고지서 등을 아주 자세히 읽어봐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눈뜨고 코배어가는 세상 맞다.

본질 파악하기

얼마전에 집에서 잠자는 초등학생을 납치해서 잔인하게 성폭행하고 살해하려고 한 사건이 있었다. 정말 충격적이고 끔찍한 사건이었다. 그런데 이 현상에 대해서 네이버와 다음을 도배한 대부분의 기사들은 ‘대한민국의 그릇된 음란물/포르노 문화’ 관련 내용들이었다. 즉, 대한민국 사람들 대부분이 음란물을 정기적으로 접하며, 야동을 시청하고 이런게 문화로 뿌리내리면서 어렸을때부터 성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생겨서 결국 이런 잔인한 성범죄가 발생한다는 논리인거 같다.

다른 분들은 모르겠지만, 내 생각에는 이건 완전 bullshit인거 같다. 나도 한때는 부모님 몰래 성인잡지를 봤고, 커서도 가끔 야동을 본 경험이 있다. 태어나서 한번도 음란물을 접하지 않았다면 오히려 이게 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남녀를 막론하고 궁금해서라도 한번은 봤을 것이다. 하지만 나를 비롯한 내 친구들 중 성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단 한명도 없다. 성범죄는 음란물 문화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개인의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신문이나 언론을 보면 쓸데없는 내용들로 모두의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오히려 대한민국 경찰의 느슨함을 탓하고, 성범죄 관련 법의 제도를 강화해야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본질을 파악해야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쓸데없는데 시간 낭비하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