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

Do You Speak English? – Part 2

얼마전에 내 친구이자 Strong 파트너 John이 다음 사진을 보내줬다.

No Glass, No Trash, No Food, No Paper의 정확한 번역은 유리 금지, 쓰레기 금지, 음식 금지, 종이 금지 정도가 될텐데 누가봐도 구글 번역기를 돌린 발번역 표시가 난다. John의 딸이 즐겨찾는 집 근처 아이스링크에서 찍은 사진인데 한국 사람들이 워낙 분리수거를 안해서 미국인 매니저가 안내문을 붙인 것이다. “알루미늄 캔, 플라스틱 병 전용”은 우리말을 잘 하는 사람이 번역을 했지만 그 이후에도 계속 이런 일이 발생하자 그냥 구글 번역기를 돌려서 밑 부분을 처리한 것이다.

아이스링크를 찾은 많은 한인들이 이 발번역을 보고 어이없어 하면서 아이스링크 매니저 욕을 했다.

아, 그거 이왕 할거면 제대로 번역하지. 저걸 한국 사람들이 보고 뭐라고 하겠니

아무리 그래도 좀 그렇다. 한글인데.

사장님 돈 좀 쓰시지. 몇 자 번역하는데 얼마 안들텐데

이 사진을 보는 독자분들도 똑같은 생각을 할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요점은 바로 많은 한국 스타트업들의 – 삼성같은 대기업 포함 – 영문 자료를 보면 위의 발번역 보다 더 심하면 심했지 덜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내가 검토했던 소위 글로벌 비즈니스를 지향한다는 수백개 한국 스타트업의 자료, 설명서, 웹사이트, 서비스의 영문버전을 보면 정말 말도 안되는 영어가 너무 많다. 완전히 틀린 번역, 오타, 대/소문자 혼돈, 태생도 없는 약자들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근데 막상 이런 부분을 지적하면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거 같다. 왜냐하면 몇달 뒤에도 영문 버전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이글에 대한 안티 피드백들이 – 주로 “그래 너 외국 오래 살아서 영어 잘한다” 류의 – 안봐도 비디오같이 머리속에 그려진다. 한국 사람이기 때문에 영어 못하는거는 당연하지만 그렇다고 대충 번역하면 그걸 보는 외국인들은 우리가 (한국인들) 위의 사진의 번역을 볼때와 같은 느낌을 받을 것이다. 열심히 영어 공부를 하든지, 아니면 영어를 제대로 하는 사람들의 도움을 받자. 그렇게 못하거나 안할거면 글로벌 진출은 나중에 하자. 가장 기본적인 communication이 안되는데 어떻게 외국에서 비즈니스를 할 것인가.

이글은 “Do You Speak English? – Part 1“의 두번째 이야기다.

이런 사람들과 비즈니스 하지마라

내가 비즈니스 하면서 가장 싫어하는 두 부류의 사람들이 있다. 두 부류 모두 굉장히 단순한 걸 못하는 사람들이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묻는거에 정확하게 답변을 못하는 사람들이다.

못하는건지 아니면 일부러 안하는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하여튼 상당히 짜증나는 사람들이다. 최근에 이런 사람과 일때문에 어쩔 수 없이 communication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는데 이메일 두번이면 해결할 수 있는게 일주일이나 걸렸다. 그것도 내가 한국으로 전화해서 협박하듯이 물어봐서 답을 받았다.

내 질문은 매우 단순했다. “xxx는 몇개 팔 수 있을거 같고, 가격은 얼마인가?”였고, 상식적으로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xxx를 50,000개 정도 팔 수 있을거 같고, 가격은 100,000만원 입니다” 이다. 이러면 상황 종료되고 각자 일을 진행하면 된다. 그런데 돌아오는 답변은 전혀 엉뚱한 내용이었다. 다시 한번 나는 “내가 알고 싶은건 간단합니다. 몇개를 얼마에 팔 건가요?”라고 이메일을 썼는데 물어보는 질문에 대답은 안하고 또다시 엉뚱한 답변이 왔다. 왜 사람들은 묻는거에 대해서 답변을 하지 못할까? 결국 나는 국제 전화를 했고, 거두절미하고 다그쳐서 물어봤는데 아직 수량이랑 가격을 정하지 못했다는 답변을 들었다. 그러면 그렇게 말을 하던지.

혹시 이런 사람들과 비즈니스를 해야한다면 무조건 찾아가서 얼굴 보고 이야기 하던지 – 물리적으로 가능하다면 – 아니면 전화 통화를 해라. 이메일로 계속 communication을 하다보면 같은 질문만 여러번 반복하다 결론이 안 난다.

다른 부류는 바로 갑자기 연락이 두절되는 사람들이다.

비즈니스 하면서 이런 사람들을 나는 여러번 접했는데, 일이 잘 진행될때는 하루에도 수십번씩 이메일과 전화를 하다가 갑자기 상황이 조금 어려워 지면 완전히 잠수를 탄다. 정말 너무너무 답답하고 짜증난다 – 특히, 선금을 지급했는데 결과물을 못 받았다면. 이런 인간들을 상대하는 방법은 딱 하나다. 일단 연락이 두절된 이유을 정확하게 판단하자. 가끔, 정말 아주 가끔씩 비상사태가 발생해서 연락이 안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교통사고를 당했던지 또는 축구하다가 머리에 공을 너무 세게 맞아서 기억상실증이 걸렸던지…). 하지만 99%는 대부분 뭔가 찔리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연락을 피하는거다. 이런 괘씸한 이유가 확인되면, 회사던 집이던 무조건 찾아가서 협박하는 방법밖에 없다.

나는 이런 경험이 꽤 많다. 어릴적 친구한테 돈을 빌려주고 그 이후 연락이 두절됐을때 그 친구 집으로 찾아가서 부모님한테 수금한거부터 시작해서, 뮤직쉐이크 시절 유명한 YouTube 스타인 KevJumba와 같이 동영상을 제작하면서 선금을 지불한 후 그의 매니저들과 연락이 갑자기 두절되자 베벌리 힐스 사무실을 약속도 없이 불쑥 찾아가서 쌍욕을 퍼부으면서 난동부렸던 경험이 있다. 그때 그의 매니저/비서/변호사 앞에서 고래고래 소리 질렀던게 그대로 기억난다. “Don’t fxxx around with me because you guys have no idea who the fxxx you are dealing with. If I don’t get the final cut of the video by tomorrow, I am going to fxxxing sue you all!”

다음날 아주 완벽한 동영상 최종본이 우리한테 배달되었다.

미국으로 가야하나요? Part 2

*이글의 전편 – ‘미국으로 가야하나요? Part 1

미국으로 오는게 더 좋다고 생각하는 두번째 이유는 바로 end-to-end user experience 때문이다. 우리말로 하면 ‘완전한 사용자 경험’ 정도?

한국에 살고 있고 미국 거주 주소랑 미국 신용 카드 (또는 해외 사용 가능 카드)가 없는 분들은 미국의 서비스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통해서 물건을 구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정식으로 한국용 버전을 launch한 서비스는 사용 가능하다.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전에는 Amazon.com이 대표적인 케이스였다. 몇년 전만 해도 한국에서 아마존을 통해서 물건을 구매하려면 미국 주소로 된 신용카드가 필요했다.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인 Pandora도 국가별 음악 저작권 문제 때문에 한국에서는 아예 서비스 (웹사이트, 앱) 접속이 안되는걸로 알고 있다.

사용하기 쉽고 사용자 경험이 가장 부드러운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만드려면 아마존은 반드시 벤치마킹해야할 서비스이다. 전세계 전자상거래 서비스 중 절반 이상이 아마존의 UI와 UX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은 고객이 물건을 주문하는 과정이다. 결제하는 프로세스가 복잡하거나 하다가 에러가 나면 짜증나서 사이트를 떠나는 고객들이 많다. 아마존은 바로 이러한 모든 일련의 과정들을 아주 아름다운 UI와 UX를 통해서 구현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이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가 없었다. 물론, 디자이너들과 개발자들이 아마존 사이트에 와서 한 두 시간 정도 여기저기 다녀보면, “아, 이제 감 잡았어. 대략 이렇게 만들면 되겠구나.”라는 생각들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구매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을 해보지 못하면 절대로 아마존의 full user experience를 몸으로 느끼지 못한다.
브라우저에서 www.amazom.com을 치고 들어와서, 계정을 만들고, 원하는 물건을 검색하고, 물건을 구매하고, 구매한 물건을 받아보고, 받아본 물건에 대해서 리뷰를 올린다. 이 모든 과정을 직접 몸으로 경험을 했을때 비로써 우리는 end-to-end user experience를 경험했다라고 말할 수 있다. 위에서 말했듯이, 지금은 한국에서 아마존 사용이 가능한지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이런 full 유저 경험을 하지 못하는 미국 서비스들이 아직 너무 많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많은 사이트들을 사용해보면 미국 서비스들과 비스무리하게 만들었지만서도 뭔가 불편하고 반쪽짜리인거 같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기획/디자인/개발자가 직접 처음부터 끝까지 사용해보지 않았으니까 그런거다.

판도라는 최고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아예 서비스 접속을 못한다. 아마존과 마찬가지로 주위 친구들이 사용하는걸 어깨넘어로 보거나, 유투브에서 서비스 리뷰하는걸 시청하거나, 아니면 스크릿샷들을 본 사람들이 판도라를 벤치마킹해서 그만큼 좋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만드는건 힘들다. 흉내는 낼 수 있지만, 결국 사용자들이 사용해보면 뭔가 어디선가 어색하고 사용자 경험을 방해하는 결정적인 요소들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이게 미국으로 올 수 있으면 오는게 더 유리하다고 내가 생각하는 두번째 이유다. 다시 한번 공지하지만 첫번째, 두번째 이유 모두 지극히 100%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미국으로 가야하나요? Part 1

한국 들어갈때마다 사람들이 나한테 묻는 질문이다. 그리고 미국에 있을때도 일주일에 여러번 이메일이 온다. “글로벌 서비스를 하고 싶은데 한국에서 개발하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미국으로 가서 하는게 좋은가요?”

미안하게도 정답은 없다. 어떤 스타트업들은 한국에서 시작했고 아직도 한국에 있지만 글로벌 서비스를 하고 있고, 어떤 스타트업들은 미국으로 완전히 이사해서 실리콘 밸리에서 일하고 있지만 글로벌 서비스는 커녕 제품하나 없다. 어떤게 정답일까? 나한테 물어보면 나는 그래도 미국에서 하는게 유리하다고 말해준다.
*참고로, 이건 내 개인적인 견해이다. 나랑은 완전히 반대의 입장을 취하시는 분들도 있고, 동의하지 못하는 분들도 많다는걸 잘 안다.

이와 관련 간단한 일화를 공유한다. 이번에 한국 나갔을때 과거 한국 뮤직쉐이크 개발팀장과 저녁을 먹은적이 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과거 업무 이야기가 나왔고 페이스북앱 이야기가 나왔다. 2008년 여름에 – 이때만해도 페이스북 앱이 굉장히 인기가 많았다. 너도나도 페이스북앱을 만들었고 Zynga와 같은 소셜 게임도 이때부터 뜨기 시작했다 – 우리도 뮤직쉐이크 앱을 페이스북앱으로 만들기로 결정했다. 당시만 해도 모든 개발은 한국에서 진행했기 때문에 우리는 한국 개발팀에 페이스북앱에 대해서 잘 설명하면서 앱 개발을 진행했다. 결과물은 반쪽짜리 앱이었다. 그 이유에 대해서 개발팀장이 이번에 나한테 했던 말; “페이스북이란걸 사용을 해봤어야지. 계정도 그때 처음 만들었는데, 친구들이 하나도 없으니까 이건 어떻게 써먹는건지도 모르겠더라. 코드야 어렵지 않아 그냥 SDK니까. 근데 이게 만들어지면 어떻게 사용되는지 전혀 감을 못 잡으니까 개발이 참 막막했어.”

미국에서는 하루에도 수십개의 새로운 서비스들이 탄생한다. 물론, 90%는 뜨지 못하고 곧 죽지만 그 중 몇개의 서비스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이 대박을 친다. 어느날 갑자기 내 주위 사람들이 처음 들어보는 서비스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그 서비스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바로 바이럴리티(virality)의 진행을 목격하게되는 그 순간이다. 한국에 있으면 이런걸 접하는 타이밍이 상당히 느리거나 아예 접하지 못한다. 지금도 미국에서는 엄청나게 뜨는 서비스들이 많은데 막상 한국 가보면 아무도 모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좋은 예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이다. 교포 친구들이나 미국에 지인들이 많은 한국에 거주하는 분들은 분명히 어느 순간에 이들이 페이스북/트위터를 사용하는걸 목격했고 그로 인해서 사용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미 미국에서 페이스북 열풍이 불기 시작하고 거의 1-2년 이후였을거다.

우리는 소셜미디어 세상에 살고 있지만서도 물리적인 위치, 그 위치로 인해서 접하게 되는 문화, 그리고 그 문화를 접하게 되는 타이밍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위에서 예로 들었던 뮤직쉐이크 개발팀장님의 말과 일맥상통한다. 이 분이 만약에 그당시 미국에 있었다면 매일 접하는 서비스나 문화에 페이스북이 분명히 깊숙하게 자리잡았을 것이고, 주변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어떻게 사용하고, 미국의 다른 서비스들이 페이스북 플랫폼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잘 알았을거다. 그리고 우리 앱도 그렇게 만들었을 것이다.

물론, 한국에 있다고해서 이런게 안되는건 아니다. 영어를 하고, 실리콘 밸리 관련 최신 소식을 항상 읽고, 새로운 서비스를 사용하는 분들도 많다. 하지만, 실리콘 밸리에 물리적으로 살고 있는 사람보다는 타이밍이 늦고, 몰입의 정도가 약하다. 왜냐하면 미국에 있으면 이런게 그냥 daily life의 일부이기 때문에 무의식중에 계속 흡수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요새같이 빨리 변하는 세상에서 타이밍이란걸 무시할 수 없다.

이게 미국으로 올 수 있으면 오는게 더 유리하다고 내가 생각하는 첫번째 이유다. 두번째 이유는 다음에 또 쓰겠다.

성공적으로 실패하기 2

*이 글의 전편인 ‘성공적으로 실패하기 1‘을 먼저 읽으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항상 강조하는거지만 인생을 살다보면 – 특히, 스타트업은 그 강도가 100x – 실수와 실패는 삶의 일부가 된다. 빈도와 강도는 다르겠지만 누구나 다 실패를 한다. 실패한다고 성공하는건 아니지만, 실패없는 성공은 없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바로 이런 실패를 잘 극복하고, 실패로부터 배워서 성공했다는 점이다. 왜 어떤 사람들은 실패 후 성공할 수 있고 어떤 사람들은 실패 후 폐인이 될까? 전에 쓴 글에서 바로 이 차이는 ‘성장 마인드(growth mindset)’라고 했다. 즉, 필요한 ‘시간’과 ‘노력’만 투자하면 무엇이든 더 좋게 만들고 향상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만 있으면 지금은 실패해도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면서 계속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지난 25년 동안 사회학자들은 실패를 극복하고 성공한 사람들에 대해 많은 연구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장 마인드’는 누구나 다 만들 수 있지만, 중요한거는 어릴적 형성되는 ‘배움’에 대한 자세에 달렸다고 한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실패를 극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지능은 선천적이라서 아무리 공부를 해도 배울 수 있는건 개개인의 절대적인 지능에 달렸다고 믿는다.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면 이들은 “내 머리는 여기까지야. 이런 문제는 나한테는 무리야”라면서 좌절하고 실패한다. 하지만, 실패를 극복하는 사람들은 지능은 노력하면 향상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면 이들은 “조금만 더 생각하고 노력해보자. 시간이 걸릴뿐 분명히 해결할 수 있어”라는 자세를 갖는다. 물론, 그렇다고 이들이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는건 아니다. 대부분 실패한다. 하지만, 계속 노력하고 배움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이런 자세를 지속적으로 개발하면 궁극적으로 과거에는 풀지 못하던 문제들도 풀 수 있는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실패를 극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왜 지능은 고정되었다고 생각할까? 이건 우리 모두가 반성해야한다. 바로 IQ 테스트가 한 사람의 총명함을 측정하는 유일한 척도라고 간주하는 우리 사회와 문화의 전반적인 분위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렸을적 본 IQ 테스트에서 높은 IQ를 받으면 그 사람은 커서 좋은 학교에 가서 훌륭한 사람이 될거라고 아직도 우리는 학교와 가정에서 배운다. 그리고 우리는 애들을 칭찬할때 “너 정말 너무 똑똑하구나!”라고 하지 “너 정말 열심히 노력했구나!”라고는 잘 안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실망하지 말자. 사회학자들은 실패를 극복하고 성공을 가능케하는 ‘성장 마인드’는 훈련을 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한다. 2007년도에 스탠포드와 컬럼비아 대학의 심리학자들이 이와 관련된 실험을 한 적이 있다. 100명 이상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대부분 수학을 잘 못하는)을 대상으로 약 8주 동안 공부에 대한 워크샾을 진행했다. 100명의 학생들은 두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고 각 그룹은 숙제를 효율적으로 하고, 공부시간을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훈련과 지시를 받았다. 두개의 그룹이 받은 학습 자료의 내용은 달랐다.

한그룹은 “당신의 지능은 향상될 수 있습니다(You Can Grow Your Intelligence)”라는 내용의 자료를 받았다. 새로운 학습을 할때마다 뇌신경 세포들이 강화되어 지능이 좋아질 수 있다는 조사결과에 대한 내용의 자료였다. 이 그룹의 학생들은 이 자료의 내용을 큰 소리를 내면서 읽었다. 다른 그룹은 기억력의 작동 원리에 대한 자료를 공부했다.
예상했듯이 결과는 판이하게 달랐다. 워크샾에 참여하기전에는 100명의 학생 모두가 다 지능은 선천적이고 고정되어 있다고 믿었지만, 지능은 향상된다라는 자료를 읽은 그룹은 8주가 지난 후에는 노력하면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강한 믿음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이 그룹은 그 이후로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전반적으로 수학문제를 더 잘 풀었고, 문제해결에 대한 노력과 동기부여가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월등했다고 한다.

인생이 편하고 모든일이 술술 잘 풀리면 지능이 낮든 높든, 그리고 고정되어있든 향상가능하든 큰 상관이 없다. 하지만 연속되는 실패와 실수를 극복하면서 계속 인생을 살아야 한다면(대부분의 인생같이), 노력을 통해서 선천적으로 주어진 능력과 지능을 향상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만이 실패를 극복하고 성공할 수 있다. 바로 하루에도 수십번의 좌절과 실패를 경험해야하는 – 그러면서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서 결국엔 성공해야하는 – 스타트업 인생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자세이다.

영어에는 이런 말이 있다.

“When one door closes another door opens”(by Alexander Graham Bell)

즉, 한개의 기회를 놓치면 다른 기회가 온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바로 내 앞의 문이 닫히면 수많은 다른 문 중 한 문을 열기 위해서는 남들보다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 나를 비롯해서 오늘도 수많은 실패를 직면해야하는 한국의 창업자들을 생각하면서 이글을 써봤다.

이 글과 연관이 있는 몇개의 과거 포스팅들:
한국이여 – 실패를 우대하자!
Life and Rejections
Trophy Kids

참고:
-The Wall Street Journal “Flummoxed by Failure – or Focused?” by Ken Bain
-The Wall Street Journal “The Art of Failing Successfully” by Jonah Lehr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