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

불평하지 말자

얼마전에 Between 앱을 개발하는 VCNC의 새 사무실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봉은사 옆에 있는 깔끔한 새건물, 20명+의 자신감 넘치는 젊은이들, 그리고 그 역동적인 회사의 주인장 박재욱 대표. 왜 나는 초반에 이런 회사에 투자하지 않았을까라는 후회를 잠시 했다.

농담이고, 내가 VCNC 창업팀을 처음 만난건 2011년 5월이다. 당시만 해도 갓 창업한 4개월된 스타트업이었고, 사무실은 서울대 앞의 정말 허름한 건물안의 작은 공간이었다. 그 작은 사무실에서 나는 창업멤버 5명과 2시간 정도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고 그들의 멋진 눈빛과 긍정적인 에너지에 큰 감명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당시만해도 Between은 화이트보드 위의 아이디어였고 과연 연인들을 위한 closed social 공간이 인기가 있을지 나는 의문을 가졌다. 분명히 VCNC 주위 사람들도 이런 의구심을 가졌을테다. 그리고 서울대 나온 똑똑한 친구들이 취직은 안하고 다 쓰러져가는 사무실에서 뭐하는 짓인지 욕하는 사람들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불평하지 않고 묵묵히 개발했고 결국 대작을 하나 만들었다. 내 생각엔 한국에서 개발된 앱 중 가장 완성도가 높고 global expansion의 가능성이 있는 서비스같다. Team VCNC는 결과로 모두에게 보여줬다.

스타트업 인생은 고달프다. 육체적으로도 힘들지만, 정신적으로는 정말 힘들다. 내가 쓰는 글들을 읽으면 스타트업 인생은 마냥 즐겁고 멋진 동화같지만 실제로는 매우 외롭고 스트레스의 연속인 삶이다. 지금 스타트업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단단히 각오하고 시작해라. 그리고 이왕 시작했으면 징징거리지 말아라. 힘들다고 불평하고 징징거릴거 같으면 시작하지 말아라. 그렇지 않다면 조용하고 묵묵하게 끝을 봐라. 그리고 VCNC와 같이 결과와 숫자로 증명하면 된다. 그렇게 못할거 같으면 지금 당장 그만둬라.

생산성 누수 현상

photo-9-18-16-10-43-47-am-1며칠 전에 내 페이스북 친구가 wall에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미국에 와서 밤에 일하기를 매우 즐기고 있는데 밤에 일하는 기분이 한국과는 사뭇 다르다. 이번에 한국에 다녀오며 다시 느꼈는데, 여기서는 해가 지면 집중이 되며 정신이 맑아지는 반면 한국은 해가 지면 빨리 누군가와 약속을 잡고 한 잔 빨러 가야 될 것만 같은 기분이 든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술만 줄여도 생산성이 30%는 올라갈 거다. 전체적인 사회 분위기가 술 권하는 사회고 이로 낭비되는 국민의 시간과 에너지가 너무 아깝다.”

내가 이번에 한국에서 느꼈던 점을 그대로 표현하는 글이다. 나만 그렇게 느끼는 건 아니라서 다행으로 생각하고 이에 대해서 몇 자 적어본다. 나는 이번에 한국에 약 한 달 동안 머물다 방금 LA로 돌아왔다. 한 달이 짧은 기간은 아니지만, 오랜만의 출장은 너무나 짧았고 엄청나게 바쁜 일정을 소화해야만 했다. 하루에 평균 4개의 미팅을 했는데 결국 시간이 모자라서 저녁 약속도 거의 매일 있었다. 서울의 밤거리는 내가 한국에서 일했던 2007년보다 더욱더 술에 취해있었다. 식당이건 술집이건 상관없이 아예 앉자마자 소맥으로 시작해서 완전히 떡이 되도록 마시는 걸 보면서 참으로 한심하다는 생각과 처음으로 조국에 대한 걱정까지 해봤다.

한나라를 지탱하는 척추와도 같은 학생들과 직장인들이 제일 심했다. 도대체 월요일부터 술을 이렇게 퍼마시면 이 사람들은 아직 4일이나 남은 한 주 동안 어떻게 살아남을까? 그리고 일은 언제 할까? 해답은 간단했다.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대부분은 일을 별로 안 하는 거 같다. 밤새도록 퍼마셔도 어쩔 수 없이 그다음 날 정시 출근을 하면 아무리 체력이 좋은 사람이라도 오전 내내 일을 거의 못한다. 점심때 해장국 한 그릇 먹고, 오후에는 담배 한 대 피고 동료들과 커피 한잔 하면서 노가리까다보면 오후 3시 정도 된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일한다. 그러다 보니 야근을 밥 먹듯이 하고, 야근해서 피곤하니 집에 가기 전에 간단하게 한잔하고 가면 12시가 훌쩍 넘는다. 이런 악순환이 연속되니 생산성이 계속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사회상을 반영하듯 한국은 모든 게 늦게 열고 늦게 닫는 거 같다. 미국은 스타벅스가 새벽 5시 30분에 열어 8시면 문을 닫는다 (그리고 그 새벽에도 커피 사려고 줄 서 있는 직장인들이 꽤 있다.) 한국은 대부분의 커피 전문점이 8시가 넘어서야 문을 열고 거의 밤 11시까지 영업을 한다. 새벽 6시에 운동가면서 보니 골목골목 그 전날 술 먹고 비틀비틀 귀가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엄청나게 많았다. 오히려 2007년보다 더 심했다.

식당이랑 술집은 말할 것도 없었다. 청담사거리 뒷골목의 많은 식당은 밤 11시에도 바글거린다. 미혼이라면 모르겠지만, 가정이 있는 사람들이 도대체 이렇게 늦게까지 술을 먹고 집에 안 들어가는 합리적인 이유를 찾을 수가 없었다. ‘비즈니스’ 때문에 술을 늦게까지 먹는다는데 이것도 한두 번이지, 대부분 다 핑계다. 나도 한국에서 일해봤지만, 술 늦게까지 안 먹고 회식 자리 몇 번 빠져도 회사 안 망하고 세상 안 망한다. 오히려 그다음 날 맑은 정신으로 회사 나와서 남들보다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다. 회식을 빠지면 직장상사와 동료들한테 미움 받고 찍힌다고 한다. 상관없다. 어차피 그런 이유로 사람 병신 만드는 상사와 동료는 인생에 도움이 안 된다. 이젠 정말로 실력으로 경쟁하는 세상이다.

미국과 유럽의 직장인들이 매우 게으르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한국에 꽤 많다. 내가 이 글을 통해서 확실히 말해주고 싶다; 절대로 그렇지 않다. 내가 아는 미국인들, 엄청나게 생산적으로 일한다. 아주 일찍 일어나서 근무시간에는 전혀 딴 짓 안 하고 일만 한다. 한국같이 12시 되면 우르르 같이 나가서 점심을 먹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다. 빨리 일하고 집에 가려고 집에서 점심을 싸오거나 아니면 간단하게 샌드위치 먹으면서 점심시간에도 일한다. 그리고 6시에 정시에 퇴근한다. 회식이란 문화는 미국에는 없다. 신입사원 환영회나 아니면 축하해야 할 일이 있으면 대부분 점심을 하거나 아니면 회사에서 조촐하게 맥주 한 캔씩 한다(오후). 저녁을 먹을때도 있지만 이건 말 그대로 강제성을 띄지 않는 ‘저녁’이다. 6시에 퇴근해서 이들은 가정으로 돌아가고 그때부터는 책임감 있는 남편, 아내, 엄마, 아빠가 된다. 그리고 푹 쉬고 스트레스 풀고 그다음 날 다시 일찍 출근한다.

이렇게 일하니까 일 년에 3주씩 휴가를 갈 수 있다. 그만큼 열심히 일했기 때문이다. 뉴스에서 프랑스 사람들 한 달씩 바캉스 가는 거 보면서 “저놈들은 언제 일하냐”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 우리나라 사람들 술을 먹고 술 취해서 허비하는 시간을 더하면 한 달도 훨씬 넘는다.

물론, 나와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을것이다. 회식이나 동료들과 술 먹는 거는 자랑스러운 한국의 직장 문화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제 세계를 상대로 경쟁을 해야 한다. 누가 봐도 한국의 이런 무절제 술 문화는 생산성을 갉아먹고 있다. 아직은 이렇게 누수되는 생산성을 코피 터지면서 밤새워 일하는 걸로 땜질하고 있지만, 이런 미봉책이 평생 갈 수는 없다. 근본적인 대책과 변화하려는 의지와 자세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Jim Collins의 GREATNESS

경영학, 마케팅, 전략을 조금이나마 공부하거나 아니면 관심있는 사람치고 Jim Collins의 책을 안 읽어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가 25년 동안 출간한 6권의 베스트 셀러 (1994: Built to Last, 1995: Beyond Entrepreneurship, 2001: Good to Great, 2005: Good to Great and the Social Sectors, 2009: How the Mighty Fall, 2011: Great By Choice) 중 나는 3권을 읽었는데 지금도 가끔씩 책장을 여기저기 넘기면서 필요한 자료와 내용을 찾을 정도로 깊이가 있고, 방대한 데이터 기반의 주옥같은 내용들이 즐비한 책들이다. 그의 신작 Great by Choice를 비롯한 그의 모든 책들의 공통적인 주제는 ‘위대한 기업은 뭐가 다른가’이다. 왜 어떤 기업들은 그냥 ‘좋은’ 기업으로 남고 어떤 기업들은 ‘위대한’ 기업으로 남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우리 시대 그 어떤 학자보다 더 많은 지식과 통찰력을 가지고 있는 Jim Collins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위대한 기업의 조건은 무엇일까?

Jim Collins는 위대한 기업을 정의할때 기업의 input과 output을 본다고 한다. 기업의 문화, 내부 시스템 등은 모두 한 기업의 input이고 모두 좋은 기업을 만드는데 기여한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위대함을 말할때는 input 보다는 output만이 중요하다고 한다.
위대한 기업을 정의할 수 있는 첫번째 output은 그 분야에 있어서의 월등한 결과이다. NBA 농구팀들은 모두 우수한 선수층을 보유한 좋은 팀들이지만 위대한 팀은 챔피언쉽을 따는 팀들이다. 이와 같이 비즈니스에서도 위대한 기업들은 경쟁사들보다 수익과 매출면에서 월등한 지속적인 결과를 생성한다. 즉, 금전적인 결과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두번째 output은 독보적인 임팩트이다. 만약에 우리 회사가 오늘 망한다면, 지구상의 그 어떠한 기업도 우리가 하던걸 대신할 수 없다면 이게 바로 독보적인 임팩트를 갖는 기업이다. 독보적인 임팩트를 남기기 위해서 기업이 규모 자체가 커야할 필요는 없다. 동네의 조그마한 커피샾이 없어져서, 그 동네 사람들이 오랫동안 그 커피샾을 잊지 못하고 그리워 한다면 이 커피샾은 위대한 output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세번째 output은 지속성이다. 지속성을 보유한 기업들은 외부환경, 대표이사, 경영진, 제품, 시간과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월등한 결과와 독보적인 임팩트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위의 3가지 output 중 한 분야에서 실패를 해도 기엄들은 큰 지장없이 ‘좋은’ 기업이 될 수 있지만, ‘위대한’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이를 모두 다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Jim Collins는 말한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위 3가지 output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기업을 공유해주면 좋겠다.

참고:
Bo Burlingham, “Be Great Now” (Inc., 2012.05.29.)

동물사랑 엽서카드 (1만원에 20장)

나는 자랑할만한 동물애호가는 아니지만, 4년 4개월 정도 개를 (마일로) 키우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내 시각과 인식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요새 자주 느끼는건데 ‘개만도 못한 인간들’이 이 세상에는 너무 많은거 같고, 말도 못하고 지능도 우리보다 한참 떨어지는 (개의 지능은 3살 ~ 5살 인간의 지능과 비슷하다고 한다) 마일로가 무슨 생각을 할지 가끔 궁금할때가 있다.

이 모든게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우리 와이프 JJ 덕분이다. JJ가 관련된 ‘동물과 함께 행복한 세상 (People Defending Animals)‘에서 현재 동물구조와 치료 후원금 마련을 위한 어린이 동물사랑 엽서카드 판매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 세트 (20장)에 1만원인데, 평소 동물을 좋아하거나 아니면 그냥 엽서가 필요한 분들한테는 괜찮은 deal이다.

주문/구매는 ‘동물과 함께 행복한 세상’ 페이스북 페이지 쪽지 (Message)로 다음 사항들을 보내면 된다 (Like를 하지 않아도 쪽지 보내기 가능):

1) 엽서 갯수: (예: 2세트)
2) 받으시는 분 성함:
3) 받으실 곳 주소:
4) 입급자명: *엽서 받으시는 분 성함과 다른 경우.
(꼭 기재해 주세요. 그렇지 않으면 동행의 회계 담당자님께서 확인을 하실 수가 없답니다.)
입금하실 때에 메모적요란에 꼭 ‘엽서-홍길동’ 이라고 기재해주세요.
5) 연락가능한 전화번호 (집전화/핸드폰)
6) 연락가능한 이메일 주소

엽서 주문 입금계좌: 하나은행 862-910004-59104 (동물과 함께 행복한 세상)

*쪽지로 주문해주시면 입금확인하고 6/15에 일괄 배송합니다. 한 세트 가격: 10000원(배송비용: 2,000원 일괄 책정)
예) 한 세트를 주문하는 경우: 12,000원
두 세트를 주문하는 경우: 22,000원
세 세트를 주문하는 경우: 32,000원…
네 세트: 42,000원…

Disrupt to Create

“Nothing gets created unless it disrupts something”

IAC의 악명높은? 창업자/사장 Barry Diller가 얼마전에 했던 말인데 계속 머리속에서 매아리를 치고 있는 말이기도 하다. Diller씨가 최근에 200억 이상을 투자한 Aereo라는 스타트업을 둘러싸고 있는 논란에 대해서 그가 한말이다. Aereo라는 스타트업은 재미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방송국들의 공중파 프로그램의 신호를 자체제작한 안테나로 ‘훔쳐서’ 클라우드에 저장한 다음에 사용자들에게 다시 인터넷을 통해서 스트리밍을 해주는 ‘재’방송 서비스이다. 사용자들은 실시간 또는 원하는 시간에 웹, 아이폰, 아이패드 등과 같은 기기를 통해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현재 열띤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부분은 바로 Aereo는 방송국들의 신호를 공짜로 확보하지만, 사용자들에게는 월 사용료 $12를 받고 ‘재방송’을 해주는 부분이다. 법정에서 이게 어떻게 해결될지는 두고봐야겠지만, 어쨋던간에 재미있는 세상이고 머리 잘 돌아가는 창업가들이 참 많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Diller씨가 위해서말한걸 해석해보면, 뭔가 새로운거를 창조하려면 기존의 시스템을 완전히 엎어버려야 (disrupt) 한다는 뜻이다. 수십년동안 폐쇄적인 시스템으로 운영되던 메인스트림 TV 방송을 개방형 시스템으로 만들겠다는 Aereo의 신선한 시도는 어쩌면 제도권의 방해공작으로 실패로 끝날지도 모른다. 그만큼 오래된 제도와 시스템을 엎어버리고 새로운 시도를 한다는건 매우 어렵다. 마치 수백년된 나무를 송두리째 뽑으려면 깊은 뿌리때문에 주변의 건물이나 땅에 피해를 입히지 않을 수 없는거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Disruption’은 정말 짜릿한 말이다. 10년전에 Jeff Bezos라는 젊은 친구가 인터넷으로 책을 판다고 했을때 모두가 미친놈이라고 했다. 기존 대형 서점들의 방해공작도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그는 수백년동안 책방이라는 물리적인 공간에서 책을 팔던 공룡같은 산업을 disrupt하고 더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기름기를 쫙 뺀 온라인 서점이라는 새로운 산업을 창조했다. Bezos씨는 Kindle을 앞장세워 다시 한번 eBook이라는 disruptive한 시장을 만들어 가고 있다. 지금은 고인이된 애플의 Steve Jobs 또한 여러번 기존 사업을 disrupt했다. 이런 기술들이 세상을 바꾸는걸 지켜보고 그 역사적인 순간에 우리가 살고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짜릿한가.

우리도 최근에 매우 disruptive한 스타트업에 투자를 했다. 미국의 The Good Ear Company라는 회사이다. 50년 이상 변화가 없던 청력손실/보청기 시장에 신선한 disruption을 가져올 수 있는 기술과 제품을 보유한 회사이며, 개인적으로 매우 기대가 크다. 단순한 소셜과 같은 서비스가 아니라 인류가 직면한 실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는 스타트업이기 때문이다. 기술 자체는 한국에서 개발되었지만, 미국의 mass market을 위한 제품을 열심히 개발하고 있는 중이다. 간단하고 비접촉식 방식으로 청력손실을 고칠 수 있는 iOS 앱을 현재 개발 중인데 개인적으로 이런 스타트업들이 더 많이 생겼으면 한다.

Disrupt to Cre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