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빌 게이츠 회장님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그리고 애플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이제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진 회사가 됐거나, 남아 있어도 공룡의 이미지로 남아있는 거 같다. 나는 아직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장래가 밝다고 생각하고,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회사보다 오히려 사회에 더 큰 긍정적인 공헌을 하는 회사라고 믿는다. 실은, 이런 좋은 느낌은 마이크로소프트라는 회사보다는 43년 전에 이 회사를 창업한 빌 게이츠에 대한 존경과 믿음 때문에 생기는 거다. 2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했지만, 그동안 빌 게이츠 회장에 대해서 조금 더 알 수 있었고, 운 좋게도 직접 이야기할 기회도 있었는데, 비즈니스를 떠나서 그냥 한 명의 인간으로서 이 분을 좋아하게 됐다. 물론, 사업을 하면서 이상한 결정도 했고, 힘을 이용해 약자를 완전히 뭉개버리기도 했지만, 그래도 인류에 큰 도움을 주는 일을 하고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반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빌 게이츠는 이제 경영에서 완전히 물러나서 Bill & Melinda Gates 재단을 통해서 세계 빈곤과 질병과 싸우고 있고, 교육기회를 확대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이 재단의 2018년도 연례편지에 빌과 멜린다 재단에 대해 사람들이 물어보는 가장 어려운 10가지 질문과 답이 실렸는데, 여기서는 질문만 일단 소개해본다:

1/ 왜 미국에는 더 기부하지 않나요? (Why don’t you give more in the United States?)
2/ 미국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수조 원을 투자했는데, 어떤 성과가 있나요? (What do you have to show for the billions you’ve spent on U.S. education?)
3/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왜 기부하지 않나요? (Why don’t you give money to fight climate change?)
4/ 두 분의 개인적인 가치를 다른 문화에 강요하는 건 아닌가요? (Are you imposing your values on other cultures?)
5/ 아이들의 생명을 구하면 오히려 인구과잉이 발생하지 않나요? (Does saving kids’ lives lead to overpopulation?)
6/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재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How are President Trump’s policies affecting your foundation’s work?)
7/ 기업들과 왜 협업하나요? (Why do you work with corporations?)
8/ 재단의 영향이 너무 센 거 아닌가요? 불공평하다고 생각하지 않나요? (Is it fair that you have so much influence?)
9/ 두 분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What happens when the two of you disagree?)
10/ 개인 돈을 굳이 왜 기부하나요? 개인적으로 얻는 게 뭐가 있나요? (Why are you really giving your money away – what’s in it for you?)

좀 길지만, 영어 공부하는 셈 치고라도 한 번 시간을 내서 읽어보는 걸 권장하고 싶다. 가식적이지 않고, 솔직 담백하다. 트럼프 정부에 대한 의견도 소신 있어서 좋고, 지금까지 재단이 잘 못 한 점들을 솔직하게 인정하는 내용도 좋다.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곳에 집중 투자 – 교육 투자도 다른 분야보다는 고등학교 교육에 집중 투자 – 하는 전략은 대기업 경영 경험이 없으면 할 수 없기에 더 멋진 거 같다.

마지막 질문은 빌 게이츠뿐만 아니라, 자수성가해서 이룬 부의 대부분을 사회에 환원하는 분들한테 나도 항상 하고 싶은 질문이다. 의미 있는 일이고, 스스로 보람을 느끼기 때문에 한다는 빌 게이츠의 답변에서 아직 세상은 살 만하다는 생각을 했다. 재미도 있고, 세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업을 갖는 건 참 쉽지 않은데, 빌 게이츠는 마이크로소프트도 그랬고, 재단도 비슷하다는 이야기를 한다. 누구나 젊을 땐 열심히 일하지만, 나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아주 열심히 일했다. 결국은 빌 게이츠를 부자로 만들어 준 거라서 당시엔 좀 씁쓸했지만, 그래도 마이크로소프트로 번 100조 원 이상의 돈 중 99%를 살아 있을 때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결심을 한 사람을 부자로 만들어 준거라서 기분이 썩 나쁘진 않다.

빌 게이츠가 “가난하게 태어난 것은 당신의 잘못이 아니지만, 가난하게 죽는 것은 당신의 잘못이다”라는 말을 많이 했다고 하는데, 많이 벌어서 좋은 일에 다 쓰고, 그리고 가난하게 죽는 건 아주 좋은 거 같다. 노벨 평화상은 빌 게이츠가 받아야 한다고 한 내 트친이 있었는데, 나도 정말 그렇게 생각한다.

The Startup Bible – 2017 정리

해마다 12월 마지막 주에는 한 해 동안 쓴 글들에 대해 정리를 하는 포스팅을 올렸는데, 연말을 인터넷 없이 보냈기 때문에 1월 첫째 주에 작년 정리를 해본다.

2017년에 난 107개의 포스팅을 올렸는데, 이는 3.4일에 한 번씩 블로깅을 한 셈이다. 107개의 포스팅을 읽기 위해서 The Startup Bible 블로그를 방문한 분은 총 277,476명이다. 월평균 23,123명이 방문을 한 셈이다.

2017년도에 가장 많이 읽힌 Top 10 글은 다음과 같다:

1/ ICO(Initial Coin Offering)와 코인경제
2017년 가장 핫했고, 앞으로도 up and down을 반복할 가상화폐와 ICO에 대한 관심이 그대로 반영되는 순위이다.

2/ 한국인들의 7가지 실수
7년이 넘었는데도 꾸준히 읽히는 all-time 베스트/스테디 글이다. 실은 글보다도 댓글들이 더 재미있고 자극적이고, 그냥 쌍욕 하는 댓글도 많은데, 모두 다 스팸처리를 했다.

3/ 남들 앞에서 말을 잘 할 수 있는 11가지 기술
여러 블로그와 카페에서 공유된 글인데, 대중 앞에서 말하거나 발표하는 건 항상 어려운 거 같다.

4/ Bitcoin vs. Ethereum
가상화폐의 양대산맥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한 글인데, 역시 가상화폐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5/ 비트코인 가격 앞으로 어떻게 될까?
2016년 9월 이 글을 쓸 때 비트코인 가격이 630달러였는데, 그동안 엄청난 일들이 일어났다.

6/ 스톡옵션 개론
아직도 많은 분이 실제 주식과 스톡옵션의 차이를 잘 모르는데, 이 글이 그나마 이 차이를 쉽게 설명하고 있으므로 많이 읽히지 않았나 싶다

7/ 운동선수들로부터 배우는 슬럼프 극복 방법
2017년은 좋은 한 해였지만, 스트레스, 불안, 우울은 이 일을 하면 항상 같이 손잡고 가야 하는 친구들인 거 같다.

8/ 나의 힘들었던 영주권 경험
2016년에도 이 글은 8번째로 많이 읽힌 글인데,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아마도 트럼프 정부가 집권하면서 외국인이 영주권을 취득하는 과정이 더 험난해졌기 때문인 거 같다.

9/ 스톡옵션의 세금
6번의 스톡옵션 개론과 같이 많이 읽혔다.

10/ 블록체인과 마켓플레이스 – 중개인의 종말
가상화폐가 너무 ‘가즈아’ 해서 블록체인이 좀 묻혔지만, 블록체인이야말로 진정한 혁신을 일으킬 수 있다고 믿는다.

이상 2017년에 가장 많이 읽힌 글 10개였다. 재미있는 건, 이 중 4개가 가상화폐와 블록체인 관련 글이다. 새해에도 이 주제에 대해서 꾸준히 글을 쓸 계획인데, 올해 말에도 비슷한 트렌드가 보일지 궁금하다.

Happy New Year!

Strong CEO들

최근에 ‘워렌버핏이 선택한 CEO들(The Warren Buffett CEO)’이라는 책을 읽었다. 실은 2003년도에 발행된 책이라서 연식도 있고, 당시 내용과 2017년 현실과는 다른 부분도 분명 존재하지만, 전반적으로 훌륭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동안 워렌버핏 관련 책을 많이 읽었고, 인수할 회사를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는지 책으로는 배웠는데 바로,
1/ 이해할 수 있는 기업
2/ 장기 전망이 밝은 기업
3/ 정직하고 유능한 사람들이 경영하는 기업
4/ 가격이 매력적인 기업
이다. 그런데 3번의 정직하고 유능한 CEO는 대체 어떤 사람일까에 대한 해답을 이 책은 제공한다.

버크셔해서웨이의 회사 CEO의 인생은 기업 인수 전과 후가 별반 다르지 않다. 버핏이 회사를 인수한 이후에도(주로 통째로 인수) 변하는 건 없고, 그냥 지금까지 하던 대로 회사를 잘 운영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들은 월가와 같은 외부의 눈치를 볼 필요도 없고, 본인이 하는 비즈니스만 잘 하면 되기 때문에, 인수 이후 오히려 사업에 대한 집중도는 높아지고, 실적은 대부분 향상한다. 대부분 자신을 지극히 평범한 사람으로 설명하지만, 본인의 업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 더 잘 알고 있다는 걸 스스로 인정하기도 한다. 외부의 잡음에 신경 쓰지 않고, 본인이 컨트롤 할 수 있는걸 가장 잘하는 이런 모습은 실은 워렌버핏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가장 인상 깊었던 건, 20명 이상의 CEO들이 버핏에 대해서는 한결같이 같은 이야기를 한다는 점이다. 이들이 서로 만난 적도 없으며, 같은 주인을 모시지만, 서로의 비즈니스에 대해서 전혀 모른다는 점을 고려하면, 버핏이 모든 사람을 한결같이 대하는 게 사실인 거 같다. 아, 물론, 버핏을 욕하는 사람은 한 명도 없다. 모두 다 칭찬만 하는데, 그 디테일이 너무 같아서 신기할 뿐이다.

이 책을 덮고, 과연 스트롱 대표님들은 나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할지 궁금해졌다. 우리도 이제 투자사 숫자가 거의 90개에 육박하는데, 이 중 나랑 대화를 많이 하는 분도 있고, 거의 안 하는 분도 있을 텐데, 그래도 지금까지 내가 모든 분들한테 보여준 모습과 태도는 한결같았는지 생각하고 반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나는 버핏과 같이 남한테 좋은 인상만 보여주지는 않았을 것이다(버핏은 의도적으로 남들한테 좋은 인상만 보여주길 원하는 거로 알고 있다). 실은, 모든 사람이 나를 좋게 보리라는 기대도 하지 않고, 그렇게 하는 것도 싫다. 살면서 남 눈치 보지 않고 자신만의 목소리와 캐릭터를 가지는 건 나름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좋든 나쁘든, 모든 사람이 나를 한결같이 보는 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쨋든 스트롱 대표님들,
올해도 1년 동안 죽지 않고 살아남았고,
내년에도 죽을 각오로 살아남으려는 의지가 불타고,
열심히 한다고 잘 되는 건 아니지만,
잘 되는 회사들은 모두 열심히 합니다.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THANK YOU.

틀린 것 바로잡기

얼마 전에 제주도에서 하는 워크숍에 참석했는데, 행사 이튿날 ‘빼앗긴 문화재를 말하다’라는 특별 강연이 준비되어 있었다. 실은, 벤처와도 상관없고, 내 개인적인 관심사가 아니라서 큰 관심을 두지 않고 들었는데, 굉장히 재미있고 유익한 강연이었다. 내가 최근 몇 년 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경청해서 들은 몇 안 되는 강연이었다. 더 재미있는 건, 강사는 스님이었다. 혜문(慧門) 이라는 분인데, 현재 ‘문화재 제자리 찾기’의 대표로 해외로 반출된 한국 문화재 환수 운동에 앞장서고 있는 분이다.

나는 실은 우리나라 국보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문화재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는데, 이 분의 강연을 계기로 요샌 관심을 갖게 되었다. 아니, 엄밀히 말하면,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해외로 반출된 한국 문화재의 반출 원인과 경로,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런 문화재를 한국으로 다시 찾아올 수 있을까에 대한 관심이다. 서울로 돌아와 혜문스님의 책 ‘빼앗긴 문화재를 말하다’를 우리 투자사 국민도서관에서 빌려봤다. 이 책에는 내가 몰랐던 사실도 많았고 – 실은, 내가 워낙 이 분야에 대해서는 무지해서 – 한국의 국보급 문화재 중 현재 해외에 있는 것들이 상당히 많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실은, 국가도 못 하는 걸, 혜문 스님의 노력으로 환수한 해외 반출 문화재에 대한 뒷이야기들은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분들한테도 시사하는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특히, 동경대학이 소장하고 있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본’ 반환 운동과 보스턴 미술관이 소장한 고려 시대의 ‘라마탑형 사리구’ 반환 운동에 대한 내용은 흥미진진할 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의 무능함이 적나라하게 드러나서 답답하고 한심하기까지 했다. 마치, 벤처 하시는 분들이 정부한테 느끼는 그런 무능함 및 답답함과 비슷했다.

여기서 책 소개를 하려는 건 아니고, 나는 이 혜문 스님이 여러 가지 면에서 창업가와 비슷하다는 걸 느꼈다. 일단, 내가 전에 소개했던 히데아끼 아카이와씨와 같이, 혜문 스님은 남한테 의존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모든 걸 해결하려는 노력과 시도를 했다. 특히, 문화재청과 같은 정부 기관에 의지하다가, 역시나 되는 일이 없으니까, “원래 그런가 보다” 하고 포기하지 않고, 본인이 모든 걸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이 중 실패도 많았지만, 굵직한 성공사례도 몇 개 만들었다. 분야는 다르지만, 벤처정신으로 똘똘 뭉친 분이라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이 분을 좋게 본 또 다른 이유는, 틀린 걸 바로잡으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 미국 친구들이 말하는 ‘right a wrong’ 에 대한 노력이다. 한 나라의 국보급 문화재들이 대부분 불법적인 이유로 인해 다른 나라로 반출된 건 뭔가 틀렸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냥 아무도 지적하지 않고, 다른 나라에 아쉬운 소리 하기 싫고, 시도했다가 혹시나 거절당할까 봐 무서워서, 틀린 걸 그냥 놔두는 건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전형적인 ‘좋은 게 좋은 거야’ 자세이다. 실은, 대부분의 사람은 이렇게 산다. 틀린 게 있어도, 그냥 불편을 감수하고, 참고 산다. 하지만, 창업가들은 다르다. 틀린 게 있으면, 이걸 고치려고 하고, 항상 성공하지는 않지만, 그런 시도 자체가 큰 의미가 있고, 이런 시도들이 모이면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구글캠퍼스가 있는 오토웨이타워 빌딩 지하 1층 옆문으로 나오면, 인도에 빨간 볼드체로 ‘금연’ , ‘NO SMOKING’이라고 큼직하게 쓰여 있다. 거기 서서 모든 직장인이 보란 듯이 담배를 피운다. 어떤 아저씨들은 ‘금연’ 글씨를 발로 밝고 담배를 피운다. 한때 나는 이 사람들한테 여기서 담배 피우지 말라고 항상 지적했는데, 최근에 포기했다. 실은, 현장에 있는 경찰한테 이 사실을 알렸는데 ‘뭐 그럴 수도 있죠’라는 민중의 지팡이의 안일한 태도를 경험한 후에 포기했다.

그런데, 이제 다시 이 지적질을 시작해야 할 때가 온 거 같다.

그냥 죽지 않기

영어에는 ‘put up a good fight before you go down’ 이라는 말이 있다. 시합에서 패색이 짙어지거나, 또는 전쟁에서 죽을 게 확실해지는, 그런 불리한 상황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마지막으로 모든 걸 걸고 최후의 한판을 한다는 의미이다. 물론, 이 말에는 아무리 열심히 해도 결국엔 지거나 죽을 것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하지만, 나는 이 말이 굉장히 멋있고 창업가들의 정신을 아주 잘 반영하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도 이제 펀드에서 공식적으로 투자한 지 6년이 되어간다. 모든 펀드와 비슷하게, 투자사 중 잘 하는 회사가 있고, 잘 못 하는 회사가 있다. 잘 안되는 회사가 훨씬 많은데, 이 잘 안되는 회사 중, 잘 될 기미가 별로 안 보이는 회사도 많다. 물론, 공개적으로 티는 안 난다. 하지만, 대표이사와 이야기해보면, 회사의 장래가 밝지 않다는 걸 대표와 투자자 모두 알고 있다는 걸 느낄 수 있다. 대표와 직원들이 이야기 할 때도 이런 묘한 기운을 느낄 수 있다. 열심히 일하고 있지만,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너무나 많고, 그 산을 못 넘을 확률이 더 높다는 걸 모두 암묵적으로 알고 있다.

그래도 계속해봐야 한다. 끝나기 전까지는 끝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 투자사 중,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갔다가 V자로 리바운드해서 극적으로 살아남은 회사가 있는가 하면, 그냥 예상했던 대로 폐업한 회사도 있다. 하지만, 나는 이 두 회사의 창업가들이 다른 비즈니스로 다시 창업한다면, 둘 다 믿고 투자할 의향이 있다. 결과는 다르지만, 벼랑 끝까지 가는 과정을 지켜봤고, 여기까지 왔으면 웬만한 사람들은 “여기까지 정말 잘 버텼네. 이제 접자.” 하고 포기할텐데 – 그리고, 그렇게 포기해도 난 투자자로서 충분히 공감하고 이해한다 – 그 벼랑 끝에서 절대로 떨어지지 않으려고 처절하게 몸부림을 치면서 putting up an awesome fight를 하는 것까지 옆에서 지켜봤기 때문이다.

어떤 회사는 벼랑 끝에서 기적같이 살아남아서, 전투에서 이겼고, 이제 세상을 제패하려고 준비하고 있다. 너무 다행이고, 정말 자랑스럽다. 어떤 회사는 벼랑 끝으로 떨어져서 장렬하게 전사했다. 너무 안타깝지만, 그래도 정말 자랑스럽다.

어차피 창업의 길을 가는 건, 남이 안 된다고 하는 길을 나 혼자 고독하게 걸어가는 게 아닌가. 그러면 그 끝도 남들과 같이 평범하게 끝내면 안 된다. 남들은 포기하고, 이 정도면 됐다고 할 때, 나는 끝까지 싸워야 한다. 죽을 땐 죽더라도, “저런 독한 새끼는 처음이야”라는 말은 듣고 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