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ople

미래를 위한 현실과의 불화

VC마다 다르지만, 검토하는 회사 중 투자하는 회사의 수는 상당히 낮을 것이다. 우리도 해마다 800 ~ 1,000개의 회사를 검토하지만, 실제로 투자하는 회사의 수는 5% 미만이다. 재미있는 건, 투자하는 이유도 다양하지만, 투자하지 않는 이유도 다양하다. 흑백 논리가 존재하지 않는 분야라서 명확한 기준이 있고, 이 기준에 맞지 않으면 투자하지 않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스트롱이라는 하나의 VC만 봤을 때도 이렇게 다양한 투자의 기준이 있는데, 다른 VC까지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정말로 다양한 기준과 이유가 있을 것이다.

투자의 기준을 조금 더 일반화해보면, VC가 특정 회사에 투자하지 않는 큰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하려고 하는 사업이 현실성이 없기 때문인 것 같다. 현실성이 없는 사업이라는 말 자체가 발산하는 이미지는 부정적이라서, 투자자의 “팀이랑 대표는 괜찮은데, 사업이 현실성이 너무 떨어져서 투자는 안 했어요.”라는 말을 들으면 그런가보다 하면서 고개를 끄덕인 경우가 몇 번 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 ‘현실성’이라는 말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해 본 적이 있었다. 일반적으론 현실성이 없다는 말이 부정적인 느낌을 주지만, 스타트업 분야에서만은 그렇게 부정적이지 않고, 조금만 다르게 본다면 오히려 긍정적으로 볼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해봤다. 그리고, 얼마 전에 장강명 씨의 “책, 이게 뭐라고”의 작가의 숙명에 대한 부분을 읽으면서, 내가 창업가들에 대해서 갖고 있던 생각이 잘 정리됐다. 아마도 이렇게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창업가들이 생각하는 세상과 제품은 현재에 있지만은 않다. 그들은 과거에 어떤 아이디어와 제품이 있었는지 끊임없이 연구하고, 미래를 위한 아이디어와 제품을 상상하고 만든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와 충돌할 수밖에 없다. 미래의 사용자들에게 존중받고 인정받기 위해서는 우리 시대의 다수를 불편하게 만들어야 하고, 이들에게 욕을 먹는 게 어떻게 보면 너무나 당연하고, 이런 각도에서 생각해보면, 어떤 스타트업이 현실성이 없다는 건, 오히려 미래의 가능성이 너무나 풍부하다는 말이 될 수도 있다.

이성적인 사람들은 현재 세상이 만든 틀에 본인들을 맞추고, 비이성적인 사람들은 본인들이 만든 틀에 미래의 세상을 맞추려고 한다. 그래서 역시 우리가 만나고, 이야기하고, 투자하는 대부분의 창업가는 비이성적인 미래지향주의자이다.

어떻게 보면, 창업가의 사명은 오히려 현재의 세상과 충돌과 불화를 만드는 데 있고, 우리 같은 투자자는 이런 충돌과 불화를 더 응원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생각을 가끔은 한다.

좋은 친구들

자주 만나고 싶지만, 원하는 만큼 자주 보지 못하는 두 분과 2주 전에 오랜만에 점심을 먹으면서 다양한 이야기를 했다. VC에게 ‘은인’은 주로 이들에게 투자할 수 있는 재원을 제공한 LP와 엑싯이라는 큰 선물을 줘서 돈을 벌게 한 창업가들인데, 이 두 분은 우리에게 초반에 좋은 엑싯을 선물해 준 스트롱의 오래된 창업가 은인들이다.

오현석 대표님은 여행업계에서는 매우 잘 성장하고 있는 온다의 창업가이자 대표이고, 김태호님은 당근마켓의 데이터 가치화팀의 리더이다. 실은 우리와 이 두 분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하자면 몇 시간 동안 이야기를 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 간략한 버전을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2012년 6월에 우리 투자사 비석세스가 한국 최초의 제대로 된 테크 컨퍼런스 beLAUNCH 2012를 열었고, 존이랑 나는 마치 우리가 하는 행사처럼 굉장히 깊게 관여해서 행사 준비를 도와줬다. 이 행사에는 스타트업이 피칭하는 세션이 있었는데, 당시에 TakeTalks라는 뉴욕 기반의 한인 스타트업이 지원했다. 지금은 이와 비슷한 서비스가 워낙 많지만, 그땐 거의 없었는데, 미국 현지인을 화상으로 연결해서 온라인 영어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였고, 이 회사의 코파운더가 오현석 대표와 김태호님이었다.

우린 이 회사에 투자하고 싶었는데, 결국엔 투자하지 않았다. 원래 TakeTalks라는 회사는 오현석 대표가 창업한 회사인데, 실은 오대표님은 그전에 전 세계를 여행하는 한인들을 위한 한인 민박 플랫폼 한인텔을 창업해서 꽤 좋은 비즈니스로 성장시켰다. 어떻게 보면 에어비앤비 모델을 에어비앤비보다 더 일찍 시작한 셈이다. 그런데 조금 더 성장 가능성이 큰 글로벌 사업을 하고 싶어서 한인텔은 다른 분들에게 잠시 맡기고 뉴욕에 와서 TakeTalks를 운영하고 있었고, 대학교 과 후배인 김태호님을 영입해서 같이 일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막상 사업을 하다 보니 미국에서 스타트업을 한다는게 생각보다 너무 어렵고, 여러 가지 면에서 이 사업이 잘 안될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사업을 접으면서 우리도 투자를 자연스럽게 하지 않았다.

그런데 존과 나는 이 두 분과 그동안 이야기하면서 이분들을 너무 좋아하게 됐고, 이런 사람들은 뭐를 해도 잘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돼서 두 가지를 동시에 했다. 일단 오현석 대표님은 다시 한인텔의 대표이사로 돌아갔고, 우린 한인텔에 투자했다. 그리고 김태호님에겐 우리가 투자할 테니 LA로 이사 와서 창업하라고 제안했다. 뭘 할진 잘 모르겠지만, 일단 LA로 와서 생각 좀 하면서 결정하자고 했고, 태호님은 아주 흔쾌히 이를 승락했고 – 자녀들도 있어서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 LA로 이사했다. 실은, 스트롱도 당시에 돈이 없었지만 어떤 행사에서 우리 한국 투자사의 피칭을 내가 대신 한 적이 있고, 여기서 대상으로 비행기표를 받은게 있어서, 그 표로 태호님이 뉴욕에서 LA로 날라올 수 있었다.

김태호 대표님은 LA 스트롱 사무실에서 Recomio라는 머신러닝/자연어처리 관련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제품을 만들고 영어를 잘하는 코파운더 서철님을 우리가 소개해줬다. 참고로, 서철님은 나랑 뮤직쉐이크를 같이 했던 내 초등학교 친구다. Recomio는 2년 반 동안 거의 4개의 제품을 만들어서 실제로 출시까지 했지만, 그 어떤 제품도 시장에서 호응을 얻지 못했고, 정말로 힘든 시절을 보냈지만, 결국엔 2014년 말에 쿠팡에 인수됐다. 김태호 대표님이 Recomio를 운영하면서 남긴 기록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데, 모든 창업가/개발자들은 꼭 읽어보길 바란다. 배우고 느낄 수 있는 내용이 너무 많다.

어쨌든, 김태호 대표님의 Recomio는 스트롱에게 첫 번째 엑싯을 선물해줬다. 이게 없었다면 지금의 스트롱도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실은 같은 시기인 2014년 말에 옐로모바일에 인수되면서 오현석 대표님의 한인텔은 스트롱에게 두 번째 엑싯을 선물해줬다. 이 두 분을 통해서 우리는 두 개의 엑싯 훈장을 갖게 됐고, 이런 엑싯이 쌓이면서 우리도 망하지 않고 스트롱의 브랜드를 계속 만들어 갈 수 있었고, 지금도 잘 만들어 가고 있다.

이 두 회사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는 내가 과거에 이 블로그에 올린 적이 있다:
1/ 두 회사의 이야기 – part.1(Recomio)
2/ 두 회사의 이야기 – part.2(한인텔)

김태호 대표는 Recomio 엑싯 이후, 미국에서 쿠팡과 Lyft에서 근무했고, 한국으로 이사하면서 뱅크샐러드 CTO를 역임했고, 현재는 우리 투자사 당근마켓의 데이터 가치화팀 리더이다. 우리가 투자한 창업가가 엑싯을 하고, 다시 우리가 투자한 회사의 리더로 돌아온 게 굉장히 신기할 따름이다. 나는 아직도 새로운 회사를 검토할 때, 개발이나 엔지니어링 관련해서 잘 모르는 게 있을 때 태호님에게 물어보곤 한다.
오현석 대표는 한인텔 엑싯 이후, 계속 여행 분야에서 새로운 일을 했고, 온다 창업 후 현재 굉장히 건실하게 회사를 잘 운영하고 있다. 나는 아직도 새로운 여행 관련 회사를 검토할 때, 오현석 대표님에게 이것저것 물어보곤 한다.

나는 되도록 일로 만나는 사람들과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는 편이다. 아무래도 대부분 철이 든 후에 만난 분들이라서 학교 친구들과 같이 거리낌 없이 친해지기엔 좀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랜만에 만난 이 두 분과는 마치 오래된 친구 같다고 생각했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힘든 진흙밭에서 같이 굴렀고, 살아남았고, 그리고 다시 같이 구르고 있는 좋은 동료들이라고 하는 게 더 맞을 것 같다. 어쨌든 다들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니까 너무 반갑고 좋았다.

배우들이 수상하면 무대에서 “아름다운 밤입니다.”라는 말을 자주 한다. 나는 주로 새벽에 글을 쓰는데, 오늘은 밤에 이 글을 쓰고 있다. 우연이 다른 우연을 만들고, 이 우연들이 쌓이면서 또 다른 우연이 만들어지고, 이게 쌓이면서 우리 삶의 일부가 되는, 정말로 아름다운 밤이다.

아름다운 사람들

스트롱 웹사이트에 가보면 우리 로고랑 우리가 지금까지 투자한 포트폴리오 회사들 리스트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그리고 우리 로고를 보면 밑에 이런 말이 쓰여 있다.

“Together, We are All Strong”

실은, 이 말은 굉장히 단순하고 간단하고 유치하기까지 하다. 어려운 영어도 아니다. 하지만, 단순하고 쉬운 이 문장에는 스트롱의 미션과 비전이 잘 내포되어 있고, 우리가 하는 일과 우리가 하려고 하는 많은 일을 이 한 문장이 매우 잘 설명해주기 때문에, 2년 전 워크숍에서 고안한 이 mission statement를 나는 굉장히 자주 사용한다.

특히 “All”이 여기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가 종사하고 있는 이 벤처 생태계에는 스트롱 같은 VC만 있는 게 아니다. 우리에게 소중한 자금을 투자해주는 우리의 출자자인 LP분들이 있고, 이 자금이 투입되는 아주 좋은 창업가분들이 있다. 즉, 스트롱벤처스는 우리의 출자자와 창업가와 함께 모두를 위한 좋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모두 다 매우 스트롱해질 수 있다(Strong Ventures partners with its investors and entrepreneurs to create a better future for all. Together, We are All Strong.) All은 Strong Ventures, Strong LPs, 그리고 Strong Founders 모두를 지칭한다.

이 멋진 말을 나는 요새 더 멋있게 Together, We are ALL beautifully Strong이라고 하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와 함께 일하는 분들은 너무 아름답고 멋있기 때문이다. 스타트업을 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 인생을 바라보는 관점, 일에 대한 철학, 위기에 대처하는 방법 등 모든 것이 너무 아름답다. 우리에게 자금을 제공해주는 LP 분들도 너무 멋있고 아름답다. 위험투성이고, 성공보단 실패할 확률이 더 높은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스트롱을 믿어주시는 분들의 사고방식과 이들의 인생을 바라보는 관점 또한 너무 아름답다. 그리고 이 모든 걸 하나로 묶는 접착제 같은 역할을 하는 스트롱 또한 아름다운 팀이다.

이렇게 멋있고 아름다운 분들과 같이 일할 수 있는 걸 큰 영광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분들을 어떤 단어로 설명하는 게 가장 좋을지 항상 생각하는데, “아름답다 / beautiful”이 가장 적합하다는 생각을 요새 많이 한다.

Together, We are ALL beautifully Strong.

짧은 기회의 창

창업가들이 투자자와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받는 단골 질문 중 하나가 바로 “네이버가 이거 하면 어떻게 되나요?” , “카카오도 비슷한 제품을 만들고 있다고 하던데요?” , “구글이 똑같은 제품을 만들면 우린 그냥 망하는 게 아닌가요?”와 같은 대형 경쟁사들과 관련된 질문이다. 실은, 당연히 누구나 다 물어볼 수 있는 뻔한 질문이고, 이에 대한 정답은 없다. 실은 이런 질문을 하는 분들은 뭔가 정답을 원하는 게 아니라, 창업가들이 그래도 대기업이나 경쟁사들에 대해서 고민을 해봤는지, 대형 경쟁사에 대해서 어떤 논리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이런 걸 물어볼 확률이 더 높다.

그런데 요새 내가 느끼는, 창업가들이 더 신경을 써야 하는 경쟁은, 대기업에서 우릴 따라 하는 게 아니라, 대기업이나 큰 스타트업에서 일을 잘하는 분들이 나와서 우리와 비슷한 스타트업을 창업하는 것이다. 당근마켓, 쿠팡, 배민, 마켓컬리 같은 회사에서 엄청난 성장을 경험했고, 본인들이 직접 그 성장에 기여를 했고, 이런 경험을 기반으로 퇴사해서 우리랑 경쟁하는 제품을 만들면, 그땐 우린 어떻게 할 것인가? 참고로, 우리 투자사 당근마켓 초기 멤버들은 카카오에서 로컬/동네 관련 서비스를 만들었던 분들이고, 우리 투자사 세탁특공대의 경쟁사인 런드리고의 초기 멤버분들도 배달의민족 출신이라서 비대면 이커머스와 물류에 대한 경험이 많은 분들이다.

이렇게 이미 엄청난 경험을 했고, 그리고 이미 시장에 출시된 제품이나 서비스를 철저히 벤치마킹한 후에, 더 빠르고, 더 싸고, 더 좋은 경쟁 제품을 이분들이 만드는 게, 그냥 일반 대기업이 우리 제품을 카피하는 것 보단 훨씬 더 무서운 상황과 결과를 야기한다.

나는 우리 투자사가 기존 플레이어를 카피해서 창업한 공격적인 사례도 경험해봤고, 반대로 다른 경쟁사들이 우리 투자사를 카피해서 창업한 방어적인 사례도 경험해봤다.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는 그때마다 다르지만, 일단, 위에서 말한 대로 빨리 성장한 스타트업에서 엄청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을 무기로, 시장은 크지만, 아직 시장의 그렇다 할 선두 주자가 없거나, 또는 선두 주자가 있지만, 본인들이 봤을 때 잘 못 하고 있을 때, 이들이 경쟁제품을 만든다고 해서 기존 플레이어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겉으로 보면 쉬워 보이지만, 막상 직접 해보면, 이게 생각보다 훨씬 어렵고, 기존 플레이어는 이미 눈에 보이지 않는 미묘한 경험을 많이 해서, 이것들이 쌓이고 쌓여서 상당히 무서운 진입장벽을 이미 만들었기 때문이다(다만, 직접 해보기 전까진 잘 모른다).

그래서 아무리 좋은 회사에서 엄청난 성장을 경험했다고 해서 창업하고 더 빠르고, 더 싸고, 더 좋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건 아니다. 실은, 내가 경험한 건 항상 그 반대였다. 하지만, 이들이 갖는 큰 장점은, 이런 성장 경험은 주로 VC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으로 다가와서 더 좋은 조건에 더 큰 펀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렇게 펀딩을 잘 받아서 돈이 많으면, 더 좋은 사람을 채용할 수 있고, 아주 좋은 사람들이 많이 모여서 계속 실험하다 보면, 결국엔 더 좋은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는 확률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다. 여기에다 선발 주자가 이미 한 실수를 다시 반복하지 않을 수 있는 후발 주자의 특권이 적용되면, 엄청난 제품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펀딩 -> 채용 -> 삽질 -> 또 삽질 -> 펀딩 -> 채용 -> 더 많은 삽질 x 10 -> 엄청난 제품의 탄생, 이런 주기는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리는데, 이 시간이 선발주자의 기회의 창이 될 수 있다. 후발주자가 이 과정을 거치는 동안 선발 주자는 이 기회의 창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미친 듯이 제품을 잘 만들고, 미친 듯이 성장하고, 미친 듯이 전진해야 한다. 이걸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경쟁사들이 더 많은 펀딩을 받고, 더 좋은 사람을 채용하는 걸 넋을 놓고 보고만 있다가는, 이런 기회의 창이 닫히면서 완전히 도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기회의 창을 잘 활용하면서 경쟁할 수 있다면, 시장 자체를 같이 키울 수 있고, 결국엔 그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엄청난 서비스를 만드는 것도 나는 많이 봤다.

은인들

우리는 행사를 많이 하는 VC는 아니다. 적은 인력으로 많은 회사에 투자하기 때문에, 우리의 core 기능인 ‘투자’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는 대부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아웃소싱을 하고 있다. 그래도 해야 하는 행사가 몇 개 있는데, 이 중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연례행사는 AGM이라는 행사이다. Annual General Meeting의 약자인데, 일반 기업이라면 주주총회이고, 우리 같은 VC에겐 조합원총회라고 한다. 1년에 한 번 스트롱 펀드에 출자해주신 고마운 LP 분들을 모시고, 1년 동안 스트롱이 한 일, 배운 점,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우리 포트폴리오 대표님들도 모시고 같이 이야기하는 행사인데, 스트롱의 AGM은 딱딱한 주주총회가 아니라 굉장히 역동적이고 재미있는 총회이다.

올해 우리는 10월 18일, 19일, 이렇게 이틀 동안 AGM을 개최했다. 적은 인력으로 100명 이상 참석하는 행사를 준비하는 과정이 쉽진 않았고, 이번에도 스트롱 동료분들이 두 달 정도 엄청나게 고생 많으셨다. 메인 행사는 파트너인 존과 나의 간략한 발표로 시작했는데, 이번에 존은 한국 시장에 대한 내용을 발표했고, 나는 그동안 스트롱의 활약을 숫자로 정리한 내용을 발표했다. 이런 발표 자료를 만드는데 별로 소질이 없어서 며칠 동안 이런저런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팀원분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발표 자료를 만들 때 드는 기분은 마치 학교로 다시 돌아가서 숙제하는 느낌인데, 이번에는 스트롱의 과거 10년 발자취를 되돌아보면서 다양한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작업이 나름 재미있고 신선했다. 나도 잘 몰랐던 사실들을 알게 됐고, 그동안 우리가 했던 일들에 대해서 감으로만 알고 있었던 내용이 막상 데이터를 보니까 틀린 것도 있었고, 더 자랑해도 되는 것도 있었다.

실제 AGM에는 100명 이상의 LP와 잠재 LP 분들이 참석했는데, 무대에서 발표하면서 이분들을 보니까 정말 고마운 생각이 들었고, 아주 짧았지만, 우리가 시작했을 때 가장 먼저 스트롱을 믿어줬던 LP들이 뇌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무대에서는 계속 발표를 해야 해서, 이 순간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지 못했지만, 행사가 다 끝나고 집에서 편안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맥주를 마시면서 다시 이 순간을 기억에서 소환했다.

2012년 8월 존과 내가 스트롱을 만들기로 결정했을 땐, 우리는 투자금을 모으는 게 어렵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무식해서 용감했는지, VC 펀딩을 너무 쉽게 생각했고, 실제로 첫 6개월 동안 단 한 푼도 못 모았던 기억이 났다. 그때 실은 포기하려고 했는데, 몇 달만 더 해보고, 그래도 한 푼도 못 모으면 그냥 접자고 이야기를 했었던 것 같다. 그런데 기적같이 며칠 후에 우리의 은인이 나타났다. 존이 전 직장에서 알게 된 아르메니아 출신의 부자와 – 아버지와 아들이지만, rich한 부자이기도 한 – 우린 꽤 친해졌는데, 이분들은 캘리포니아의 Fresno라는 지역에서 호두와 아몬드 같은 농산물을 엄청 크게 유통하는 사업을 하고 있었다.

이분들은 tech 분야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에, 당시 우리 지인 중 가장 부자 중 하나였지만, 일부러 돈 달라는 부탁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워낙 펀딩이 안 돼서, 그 아들에게 우리가 하고 싶은 걸 잘 설명했고, 우리 처녀 펀드에 출자 좀 해달라고 사정했다(정말로 거지같이 제발 도와달라고 했다). 그런데 정말 기적같이 아주 흔쾌히 오케이했고, 본인이 출자하는 만큼 아버지도 설득해서 같이 하겠다고 했다. 우리 둘을 그동안 지켜봤는데 잘할 것 같고, 믿을 수 있기 때문에 아주 기쁘게 투자하겠다는 정말 고마운 말과 함께.

이분들의 이름은 Leon(아버지)과 Ago(아들)이고, 스트롱의 첫 번째 LP들이다. 2012년 스트롱 1호 펀드에 이 두 분이 너무나도 고맙게 첫 번째 출자를 했고, 이후 2호, 3호, 4호 펀드에 모두 출자했다(우리 때문에 돈도 많이 벌었다). 이번에 AGM을 준비하면서 오래전 일들을 떠올렸고, 우리의 시작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봤는데, 이들은 우리의 은인들이었다. 이 고마운 캘리포니아 농산물 유통업자들의 믿음과 첫 번째 출자가 없었다면, 스트롱도 지금 없을 텐데, 행사가 다 끝나고 혼자 맥주를 먹으면서 생각해보니 새삼 고마운 느낌이 벅차게 올라왔다.

이번에 이 두 분은 서울 행사까지 날라오진 못 했지만, 앞으로 우리와 오랫동안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고마운 은인으로 남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Cheers and thanks to Leon and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