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대기업은 원래 그래요

bureaucrat_2최근 몇개월 동안 한국과 미국 대기업 분들과 같이 소통하고 일 할 기회가 좀 있었다. 내 기억으로는 대기업과 같이 일하는게 쉽지 않고 항상 실망감만 남았었는데 역시나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다. 이번에는 특정 기업에 대한 나쁜 인상을 가졌던거 보다는 대기업의 사람들한테 큰 실망감을 경험했다. 내가 제일 많이 들었던 말이다.

“잘 아시잖아요. 대기업이 원래 좀 그래요.”

의사결정이 엄청 느렸다. 대기업이 원래 그렇단다. 같은 부서 직원들 간에 커뮤니케이션이 전혀 안 되었다. 다른 부서는 완전히 다른 회사다. 대기업이 원래 그렇단다. 언제까지 뭔가 결과물을 전달해 준다고 했는데 항상 늦었다. 대기업이 원래 그렇단다. 뭔가 잘 안되면 ‘윗 사람들’이 승인을 안해서 그렇단다. 대기업이 원래 그렇단다. 아예 연락이 안되는 사람들도 있었다. 대기업이 원래 그런가보다. 참 안타깝고 실망스러웠다.

실은 대기업이 원래 그렇다기 보다는, 대기업에서 일하는 그 사람들이 원래 그렇다고 하는게 맞을거 같다. 능력있고 일 잘하는 사람들도 대기업 들어가면 결과나 효율보다는 정치, 프로세스, 책임면피 이런거에 집중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경우를 나도 더러 봤는데 많은 사람들은 회사가 그 사람을 그렇게 만들었다고 한다. 내 생각은 조금 다르다. 그런 사람들이 대기업을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의사결정이 전반적으로 느린 이유는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들이 결정 프로세스를 느리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말단 직원은 그 이유를 상사한테 넘기고, 상사들은 그 이유를 다시 그들의 상사한테 넘긴다. 실은 맨 위의 의사결정권자 한테는 이 내용이 제대로 전달 되지도 않는다. 권한은 모두가 다 가지려고 하는데, 책임은 그 누구도 지지 않으려고 한다.

“우리 회사 잘 아시잖아요. 원래 좀 그래요.”를 버릇처럼 말하는 사람들은 스스로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한다. 그 회사가 그렇다기 보다는 자기 자신이 능력이 없는거고 그걸 회사의 탓으로 돌리려는 성향이 강한 사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워낙 사람이 많고, 책임감을 여기저기 토스하면서 시간과 자원의 손실이 발생해도 대기업은 굴러갈 수 있는 돈과 자원이 있기 때문에 이게 가능하다. 기업문화가 회사의 직원들을 형성한다는 이론이 있는데 나는 오히려 그 반대라고 생각한다. 직원들이 기업문화를 만들고, 더 나아가서 기업 자체가 되기 때문이다. 전에 내가 Red Bull의 기업문화에 대해서 쓴 적이 있는데, 당연히 이런 회사에 신입사원이 입사하면 회사의 문화를 흡수해서 진정한 Red Bull 사람이 된다. 회사가 그 사람을 만들지만, 그 전으로 가보면 그런 회사는 Red Bull의 직원들이 만든 것이다. Red Bull도 직원이 거의 1만명이나 되는 대기업이지만, 내가 이들과 같이 일했을때를 회상해보면 부사장이나 리셉셔니스트나 모두 책임과 권한을 본인들이 가지고 움직였지 한번도 남 또는 회사를 탓 한 적은 없었다.

그래서 나는 작은 조직의 스타트업과 같이 일하는 걸 좋아한다. 이런 bullshit도 없고, 회사에 쓸데없는 지방이(fat) 끼여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기업도 스타트업과 같이 운영될 수 있다. 결국엔 사람과 사람이 일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사람이 생각을 제대로 갖고 그에 충실한 액션을 취하면 된다.

<이미지 출처 = Verite Research>

판도라 미디어의 숙제

인터넷 스트리밍/라디오 서비스 판도라 미디어가 지난 주에 2014년 3사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실적 자체는 월가의 예상을 넘었지만, 주가는 거의 20% 정도 하락했다. 뮤직쉐이크를 5년 정도 미국에서 운영하면서 존경 반, 부러움 반으로 벤치마킹하던 회사이기 때문에 – 그리고 개인적으로도 거의 매일 사용하고 듣는 서비스라서 – 주말에 실적 관련 자료들을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봤다.

남의 컨텐츠를 가지고 비즈니스를 하는 사업구조의 문제점에 대해서 작년에 내가 다음과 같은 블로깅을 했었다:

판도라는 인터넷을 통해서 음악을 스트리밍 할 때마다 음원 소유자들한테 스트리밍 비용을 지급해야 한다. 물론, 하나씩 보면 엄청나게 적은 비용이지만 2011년도 자료를 보면 판도라의 음원 사용료는 전체 매출의 54%이니 절대로 만만치 않다 (2013년 예측은 60%). 판도라는 이 비용을 지금까지는 투자금과 광고 수익으로 땜빵하고 있고 아직도 회사는 수익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광고 수익이 늘어나면 언젠가는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지만, 분명히 그때와서 음반사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인해서 스트리밍 비용을 더 달라고 할 것이다. 이미 그렇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상당수의 유저를 확보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판도라는 어쩔 수 없이 음반사들이 더 달라고 하면 더 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판도라라는 비즈니스와 고객 자체가 이러한 남의 음원때문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주가가 떨어진 원인은 증가하는 음원 로열티 비용(=’컨텐츠 취득 원가(content acquisition cost)’라고 한다)과 감소하는 신규 active 사용자 성장률이다. 남의 컨텐츠를 기반으로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비즈니스 모델한테는 최악의 악몽이다. 역시 컨텐츠 비용은 전체 매출의 절반 정도를 차지했고 현재 이 수수료를 낮추려고 담당 기관들과 판도라는 계속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2015년 말까지는 결론이 나지 않을 것이다. 어쩌면 더 올라갈 수 있는 확률도 무시할 수 없다.

판도라가 앞으로 성공하려면 풀어야 할 숙제들이 많이 있다. 어차피 유료 유저들은 적기 때문에 무료 유저들로 부터 광고수익을 극대화 해야 한다. 일단 광고 수익을 극대화 하려면 더 많은 active 유저들이 음악을 더 많이 들어야 한다. 하지만 Spotify, 그리고 앞으로 이 산업을 다시 한번 disrupt할지도 모르는 Apple의 iTunes Radio와 경쟁하려면 더 많은 마케팅 비용을 집행해야 한다. 신규 사용자들을 확득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비용을 더 써야하는데, 이 사용자들이 무료 음악을 더 들을수록 컨텐츠 취득 비용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근본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이 이렇기 때문에 아무리 매출이 증가해도 그에 따라서 증가하는 비용을 감안하면 수익성이 항상 낮을 수 밖에 없다. 앞으로 판도라가 이 숙제를 어떻게 풀지가 매우 궁금하다.

<이미지 출처 = “http://www.billboard.com/biz/articles/news/radio/5638323/pandoras-business-model-is-it-sustainable“>

조금은 다른 각도의 혁신

얼마전에 저널에서 Mahindra Genze라는 전기 스쿠터에 대한 기사를 읽고 ‘혁신’에 대한 생각을 다시끔 했다. Genze가 사용하는 휴대용 배터리는 11kg 정도로 가벼운 편이어서 사용자들이 배터리만 집안에서 충전할 수 있고, 한번 충전하면 50키로 정도까지 갈 수 있다. 가격도 1,000 달러로 시중에 있는 배터리보다 1/3 정도 저렴하다. 아, 그렇지만 그냥 크기를 작게 했고 가격을 조금 더 저렴하게 한 이 배터리 자체가 혁신적이라는 건 아니다.

그전에 배터리에 대해서 조금만 더 알아보자. 배터리 기술의 발전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더디어서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건 쉽지 않다고 한다.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등에 들어가는 배터리의 용량은 잘해봐야 해마다 몇 % 밖에 증가하지 않는다고 한다. 특히 전기 자동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와 같이 사이즈가 커지면 더 복잡해진다. 단위 무게 당(1 lb)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가솔린에 20배 이상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비용으로 따지면 훨씬 더 차이가 난다: 참고로 Tesla Model S의 배터리팩 가격은 약 3만 달러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전세계적으로 배터리 기술의 비약적 발전을 위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수조원의 자금과 수천명의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이 투입되고 있다. 물론, 실험실에서는 배터리 용량을 2배로 증가할 수 있는 혁신이 매일같이 보도되고 있지만, 이 기술을 상용화 하려면 수십년이 걸릴 것이다.

Genze의 엔지니어들과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잘 쓴게 바로 이 부분이다. 이들은 앞으로 수십년 후에나 현실화 가능한 배터리 혁신을 기다리는 대신 현실과의 타협을 선택했고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 ‘혁신’을 시도했다. 어차피 배터리 용량은 크게 늘리지 못하니까 용량은 상수로(constant) 놔두고 대신 다른 부분을 변수로(variable) 이런저런 실험을 하기 시작했다. 디자이너들은 전반적인 디자인 자체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었고, 여기에 엔지니어들의 피드백과 엔지니어링이 추가된 최종 제품은 기존 전기 스쿠터보다 더 가볍고 효율적인 새로운 차원의 스쿠터 였다.
한번 충전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를 현재 기술로 구현하려면 무겁고 크고 비싸기 때문에 이들은 역발상적으로 자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구상했고, 자주 손쉽게 충전할 수 있게 하려면 무게가 가벼워서 사용자들이 가지고 다니면서 실내에서 충전할 수 있게 해야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작은 배터리로 스쿠터의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스쿠터의 무게를 줄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스쿠터 프레임을 버리고 외부 샤시를 최적화 했다. 즉, 현실과 싸워야 하는 배터리의 혁신보다는 스쿠터 전체의 혁신을 re-engineering하고 re-designing을 한 것이다.

‘혁신’이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은 Dyson의 엔지니어들도 비슷한 과정을 겪은 적이 있다. 2006년에 출시된 무선 진공청소기는 한번 충전에 7분 정도 밖에 작동하지 않았다. 같은 산업과 타 산업군의 엔지니어들은 작동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 더 기발한 배터리 연구와 개발에 집중했지만 다이슨의 엔지니어들과 디자이너들은 배터리 기술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오히려 전기모터 개발에 눈을 돌렸다. 그래서 이들이 개발한 전기모터는 타사 진공청소기 모터보다 효율이 3배 이상이고, 한 번 충전에 작동 시간을 20분까지 연장시켰다 – 배터리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서도.

조금 다른 각도의 혁신 – 앞으로 이런 사례가 더 있는지 예의주시 해야겠다.

<이미지 출처 = http://www.genze.com/>

[리블로그] 창업의 어두운 면 – 스트레스, 공황, 우울, 자살

helping-hand최근에 한국 스타트업 CEO의 자살 소식을 접하게 됐다. 개인적으로 알던 분은 아니지만 기분이 썩 좋지는 않았다. 직접적으로는 자살한 분의 가족, 지인 그리고 동료들이 큰 충격에 빠지지만 간접적으로는 같은 스타트업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동료 창업가나 투자자들 한테도 그 파장이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솔직히 스트레스, 공황, 우울, 자살 이런 단어들은 창업가들한테 낯선 단어는 아니다. 미디어에 비추어지는 창업가들은 남의 눈치 보지 않고 자기 인생을 스스로 책임지는 멋쟁이들이다. 거기에다가 회사가 잘 되면 막대한 부를 거머지는 우리 시대의 영웅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은 겉과는 달리 이들의 속은 각종 공포, 걱정 그리고 스트레스로 인해서 곯았다는 점이다. ‘Entrepreneur’라는 가면의 화려함 뒤에는 창업을 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절대로 이해할 수 없는 어두운 면이 존재하는데 이걸 잘 다스리지 못하면 어떤 이들은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된다.

내 주위에도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몇 있지만 나는 이 분들한테 “힘내세요. 모든게 잘 될 겁니다.”라는 말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 우울증으로부터 오래동안 시달려온 사람들한테는 이런 말이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모든게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마음의 병을 나는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섣부른 조언은 하고 싶지 않다.

다만, 현재 너무 힘들어서 극단적인 생각을 하고 계신 분들이 있다면 이 한마디는 해주고 싶다. 힘들면 주위에 도움을 구하라는 말이다. 가족, 친구, 직장 동료 그 누구라도 붙잡고 도움을 청해야 한다. 도움을 청하는 건 부끄러운 일이 아니고 본인과 주위 모든 분들을 위한 최선책이다.

[과거글: 힘들면 도움을 구해라]

1월 말에 LA는 Jody Sherman이라는 유능한 창업가를 잃었다. Jody는 2009년도에 어린이들을 위한 친환경 제품을 판매하는 Ecomom이라는 스타트업을 시작했고, LA와 남가주 쪽에서는 꽤 유명하고 평판이 좋은 사람이었다. 47살에 그는 권총으로 자살했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수 년 동안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

자살은 한국인들한테는 낯선 단어가 아니다. Wikipedia에 의하면 한국은 OECD 국가 중 자살율이 가장 높은 나라이며, 40살 이하의 사망 원인 중 1위가 자살이다. 자살하는 사람 중에는 우리가 아는 창업가들도 있고, 모르는 사람들도 분명히 많이 있을 것이다.
나도 여러번 말한적이 있지만, 월급쟁이들이 받는 직장의 스트레스와 owner들의 스트레스는 많이 다르다. 뭐가 다른지는 여기서 굳이 설명하지 않겠다. 창업을 했고 이 짓을 오래한 사람들이라면 너무나 잘 알고 있을테니까. 스트레스의 레벨이 다르기 때문에 창업가들이 극한 상황에 몰리면 그에 대한 반응 또한 샐러리맨들과는 달리 극을 달릴 수 있다. 만약에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 중 현재 너무 힘들어서 이상한 생각을 하고 있다면 그러지 말고 이걸 끝까지 읽어 달라고 부탁한다.

나도 이 짓을 몇 년 해왔다. 죽고 싶을 정도로 힘들거나 그런 생각을 한 적은 없지만 성공의 확률이 높지 않은 스타트업 industry에서 일을 하면서 이 바닥의 ups and downs를 매일 경험하고 있다. 육체적으로도 힘들지만 정신적인 소모가 많은게 스타트업 운영이라는걸 부인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미안하지만 창업을 했고 스타트업을 평생 운영할 계획이라면 이 정신적 스트레스는 더하면 더했지 줄지는 않는다. 그러니까 단단히 각오해라. 하지만, 좋은 소식은 바로 인생이 고달플때 우리에게 위안을 주고 우리가 기댈 수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이다. 창업가들이 명심해야하는 사실은 바로 혼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많은 창업가들이 있고 분명히 겉으로는 웃으면서 모든게 잘 되고 있다고 연기를 하고 있지만 모두 다 힘들어 하고 엄청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아면서 하루하루를 살고 있을 것이다.

힘들어 하는 창업가들에게 말해주고 싶다. 이제 더이상 희망이 없고 모든게 끝났다고 생각할때 – 아직 경험하지 못했으면 분명히 이런 순간이 올 것이다 – 주위 사람들에게 당당하게 도움을 구해라. 가족, 친구, 동료, 투자자, 변호사, 회계사 심지어는 경쟁자도 상관없다. 아주 당당하고 직설적으로 도움을 구해라. 힘들때 도와달라고 하는 건 전혀 부끄러운게 아니다. 가끔 난 창업이라는게 거대한 압력밥솥 속에 발가벗은 채 들어가 있는거와 같다는 생각을 한다. 시간이 갈수록 압박은 더욱 더 심해진다. 이런 압박 속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다보면 몸과 마음에 당연히 영향이 미친다. 그러니까 힘들면 괜히 스스로를 자책하면서 겉으로 웃지말고 솔직하게 도움을 구해라.

Jody가 앓던 우울증이나 최근 한국의 연예인들이 경험하는 공황장애는 미국에서는 더 이상 ‘병’이 아니라 사회적 ‘현상’으로 분류 할 정도로 흔한 현대인들이 경험할 수 있는 현상이다. 혹시, 주위에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색안경을 쓰고 보지 말고 따뜻한 마음으로 다가가서 도움을 주자.

<이미지 출처 = http://comeinunity.org/part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