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 Burn Rate

비용 절감이라는 말은 우리한테 낯설지가 않다. 집에서도 비용 절감은 중요하고, 대기업에서도 비용 절감은 중요하다. 물론, 돈 없는 스타트업한테는 비용 절감은 중요한 정도가 아니라, 대표이사와 경영진, 더 나아가서는 모든 직원이 신조로 삼아야 하는 철칙이다. 흔히 우리는 돈을 ‘태운다’라는 말을 자주 쓰는데, 영어의 ‘burn’에서 나온 말이다. 투자자들이 항상 물어보는 게 “회사의 burn rate가 어떻게 되나요 ?”인데, 한 달에 회사가 돈을 얼마큼 쓰냐라는 말이다.

요새 시장에 돈이 워낙 많이 풀려서 그런지, 많은 스타트업이 burn에 대해 너무 쉽게 생각하는 거 같다. 매출이 만들어지려면 제품이 완성돼야 하는데 – 뭐, 그래도 매출이 잘 안 나온다 – 제품의 완성은 아직 요원하지만, 일단 무조건 돈을 쓰자는 분위기가 지배적인 회사들을 최근에 꽤 많이 만났다. 돈 다 쓰면 또 투자받으면 된다는 생각으로 일하는 창업가들이 많고, 실제로 시장 분위기도 이런 생각과 믿음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물론, 돈 다 쓰면 또 투자를 받아야 하는 건 맞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돈을 쓰기 위해서 비즈니스를 하는 마인드와 또 투자를 받아야 하지만, 최대한 비용을 아끼면서 자생하려는 마인드는 완전히 다른 결과를 만들 수 있다.

특히, 미국은 한국보다 더 심한 거 같다. 소프트뱅크의 비전 펀드 이후 많은 VC가 조 단위 펀드를 만들고 있고, VC뿐만 아니라 사모펀드나 대기업에서도 이런 분위기에 발맞춰서 수백억 원 또는 수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아직 제품도 없고 매출도 없는 스타트업에 너무 쉽게 집행하고 있다. 물론, 이런 조 단위 펀드에 기꺼이 출자하는 LP들이 있기 때문에 VC들도 펀드를 쉽게 만드는데, 아마도 시장 분위기와 FOMO가 크게 작용하는 게 아닌가 싶다.

하지만, 이 분위기가 계속 유지되진 않을 것이다. 시기는 모르지만, 언젠가는 돈이 메마를 것이고, 과거 경험에 비춰보면,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시장은 변한다. 이렇게 되면 스타트업이 망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투자를 더 받거나, 비용을 줄이는 건데, 시장이 꽁꽁 얼었을 때는 많은 투자자가 회사의 성장성보다는 수익성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비용 절감과 burn을 컨트롤하는게 핵심이다. 얼마 전에 YC의 샘 알트먼 대표가 트윗을 날리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SAMA-low burn rate

“Burn을 낮추는 게 요새는 한물간 컨셉이지만, 곧 다가올 불경기가 시작되면, 초기 스타트업한테 비용을 절감하는 게 왜 그렇게 중요한지 모두 다시 금방 기억할 것이다.”

프라이머와 스트롱 회사들은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도 아니고, 가장 돈을 잘 버는 스타트업도 아니다. 하지만, 내가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는 건, 전반적으로 burn 콘트롤을 한국에서 가장 잘한다. 가능하면 적은 투자금으로 자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돈 다 쓰면 또 투자받으면 될 거라는 근거 없는 생각은 그 누구도 하지 않는다. 우리 투자금 자체가 워낙 적고, 그리고 다들 워낙 없이 회사를 운영하는 게 습관이 돼서 그럴지도 모르지만, 결과는 항상 좋고, 비슷한 다른 회사에 비해 생존율은 월등히 높다. 회사 은행 잔액이 많든 적든, low burn rate는 정말 중요하다.

<이미지 출처 = Sam Altman 트위터>

DTC 회사의 밸류에이션

우리 포트폴리오에도 몇 개가 있고, 내가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는 프라이머는 조금 더 활발하게 투자하고 있는 영역 중 하나가 소위 말하는 DTC(Direct-to-Customer) 스타트업이다. 특히 미국에서는 최근 5년 동안 이 분야에 엄청나게 많은 VC 펀딩이 투자되고 있는데, 그냥 간단히 말하면 스타트업이 직접 만든 자체 브랜드를 – 주로 안경, 신발, 옷, 시계와 같은 소비재 – 이커머스 사이트나 앱과 같은 온라인 채널을 활용해서 백화점이나 마트 같은 중간 판매상 없이 직접 고객한테 판매하는 비즈니스다.

우리도 이 분야에 투자했는데, 여성 신발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트라이문, 숙취해소 드링크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82Labs, 유기농 생리대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라엘 등이 있다. 나도 정확한 조사는 안 해봤지만, DTC 스타트업 중 1조 원 이상의 평가를 받는 유니콘 회사들도 많고, 우리 본사가 있는 LA 지역 출신으로는 유니레버가 1.2조 원에 인수한 남성 면도 제품 스타트업 Dollar Shave Club이 크게 성공했다. 그리고, 한때는 유니콘 회사였지만, 이후 밸류에이션이 많이 깎인 유명 배우 제시카 알바와 한인 Brian Lee가 공동 창업한 유아용 제품 스타트업 Honest Company도 LA 회사이다.

그런데 나도 이 카테고리의 회사를 검토하면서, 이런 회사를 기술과 소프트웨어가 주가 되는 이커머스 회사로 봐야 하는지, 아니면, 그보단 그냥 자체 제품을 더 빠르고, 싸고, 좋게 제조해서, 전혀 다른 방법으로 마케팅하고, 전혀 다른 채널을 통해서 유통하는 브랜딩/제품 회사로 봐야 하는지, 항상 고민하게 된다. 왜냐하면, 비즈니스의 코어에 소프트웨어가 있냐 없냐에 따라서 이 회사의 확장성(scalability)이 결정될 수 있고, 여기서 회사의 밸류애이션에 큰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 Recode의 기사를 읽었는데, 여기에 재미있는 의견 몇 가지가 제시된다.

나도 어느 정도 동의하는 부분인데, 일단 DTC 스타트업은 테크 회사는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아주 매끈한 이커머스 플랫폼을 직접 만들고, 다양한 마케팅 자동화 기능을 도입하고, 간단한 인공지능 챗봇과 같은 CS 관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회사도 있지만, 비즈니스의 코어에는 소프트웨어는 없다고 보는 게 맞다. 특히 미국의 Shopify나 한국의 카페24와 고도몰과 같이 이커머스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싸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 시점에서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건 lean 하지 않은 방법일 수도 있다.

이렇게 테크가 기반이 안 되는 회사의 비즈니스에는 네트워크 효과가 일어날 수 없다.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가 네트워크 효과 위에서 만들어진 대표적인 서비스인데, 더 많은 사람이 특정 서비스를 사용할수록, 그 서비스의 가치가 더욱더 빠르게 증가하는 효과다. 나 혼자 사용하면 아무 의미가 없지만, 더욱더 많은 사람이 페이스북을 사용할수록, 이 서비스의 가치는 폭발적으로 성장한다. 이 기사에서는 네트워크 효과가 없기 때문에 DTC 스타트업의 밸류에이션이 VC들이 전통적으로 투자하던 소프트웨어 회사만큼 높을 수가 없다고 하는데, 실은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는 동의하는 부분도 있지만, 동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

그런데도 이런 회사들의 밸류에이션이 하늘을 향해 치솟고 있는 건, 제대로 된 시장조사나 실사를 하지 않고 엄청난 돈을 투자하는 VC들과 본인들이 운영하는 회사가 소프트웨어가 코어가 되는 테크회사라고 착각하고 있는 창업가들 때문이라고 한다. 실은,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도 좀 뜨끔하긴 했다. 우리는 초기 소액 투자지만, 이런 회사를 평가할 때 일반 소프트웨어 회사를 평가하는 기준을 적용해서 회사의 제품 자체에 큰 밸류에이션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뭐, 어쨌든 밸류에션이 낮은 거 보단 높은 게 무조건 좋은 게 아니냐고 반박할 수 있긴 하지만, 이런 DTC 회사한테는 밸류에이션이 높을수록 exit의 가능성은 낮아진다는 게 이 기사의 핵심이다. IPO보다는 다른 더 큰 회사에 인수되는 게 더 현실적인 exit 전략인데, 대부분의 큰 회사는 VC와 창업가가 만들어 놓은 터무니 없는 밸류에이션을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직원 10명의 매출 한 푼도 없는 회사를 수조 원 주고 인수하는 현상이 너무 자연스럽지만, 매트리스나 신발을 판매하고 있는 대기업들은 이런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이 없고, 그런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부분 소비재는 진입장벽이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카피할 수 있고, 카피를 많이 하다 보면, 더 좋은 제품을 더 싸게 만들어서 판매할 수 있는 회사가 분명히 나타난다. 그리고, 비슷한 제품을 만드는 여러 회사 중, VC 투자를 한 푼도 받지 않은 회사가 있을 것이고, 이 회사의 기업가치는 VC 투자를 받은 회사보다 현저하게 낮을 것이다.

그러면, 인수하는 대기업 사장이라면 어떤 회사를 인수할 것인가? 비슷한 수치와 실적이면, 당연히 더 싼 회사를 선호할 것이다. 인수하는 사장의 입장에서는 exit 시점에 그 회사에 투자한 VC가 돈을 벌어야 하므로 굳이 더 비싼 가격을 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 투자를 받지 않은 회사는 자체적으로 돈을 벌어서 생존해야 하기 때문에 수익성과 고객관리를 철저하게 하지만, 투자를 받은 회사는 손실이 나더라도 고객획득과 성장에 주로 집중하기 때문에, 인수한 후에 비용 관리가 큰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이런 현실을 반영하듯, 최근에 보도된 DTC 회사 인수 건에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 대부분 외부 투자 유치를 하지 않았고, 인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점이다. P&G는 Native라는 천연 데오드란트 스타트업을 1,100억 원에 인수했는데, 창업가가 회사의 90%를 소유하고 있었다. Movado는 MVMT라는 DTC 시계 스타트업을 2,200억 원에 인수했는데, 이 회사는 투자를 한 푼도 유치하지 않았고, 내부에서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었다. 데오드란트와 시계 분야에는 실은 다른 좋은 스타트업도 많았지만, 그중 가장 좋은 회사를 가장 저렴한 가격에 P&G랑 Movado가 인수할 수 있었던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인수한 회사들이 VC 투자를 받지 않아서 가격에 거품이 끼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뭐, 그렇다고 모든 DTC 회사가 투자를 받지 말고, 밸류에이션도 낮게 책정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모든 회사가 다르고, 모든 시장이 다르고, 모든 제품이 다르기 때문에, 그 상황에 맞는 비즈니스를 하는 게 맞지만, 그래도 자체 제품을 만들어서 고객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즈니스를 하는 창업가라면 한번 곱씹어 보면 좋은 내용인 거 같다.

Keep Going

얼마전에 미국에서 어떤 백인 아저씨랑 한 조가 돼서 같이 골프를 쳤다. 어차피 혼자 하는 게임이라서 처음에 인사만 하고 각자의 공에 집중하다가, 중간부터 그냥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다. 미국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처음 보는 사람들한테 하는 가장 흔한 질문이 어디서 왔냐 직업이 뭐냐인데, 이분은 동네에서 가정집이나 가게를 페인팅 해주는 작은 사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전형적인 자영업자인데, 조금 더 이야기를 들어보니, 원래는 큰 회사에서 사무직을 하다가, 대량해고를 당하면서, 어쩔 수 없이 가족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서, 평소 본인이 관심을 두고, 취미생활로 주말에 하던 페인트칠로 창업을 한 케이스다. 실은 이분은 우리 같은 VC가 투자하는, 세상을 바꾸고 싶어서, 또는 유니콘 회사를 만들고 싶어서 잘 다니던 회사를 때려치우고 비즈니스를 시작한 그런 창업가는 아니다. 어쩔 수 없어서, 그리고 먹고 살기 위해서, 다른 건 할 줄 몰라서, 필요에 의해서 창업한 자영업자이다.

돈벌이가 좋냐고 물어보니, 그 아저씨는 “I keep going. I just keep going(계속하죠. 그냥 포기하지 않고 계속 열심히 하고 있죠)” 이라고 말했다.

별거 아닌 거 같지만, 나한테는 울림이 깊은 말이었다. ‘Keep going’ 은 어쩌면 우리가 하는 일과, 우리가 도와주고 있는 창업가들이 평생 하는 모든 걸 상징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Keep going은 가족을 포함, 모두가 미쳤다고 손가락질 할 때 자신을 믿으면서 계속 전진하는 걸 의미한다.

Keep going은 너무 힘들어서 죽고 싶지만, 그래도 매일 컴퓨터 앞에 앉아서 코딩하고, 사무실에 나가서 직원들과 대화하고, 고객한테 전화 한 통이라도 더 걸어서 영업하면서 전진하는 걸 의미한다.

Keep going은 자신도 과연 이 비즈니스가 될까 하는 의구심이 들 때도, 포기하지 않고 매일 매일 전진하는 걸 의미한다.

Keep going은 자고 일어나면 꺼야 할 불이 너무 많고, 싸워야 할 전투가 너무 많아서 도망가고 싶지만, 그래도 계속 전진하는 걸 의미한다.

Keep going은 우리 삶 그 자체이다. 멈추면 죽고, 죽으면 전진하고 싶어도 멈춘다.

Let’s keep going.

했다면

ATP 랭킹 23위인, 한국이 낳은 역사상 최고의 테니스 선수 정현이 부상이 잦아서 최근에 큰 대회에 출전하지 않거나, 출전해도 경기 내용이 영 신통치 않은 걸 많이 봤다. 안타깝긴 한데, 이에 대해서 많은 해설가가, “정현 선수가 부상만 당하지 않았어도 이 대회 8강까지 갔을 텐데요.” , “저 선수는 정현 선수한테 원래는 상대도 안 되는데, 부상 때문에 정현 선수가 졌네요.”라는 말들을 많이 하는 걸 들었다.

다 bullshit 같은 말이다. 물론, 정현 선수가 다치지 않았으면, 잘 쳤을 것이고, 메이저 대회 8강까지 갔을 수도 있고, 수많은 선수를 이겼을 수도 있다. 그런데 부상 때문에 본인의 기량을 다 발휘하지 못해서 졌고 탈락했다. 이게 현실이다. 이미 일어난 일이고, 다시 되돌릴 수 없으니, “그때 그 부상만 없었으면….” 이라는 변명은 할 필요도 없고, 해서도 안 된다. 그냥, 앞으로 더 잘 해야 한다는 다짐으로 넘어가면 된다.

일하면서도 비슷한 말을 많이 듣는다. 그때 돈만 있었으면, 회사가 잘 돼서 지금쯤 엄청나게 성장 했을 거라는 현실과 동떨어진 환상에 사는 창업가들이 있다. 1년 전 아주 중요한 계약이 성사됐으면, 높은 밸류에이션에 투자를 받아서 현재 우리 보다 잘하고 있는 경쟁사보다 더 잘하고 있을텐데라는 생각을 1년 넘게 못 버리고 있는 창업가도 있다. 이와 같은 “~ 했다면” 생각은 상당히 쓸모없고, 미래에 전혀 도움이 안 되는데, 나를 비롯한 내 주변의 모든 사람이 항상 이런 생각을 하긴 한다. 그리고 이런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게 되면, 정신적으로 상당히 피곤해지고, 앞으로 전진하는데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미 일어난 일이라서, 아무리 곱씹어서 생각해봐도 과거를 바꿀 수 없다는 걸 머리로는 누구나 다 아는데, 사람이 감정의 동물이라서 그런지 가슴으로는 계속 “아, 그때 그게 됐다면”이라는 생각을 쉽게 못 버리는 거 같다.

일어나지 않았고, 바뀌지 않을 과거에 대해서 평생 후회하는 변명의 삶을 살고 싶지 않으면, 그냥 잊어버리고, 생각을 놓아버리고, 전진해야 한다.

호기심에 대해서

온디맨드 가사도우미 서비스 플랫폼을 만들고 있는 우리 투자사 미소가 최근에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한국에서 서비스하고 있지만, YC를 거친 회사고, 투자자들도 글로벌 VC라서 그런지, 시리즈 A 내용을 한국과 미국 tech 언론에서 보도했다.

한국 언론 중에서는 그나마 가장 잘 써준 벤처스퀘어 기사를 보면, 누가 봐도 글을 쓴 분이 큰 고민하지 않고 회사에서 그냥 제공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사를 썼다는걸 알 수 있다. 아주 짧고, 그냥 미소라는 회사가 이번에 어떤 VC들한테 얼마를 투자받았고, 이 돈을 어떤 용도로 사용할 거라는 내용이다.

미국 언론 중에서는 TechCrunch가 가장 잘 커버한 거 같은데, 이 기사를 보면 글을 쓴 분이 상당히 많은 고민과 질문을 한 흔적이 보이고, 미소라는 회사가 어떤 회사고, 어떻게 돈을 벌고, 왜 겉으로 보면 평범한 온디맨드 청소 서비스가 이런 투자를 받았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온다. 외국 기자지만, 한국 기자들보다 한국 서비스에 대해서 더 자세한 디테일과 독자들이 궁금해할 만한 내용을 아주 잘 다뤘다는 인상을 받는다.

실은 나도 어떤 과정을 통해서 취재가 일어났는지는 모른다. 어쩌면 미소에서 한국 언론보단 미국 언론에 더 많고 자세한 정보를 제공했을지도 모르고, 더 많은 인터뷰 시간을 할애해줬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그건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그것보다는 그냥 글을 쓰는 분들의 호기심의 정도의 차이가 이런 다른 결과물을 생성했을 거라고 생각한다. 내 경험에 비춰봐도, 한국 기자들은 회사에서 제공한 내용을 거의 그대로 기사화한다. 대부분 그 어떤 질문도 하지 않는다. 반면에 미국 기자들은, 제공한 내용에 대해서 이런저런 다양한 질문을 하고, 본인이 충분히 그 내용을 잘 숙직하고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면, 그때 기사를 쓴다. 취미가 아니라, 직업으로서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본인이 만드는 기사에 대해서는 일반인보다 훨씬 더 많은 호기심을 갖고 다양한 질문을 해야 하고, 그 질문에 대한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독자들한테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안타깝게도 아직 한국은 이 부분이 매우 약한 거 같다. 이는 tech 분야뿐만 아니라, 전 분야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벌어지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서 나는 한국 신문이나 언론보단 미국 신문을 보고 더 잘 이해한 경험이 상당히 많다. 북한 이슈도 마찬가지다. Tech 분야는 말할 필요도 없다. 내가 2012년도에 한국에는 제대로 된 tech 기자들이 없다는 을 썼는데, 안타깝게도 6년이 지난 오늘도 똑같다.

기자들이 조금만 더 호기심을 갖고, 깊이 있는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