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 회장님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그리고 애플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이제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진 회사가 됐거나, 남아 있어도 공룡의 이미지로 남아있는 거 같다. 나는 아직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장래가 밝다고 생각하고,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회사보다 오히려 사회에 더 큰 긍정적인 공헌을 하는 회사라고 믿는다. 실은, 이런 좋은 느낌은 마이크로소프트라는 회사보다는 43년 전에 이 회사를 창업한 빌 게이츠에 대한 존경과 믿음 때문에 생기는 거다. 2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했지만, 그동안 빌 게이츠 회장에 대해서 조금 더 알 수 있었고, 운 좋게도 직접 이야기할 기회도 있었는데, 비즈니스를 떠나서 그냥 한 명의 인간으로서 이 분을 좋아하게 됐다. 물론, 사업을 하면서 이상한 결정도 했고, 힘을 이용해 약자를 완전히 뭉개버리기도 했지만, 그래도 인류에 큰 도움을 주는 일을 하고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반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빌 게이츠는 이제 경영에서 완전히 물러나서 Bill & Melinda Gates 재단을 통해서 세계 빈곤과 질병과 싸우고 있고, 교육기회를 확대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이 재단의 2018년도 연례편지에 빌과 멜린다 재단에 대해 사람들이 물어보는 가장 어려운 10가지 질문과 답이 실렸는데, 여기서는 질문만 일단 소개해본다:

1/ 왜 미국에는 더 기부하지 않나요? (Why don’t you give more in the United States?)
2/ 미국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수조 원을 투자했는데, 어떤 성과가 있나요? (What do you have to show for the billions you’ve spent on U.S. education?)
3/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왜 기부하지 않나요? (Why don’t you give money to fight climate change?)
4/ 두 분의 개인적인 가치를 다른 문화에 강요하는 건 아닌가요? (Are you imposing your values on other cultures?)
5/ 아이들의 생명을 구하면 오히려 인구과잉이 발생하지 않나요? (Does saving kids’ lives lead to overpopulation?)
6/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재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How are President Trump’s policies affecting your foundation’s work?)
7/ 기업들과 왜 협업하나요? (Why do you work with corporations?)
8/ 재단의 영향이 너무 센 거 아닌가요? 불공평하다고 생각하지 않나요? (Is it fair that you have so much influence?)
9/ 두 분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What happens when the two of you disagree?)
10/ 개인 돈을 굳이 왜 기부하나요? 개인적으로 얻는 게 뭐가 있나요? (Why are you really giving your money away – what’s in it for you?)

좀 길지만, 영어 공부하는 셈 치고라도 한 번 시간을 내서 읽어보는 걸 권장하고 싶다. 가식적이지 않고, 솔직 담백하다. 트럼프 정부에 대한 의견도 소신 있어서 좋고, 지금까지 재단이 잘 못 한 점들을 솔직하게 인정하는 내용도 좋다.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곳에 집중 투자 – 교육 투자도 다른 분야보다는 고등학교 교육에 집중 투자 – 하는 전략은 대기업 경영 경험이 없으면 할 수 없기에 더 멋진 거 같다.

마지막 질문은 빌 게이츠뿐만 아니라, 자수성가해서 이룬 부의 대부분을 사회에 환원하는 분들한테 나도 항상 하고 싶은 질문이다. 의미 있는 일이고, 스스로 보람을 느끼기 때문에 한다는 빌 게이츠의 답변에서 아직 세상은 살 만하다는 생각을 했다. 재미도 있고, 세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업을 갖는 건 참 쉽지 않은데, 빌 게이츠는 마이크로소프트도 그랬고, 재단도 비슷하다는 이야기를 한다. 누구나 젊을 땐 열심히 일하지만, 나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아주 열심히 일했다. 결국은 빌 게이츠를 부자로 만들어 준 거라서 당시엔 좀 씁쓸했지만, 그래도 마이크로소프트로 번 100조 원 이상의 돈 중 99%를 살아 있을 때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결심을 한 사람을 부자로 만들어 준거라서 기분이 썩 나쁘진 않다.

빌 게이츠가 “가난하게 태어난 것은 당신의 잘못이 아니지만, 가난하게 죽는 것은 당신의 잘못이다”라는 말을 많이 했다고 하는데, 많이 벌어서 좋은 일에 다 쓰고, 그리고 가난하게 죽는 건 아주 좋은 거 같다. 노벨 평화상은 빌 게이츠가 받아야 한다고 한 내 트친이 있었는데, 나도 정말 그렇게 생각한다.

고객을 영업사원으로

부동산다이어트_main제품을 개발했으면 잠재고객한테 알려야 하는데, 정보와 제품의 홍수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나는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게 곧 최고의 마케팅 전략이라는 걸 아직도 맹신하고 있고, 내 주변에는 이걸 잘 하는 회사도 있지만, 좋은 제품을 만들었지만, 마케팅에 돈을 태우지 않으면 소위 말하는 임계한계점에 도달하지 못해서 그냥 사장되는 경우도 많이 봤다. 초기 벤처기업의 경우, 워낙 돈이 없기 때문에 되도록 마케팅에 집행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거나, 아니면 아예 돈을 사용하지 않는 무료 마케팅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

가장 좋은 무료 마케팅 전략은 어떤 게 있을까? 우리 제품이나 시장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블로깅을 하거나,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서 바이럴 효과를 발생시키는 게 누구나 쉽게 시작해볼 수 있는 무료 마케팅이지만,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블로그 마케팅의 경우, 우리가 지속적으로 올리는 콘텐츠가 시장에서 어느 정도 반응을 일으키려면 6개월에서 12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 실은 내가 생각하는 가장 좋은 마케팅은 – 계속 같은 말이지만 – 최고의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 제품이 너무 좋아서, 사용해 본 고객이 감동하고,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고객이 알아서 우리 회사와 제품을 홍보해주는 ‘고객을 영업사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부동산 시장을 파괴하고, 제대로 된 온라인 부동산을 만들고 있는 우리 투자사 부동산다이어트가 이런 마케팅을 하고 있다. 기존 부동산 중개비즈니스와는 확실하게 차별화되는 서비스, 집 가격에 상관없는 0.3%의 고정 수수료, 그리고 심지어 수수료를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시장에서 조금씩 소문이 퍼지고 있다. 서비스를 시작한 지 이제 3년 차인데, 2년 전에 부동산다이어트를 통해서 전세계약을 한 고객들이 계약이 만료되자 다시 돌아오는 걸 보고 이 회사가 뭔가 잘 하고 있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작년에 창원에 거주하는 손님이 부동산다이어트를 통해서 서울에 집 계약을 했다. 알고 보니 이 분이 삼성카드 마케팅 부서에서 일하는 분인데, 서울 본사로 발령받아서 이사하게 된 거다. 그리고, 부동산다이어트 사용 경험이 너무 좋아서, 본인이 직접 삼성카드와의 프로모션을 기획하고 내부승인을 받아서, 먼저 우리한테 협업을 제안해왔다. 내용은 간단하지만, 고객이 받는 혜택은 상당히 크다. 삼성카드로 중개수수료를 결제하면, 0.3%의 수수료에서 15%가 추가 할인되고, 2~5개월 무이자할부가 제공된다(지금은 삼성카드 임직원한테만 해당).

간단한 예를 들면, 전세 6억 원 아파트 거래 시 법정 중개수수료는 528만 원이지만, 부동산다이어트를 이용하면 0.3%인 180만 원이다(여기서만 348만 원 절약). 삼성카드로 결제하면 180만 원에서 15% 추가 할인이 돼서 부동산중개료는 153만 원이다. 법정 중개수수료인 528만 원 대비 71%나 저렴하게 집을 계약할 수 있다. 나도 곧 이사를 하는데, 부동산다이어트를 통해서 집 계약을 했다.

텀블벅 300억 돌파

텀블벅 300억 돌파작년 8월에 우리 투자사인 한국을 대표하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텀블벅이 누적 후원액 200억 원을 돌파했다는 내용에 관해서 썼는데, 최근에 그 후로 6개월 만에 누적 후원금 300억 원을 달성했다. 절대적인 후원금액도 상당히 인상적이지만, 내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성장 속도이다. 2016년 총 누적 후원금 100억 원 돌파에 이어 200억 원을 돌파하기까지는 1년이 걸렸고, 그 후로 6개월 만에 누적 후원금 300억 원을 달성했다. 계속 이 추세로 가면 올 상반기 안으로 누적 후원금 400억 원 또는 500억 원까지 가능할 거 같다.

“앞으로도 다양한 사람들의 창조적 시도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을 지속적으로 만드는 것이 텀블벅의 목표다”라는 염재승 대표의 말처럼 단순히 매출을 만드는 게 아니라, 창작자를 지원하는 텀블벅이라는 플랫폼을 하나의 거대한 문화/운동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이 팀을 응원한다.

뉴질랜드 테스트베드

올해 상장 예정인 Spotify가 호주에서 Stations라는 새로운 앱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기사를 읽었다. 판도라와 비슷하게 그냥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서버가 알아서 음악을 스트리밍해주는 ‘lean-back’ 경험을 제공하는 앱이라고 한다. 이렇게 신제품을 준비하는 회사들은 정식 출시 전에 버그를 다 찾고 고쳐야 하며, 동시에 많은 사용자를 서버가 견딜 수 있는지 사전 테스팅을 해야 한다. 하지만, 아무리 페이스북이나 스포티파이같이 직원이 많은 회사도 이걸 내부에서 모두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주로 특정 지역을 선택하고, 거기서 작게 테스트를 한다.

그런데 왜 스포티파이,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미국의 대표적인 서비스는 항상 뉴질랜드나 호주에서 테스트할까? 나도 궁금해서 여기저기 검색하면서 읽어보니,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내용을 발견했다. 일단 미국의 특정 지역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면, 미국인들은 워낙 소셜미디어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아직 출시되지 않은, 그리고 준비되지 않은 새로운 제품이 사전에 대중에게 유출될 위험이 너무 커진다. 서울이나 동경과 같은 인구밀집도가 높고, 모바일 보급률이 높은 곳에서 테스트가 잘 못 되면, 하루 만에 전국/전 세계로 이 소식이 퍼지기 때문에, 이 또한 좋지 않다.

뉴질랜드의 인구는 470만 명이다. 아주 작지도 않고, 크지도 않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면 시장의 초기 반응을 가늠할 수 있을 정도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면서도, 너무 많은 사용자로 인해 발생하는 스케일 문제의 위험이 적다. 또한, 뉴질랜드는 다른 나라와는 고립된 지역에 위치한 섬이기 때문에 구전효과가 크지 않다. 즉, 이 지역에서 제품을 출시했는데, 완전히 실패하더라도 그 소문이 상대적으로 널리 퍼지지 않기 때문에, 이후에 제품을 개선한다면 다른 지역의 사람들은 편견 없이 그 개선된 제품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뉴질랜드에서 잘 안 되면 그냥 조용히 이 제품을 철수해도 회사의 평판에 큰 악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뉴질랜드 인구특성은 미국, 영국, 호주와 비슷하기 때문에, 규모는 작지만, 제품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어느정도 예측하는 게 가능하다. 물론, 인구의 90% 가 영어를 한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

즉, 새로운 제품을 정식 출시 전에 테스트하려면,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시장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비슷한 문화나 특성을 가진, 하지만, 규모가 훨씬 작은 곳을 골라야 하는데, 영어권 시장의 경우 뉴질랜드가 이런 특성을 잘 만족시킨다. 남미의 경우 칠레를 테스트 시장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팀 빌딩과 타이밍

우린 초기 단계에 투자를 많이 하는데, 이때는 제품이 있는 팀도 있고 제품이 없는 팀도 있다. 실은 이 단계에 투자하는 건 객관적인 수치보단 – 볼 수 있는 객관적인 수치가 별로 없다 – 사람, 시장, 감, 느낌 등을 기반으로 판단을 해야 한다. 이렇게 하므로 투자 후 성공하는 회사보다는 실패하는 회사의 수가 더 많을 수밖에 없는데, 가끔 운이 좋으면, 어려운 고비를 잘 넘겨서 누가 봐도 이젠 제대로 된 모습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하는 팀이 있다. 얼마 전에 이런 회사 대표의 고민거리에 관해서 이야기하다가, 내가 “이제 회사에 어른이 필요한 거 같네요.”라는 이야기를 했는데, 오늘은 회사의 성장과 각 단계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데 필요한 팀에 대해서 조금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주로 엔지니어 출신의)창업 팀이 시장의 허점을 발견하고, 본인들이 가진 기술을 활용해서 재미 삼아서 만든 제품이 투자를 받고, 고객이 생기고,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다면, 이제 본격적인 팀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부터 성장통이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는 제품을 고도화하기 위해서 더 많은 개발인력이 필요하다. 기술 스타트업을 하는 분들은 모두 동의하겠지만, 그냥 개발하는 사람은 시장에 널렸지만, 제대로 된 개발인력은 정말 찾기 힘들고, 이런 사람을 찾고, 회사로 데려오기까지는 6개월 이상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대표이사는 채용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데, 이렇게 시간을 투자하는 게 아까울 수도 있지만, 매우 중요하다. 실은, 개발인력 채용은 대표이사보다는 CTO의 영향력이 더 크고, CTO가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해야 하는 부분이다. 문제는 CTO는 주로 기술과 씨름하는 걸 좋아하지, 사람을 채용하고 관리하는 걸 좋아하진 않는다. 그래서 기술도 알지만, 개발인력을 잘 리드하고 관리할 수 있는, 그러면서도 CTO와 죽이 잘 맞는 VP of Engineering이 필요하다. VP Engineering에 대한 의견은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CTO는 회사의 큰 기술과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단기적인 것 보다는 중장기적인 기술적 이슈를 주로 다루고, VP Engineering은 개발팀을 관리하는 매니저 역할을 하면서, 내부적으로 다른 부서와 개발부서의 협업을 원만하게 도모하는 일을 한다.

개발력이 보강되면서 제품이 더 단단해지고, 이 제품으로 큰 비즈니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또 다른 능력, 경험, 그리고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필요하다. 창업가들은 대부분 뭔가 만드는 걸 좋아하고, 돈보다는 큰 비전이나 전략을 보고 움직이는데, 돈을 버는 비즈니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관리와 운영 능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물론, 창업가들이 이런 스킬을 배우고, 스스로 창업가에서 관리자로 변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창업가와 관리자의 DNA는 다르기 때문에 마크 저커버그 같은 멀티플레이어는 찾기가 쉽지 않다. 이 시점에서 창업가는 회사의 운영을 담당할, 조금 더 큰 조직에서 이런 경험을 한 참모를 찾게 된다. 자신의 필요 때문에 특정 문제를 기술적으로 접근했던 창업 초기와는 달리, 조직을 관리하고, 회사에 매일 들어오는 현금을 관리하고, 잘 만들어놓은 ‘엔진’에 계속 기름칠을 하면서 유지보수까지 할 수 있는 전략을 만들 수 있는 관리자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제 막 이 단계에 진입하는 우리 투자사들이 조금씩 생겨나고 있다. 실은 내가 만든 회사가 이제 내가 혼자 운영하기에는 너무 커졌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인정하는 게 쉽지 않지만, 똑똑한 창업가들은 잘 적응한다. 주로, 이 단계에서 회사로 영입하면 큰 도움이 되는 인재들이 컨설팅, 투자은행, 대기업 전략 출신이다. 나는 MBA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진 않지만, 이 단계에서는 MBA들이 도움이 많이 된다는 걸 직접 경험해봤다. 시장의 흐름을 보면서, 큰 전략을 만들고, 이 전략을 실행할 수 있는 적절한 사람들을 채용하면서, 회사의 daily operation 을 담당하는 건 뭔가를 새로 만드는 거보다는 만들어 놓은 거를 잘 키우는 건데, 이건 완전히 다른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회사가 계속 성장을 하면, 창업 초기에 필요했던 인력이나 자원이 어느 순간 더 효과가 없다는 걸 느낄 것이다. 아직 비즈니스모델이 없는 작은 웹사이트를 만드는데 필요한 자원과 다양한 사용자들이 돈을 내면서 사용하는 서비스를 더 키우고, 최적화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자원은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위에서 말한 대로, 창업 초기의 인력이 자신을 끊임없이 변화하고 새로운 환경에 필요한 스킬을 배우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이 시점이 오면 다른 업무를 담당하거나, 다른 회사로 – 본인의 이런 능력을 더 필요로 하는, 더 작은 회사 – 옮긴다. 이건 어쩔 수 없는 현상이고, 모든 회사가 겪는 성장통의 일부이다.
이건 전적으로 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작년에 쿠팡의 경영진을 모두 외국인으로 교체한 이유도 이와 비슷할 거 같다. 1조 원짜리 회사를 만드는데 필요한 인력과 이 회사를 5조 원 가치로 만드는데 필요한 인력은 다르다. 아마도 쿠팡을 10조 원 이상의 회사로 만들기 위해서는, 이미 이런 이커머스 회사를 이 정도 규모로 성장시킨 경험을 보유한 사람들이 필요할 텐데, 한국에서는 이런 경험을 가진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아마도 아마존이나 월마트, 또는 급성장한 미국의 스타트업에서 외국인 인재를 영입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말이 길었는데, 하여튼 강조하고 싶은 건, 회사의 단계마다 새로운 사람들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무에서 유를 만드는 창업에 최적화된 팀이 있는가 하면, 남이 만들어놓은 제품을 좋은 비즈니스로 성장시키는데 최적화된 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