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ization – 야후의 사례

Localization: 다국적 기업에 일해본 경험이 있는 분들은 그 분야를 막론하고 항상 접하는 친숙한 단어일거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현지화” 이다. 즉, 원래 태생이 해외인 외국 기업의 서비스를 다른 나라의 언어, 문화, 규정, 정서 등에 적합하도록 바꾸는걸 의미한다. 현지화는 상당히 힘들며, 매우 골때리는 시행착오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나라의 언어로 번역 하는 기본적인것을 시작으로 표면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그 밑에 숨어 있는 아주 미묘한 문화적 차이까지 신경을 써야하기 때문에 상당히 힘들며, 황금 공식이 존재하지 않는 그런 작업이다.

미국과 다른 나라에서는 단독 선두로 그렇게 잘나가는 구글, 유투브 그리고 마이스페이스가 유독 한국에서 버벅거리는거를 보면 현지화가 얼마나 힘든건지 잘 알 수 있을것이다.

얼마전에 TechCrunch에서 읽은 내용을 잠깐 소개한다. 그러고 보니 여기 쓰는 글의 많은 부분이 TechCrunch에서 나온 내용들인데 워낙 이 바닥에서는 유명하고 insightful한 글들이 많기 때문에 그러니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최근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Yahoo US와는 반대로 Yahoo Japan은 항상 그렇듯이 매우 순조롭게 나가고 있다. 야후 본사의 시장 가치는 27조원, 야후 일본의 시장 가치는 22조원이다. 야후 일본은 매달 4천6백만명 (와우 거의 대한민국 인구와 맞먹는 숫자이다!)의 고유 방문자들이 웹사이트를 방문하며, 일본 인터넷 인구의 82%가 접속을 한다. 감이 잘 안오나? 구글 일본은 2천6백만명의 고유 방문자와 일본 인터넷 인구의 46%가 구글을 매달 접속한다고 하면 대략 머리속에 그림이 그려질것이다.

무엇이 이렇게 Yahoo Japan을 성공적으로 만들었을까? 그것도 까다롭고 까다롭기로 소문난 일본 시장에서 어떻게 야후는 해마다 성장에 성장을 거듭할 수 있을까? 바로 위에서 말했듯이, 황금 공식은 없지만 야후가 일본에서 취한 3가지 현지화 전략을 소개한다.

1. 남들보다 일찍 시작하고, 혼자서 하지 말고 힘 있는 파트너를 찾아라
Yahoo Japan은 미국에서 본사가 설립된지 11개월 후인 1996년 1월에 설립되었다. 참고로 구글은 일본 지사를 열기 까지 3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야후 일본은 현재 손정의 사장의 회사 SoftBank에서 지분을 40% 가지고 있고, 미국 본사가 33%를 가지고 있다. 아주 교과서적으로 완벽한 일본-미국의 조인트 벤처 구조이다.

2. 단순한 현지화가 아닌 슈퍼 현지화 (Super Localization)이다
Yahoo Japan 웹사이트는 구조, 디자인, 시안, 컨텐츠 등 모든 게 미국 사이트와는 많이 다르다. 심플한 서비스/사이트를 선호하는 미국인들이 봤을때는 굉장히 조잡해 보이지만 (내가 봐도 맛이갈 정도로 조잡하다) 아기자기하고 미니멀리즘에 친숙한 일본인들에게는 상당히 매력이 가는 사이트라고들 한다. 또한, 야후 본사는 왠만하면 비슷한 비즈니스 부서를 통합하려고 하는데 비해서 야후 일본은 계속 쪼개고 있다. Yahoo Japan은 11개의 비즈니스 부서로 쪼개져 있다 (search, auction, member and regional service, media, mobile, lifestyle 등..)
즉, 단순히 미국 웹사이트를 일본어로 번역한거를 넘어서 일본인의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조금이라도 더 일본인들의 입맛에 맞는 layout과 내용들을 추가하면서 상당히 깊은 단계까지 현지화를 한것이다.
여기서 TechCrunch는 재미있는 예시를 제공하는데…아이러니칼하게도 인터넷 경매/쇼핑에 미친 일본에서 Ebay라는 회사를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Ebay는 1999년 일본에 진출해서 동경 사무실을 open하였지만, 2001년도에 문을 닫고 철수하였다. 그리고 2007년에 다시 일본에 진출하였는데 이번에는 Yahoo Japan 아이디를 가지고 Ebay 서비스 사용을 가능케 하는 Sekaimon이라는 중개상 서비스 업체를 끼고 들어온것이다.

3. 로마에서는 로마법을 따르라 (일본에서는 일본식의 비즈니스를 해라)
단순 포탈로 시작한 야후 Japan은 수년동안 다양한 비즈니스로 다각화를 하였으며, 한국사람들이 상당한 거부감을 가지는 재벌 기업의 문어발식 외형을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한국 재벌 기업과는 다른점은 연관된 비즈니스로 다각화를 하였다는 점이다. 그 와중에 광고, 정보처리, 마케팅 조사, 지도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회사를 인수하였으며 합병을 하기도 하였다. Yahoo Japan은 다음과 같은 액션을 취하면서 완전히 일본 회사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 일본에서 가장 비싼 지역에 사무실을 열고, 일본인 3,500명 채용
  • 디지탈 TV 프로그램용 widget을 개발하여 일본에서 가장 큰 시장 중 하나인 TV 비즈니스로 진출
  • 저가의 정액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Yahoo BB 설립
  • 후쿠오카 돔 (후쿠오카에 있는 돔 야구장)의 naming 권리 구매. 이제는 Fukuoka Yahoo Japan Dome이 공식 명칭 이다
  • 일본 현지 웹 서비스 업체와 적극적인 제휴 (Nico Nico Douga, MySpace Japan 등)

뮤직쉐이크도 이 글에서 참으로 배울 점이 많은거 같다. 우리는 한국에서 미국으로 진출하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야후 일본과는 반대의 케이스이지만 그 기본은 다르지 않은거 같다. 미국에 일찍 진출에는 어느 정도 성공 하였다. 이제부터는 철저한 슈퍼 현지화를 통해서 미국식 비즈니스를 전개해야할 때가 온거 같다.

Beijing 올림픽을 마치며

스포츠 팬임에도 불구하고 난 올림픽에는 큰 관심은 없다. 너무 재미없는 종목이 많아서 솔직히 좀 짜증나지만 그래도 한국이 메달 딸때는 비인기 종목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대부분 비인기 종목에서 선전하더라 ㅎㅎ) 기분은 참 좋더라. Anyways, 2008년 8월 8일부터 8월 24일까지 진행되었던 제29회 베이징 하계 올림픽이 몇 일전에 대막을 내렸다. 역대 그 어떤 올림픽 보다 많은 신기록이 세워졌고 (38개의 세계 신기록), Michael Phelps라는 23살의 젊은 미국 수영 선수는 금메달을 무려 8개나 따면서 그 누구도 이룩하지 못한 기록을 역사에 기리 남겼다.

베이징 올림픽은 중국이나 그동안 중국을 외부에서 바라보던 세상의 사람들한테 많은 시사점을 남긴 행사였다. 솔직히 같은 아시아인임에도 불구하고 나도 중국에 대해서는 아는게 많지 않으니 서양 사람들은 말할 필요도 없을거다. 올림픽 전에는 (그리고 아직도) 중국하면 짝퉁의 나라, 공산당 나라, 모택동 유니폼 뭐 이런 이미지를 떠올리는 서양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올림픽에서 중국이 보여준 금메달 행진과 완벽에 가까웠던 개막식과 폐막식은 이런 이미지들을 아마도 말끔하게 씻어버렸을거다. “이제부터는 중국이다”라는 말들을 누구나 하지만, 나 또한 이번 올림픽을 통해서 이런 말들이 상상이 아닌 현실이라는 점을 절실히 느꼈다. 중국인들은 이번 올림픽을 통해서 전세계에 이들의 힘과 잠재능력을 보여주었으며 200년 동안의 잠에서 깨어나서 드디어 초강대국의 대열에 들어왔다는 강렬한 메시지를 세상에 전달하였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이번 올림픽을 같은 시각으로 보지는 않은거 같다. 대부분의 올림픽 관계자들이 이번 올림픽이 “exceptional”하다고 하였지만, 너무나 완벽에 가까운 행사를 치루기 위한 중국 특유의 통제와 압박은 올림픽 대회 특유의 생동감을 없앴다고나 해야할까..일단 장소가 좀 거시기 했다. 기억에 남을 만한 과거의 다른 올림픽들 (1988년 서울 올림픽,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2000년 시드니 올림픽)과는 다르게 이번 베이징 올림픽은 복작복작한 도시 한복판이 아닌 아주 한적한 외곽에서 통제된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온국민이 하나가 되어서 즐기는 축제의 모양 자체도 매우 약했다. 베이징 시내에서는 올림픽 분위기을 느낄 수 있는 흔적이 거리에 걸려있는 올림픽 배너 외에는 없었다. 어떤 독일인은 이번 올림픽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중국 사람들은 아주 재미있고 특이한 사람들인줄 알았는데 이번 올림픽에서는 그런 이미지를 통 찾기가 힘들었다. 완벽하게 통제된 분위기 자체는 그다지 대단하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70년 전 공산주의 체제의 베를린도 뭐 이런 분위기였다.”

뭐 어찌되었던간에 일반인들의 눈에는 이번 베이징 올림픽은 역사상 가장 완벽하게 치뤄진 전세계인의 화합의 장이었으며, 세계인들이 중국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기회이자, 중국인들이 세계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임에는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2012년 올림픽을 개최할 런던만 죽을 맛일거다. 베이징 올림픽에 갖다 퍼부은 돈이 약 42조원이라고 하는데 런던 올림픽에 할당된 예산은 17.2조원 밖에 안된다고 한다. 물론 중국같이 도로나 교통 수단을 완전히 새로 만들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영국의 가오가 있지…

The Snowball

“Life is like a snowball. The important thing is finding wet snow and a really long hill.”

전세계에서 가장 돈이 많은 사람 중 한명인 Warren Buffett (Bill Gates와 Carlos Slim과 더불어서 계속 3위안에 들어감)가 언젠가 한 말이다. 이 말에 영감을 받은, 올해 가을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는 워런 버페에 대한 책 “The Snowball: Warren Buffett and the Business of Life.“가 9월29일에 출간될 예정이다. 출판사인 Bantam사는 이 책의 북미 판매권을 약 72억원에 구매하였으며 책 자체만 1백만권 이상 팔릴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미 버페에 대해서는 약 60권 정도의 책들이 팔리고 있지만 이 책이 유독 관심을 끌고 있는 이유는 다른 책들과는 달리 처음으로 버페가 직접 이 책의 작가에게 협조를 하였으며, 그동안 다른 사람들은 접근하기 힘들었던 희귀?자료에 대한 접근을 허락했다는 점이다. 아마도 다른 책들과는 다르게 워런 버페의 투자 철학, 경영 철학 및 사생활에 대해서 조금 더 생생한 정보가 이 책에 실리지 않을까 싶다.

The Snowball은 Alice Schroeder라는 처녀작가가 작업한 책이다. Alice는 Paine Webber (UBS가 매각을 하였다)라는 증권 브로커리지 회사에서 1990년대에 워런 버페의 회사인 Berkshire Hathaway를 분석하는 analyst로 일하면서 처음으로 버페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Alice의 말을 빌리자면, 이 책을 쓰기 위해서 워런 버페와 약 2,000 시간을 같이 보냈으며 실제 인터뷰를 약 300시간을 하였다고 한다. 얼만큼 재미있고 정확한 정보가 이 책에 쓰여질지는 모르겠지만 버페라는 사람에 대해서 항상 경외심을 가지고 있던 나로써는 매우 기대되는 책이다.

Starbucks – Pinkberry 데뷰 음료 Sorbetto!

최근 들어서 나랑 와이프랑 거의 매일 먹고 있는 커피외의 음료가 있는데 바로 스타벅스의 새로운 음료 Starbucks Sorbetto 이다. 커피먹으로 스타벅스 매장에 들어갔다가 샘플로 나누어 주고 있는 Sorbetto 샘플러를 살짝 먹었는데, “오 마이 Goddess!” 이렇게 시원하고 상큼한 음료가 있었다니..그런데 그 맛이 어디서 많이 먹어 본 맛이어서, 메뉴판을 보니 Pinkberry 로고가 보이는게 아닌가. 핑크배리 froyo (frozen yoghurt)를 갈아서 스타벅스에서 파는거다.

한국에 계시거나, 미국도 뉴욕 또는 캘리포니아 주에 거주하지 않으시는 분들은 어쩌면 핑크베리를 잘 모르실텐데 회사 배경을 잠시 설명한다. 2005년 1월달에 USC에서 MBA 공부를 마친 Shelly Hwang (한국이름 황혜경씨)이 공동 창업자인 Young Lee와 LA의 West Hollywood에 영국 찻집을 하나 시작하려고 하였으나 LA시에서 찻집 허가를 내주지 않아서 그들의 두번째 계획인 frozen 요구르트 가게를 차리기로 하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다른 이야기를 하지만, 내가 믿을 만한 소스를 통해서 들은 바로는 한국에서 그 당시 한창 잘나가고 있던 레드 망고를 그대로 배낀 가게를 차린거였다. 물론, 똑같은 개념이지만 더 잘해보자고 시작했겠지. 어찌 되었던 간에 시작은 순조로왔으며 2008년 8월 현재 핑크베리는 미국에서 입소문을 통해서 마약같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현재 미국 전역에 58개의 핑크베리 가게가 있으며 (이 중 13개는 뉴욕, 나머지는 대부분 남가주에 있다) 아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물론 미국에는 레드망고도 진출해서 현재 각축의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사람들은 말하지만 (대부분 레드망고에서 지어낸 말들이다) 내가 보기에는 이미 핑크베리한테 레드망고는 게임이 안된다.

나랑 불알 친구중 한명이 레드망고의 지분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어서 한때는 나도 레드망고의 팬이었지만, 핑크베리를 맛본 뒤로는 단 한번도 레드 망고를 다시 안 사먹었다. 일단 맛에서 너무 차이가 난다. 얼마나 맛있고 중독적이면 Crackberry라고들 할까 (Crack = 마약). 특히 건강한 삶에 상당히 관심이 많은 미국 사람들한테 맛있고, 깔끔하고 저칼로리이며 아이스크림을 대체할 수 있는 디저트는 신선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핑크베리가 오픈하였던 West Hollywood의 Huntley Drive의 가게는 공간이 좁아서 주차장이 없었는데, 대부분 고객들이 가게 앞에 불법주차를 하고 “딱지를 떼여도 난 핑크베리를 먹겠다.”라는 마음가짐으로 줄을 섰다니 그 인기는 상상이 가실거다 (미국에서 불법주차 딱지는 2-3십만원이다). 그 이후 핑크베리는 “The Taste that Launched 1,000 Parking Tickets (주차 딱지를 1,000개나 발행한 맛)”라는 문구를 사용하면서 상당히 공격적인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2007년 10월16일 핑크베리는 시애틀의 Maveron이라는 창투사로부터 275억 투자유치에 성공하였다. Maveron은 어떤 회사인가? 그 이름 자체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Howard Schultz라고 하면 뭔가 반짝이는가? 바로 스타벅스의 창업자이자 CEO인 Howard Schultz 선생께서 만드신 venture capital 회사이다. 난 이 소식을 들었을때 “스타벅스가 곧 핑크베리를 인수하겠구나” 라는 생각을 먼저 했는데 아마도 당장은 아니고 몇 년 안으로 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그 첫 합작품이 Starbucks Sorbetto인 것이다. 얼마나 기발하고 좋은 win win 전략인가!

미국과 전세계 불경기로 인하여 스타벅스의 수익이 계속 감소하는 중, 2009년에는 스타벅스가 소유하고 있는 커피가게 600개를 닫는다는 발표를 하워드는 얼마전에 하였다. 이렇게 되면 많은 점포에서 매출을 만드는거 보다는 한 점포에서 더 많은 매출을 만들어야만 스타벅스의 주가를 유지하며 주주들을 만족시킬 수 있을텐데 이미 커피 시장은 많이 포화되었고…새로운 음료를 만들어야하는데 이미 있을거는 거의 다 있는 음료시장에 어떤 신제품을 출시할까?

소.르.베.또. 바로 이것이었다. 정확한 숫자는 내가 모르겠지만, 스타벅스에 가면 갈수록 많은 사람들이 소르베토를 사먹는걸로 봐서는 곧 대박 날 음료같다. Good for Starbucks!

핑크베리로써는 엄청난 유통 플랫폼이 하나 생긴거다. 미국 전역 (또는 전세계)의 스타벅스 가게에서 핑크베리가 팔린다는 건 좋은 마케팅/영업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Deal 구조가 어떤지는 잘 모르겠지만 (하나 팔릴때마다 royalty 지급인지, 아니면 한번에 통으로 스타벅스가 핑크베리에 licensing fee를 내는건지..) 어찌되었던 간에 핑크베리는 스타벅스한테 팔리 수 있는 목표에 한걸음씩 다가가고 있는게 틀림없다. Good for Pinkberry!

뮤직쉐이크 Twiistup 4 최종 11대 기업으로 선정

그동안 과도한 업무로 인하여 블로그에 손을 못 댔는데 이제 다시 조금씩 몇자씩 써본다. 벌써 한달 전 행사였지만 여기에서 mention할 만한 내용이라서 소개한다 (실은 내 인터뷰가 있어서 그렇다 ㅋㅋ). TechCrunch40 만큼 큰 규모는 아니지만, 남가주 (LA 지역)에서 권위있는 Twiistup 4 행사에서 10대1의 경쟁률을 뚫고 최종 11개 기업 중 하나로 뮤직쉐이크가 선정되었다. 신청 과정이 상당히 까다로웠으며 (많은 서류 작업..) 그 이후에도 많은 기업들이 온갖 빽을 동원하는 쇼를 벌이기도 했는데 다행히도 좋은 결과가 나왔다.

**Twiistup – 남가주의 권위있는 네트워킹 행사. 특히 IT와 media/entertainment의 사람들과 기업들을 connect하는걸 목적으로 진행되는 행사이며, 매 분기마다 특이한 장소에서 아주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다양한 벤처기업들과 블로거, 벤처기업 CEO들, 투자자들, 언론 등을 대상으로 최고의 tech 벤처기업들이 제품/서비스를 발표하는 자리. 기존의 딱딱한 분위기의 세미나/네트워킹 행사와는 달리 매우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진행되는 실리콘 밸리와는 또 다른 LA만의 특징을 갖는 행사. Twiistup을 통해서 알려진 회사들 중에서는 JibJab, Mint, RubiconProject와 같은 주옥같은 벤처기업들이 있슴.

7월17일 산타모니카 Viceroy 호텔의 나이트클럽에서 진행되었는데, 기존의 IT 행사와는 약간 다르게 11개 기업들이 아주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먹고 떠들고 네트워킹하고 아주 색다른 행사였다. 그리고 아주 재미있는건 Oceans International 파트너이자 불알 친구인 John Nahm의 회사 Phonevite 또한 Twiistup 4 결승에 진출해서 우리 부스 바로 옆에서 있었는데 아주 재미있게 웃고 떠들었던 행사이다. 우리는 이날 Musicshake-Phonevite 통합 서비스를 launch해서 많은 인기를 독차지 하였다 (뮤직쉐이크로 만든 음악을 Phonevite 서비스를 이용해서 친구들한테 바로 전화로 쏴주는 아주 재미있는 파트너쉽이다).

뮤직쉐이크 Twiistup 인터뷰

Phonevite Twiistup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