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유니콘

CB Insights에 의하면 2021년 Q3 기준으로 전 세계에는 848개의 유니콘 기업이 존재한다. 엄청난 숫자이다. 올해 6월 ~ 9월 사이에만 127개의 신규 유니콘이 탄생했다. Cowboy Ventures의 Aileen Lee가 처음으로 유니콘이라는 말을 만들었던 2013년도에는 39개의 유니콘 기업이 있었는데, 8년 만에 1조 원의 회사들이 20배 이상 탄생한 것이다.

한국도 이제 꽤 많은 유니콘 기업이 존재한다. 한국에서 가장 큰 유니콘은 토스이고, 총 11개가 있는데, 아직 CB Insights 데이터가 업데이트 안 된 것 같다. 우리 내부 조사에 의하면 실제로 한국에는 16개의 유니콘 기업이 있다. 2016년만 해도 2개 밖에 없었는데, 이 또한 눈부신 성장이라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유니콘은 틱톡의 모기업 바이트댄스이고, 알려진 기업가치는 $140B~$400B 이다. 그리고 그 다음이 일론 머스크의 SpaceX인데 기업가치는 $100B 이다. 나도 투자를 하고 있지만, 워낙 큰 숫자라서 아직 1 billion 달러에 대한 감 조차 잘 안 잡히지만, 정말로 대단한 숫자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시장을 조금 더 분석해보면,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유니콘들이 있는데, 바로 디지털 자산들이다. CoinMarketCap에 의하면 현재 100개 정도 코인의 시가총액이 $1B 이 넘는다. 가장 큰 크립토 유니콘인 비트코인의 시총은 $1T을 돌파했고, 2등인 이더리움도 $500B이 넘는다. 바이트댄스의 기업가치를 $400B이라고 봐도, 1등 바이트댄스와 2등 SpaceX랑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높은 가치다.

많은 분들이 암호화폐의 시총은 신기루이고, 많은 코인이 사기라고 할 것이다. 실은 나도 동의한다. 하지만, CB Insights의 유니콘 리스트의 많은 기업 또한 그 기업가치를 누릴 자격이 없고, 사기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유니콘 리스트에는 디지털 자산 또한 포함되면 좋지 않겠냐는 생각을 해본다.

갈증

얼마 전에 우린 필라이즈라는 스타트업의 펀딩을 리드했다. 영양제 분석 플랫폼을 만들고 있는 스타트업인데, 한국을 대표하는 호텔 예약 플랫폼인 데일리호텔의 공동창업자 신인식 대표님과 초기 멤버인 윤정원 이사님이 창업한 회사이다. 나는 프라이머를 통해서 신대표님과 이미 관계가 있었고, 이 새로운 사업에 대해서 들었을 때는 제품이나 시장에 대해 크게 고민하지 않고 투자를 하고 싶었다. 뭘 하냐보단, 누가 하냐가 우리에겐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이미 데일리호텔이라는 거대한 양면 플랫폼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 분들이라면, 시장은 다르지만 마켓플레이스/플랫폼이라는 본질은 같은 필라이즈 또한 잘 만들 수 있지 않을까 라는 기대와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필라이즈와 같이, 이미 의미 있는 창업과 엑싯의 경험이 있는 – 성공이든 실패든 – 분들이 2번 또는 3번 다시 창업에 도전하는 경우를 요새 꽤 많이 본다. 스타트업이라는 게 정말 재미있는 게, 한 번 성공 경험이 있다고 해서 계속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실패 경험이 있다고 해서 계속 실패하는 게 아니라서, 결과는 전혀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나름 성공적인 엑싯을 해서 이미 어느 정도의 경제적 자유로움을 얻은 분들이 이 힘든 창업에 다시 도전할 때는 항상 이분들을 응원하고, 가능하면 투자하고 싶은 그런 마음이 생긴다.

연쇄 창업의 이유는 모두 다르다. 그리도 모든 창업가도 다르다. 그래도 내가 지금까지 만나 본 성공한 연쇄 창업가들의 나름 공통점이 있다면, 이미 이분들은 일반적인 잣대로 보면 성공했지만, 본인들은 항상 배고프고, 항상 목이 마른 것 같다. 이걸 조금 더 내 나름대로 분석해보면, 잘 됐지만, 소위 말하는 유니콘급의 사업을 못 만든 분들은 “왜 나는 더 큰 사업을 못 만들었을까?”에 대한 분노가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여기엔 유니콘을 만든 다른 동료 창업가들에 대한 부러움 또한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분노와 부러움이 재창업과 더 큰 성공에 대한 갈증을 유발하는 것 같다.

이미 유니콘급의 사업을 만들어서 엑싯을 한 많은 분들도 재창업을 꿈꾸고 있는데, 이분들의 갈증은 뭔가를 무에서 시작해서 큰 사업으로 만드는 그 building과 making 과정에 대한 즐거움에서 나오는 것 같다.

그냥 성공해서 어느 정도 경제적 자유로움을 얻었다면, 그냥 편안하게 쉬면서 인생을 즐길 것이지, 왜 또 어려운 길을 가는지 일반인들은 잘 이해하지 못한다. 실은, 나도 가끔은 이해 못 하겠다. 하지만, 이런 연쇄 창업가의 끊임없는 배고픔과 갈증 때문에 이 세상에는 더욱더 싸고, 좋고, 빠른 제품들이 계속 탄생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갈증은 연쇄 창업가만 갖고 있는 건 아니다. 모든 파운더들은 성공과 실패를 떠나서, 대부분 평생 이런 갈증을 갖고 사는 분들이다.

미래 창조

얼마 전에 마크 저커버그가 페이스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7년 동안 고수했던 Facebook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사명을 Meta로 바꿨다. 구글이 몇 년 전에 모기업을 Alphabet, Inc.로 바꾸고, 모든 제품과 법인을 알파벳이라는 지주회사 밑으로 붙였는데, 동일한 방법으로 Meta라는 지주회사를 만들고 이 밑에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오큘러스 등의 자회사를 소유하는 방법이다.

Meta를 Social Technology Company라고 설명한 걸 보면, 솔직히 그냥 페이스북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은 것 같지만, 거의 1,000조 시총의 기업이 이런 큰 변화를 시도하는 건 시사하는 바가 꽤 크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일단 시장의 반응을 보면, 역시 다양한 의견과 이론이 존재한다.

부정적인 의견은 우리가 모두 잘 아는 그런 내용이다. 프라이버시 침해, 의도한,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다양한 여론 조작과 데이터 가공 등의 의혹을 받는 페이스북이 그냥 법의 망을 최대한 피하고, 사회의 비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껍데기만 바꾼 것이고, 결국엔 돈으로 모든 걸 해결하려는 개수작이라는 의견들이 웹에 난무하고 있다. 이름만 바꿨고, 마크 저커버그는 앞으로도 계속 부도덕한 일을 페이스북이 아닌, 더 큰 Meta라는 애매모호한 법인에서 할 것이라는 맹비난을 퍼붓고 있다.

하지만, 이걸 또 매우 긍정적으로 보는 분들도 많다. 페이스북이 지금까지 했던 많은 일이 미래가 오는걸 기다린 게 아니라, 직접 미래를 만든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메타버스에 모든 걸 올인 한다는 건 역시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직접 만들어 보겠다는 의지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Facebook이 Web 2.0을 만들었다는데 많은 분이 동의하리라 생각한다. 엄청난 투자를 하고, 좋은 인재를 채용해서, Web 2.0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매우 큰 시장과 산업들이 만들어졌다. Meta를 통해서 이젠 Web 3.0을 위한 인프라를 직접 만들겠다는 의도로 해석을 해보면, 역시 저커버그만이 할 수 있는 그런 대담한 시도라는 면에서는 칭찬할 만하다.

나는 솔직히 아직도 메타버스가 정확히 뭔지 잘 모르겠다. 누구나 다 말하고, 누구나 다 너무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 누구도 정확히 이게 뭔지 모르는, 그런 전형적인 예가 이 메타버스가 아닐까 생각한다. 좀 old school이라서 그런지, 메타버스라고 하면 ‘트론’이라는 영화가 계속 생각나는데, 난 게임 세상 속에서 살고 싶진 않다.

그런데도, Meta에 대해선 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욕을 엄청 먹고 있긴 하지만, 어쨌든 페이스북은 Web 2.0을 만든 회사이고, Web 3.0의 헤게모니를 확실히 장악하기 위해서, 사명까지 변경하면서 대단한 의지와 투자를 보이고 있다. 물론, 메타버스라는게 실현되지 않고, 완전히 망할 수도 있지만, 이런 새로운 분야는 주로 몇몇 앞서가는 기업의 선행 투자가 충분히 투입되면, 관심이 생기고, 돈과 관심이 있는 곳에 좋은 인재들이 모이게 된다. 그러면, 분명히 메타버스를 잘 모르고, 이걸 잘 믿지 않았던 분들도, “혹시나?” , “우리만 뒤처지는 거 아냐?”라는 의심과 두려움 때문에 관심을 두게 되고 이 관심은 자연스럽게 다시 투자로 이어진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정말로 새로운 미래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 모든 것의 시작이 Meta.com이라고 본다.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 그리고 엄청난 돈과 시간이 낭비된 후에 실현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미래가 오길 기다리기보단, 미래를 스스로 만들겠다는 Meta의 의지만은 응원해주고 싶다.

성공으로 가는 계단

힘든 사업을 아주 오랫동안 하고 있는 친한 친구가 있다. 주위 사람들은 이 친구한테 그렇게 오래 했는데 시장의 반응도 신통치 않고, 돈도 잘 못 벌고 있으면, 그냥 안 되는 거니까 이만 접으라고 한 지 오래 됐다. 나도 뮤직쉐이크를 하지 않고, 스트롱을 하지 않았다면, 쓸데없는 짓 말고 그냥 포기하라고 했을 것이다. 하지만, 사업과 투자를 하면서 내가 배운 것이 하나 있다면, 사업과 인생은 어쩌면 내가 살아 있는 동안 이 세상에서 가장 오래 버티면서 참여해야 하는 장기전이고, 성공이라는것은 – 만약에 내 인생에 그런 게 있다면 – 겉으론 순간적인 것 같지만, 실제론 수년, 또는 수십 년의 아주 길고 지루한 순간들이 모이고, 여기에 운, 타이밍, 그리고 우연이라는 기폭제가 적용돼야지만 경험할 수 있는 그런 신기루와 같은 것이다.

이 친구가 항상 입버릇처럼 말하는 게 있는데, 그냥 사업을 아주 오래 해야 하는 장기전으로 보고 성공할 때까지 사업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말이다. 주로 술 먹으면서 우스개 안주로 하는 말이지만, 그동안 내가 만나왔던 수많은 회사와 창업가를 생각해보면, 이 말은 그렇게 우스갯소리만은 아니다. 일단 우리가 투자한 회사 중, 정말 오랫동안 바닥을 헤맸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이런 삽질과 틀린 판단이 충분히 쌓이면서 경험이 됐고, 이 경험이 항상 맞는 판단을 할 수 있게 하는 발판이 됐다. 그리고 이 발판 위에 운, 타이밍, 그리고 우연이 쌓이면서 엄청난 성공을 거둔 회사를 몇 번 직접 가까이서 봤기 때문에, 요샌 정말로 그냥 성공할 때까지 하면 언젠간 성공할 수 있다는 말을 본능적으로 믿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우리가 투자하지 않았지만, 성공한 창업가들도 성공까지의 과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걸 잘 알고 있다.

그런데도, 미디어와 소문을 통해서 우리 눈에 보이는 것과 귀에 들리는 것은 하루아침에 대박 난 사업가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사업을 해본 경험이 없거나, 인생 경험이 별로 없는 어린 친구들이 이런 이야기를 접하면, 정말로 성공은 소위 말하는 “신의 한 수”로 한 방에 달성 가능한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래서 단기간 안에 성공할 방법을 파는 사기꾼들이 널려있고, 이런 내용에 대한 대중의 식욕은 항상 왕성한 것 같다. 너무 많은 사람이 벼락 성공을 갈망하고, 이게 마치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사업에서 100% 확실할 건 없다. 그냥 그때의 상황과 내가 가진 자원에 따라서 모든 게 유기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가 100% 확신을 갖고 말 할 수 있는 건,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성공은 이 세상에 없다는 것이다.

성공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는 없다. 단지 오르고, 오르고, 계속 올라가도 끝이 보이지 않는 계단만 있을 뿐이다. 그냥 꼭대기에 도달할 때까지 이 계단을 올라야 한다. 이게 싫으면 사업 안 하고, 성공을 안 바라면 된다.

뒷바람과 앞바람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의 최대 수혜자 중 하나가 바로 골프 관련 산업이 아닐까 생각한다. 한국은 골프를 잘하는 나라이고, 골프는 한국에서 항상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더 인기 있는 게임이 됐고, 여성 골퍼와 젊은 골퍼 덕분에 새로운 성장의 국면을 맞이하게 된 것 같다. 미국은 더 드라마틱하다. MZ 세대에게 골프는 너무 지루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게임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미국의 골프 산업은 수년 동안 하락세였지만, 요샌 미국도 주말엔 골프장 예약하는 게 정말 어렵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실내가 아닌, 넓은 자연에서 하는 운동이라서 골프는 본인의 실력 외에도 여러 가지 외부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바람이 그 대표적인 요소이다. 앞바람이 불면 스윙에 변화를 주거나 – 세게 또는 탄도를 낮게, 등등 – 또는 더 긴 골프채를 잡는다. 반대로 뒷바람이 불면, 스윙을 작게 하거나 평소보다 짧은 채를 잡는다. 이렇게 아마추어 골퍼든, 프로 골퍼든, 바람에 따라서 여러 가지 내부, 외부 요소에 변화를 준다.

내가 전에 몇 번 글을 쓴 적이 있는데, 비즈니스도 골프와 비슷한 점이 많은 것 같다.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환경이 아닌, 야생의 정글에서 사업을 하다 보면, 상상치도 못한 다양한 외부 요소와 장애물을 만나게 된다. 사업을 하면서 맞이하게 되는 앞바람은 경쟁과 규제가 대표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예상치 못한 앞바람을 만나는 창업가는, 마치 골퍼가 스윙과 도구를 바꿔서 환경에 자신을 적응시키고 변화하는 것처럼, 제품, 펀딩, 사람에 대한 전략 등을 계속 수정하면서 새로운 시도를 한다. 어떤 건 바뀐 환경에 잘 맞아서 그때의 위기를 잘 모면하지만, 많은 경우, 잘 안 된다. 그러면, 다시 또 여러 가지 변화를 주면서 이 앞바람을 뚫고 가기 위한 노력을 한다. 그러다가 바람이 잠잠해질 수도 있지만, 더 강해질 수도 있어서, 그때마다 계속 창의적으로 대응을 해야 한다.

반면에, 사업을 하면서 만나는 뒷바람은 흔치 않다. 우리 투자사를 보면, 뭔가 기술적인 혁신을 경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좋은 기술은 사업의 뒷바람 역할을 해줄 수가 있다. 동일한 전략과 노력을 구사하지만, 뒷바람의 효과로 더 멀리 갈 수가 있다. 물론, 이런 호재를 맞이했을 때도 위에서 말한 제품, 펀딩, 사람에 대한 전략에 수정이 필요하기도 하다.

제일 바보 같은 건,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데, 계속 같은 스윙과 클럽을 고집하는 골퍼, 그리고 계속 같은 전략을 고수하는 창업가이다. 또는, 바람의 방향을 잘 못 읽고, 앞바람인데 오히려 클럽을 짧게 잡고, 뒷바람인데 오히려 클럽을 길게 잡는 것도 흔한 실수 중 하나이다.

어쨌든 제일 중요한 건,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계속 민첩하게 잘 대응하고 반응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