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 curreny

디지털 결제의 부상

10년마다 오는 큰 tech 물결을 잘 예측하고, 기회의 파도의 고점을 잘 타이밍 하면, 엄청나게 큰 사업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과거를 보면 잘 알 수 있다. 1960년대에 반도체의 미래를 보고 인텔이라는 회사가 만들어졌고, 이 반도체를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하면서 1970년대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과 같은 회사들이 personal computer 시장을 만들면서 엄청난 기업으로 성장했다. 그 이후에 10년마다 아주 큰 기술의 물결이 출렁거렸는데, 1980년대 인터넷의 탄생, 1990년대 메인스트림 인터넷 서비스의 등장(구글, 아마존 등), 그리고 데스크탑에서 모바일로의 패러다임 변화 등이 이런 큰 물결이다. 중간 중간에 다양한 회사들이 등장했고, 이 중 성공한 곳들이 많지만, 정말 대박급으로 성공한 회사들은 모두 다 “앞으로 10년 동안 어떤 기술의 물결이 올까?”를 예측하고 여기에 베팅한 곳들이라고 난 생각한다.

앞으로 10년은 어떤 테마가 거대한 유니콘들을 탄생시킬까? 이미 이 테마는 AI로 정해진 것 같다. 이렇게 많은 돈이 짧은 시간 동안 한 테마에 투입되는 걸 우리가 과거에 본 적이 없을 정도로 요새 AI 분야에 큰 투자와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분명히 AI 분야에서 엄청난 혁신이 일어날 것이고, 이 혁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회사들이 앞으로 미래를 이끌어 갈 것이다.

여기에 나는 디지털 결제라는 테마를 하나 더 추가하고 싶다. 과거 10년 동안 세상의 모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사람을 닮은 로봇이 등장하고, 사람 없이 스스로 운전하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하늘을 날기도 하는데, 이런 변화 속에서 유독 돈이 움직이는 방법과 기술엔 큰 발전이 없었다. 아니, 디지털 결제는 오히려 여러 가지 면에서 후퇴하고 있는 것 같다. 특히, 돈이 국경을 넘어가는 과정과 이를 가능케 하는 기술을 보면, 우린 삶의 구석구석에 internet of everything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지만, 유독 internet of money는 구현되지 않는 것 같다.

내가 합법적으로 열심히 번 돈을 사용하거나, 투자하거나, 또는 다른 사람에게 보낼 때, 우린 기술이 덜 발달했고, 인터넷이 없던 시절과 크게 다르지 않은 규제를 극복해야 하고, 오히려 그때보다 더 복잡한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 생활에서 많은 규제가 완화되고, 불필요한 비용을 발생시키는 중개인들이 줄었는데, 오히려 돈이 움직이는 프로세스를 보면 규제는 더 많아졌고, 아직도 불필요한 중개인들이 하는 것도 없이 수수료를 챙기고 있다. 돈세탁 방지와 고객확인제도는 디지털화가 아니라 오히려 더 아날로그화되어 가고 있다.

이걸 내가 전혀 이해 못 하는 건 아니다. 돈은 정말 중요하고, 이 중요한 돈이 이동하면 – 특히, 국경을 넘으면 – 여러 가지를 신경 써야 한다. 통화는 나라마다 다르고, 그 통화를 지배하는 법과 규제는 가는 곳마다 다르므로,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구멍이 가장 많은 게 금융 쪽이다. 금융 범죄자들은 더 똑똑해지고, 악랄해지고, 대범해져서, 우리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금융 범죄가 계속 등장하고, 이런 범죄를 막아야 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오히려 더 많은 범죄를, 더 지능적으로 만드는데 악용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면, 정부 당국은 새로운 범죄를 차단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더욱더 빡빡하고 엄격한 법과 규제를 만들 것이고, 이 과정을 거치면서 디지털 결제는 더욱더 아날로그화되면서 기술로부터 멀어질 것이다.

나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건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자산이라고 확신한다. 지난 10년 동안 internet of money와 digital network of money를 만들기 위해 이 분야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노력을 많이 했는데, 솔직히 매번 규제에 부딪히거나, 인간의 탐욕에 스스로 굴복했다. 하지만, 10년 동안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기술은 발전했고, 이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도 많이 변했다는 걸 요샌 체감한다. 특히, 이번에 다 바뀐, 미국 SEC에서 디지털 자산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시장의 의견을 적극 수용해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법과 규제를 잘 만들면, 이게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표준이 되지 않을까,,,개인적으로 은근히 기대하고 있다.

물론, 아직도 사기꾼들은 많고, 이 분야에서 일어나면 안 될 사기가 너무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내가 이런 이야기를 하면, 잘 모르는 분들은 코인 생각을 할 것인데 절대로 내가 밈코인이나 잡코인을 옹호하는 건 아니다. 나는 오히려 이젠 변동성의 리스크가 어느 정도 제거된 스테이블코인과 이 자산의 움직임과 투명성을 더 강화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면서 좋은 디지털 결제 제품을 개발하는 창업가들이 앞으로 10년 동안 엄청난 사업을 만들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과거는 뒤로 하고

올해부터 태어나기 시작해서 2039년까지를 베타 세대라고 한다. 출생년도로 인류를 구분하고, 이들은 어떻고, 어떤 특징이 있다고 하는 걸 그렇게 좋아하진 않지만, 나는 MZ 세대보다 이후에 태어난 알파 세대(2010년 ~ 2024년생)와 베타 세대는 나 같은 X 세대와는 완전히 다른 DNA와 뇌 구조를 가진, 그래서 이렇게 출생년도로 한 번 구분해 볼 만한 신인류라고 생각한다.

일단, 베타 세대의 부모는 대부분 Z 세대와 젊은 M 세대이다. 태어날 때부터 이들은 우리의 손자 세대라서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방식 자체가 완전히 다르고, 이 중 꽤 많은 분들이 나는 지금까지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22세기까지 살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미래학자는 아니지만, 베타 세대는 엄청난 기술 발전의 수혜자가 될 것이다. 태어날 때부터 AI가 삶의 중심에 있을 것이고, 이들이 투자하는 기본 자산은 비트코인이 될 것이다. 세대를 구분할 때 그 세대를 가장 잘 반영하는 기술을 많이 인용해서 우리 같은 X 세대를 삐삐 세대, 핸드폰 세대, 뭐 이렇게 부르기도 하는데, 베타 세대부터는 이런 특정 기술이나 제품으로 이들을 구분하는 건 불가능할 것이다. 워낙 기술이 빨리 변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투자하는 창업가들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세상을 바꿀지는 모르겠지만, 이들이 꿈꾸는 것들이 실현된다면, 베타 세대는 사람이 직접 차를 운전했던 시절이나 비트코인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도 모를 수도 있다. 사실, 이 글을 쓰면서도, 이런 시절이 오고 있다는 이미 왔다는 게 약간 신기하고 비현실적으로 느껴지긴 한다. 나도 최첨단 기술에 투자하는 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요새 왠지 계속 뒤처지고 있다는 느낌이 들긴 하는데, 아마도 이런 큰 세대의 변화라는 매크로 테마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과거에도 이런 기분이 들 때마다, 나는 강제적으로 이제 과거는 뒤로하자는 생각을 하면서 작가 더글라스 아담스의 이 말을 항상 떠올린다.

“태어날 때부터 있던 정상적이고, 세상의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부이다. 15세에서 35사이에 개발된 새롭고, 흥미진진하고, 혁신적이지만, 이걸 공부하고 연마하면 좋은 직업이 있다. 35이후에 개발된 비정상적이고,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기 때문에 이해할 없는 것이다.

무슨 말이냐 하면, 이제 나에겐 웬만한 건 모두 비정상적이고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는 것이라서 이해할 수 없다는 의미다.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을 그래도 이해하려고 노력하기 위해선, “옛날엔 이랬었는데” , “나 때는 저렇지 않았는데” , “저게 가능해? 과거에 우리도 시도해 봤는데 안 되던데” 등과 같은 생각을 완전히 버려야 한다. 그냥 내 기억으론, 내 경험으론, 안 되는 거였지만, 과거는 과거로 두고, 완전히 새로운 세상에서 새로운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아니, 이런 생각만 해야 한다.

요즘 엄청나게 빠른 기술의 변화를 보면서 지나간 일은 지나간 대로 두고, 과거에는 이랬다 저랬다라는 생각을 되도록 하지 말고, 미래만 봐야겠다는 생각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취지로 나는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분야를 요즘 다시 진지하게 보기 시작했다. 과거에 어떤 일이 있었든 상관없이 이제부터는 비트코인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절을 모르는 세대가 비트코인과 수많은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것이다. 또한, 미국 SEC 의장도 바뀌었고, 디지털 자산에 반대하던 대부분의 정부 관련 담당자도 갈아치워지면서 미국에서 디지털 자산 관련 현실적인 제도와 규제가 완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즉,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 펼쳐질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도 빨리 모든 것들이 정상화되어 과거는 뒤로하고, 조금 더 미래 지향적인 자세로 모든 것을 바라보는 태도가 절실히 필요하다.

뚝심

나도 몇 번 포스팅 한 적이 있고, 요새도 아주 가끔 읽는 사토시 나카모토의 비트코인 백서는 2008년 10월 31일 발행됐고, 비트코인 자체는 2009년에 이 세상에 처음 소개됐다고 하는 게 맞을 것 같다. 당시 비트코인 가격은 0원이었다. 최초의 비트코인 랠리는 2010년 10월, 가격이 $0.10에서 $0.20으로 두 배 올라가면서 시작했고, 그 이후로 엄청난 up/down을 거쳤다.

<이미지 출처: Perplexity 검색 결과>

위의 차트는 비트코인 탄생 이후부터 지난주까지의 가격 변동을 보여주는데, 시간을 압축해서 15년을 하나의 차트로 보면 지속적인 우상향 그래프가 보이지만, 현미경으로 3개월이나 6개월 단위로 차트를 쪼개서 보면 그래프가 미친 듯이 위아래로 요동을 친다. 나는 2013년도부터 비트코인에 대해서 제대로 알게 됐고, 이때 코빗에 우리가 투자하면서 개인적으로도 비트코인과 다른 디지털자산에 관심을 가지면서 지금까지 소량의 비트코인을 꾸준히 사고 있다.

우리가 하는 초기 투자가 워낙 시간, 복리, 그리고 인내심의 함수라서 그런지, 그리고 내 성향 자체가 뭔가를 그냥 꾸준히 하는 편이라서 그런지, 나는 주식 투자도 사는 전략만 구사하지, 파는 전략을 실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내가 지금 보유하고 있는 상장 회사 주식도 몇 종류가 안 되는데, 이 주식 중 정말 오래 보유하고 있는 건, 24년째 보유하고 있다. 더 재미있는 건, 이 주식은 중간에 한 번도 팔지 않고, 24년째 계속 사고만 있다.

비트코인도 나는 아마도 아주 오랜 시간 동안 long and hold 전략을 구사할 것 같다. 내가 비트코인을 보유했던 지난 11년 동안 수천만 명 ~ 수억 명의 사람들이 비트코인은 망할 거라고 했고, 너무 많은 사람들이 그때마다 팔았고, 다시 반등하면 또 너무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샀다. 그럴 때마다 가격은 출렁거렸고, 정말 그때 순간순간을 생각해 보면 나도 인내심과 뚝심이 없었다면 아마도 어느 순간 모든 걸 다 팔았을 것이다. 실은 당시엔 이렇게 하고 싶은 유혹이 있었지만, 원칙이라고 하기엔 좀 개똥이지만, 내가 그동안 배우고 느낀 것들을 기반으로 세운 두 가지 원칙 때문에 계속 보유했고, 가격이 내려가면 오히려 좋은 자산을 할인된 가격에 살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고 더 샀다.

첫 번째 원칙은, 비트코인 자체에 대한 믿음이었다. 처음엔 그냥 재미로 샀고, 그 이후엔 계속 가격이 올라가니까 욕심 때문에 추가 구매했다. 그 기간 나는 공부도 많이 했고, 관련 회사도 많이 만났고, 투자도 하면서 이 신기한 신기루 같은 코드로 만든 인터넷 돈에 대한 호기심과 경외심이 생겼다. 그래서 가격이 폭락하고 남들이 다 팔고, 이제 비트코인은 망했다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릴 때 오히려 더 샀다. 워렌버핏의 “남이 욕심부릴 때 두려워하고, 남이 두려워할 때 욕심부려라.”라는 말을 워낙 좋아하기도 해서일 것이다.
두 번째 원칙은, 내 인생철학이기도 하다. 인생의 모든 좋은 것은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여기엔 인내심, 시간, 복리, 꾸준함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솔직히 나는 현재 비트코인으로 돈을 번 것도 아니고 잃은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아직 팔지 않았기 때문에, 이익도 없고 손실도 없는 상태이다.

어쨌든 이런 여러 가지 고민, 욕심, 두려움, 인내심이 지난 11년 동안 소위 말하는 뚝심이 됐고, 이 뚝심은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내 인생 모든 것에 적용되고 있다.

Tech 시장만 봐도 매번 이런 열풍이 불 때마다 우린 과한 버블을 목격한다. 비트코인은 말할 필요도 없고, 그 이후에 왔던 ICO, NFT, 메타버스 등, 모두 다 the next big thing을 꿈꾸면서 여기저기 옮겨 가기에 바쁘다. 그리고 이렇게 옮길 때마다 매번 하는 말은 “이건 좀 다르다. 이번엔 확실하다.”인데, 솔직히 이런 말 하는 사람치고 그 분야에 2년 이상 있는 사람을 못 봤다. 유행이 지나고,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른 곳으로 가고, 쉽게 돈 벌 수 있는 분위기가 다른 곳으로 가면, 다시 또 그 새로운 분야에서 얄팍한 지식을 쌓은 후에 마치 전문가 행세를 하면서 이게 next big thing이고, 이 분야에서 뼈를 묻을 것처럼 행동한다.

AI 시장에도 비슷한 양상이 보인다. 요새 ‘AI’라는 단어가 안 들어간 자료를 본 적이 없다. 다들 AI First 전략을 구사하고, 마치 반복적인 일을 하는 직업은 모두 다 바로 사라질 것처럼 호들갑을 떨고 있다. 그리고 똑같은 말들을 한다. 과거에 반짝했다가 크게 안 된 메타버스나 NFT와는 좀 다르다고. 뭐가 다르냐고 물어보면 그냥 대부분 “이게 새로운 미래입니다.”라는 영혼 없는 답변들을 한다. 하지만, 역시 대중은 잘 속고, 인류 자체가 건망증의 연속인 것 같다. 모든 관심도 돈은 AI에 몰리고 있다. 나도 AI가 대단하고 이렇게 빨리 바뀌는 기술이 과거에 있었겠느냐는 경외심을 갖고 있는데, 그렇다고 이것만 이 세상에 존재하는 기술과 사업일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내가 봤을 때, 유행 쫓기의 일인자들은 VC들이다. 뭔가 유행할 때마다, 이 분야의 전문가 행사를 하고, 이 특정 분야에만 투자하는 펀드를 만드는 사람들이 우리다. 이러다 보니 창업가들도 돈을 받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서 창업하거나, 전혀 상관없는 사업을 이 분야랑 엮으려고 한다. 여기에 또 속아 넘어가는 투자자들이 있고, 어쨌든 이 역사는 계속 반복되는 것 같다.

지금 AI를 종교같이 믿고 있는 많은 분들 중 5년, 10년 뒤에도 이 믿음을 가진 분들이 몇 명이나 될까? 과연 이 세상에 뚝심이라는 건 존재할까?

그래도 아직 존재하는 것 같다. 결국엔 이런 사람들이 잘 되는 걸 나는 이제 목격하고 경험하기 시작했다. 그만큼 모든 좋은 건 오래 걸린다. Things Tak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