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스타트업 바이블 – 좋은 문구 tweet 하기

one-click-tweet

이미 보신 분들도 있을텐데 블로그를 이쪽으로 옮기면서 스타트업 바이블 1과 2권을 위한 Books라는 별도의 섹션을 만들었다.

지금은 많이 없지만 책들이 처음 출간되었을 때 많은 분들이 스타트업 바이블에서 기억에 남거나 좋다고 생각하시는 문구들을 트윗했었다(나를 비롯해서). 그래서 누구나 다 간단히 one click으로 스타트업 바이블1과 2의 좋은 문구들을 트윗할 수 있게 ‘좋은문구 Tweet 하기‘라는 곳에 이 트윗들을 종합해서 정리해 놓았다(현재 약 200개의 문구들이 정리되어 있고, 이 중 20개씩 계속 랜덤하게 노출되도록 설정을 했슴).

그리고 이 리스트는 계속 보강하고 있으니, 스타트업 바이블을 읽고 감명깊었던 문구나 내용을 이 포스팅의 답글로 남겨주시면 검토한 후에 추가하도록 하겠다.

Straight shooter

Straight_Shooter-outline__3__1286990852우리가 앞으로 몇십 개 또는 몇백 개의 스타트업에 투자할지는 모르겠지만, 확률적으로 확실한 건 이 중 절반 이상은 망할 것이라는 거다. 재수 없으면 이 회사 중 90%는 몇 년 후에는 없어질 것이다. 안타깝지만 이게 바로 현실이며 현실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건 스타트업이 성공할 확률보다는 그렇지 못할 확률이 압도적으로 더 높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생이나 사업이나 잘될 때도 있고 그렇지 못할 때도 있다. 중요한 건 이런 인정하기 싫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동료들과 투자자들 그리고 비즈니스와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솔직하게 말하고 공유하는 것이다. 가끔 우린 창업가들이 상황이 좋을 때는 좋은 소식들을 굉장히 많이 공유하는 걸 보지만, 반대로 잘 안될 때는 잠수를 타버리거나 그냥 모든 게 괜찮다고 거짓말을 하는 걸 볼 수 있다. 물론, 나쁜 의도가 있어서 그런 건 절대로 아니라는 걸 잘 안다. 투자자들이 걱정할까 봐, 그리고 일시적인 어려움이며 곧 시간이 지나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굳이 공유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나는 우리가 투자한 모든 회사들에 오히려 좋은 소식은 공유하지 않아도 되지만 어려운 일이 생기거나 상황이 좋지 않다면 되도록 빨리 알려달라고 한다. 그래야지만 문제가 아직 크지 않을 때 상의하면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작은 문제라도 가만히 놔두면 곪아서 나중에는 걷잡을 수 없는 고민거리가 되어 버린다.

우리 같은 투자자의 처지에서 봤을 때 투자한 회사가 잘 안 되거나 망하는 건 항상 있는 일이다. 이런 게 대수롭지 않은 건 절대로 아니지만, 이 사업을 하다 보면 어쩔 수 없이 항상 경험하는 일이다. 솔직히 말해서 그냥 재무제표상 손실로 처리하고 다른 회사들에 집중하면 된다. 하지만, 이렇게 된 이유가 만약에 투자사가 우리한테 솔직하게 문제점들을 적시에 공유하지 않아서라면 이건 굉장히 사적인 문제가 되어버릴 수 있다. 서로에 대한 신뢰의 문제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팀은 앞으로 절대로 다시 투자하거나 비즈니스를 같이 하지 않을 것이다.

이 바닥에서 가장 중요한 건 투명성과 신뢰이다. 스타트업이야 하다 보면 안 될 수도 있고, 망하면 훌훌 털고 다시 시작하면 된다. 하지만 다시 시작하려고 할 때 주위에서 나를 믿어주고 도와주는 사람이 없다면 정말 힘들다. 신뢰는 한번 잃으면 절대로 – 특히 스타트업 같이 좁은 커뮤니티에서는 – 회복하기 힘들다.

<이미지 출처 – https://www.reverbnation.com/straightshooter>

What is a startup?

이 블로그 Startup Bible에 아주 잘 어울리는 동영상을 하나 공유한다. beLaunch 2014를 위해서 비석세스 팀에서 창업가들과 투자자들의 “What is a startup?”이란 질문에 대한 의견과 생각을 취합해서 정리한 2분짜리 동영상인데 (나도 잠깐 출연), 각자 스타트업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재미있고 신선하다.

개인적으로 Flitto 이정수 대표의 말이 제일 찰지다 (1분 26초):

Startup is where you find a bunch of idiots. Idiots – they don’t give a shit about failure. They just enjoy their way(병신들이미친놈들이 무더기로 모여있는 곳이 스타트업입니다. 이 병신미친놈들은 실패라는 걸 모르고 상관도 하지 않죠. 그냥 지들이 하는 걸 즐길뿐입니다).

모두 다 병신이 되어미쳐서 인생을 즐기자.

Unsubscribe 관련

나는 워낙 많은 블로그나 뉴스를 읽고, 여러 서비스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매체랑 서비스들로부터 정기 메일을 많이 받는다. 내 동의하에 메일을 구독한 경우도 있지만, 내가 모르고 동의했거나 동의하지 않았는데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마도 고객 정보를 여러 서비스들이 공유하거나, 계정을 만들면 자동으로 뉴스레터에 가입되는 거 같다.

어떤 사람들은 이런 이메일이 올때마다 하나하나 지워버리지만 나는 하나씩 다 수신거부 (unsubscribe)하거나 block을 시킨다. 별거 아니지만 이 수신거부 과정을 겪으면서 깔끔한 서비스와 그렇지 못한 서비스를 경험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그 회사의 성향까지 파악을 할 수 있다. 깔끔한 서비스들은 수신거부하는 프로세스도 깔끔하다 (참고로, 대부분 Mailchimp와 같은 뉴스레터 서비스를 사용한다).

가장 깔끔한 서비스들은 그냥 메일 하단의 ‘수신거부’ 버튼을 누르면 수신이 거부된다. 그냥 one-click 프로세스이며 그 이상 해야할 건 없다. 가끔 수신이 거부되었다는 마지막 이메일이 온다.

이보다는 약간 귀찮지만, 메일 하단의 ‘수신거부’를 누르면 새로운 브라우저가 열리면서 수신거부할 이메일을 입력하라고 한다. 입력하면 끝난다.

어떤 서비스들은 그 서비스로부터 받고 싶지 않은 이메일 내용들을 선택하라고 한다. 좀 귀찮지만 이 정도까지는 해줄만 하다.

여기까지가 내 인내심의 한계이다. 이 이상 다른 액션을 취해야 하면 그냥 이메일 자체를 block 해버린다. 혹시 현재 서비스를 운영하거나 준비하고 있다면 정기메일 수신거부는 위와같이 간단하게 하는 걸 권장한다.

미국에는 거의 없는데 내가 접한 많은 한국 서비스들은 수신거부를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몇일 전에도 한국의 온라인 서점이랑 전자상거래 업체 정기메일을 수신거부하려다 포기하고 그냥 Hotmail에서 block을 시켜버렸다. 많은 한국 서비스들은 수신거부 버튼을 누르면 그 사이트에 로그인을 해서 메일 수신을 재설정하게 만든다. 그런데 참 웃긴건 – 나같은 경우 – 내가 수신 동의 한 기억이 없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수신을 거부하려고 하는데 그 사이트 ID랑 비번을 기억할리가? 로그인을 못하니 수신거부도 못한다. 어떤 서비스들은 그 회사에 수신거부한다는 이메일을 보내라고 한다. 수신동의는 쉽게 하지만, 수신거부는 하지 말라는 소리로 들린다. 더 웃긴건 이렇게 힘들게 로그인해서 수신거부했는데 계속 정기메일이 오는 경우도 많다는 점.

참, 요샌 별로 없지만 수신거부 옵션이 아예 없는 서비스들도 있다.

Unhappy subscribers are worse than no subscribers. An easy way to unsubscribe is a way to make subscribers happy.
화난 메일 구독자들보다는 구독자가 아예 없는게 낫다. 쉬운 수신거부 기능은 메일 구독자들을 행복하게 한다.

beLAUNCH 2014 @DDP

올해로 우리 투자사 beSuccess가 주최하는 beLAUNCH 컨퍼런스가 3살이 되었다. 행사 준비와 실행은 비석세스 정현욱 대표와 그의 team이 전적으로 추진하지만 John과 나도 계속 사이드에서 지원을 해주고 있다. 해마다 느끼는거지만 이 정도 규모의 컨퍼런스를 소수의 인력이 준비를 하고 실행 한다는 건 정말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번 행사를 성공적으로 유치하는걸 보면서 beSuccess 팀한테 많은 걸 배우고 느낀다.

올해도 상당히 기대가 되는 beLAUNCH 행사이다. 일단 규모면에서는 2,000명 이상의 참석자가 예상되며 스피커, 내용 그리고 스폰서들 모두 작년 대비 업그레이드 되었기 때문이다. 장소도 강남의 COEX를 탈피해서 세계적인 건축가 Zaha Hadid가 설계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인데 나는 아직 들어가 보지는 않았지만, 이미 가본 분들에 의하면 매우 멋진 공간인거 같다.

한국에서도 이제 스타트업 관련 많은 유/무료 행사들이 열리지만, beLAUNCH 2014에 오셔서 멋진 경험을 하고 가시길. Let the craziness and party begin!

-When: 2014년 5월 14일(수) ~ 15일(목)
-Where: 동대문디자인플라자
Startup Battle 지원하기
Startup Booth 참여하기
표 구매하기

과거 beLAUNCH summary
-소개 동영상: beLAUNCH http://youtu.be/LsHriNljnXo | beGLOBAL http://youtu.be/iKH_0U1WHR4
-참석자 수: 1,300+ (2012), 1,700+ (2013), 2,000+ 예상 (2014)
-스타트업 전시 부스 수: 50 (2012), 100 (2013), 200+ 예상 (2014)
-과거 연사들: Phil Libin (Evernote CEO), David Lee (SV Angel), 정몽준 (현대그룹 회장) Aydin Senkut (Felicis), Bill Draper, Tim Draper, Adam Draper (Boost), Sarah Lacy (Pando Media), Jeff Clavier (SoftTech VC), Ben Huh (Cheezburger), 이석우 (카카오 대표), 김범석 (쿠팡 대표) 등
-과거 스폰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다음, 미래창조부, KISA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