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책의 종말 – Get Ready for eBooks

나는 한 달에 책을 1~2권 정도 읽는다. 단순히 독자로서 책을 읽을 때는 그냥 별 생각 없이 재미있는 책, 재미없는 책 이렇게 분류를 하면서 읽었는데 최근 약 1년 동안 출판사와 같이 작업을 하면서 출판업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 분야를 요새 조금 유심히 관찰하고 있다. 요새 출판업계의 화두는 ebook인 거 같다. 참고로, 미국과 유럽이 특히 그렇고 아직 한국은 그냥 눈치만 보고 있는 거 같다. 솔직히 전자책에 대한 말들과 전자책 device는 그다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1971년도에 Michael Hart는 Gutenberg Project를 통해서 다양한 종류의 e-book 프로토타입을 대중에게 소개하기 시작하였고 여기저기서 작은 제조업체들이 ebook 기기들을 만들어서 시장에 소개하였다. 그렇지만, 아직도 대중은 종이의 냄새, 잉크의 냄새 그리고 물리적인 책을 만졌을 때의 그 뿌듯한 보람과 느낌을 잊지 못하고 책은 무조건 종이의 형태로 소유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지 못하였다.

일반 소비자를 위한 첫 번째 ebook은 1990년대에 시장에 소개되었지만, 그 당시만 해도 휴대용 기기들이 마땅치 않아서 대중적인 인기도를 얻는 데 실패하였다. ebook을 읽을 수 있는 옵션은 투박한 컴퓨터 화면이나 아주 작은 핸드폰 화면만 있었기 때문이다. 2007년도에 Amazon이 Kindle을 시장에 소개하였다. 엄청난 콘텐츠를(Amazon.com의 책들) 기반으로 device를 파는 이 비즈니스 모델은 Apple이 iTunes와 iPod를 가지고 음악 시장을 완전히 바꾸어버린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새로운 각도에서 번들해서 파는 – 신개념의 device play를 그대로 재활용한 모델이었고 이때부터 ebook과 epublishing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10년도 4월 애플의 iPad 출시와 함께 ebook 시장은 말콤 글래드웰이 말하는 ‘tipping point’를 향해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Bold Predictions
8월 3일 Lake Tahoe에서 열렸던 Techonomy Conference에서 CNBC의 여성 앵커 Maria Bartiromo가 진행했던 패널에서 MIT Media Lab의 창시자이자 기술 전도사로 유명한 Nicholas Negroponte는 (그는 또한 “Being Digital: 디지털이다”이라는 책의 저자이다) 남들이 눈치만 보고 있는 와중에 매우 대담한 예언을 하였다. 그는 앞으로 5년 뒤에는 종이로 만든 물리적인 책은 멸종할 것이라는 말을 했다. 아마도 많은 사람이 이러한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힘들겠지만 이미 영화와 음악 산업의 전례를 보면 거부할 수 없는 현상이라는 말을 하였다. 1980년대에 코닥과 같은 회사들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부인하였지만, 많은 전문가는 물리적인 영화의 시대는 이미 끝났다는 예언을 하였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또한, 음반이나 CD 위주의 음악 산업이 이제는 완전히 디지털화된 것도 좋은 예라고 하였다.

물론, ‘멸종’이라고 해서 종이책이 완전히 사라지는걸 의미하는 건 아니지만, 앞으로 시장의 대세는 ebook이 될 것이라는 뜻이며 그는 좋은 예로 그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One Laptop per Child 프로젝트를 제공하였다. 이 저가의 노트북을 그는 수십만 권의 책을 디지털 포맷으로 채워서 제 3세계의 어린이들한테 보급할 수 있지만, 수십만 권의 책을 물리적으로 이 어린이들한테 선적해서 보내준다는 건 불가능하고 비효율적이라고 말을 한다.
“물론 모든 사람이 ‘no, no, no’ 라고 하겠죠. 아직도 서점이 좋고 도서관에 가서 책 냄새를 맡는 게 좋다고 하면서…그렇지만, 그들이 그렇게 이 변화의 물결을 부인하고 있는 바로 지금 변화는 진행되고 있습니다. 10년 후가 아닙니다. 바로 5년 후에는 ebook이 대세가 될 것입니다.”

TechCrunch의 편집자들 또한 매우 충격적인 예언을 한다. 앞으로 5년 후에는 동네의 작은 서점은 모두 문을 닫을 것이며, Barnes & Noble이나 Borders와 같은 대형 서점은 8년 후에 모두 문을 닫을 것이라고 한다. 더욱더 재미있는 사실은 2020년이 되면 모든 물리적인 도서관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 그때가 되면 CD나 레코드판이 우리의 기억 저편에 위치한 까마득한 추억이 된 것처럼, 종이책들은 박물관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유물이 될 것이라고 한다.
TechCrunch에서 인터뷰한 이미 ebook을 출판하고 있는 많은 작가는 ebook에 대해 좋지 않은 의견들과 불평들은 다 근거가 없다고 한다. 종이 책들이 냄새가 더 좋고, 이쁘고…그리고 ebook을 읽으면 눈이 나빠진다니 하는 이 모든 게 사실무근이라고 한다. 이런 말들을 하는 사람들은 애초에 책을 많이 사지 않는 사람들이며, 이미 지금 시중에서 구매 가능한 책 중 10%가 ebook이라고 한다.

버클리 대학교 주변에서 꽤 크고 성공적인 동네 책방을 운영하던 – 2008년도에 Barnes & Noble 때문에 결국 책방을 닫았던 – Andy Ross씨의 말을 빌리자면, “요새 출판업계에서 매일매일 들리는 말은 ebook밖에 없습니다. 저는 음악 산업과 비슷한 그림이 그려질 거 같아요. ebook이 표준이 될 날이 곧 올 것이며, 구텐버그의 500년 종이 역사는 그때 끝날 겁니다.” 그는 한 단계 더 나아가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종이책과 물리적인 서점의 장래는 매우 어둡습니다. 동네 책방은 말할 것도 없고, 대형 서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e-Reading
그런데 정말로 이런 예언들이 맞는 것일까? 물론, 음반 시장이 지금까지 걸어왔던 순탄치 않은 길을 하나씩 짚어보면 우리가 생각하는 거 보다 더 빨리 ebook이 메인스트림이 될 수 있을 거 같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확신이 서지 않는다. 책이라는 게 콘텐츠를 소비하기 위한 도구이기도 하지만, 소장가치 면에서도 정신적으로 큰 기쁨을 주는 물건이 아닌가? 이제 더이상 책으로 가득 찬 서재를 친구들과 가족들한테 자랑하면서 보여주지 못한다는 게 얼마나 우울한 상상인가? 그 대신 아이패드의 전자도서관을 보여줘야 하는 것일까? 이 힘들고 복잡한 질문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e-reading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자.

최근에 1,200명의 ebook 기기 사용자들을 (Amazon의 Kindle, Apple의 iPad 그리고 Sony의 Reader의 사용자)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그중 40%가 종이책만 읽을 때보다 ebook 기기를 가지면 독서를 더 많이 한다고 한 적이 있다. 올해 9월 말까지 약 1,100만 명의 미국인들이 ebook 기기를 소유할 것이라고 Forrester Research에서 예측하고 있으며, 작년 대비 올해 상반기에 미국에서의 ebook 매출은 약 183%나 성장하였다. 이미 아마존에서는 전자책 판매가 물리적인 책의 판매를 뛰어넘었다는 발표를 한 적이 있으며, Kindle을 구매한 고객들은 그전보다 3.3배나 많은 양의 책을 구매한다는 수치를 공식적으로 집계한 적이 있다.
매우 놀라운 숫자들이지만, 과연 Kindle과 iPad와 같은 기기들의 신선도가 떨어진 다음에도 e-reading이 이러한 성장을 해서 대중의 삶 속으로 파고 들어갈 수 있을지는 현재 미지수이다. 하지만, 항상 휴대할 수 있다는 – 물리적인 책이 도저히 따라올 수 없는 – 큰 차이점을 생각한다면 나는 개인적으로 e-reading이 대세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현재 내 iPad에 30권 정도의 책을 소유하고 있는데 비행기를 탈 때 30권의 종이책을 들고 탈 수는 없다.

또한, 전통적인 인쇄 기계에 의존하는 종이책과는 달리 최첨단 기술의 지원을 받는 ebook은 단순히 글을 읽고 이해하는 수동적인 독서에 뭔가 다른 차원의 interactivity를 가미한다. 아동 독서 작가인 Lynley Dodd씨는 “Hairy Maclary”라는 시리즈물에서 한 권의 책을 iPad App으로 만들어서 팔고 있다. 이 앱을 사용하면 부모님이나 애들이 책을 직접 읽는 걸 녹음할 수가 있고, 책을 보면서 동화책의 삽화를 직접 색칠할 수도 있다. ebook 기기는 또한, 두 손이 아닌 한 손으로 책장을 넘길 수 있으며, 아이패드와 같은 기기는 손가락으로 글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침대에서 불을 끈 상태에서도 기기의 백라이트를 이용해서 어둠 속에서도 독서가 가능하며 책을 구매하기 전에 무료 샘플을 다운받아서 읽을 수 있는 전통적인 종이책이 제공하지 못하는 장점들이 있다.

물론, 그렇다고 종이책만의 장점이 없다는 말은 아니다. DRM과 보안 기술 때문에 우리는 좋은 책들을 친구와 가족들과 같이 나누어볼 수 있는 미덕을 ebook을 통해서는 누릴 수가 없다. 또한, 비행기 이/착륙하는 기간에는 모든 전자기기를 꺼야 하기 때문에 옆에 앉은 할아버지가 종이책을 읽을 수 있는 동안에 독서의 즐거움을 당분간 접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여기 Wall Street Journal에서 제시하는 e-reading 관련 재미있는 숫자들을 몇개 소개한다:

  • 지난 1년동안 ebook 기기 소유자들의 51%가 그 전보다 전자책을 더 많이 구매함 (종이책은 9%)
  • ebook 기기로 한달에 읽는 독서량은 2.6권 (종이책은 1.9권)
  • 2008년 대비 2009년도 미국 종이책 판매량은 1.8% 감소
  • 2009년 미국에서의 ebook 판매량은 176% 증가
  • ebook 기기 소유자들의 51%가 매일 ebook 기기로 독서를 함
  • ebook 기기 소유자들의 86%가 일주일에 한번 이상 ebook 기기로 독서를 함

Books vs. E-Books
그러면 일반적인 종이책과 전자책을 조금 더 자세히 항목당 한 번 비교해보자:
1. 생산비용 – $4.05 ($26짜리 종이책) vs. $0.50 ($9.99 전자책 다운로드)
2. 작가한테 떨어지는 원고료 – $3.90 (종이책 한 권당) vs. $2.12 (다운로드 한 건당)
3. 무게 (같은 책 기준) – 1kg 종이책 vs. 0.01kg 킨들 ebook 기기
4. 탄소 배출량 – 50권의 종이책을 만드는데 필요한 탄소 배출량과 1개의 ebook 기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탄소 배출량이 동일 (아직은 종이책이 조금 더 green 한 선택)
5. 2009년도 매출 – $2억5천만 (종이책) vs. $2,900만 (ebook 다운로드)
6. Jane Austen의 “Seven Novels” 가격 – $12.99 (종이책) vs. 공짜 (Kindle Version)

500년 동안 존재하던 종이책과 이제 갓 시작하는 전자책을 이렇게 개별로 비교하는 게 조금은 억지스러운 면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서로 장단점이 존재하는 거 같다. 물리적인 종이책을 손에 쥐는 뿌듯함과 진열대에 배치된 책을 보는 것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건 ebook을 통해서는 절대로 느낄 수 없는 정신적인 즐거움이며, 소중한 친구들과 좋은 책을 서로 빌려보는 공유의 미덕 또한 종이책으로만 경험할 수 있는 색다른 재미이다. 하지만, ebook의 상대적인 저렴함, 휴대성 그리고 날이 갈수록 발달하는 전자책 관련 기술들 또한 ebook을 우리가 무시하면 안 되는 중요한 요인들이다.

The Future of eBooks
그러면 ebook의 미래에 대한 내 생각은? 음…솔직히 출판업의 “출”과 “판” 자도 모르는 내가 감히 이런 예측을 하는 게 조금 우습지만, 지금까지 내가 꼼꼼하게 읽고 느낀 점들을 종합해서 몇 마디 할 수 있다면 나도 ebook에 큰 한 표를 던질 수밖에 없다. 1998년도에 대박 히트한 Meg Ryan 주연 “You’ve Got Mail” 이라는 영화에서 맥 라이언이 운영하는 작은 책방이 대형 체인 서점과의 경쟁에서 밀리는 걸 우리는 목격했다. 1980년대에 큰 성장과 수익을 누릴 수 있었던 이러한 대형 서점들은 불과 10년도 채 되지 못해서 Amazon과 같은 인터넷 책방으로부터 시장을 빼앗기기 시작하였으며, 700개 이상의 물리적인 서점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서점 체인인 Barnes & Noble은 8월 초에 시장에 매물로 나와서 모두를 깜짝 놀라게 했다. 참고로, Barnes & Noble은 현재 아주 추잡한 적대적 인수의 싸움에 휘말려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깜짝 놀랐던 게 700개 이상의 건물에서 책 장사를 하는 Barnes & Noble의 시가총액이 1조 3천억 원밖에 안된다는 거였다. 참고로, Amazon의 시가총액은 무려 70조 원이다.

또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126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Oxford Dictionary를 이제 더 종이책으로 만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며칠 전에 Oxford University Press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연간 $295를 내면 온라인 사전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에 비해서 옥스포드 사전을 책으로 마련하면 20권짜리 사전이 무려 $1,165이라고 한다. 1989년도에 출판된 버전은 21년 동안 30,000권밖에 팔리지 않았지만, 옥스포드 사전 온라인 서비스는 매달 2백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고 하니 그럴 만도 하다.

세계 최대의 서점이 되어버린 Amazon에서 3년 전에 Kindle을 출시하였는데 3년 만에 이미 종이책보다 더 많은 수의 Kindle 버전의 전자책을 판다고 Jeff Bezos가 발표한 적이 있으며, 올해 안으로 종이책보다 Kindle용 ebook을 더 많이 팔 것이라는 예측을 그는 공식적으로 하였다. 여기에 6개월도 안 되어서 이미 3백만 개가 넘게 팔린 Apple의 iPad와 Google이 곧 출시할 eBook Store를 고려해보면 구텐버그가 지하에서 대성통곡할 만도 하다. 확실히 출판업계에도 기술이 미치는 지대한 영향으로 인해서 큰 지각 변동이 예상되며, 이 바닥에서는 피튀기는 싸움이 벌어지겠지만 모든 게 그렇듯이 이러한 싸움의 최대 수혜자는 바로 우리 소비자들이다. 더 저렴한 가격에 책을 구매할 수 있고, 굳이 차를 몰고 책방에 가지 않고 그냥 원 클릭으로 구매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는 혜택을 우리는 이미 누리고 있다. Kindle보다 역사는 짧지만 나도 얼마 전에 산 애플의 iPad는 e-reading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바로 컬러 독서를 가능케 하고 있다.

앞서 말한 Barnes & Noble과 아마존의 시가총액: 1조3천억원 vs. 70조원 – 바로 기술을 이용한 유통의 경제성과 ebook이 지배할 세상에서의 종이책의 암담한 미래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숫자들이다. 책 장사를 하시는 분들이 보면 말도 안 된다고 하시겠지만, 객관적인 data를 그렇게 부인할 수도 없을 것이다. 과연 ebook의 시대가 올까 말까는 논의조차 하지 말자. 그건 기정사실이다. 이미 그 혁명은 시작되었다. 우리가 진짜로 물어보고 출판업자들이 걱정해야 하는 건 과연 언제일까이다. 5년 후, 10년 후 아니면 1년 후?

아직도 이건 말도 안 된다고 고개를 갸우뚱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미국 레코드 공업협회에서 따온 자료를 소개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음악 시장인 미국의 경우, 현재 디지털 음악의 매출은 전체 미국 음악 시장의 40%를 차지한다. 0%에서 40%까지 되는데 소요된 기간은 단지 8년이었다.”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스타트업 바이블 iPad 후보 리스트

<스타트업 바이블>이 출간된지 벌써 3주가 되었다. 적절한 타이밍과 – 최근 우리나라 뉴스를 보니까 이명박 대통령이 벤처에 대한 이야기를 갑자기 많이 하는거 같다 – 교과서적인 이론보다는 개인적인 경험에 의거한 내용들 때문에 반응이 나쁘지는 않을거 같다는 생각을 출간 전에 하였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시장의 반응은 기대 이상으로 매우 긍정적이었다. 나는 전문작가도 아니고, 책을 팔아서 돈을 벌 목적으로 안그래도 없는 시간을 쪼개서 굳이 책을 낸게 아니기 때문에 이런 기대 이상의 반응에 매우 놀랍고 감사할 따름이다.

#khbae 트윗 중에는 상당히 재미있고 나를 감동시킨 내용들이 많았다. 아이패드도 당연히 탐나지만, 그래도 이런 창의적인 트윗들이 단순히 아이패드를 타기 위함이 아니기를, 아직도 대한민국에는 뜨거운 열정을 가지고 뭔가를 해보겠다는 젊은 친구들이 많기 때문이기를, 13,000원 짜리 책에서 13,000원 이상의 그 무엇을 독자들이 배우고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마음이다. 여기 그 중 가장 창의적인 트윗을 소개한다. 이 트윗 중 2개를 선택하여 아이패드를 발송할 계획이다:

(@WWWOJS) 대한민국이라는 주식의 구매의사를 YES로 만들어 드리겠습니다.책에 투자하신 시간과 땀은 이미 보람차십니다. 감사합니다. 건승하시고 행복하세요. 내년이 가기전에 한번 찾아뵙겠습니다

(@coldim) 거창하게 ‘창업’이나 ‘스타트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싶지는 않지만 항상 ‘내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은 최근 몇 년 들어 계속 머리 속에 자리잡고 있다. ‘스타트업 바이블’은 여러모로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 노하우와 자극을 안겨 준다

(@gkgaron) 스타트업바이블, 이책은 “제2의 벤처붐을 위하여”라고 수식어를 달았지만 “벤처붐”은 그 한 예일 뿐 : “열정, 자유, 개성의 촉진을 외치는 책”이다. 벤처가 불가능한 곳에서도 열정과 자유, 개성의 촉진. 그것이 진짜 원하는것 아닐까.

(@nozino) 스타트업 바이블은 창업을 꿈꾸는 젊은이를 벌떡 일어나게 하고, iPad는 휴일날 낮잠만 자더 나를 벌떡 일어나게 한다!! 어여와라 iPad야~ 8월 16 ~ 30일 <스타트업 바이블> iPad 증정 이벤트

(@jasonbluecolor) [짧은 서평]수많은 실리콘밸리의 창업서를 읽어왔지만, 한국의 실상에서의 스타트업을 정확하게 가이드 해주고 있다. 이 책이 2년만 먼저 나왔더라도 나는 2년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을 텐데, 가이 가와사키에게는 없는 동지의식과 따뜻함이 있는 책이었다. 가이 가와사키는 어느정도 성공한 벤처 기업인으로서 창업자들을 가르치고 있다면 저자인 @khbae 님은 함께 회사를 운영하는 벤처 기업인으로서 따라오는 스타트업들에게 따뜻한 조언을 해주고 있다. 은퇴한 베이브 루스가 현역의 추신수를 이길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비유입니다 하하) @khbae님께 부탁이 있다면 꾸준히 책을 써 주시는 것과 뮤직쉐이크와 앞으로의 역사를 계속 기록하여 후배들에게 조언을 계속 해주시길 바라는 것이지요. 그것이 성공의 역사이건, 실패의 역사이건 말이에요

(@ juntae22) 올 여름보다 더 뜨거운 열정을 가진 분들께 <스타트업바이블> 추천!! 아는 형과 카페에 마주앉아 생생하고 진솔한 창업이야기 듣는 느낌

(@inJoey) <스타트업바이블> 완독. ‘이 세상에 돌멩이 하나라도 던져보고 싶어하는’ 모든 스타트업들에게 살아있는 이야기를 들려주신 @khbae 배기홍님께 감사드립니다:) 가장 인상적인 구절 찍어서 남깁니다.

(@gyuchulcho) 스타트업 바이블은 비노드 코슬라를 창업이란 독에 걸리게 한 벌레가 낳은 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알을 취한 자들은 코슬라가 물들었던 그 독을 고스란히 이어 취하게 될 거라 본다.

(@payload1) 20 살대학생, 모두가 취업을 걱정하는 가운데 창업을 꿈꿔왔다. 우연히 알게된 스타트업 바이블은 목표를 더 확실히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신의 한계는 스스로 결정한다고, 시작도 하지않고 포기하기보단, 나를 위해 내가 하고싶은 일을 해보자!

(@Changhun) 과학고를 졸업하고 멀쩡한 대학을 다니다 하고싶은 창업을 위해 다 때려치고, 9월12일 일본으로 출국하는 친구에게 책을 선물하며 약속했습니다. “우리 미친개처럼 달려들자!”

(@hyunhokim78) 드뎌 시작된 Startup bible읽기로 머리가 복잡해져오고 가슴이 두근대고 안절부절하게 된다면 어떤 처방이 필요한거죠?ㅋㅋ 점점 내 마음이 조급해 지는것이 이러다 일 터트릴 시간이 당겨질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감사합니다

(@yuzeeeee) 내 마음의 No.1 베스트셀러 <스타트업 바이블>이 No.1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그때까지 모두들 필독^^!

(@leejeongho) PC통신에서 인터넷으로 급변하면서 구글, 네이버 같은 회사가 시작되었듯, 개인 PC에서 스마트 폰으로 인터넷이 이동하고 있는 지금! 새로운 기회도 함께 있습니다. <스타트업 바이블>

(@iamleedh) 한가지 아쉬운 점은 배기홍님의 경험담이 미국에서 겪으신 일들이 많아서 국내 실정에 적용하기엔 다소 맞지 않는 부분도 있어 보였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이런 부분에 대해서 배기홍님께 보다 많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rest515) 책을 산 직후 선물로도 받은 <스타트업 바이블>. 창업엔 어려운 순간이 많다는 구절에 오히려 기운이 난다. 일희 일비하지 않고 될 때까지 계속 두드려야지. 그런 일을 찾았으니까

(@park_sangjun) 신간 <스타트업바이블>에서 말하는 청년 창업의 3대 조건 “아이디어”, “돈”, “사람” 중에~, 그~ 중에~ 제~일은~ “사람”이라~~ (내 생각에 그렇다. ^^

(@junsgtw) 오늘 대통령,젊은 친구들의 창업을 격려 하며 적극 돕겠다고 하는 미팅을 가졌었는데, khbae 님이 적절한 시기에 출간한 <스타트업 바이블>이 많은 이에게 지침서가 되겠네요!

(@withoutdk) 이책읽고 너도나도 스타트업 해버리면 대체 펀딩은 누가 해주나 걱정했습니다.

(@daekeyen) 항상 머릿속에 생각만 하고 있던 “창업”이라는 두 글자. 그런 나의 작은 소망에 불을 지펴주는 책, <스타트업 바이블>. 행동하던지, 닥치던지에 나오는 말 처럼 당장 행동으로 옮기는 꿈꾸는 실천가가 되겠습니다

중국 vs. 구글 – 현재 스코어 2대1

중국인, 중국놈, 짱깨
나는 인종차별 주의자가 아니다. 내 친구들 중에는 당연히 한국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속마음을 편하게 털어놓고 술한잔 하면서 꼬장부릴 수 있는 외국인들도 상당히 많이 있다. 그런데 유독 나는 중국인들을 (짱깨들)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왜 그런지 잘 모르겠지만 (인종차별하는건 절대 아니다), 중국에서 태어난 중국인들도 그렇고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인들도 마찬가지로 그다지 정이 잘 안간다. 그래서 그런지 유독 중국인 친구들이 내 주위에는 그다지 많지는 않다. 참고로, 그다지 많지 않다는거랑 아예 없다는거랑은 완전히 다르다 – 스탠포드에서 내 룸메이트였던 중국인 친구 Bon은 내 부랄친구들만큼 나랑 각별한 사이이며, 작년 겨울에 Bon 결혼식 참석하려고 우리 부부는 대만까지 날라갔다왔다.
하지만, “중국인들”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들이 그다지 좋지않아서일까…사기꾼들, 더러운놈들, 인간이 할 수 없고 하면 안될 일들을 밥먹듯이 하는 놈들…뭐 나한테는 중국인들이 이런 이미지로 밖에 다가오지 않는다. 내가 중국을 싫어하던 말던, 중국은 명실상부한 세계 최대의 시장이다. 물론, 아직 그 가능성이 100% 실현되지는 않았고 언제 현실화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느려터진 중국인들이 요새 매우 빨리 움직이고 있고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의 시장이될 날이 얼마 남지 않은거 같다. 하지만 아직도 중국에서 비즈니스를 상식적으로 하는건 매우 어렵다고 중국에서의 경험이 많은 주위분들은 말을 한다.

실리콘 밸리의 darling인 구글이 요새 중국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떠오르는 아시아의 슈퍼파워인 중국과 직접 한판 떠보자고 맞장을 뜬 기업은 아마도 구글이 최초일것이다. 겉으로 봐서는 censorship과 관련된 대국과 대기업의 자존심 싸움이지만, 그 내면에는 겉으로 봐서는 이해하지 못할 중국인들의 문화와 사고방식이 복합적으로 작용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사업과 관련된 에피소드는 아니지만, 여기 전직 기자출신의 미국인 저자 Warren Kozak씨가 80년대 중국에서 특파원 생활을 하면서 경험하였던 재미있는 일화를 소개한다:

1985년 여름이었습니다. 제가 살고 있던 동네 벽과 전봇대에 “친선 수영 대회” 관련 내용의 벽지들이 하나씩 붙기 시작했죠. 그당시 저는 다른 외국인 특파원들과는 달리 일부러 외국인 동네가 아니라 중국인들만 사는 동네에서 살고 있었지만, 중국 이웃들과 친해지고 어울리는게 쉽지 않았습니다. 밖에서 중국인들을 만나면 눈웃음과 “안녕”이라는 말을 하지만서도 직접 교류할 기회가 없다는게 저와 같이 외향적인 미국인으로써는 항상 안타까웠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수영 대회를 통해서 제 중국 이웃들과 친해져야겠다는 생각으로 “친선 수영 대회” 중 3종목이나 참가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저는 운동을 그다지 즐기거나 잘 하는편은 아니었지만, 고등학교때 수영팀의 멤버로써 수영을 즐겼기 때문에 대회에서 우승은 못해도 쪽팔림을 당하지는 않을거라는 생각으로 시합에 임하였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제가 참가한 3 종목 모두 제가 우승을 하였습니다. 상금이나 상품이 대단하지는 않았지만, 받은 상품을 모두 중국인 친구들과 이웃들에게 다시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런데 그 이후로 뭔가 조금 이상한 느낌을 받기 시작하였습니다 – 중국에 꽤 오래 살았는데 이런걸 처음부터 간과하였던 제가 바보였죠. 하루는 직장 동료랑 길을 걸어가고 있는데 잘 모르는 중국인이 저를 손가락으로 가르키면서 “yo yung”이라는 말을 하더라구요. 친구한테 물어보니까 중국어로 “수영선수”라는 뜻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시합 우승 이후로 우리 동네 모든 사람들이 저를 “수영선수”라고 부르는걸 저만 모르고 있었던거였습니다. 솔직히 저는 수영대회와 관련된 일들을 이미 다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그 말을 듣고 웃으면서 제 동료한테 2주 전에 제가 수영대회에 나가서 3종목에서 우승을 해서 그럴거다라고 설명을 하였습니다.
몇일후에 제 중국인 동료가 저한테 다가오더니 제가 다른 수영 대회에 초청을 받았다고 알려줬습니다. 이번 수영대회는 누구나 다 참가할 수 있는 open 대회가 아니라 초청을 받아야지만 참가할 수 있는 대회라서 저는 솔직히 매우 감사하게 이 대회 초청을 기꺼이 수락하였습니다. 대회 당일은 매우 더운 날이었는데 제가 아무리 기다려도 제 이름을 부르지 않았습니다. 땡볕에서 제 이름이 불릴때까지 기다리다 지쳐있는데 드디어 제 이름을 불러서 출발선에 다른 중국 선수들과 나란히 섰습니다. 참고로, 저는 그 대회에 참가한 유일한 외국인이었습니다. 시작을 알리는 총소리가 들리자마자 저는 제 레인으로 다이빙을 했는데 물속에 들어가자마자 이번 대회는 좀 힘들겠구나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정말 최선을 다해서 수영을 하였지만, 나머지 선수들이 너무 빨랐고 결국 저는 꼴찌로 대회를 끝냈습니다. 이 시합을 지켜봤던 제 미국인 동료는 마치 프로 수영 선수 대회에 아마추어 양놈 한명이 물장구를 치는거 같았다고 하였습니다. 피곤한 몸뚱아리를 간신히 물밖으로 꺼냈을때 어떤 중국인이 저한테 다가오더니 씩 웃으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당신 수영 굉장히 잘했어. 그런데 다른 선수들은 더 잘하더라구.”
사태 파악을 하는데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이번 수영대회는 가짜였고, 중국인들이 짜고친 고스톱 판에 제가 걸려들었던 거죠. 2주 전에 3종목을 우승하면서 저는 외국인으로써 중국인들한테 일종의 건방진 도정장을 던진것이었고, 중국인들은 이런 저를 응징한거였습니다.
저는 25년이 지난 지금도 이 일을 생각하면 웃음이 납니다. 과연 미국인이라면 외국인한테 본때를 보여주기 위해서 일부러 이렇게 가짜 수영대회까지 만들어가면서 오바하였을까하고…

구글 vs. 중국
이런 작은 동네에서 벌어진 일들조차 중국 당원이 예의주시하고 있고 그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였다면, 중국의 모든 이메일과 웹서핑 활동이 중국 정부의 감시를 받는다는게 상상이 간다. 이런 말도 안되는 나라를 상대로 지금 구글이 하고 있는 일련의 행동들은 매우 용감하다고 생각된다. 어떻게 보면 구글 정도 되니까 이렇게 중국을 대상으로 맞설 수 있겠지만, 그래도 여러모로 봤을때 존경스럽고 칭찬할만하다.

지금까지 구글 vs. 중국간에 있었던 일들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998 – 구글 창업
2000 – Google.com의 중국어 버전을 운영/제공하기 시작
2002 가을 – Google.com이 일시적으로 중국에서 접속 불능. 2주 후에 정상으로 복귀
2006 1월 – 외부의 거친 비난속에 Google.cn 서비스 시작. 중국어 서비스를 운영하는대가로 구글은 중국 당국이 제한하는 몇몇 웹사이트들을 막음. Google.com 중국어 버전은 필터링없이 계속 운영
2006 6월 – Google.com이 중국에서 접속 불능. Google.cn은 정상적으로 작동
2007 9월 – 베이징으로부터 Google.cn이 공식적인 사업 라이센스를 받아서 운영됨
2008 12월 – 중국 최대의 검색 엔진인 Baidu를 대상으로 베이징은 미디어 마녀 사냥을 강화. 중국 당국은 구글을 포함한 많은 검색 엔진들이 불법 의료원 웹사이트들의 광고를 호스팅한다고 거세게 비판
2009 1월 – 구글의 검색 결과에 포르노그래피가 필터링 없이 그대로 보여진다고 중국 정부가 구글을 비난
2009 6월 – 중국 정부는 구글 검색 결과의 포르노그래피 컨텐츠와 관련 구글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킴
2010년 1월 – 구글은 중국 서비스의 검열을 중단하고 중국 시장에서 철수할 준비가 되었다고 발표
2010년 3월 – 구글은 중국 서비스의 검색 결과가 검열되는 기능을 제거하였다고 발표. Google.cn의 검색 query는 이제 Hong Kong에 있는 서버로 redirect 됨
2010년 6월 – 베이징은 6월말까지 Google.cn을 완전히 닫아버리겠다고 협박

위의 timeline 중 가장 주목할만한 사건들은 2010년 3월말에 발생하였다. 3월30일 새벽 5시부터 구글의 중국 서비스가 먹통이라는 내용의 글들이 인터넷에 올라오기 시작하였다. 이미 구글은 중국 정부의 독재에 대항하여 Google.cn의 모든 검색 query를 홍콩 사이트인 Google.com.hk로 redirect하고 있었는데, 바로 이 홍콩 서비스까지도 먹통이 되었다는 보고들이 계속 올라오고 있었으며, 심지어는 Google.com의 중국서 서비스마저 잘 안된다는 중국 네티즌들의 불평이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같은날 오후 12시반 정도에 구글의 PR 팀은 문제를 파악하였으며, 구글의 내부적인 문제라고 발표하였다. 구글의 검색 결과의 URL에 실수로 텍스트를 몇개 더 추가하는 버그때문에 실수로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하였으며, 이 문제점에 대해서 조금 더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기까지 하였다. 웹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당연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겠구나 모두가 그러려니 하고 생각하였으며, 곧 이 문제가 해결되겠지하고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4시간도 채 되지 않아서 구글은 이 발표를 번복하였고, 중국의 “Great Firewall”한테 이번 문제의 책임을 돌렸다. 즉, 그간 구글의 중국에서의 행동이 상당히 맘에 들지 않았던 중국 정부가 본때를 보여주기 위해서 구글의 중국 서비스를 막아버렸다는 주장이었다.
이러한 구글의 입장에 대해서 중국 정보통신부 대변인 Wang Lijian씨는 중국 정부는 구글의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전혀 아는바가 없다는 말만 하고 일체 그 이상의 어떠한 설명도 제공하지 않았다. 그리고 구글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중국에서 완전히 철수하는걸 아주 심각하게 고려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하면서 전세계는 제1차 인터넷대전이 과연 언제 시작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켜보기 시작하였다.

세르게이 브린 (Sergey Brin) vs. 중국
그동안 잘 참고 있던 구글이 갑자기 왜 이렇게 과격한 결론을 내렸는지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구글의 아버지 중 한명인 Sergey Brin을 잘 이해해야한다. 소련 태생으로 소련에서 유년을 보낸 세르게이는 언론의 압박과 검열이 얼마나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박탈하는지를 몸소 경험하면서 어린시절을 보냈다. 세르게이의 가족은 그가 6살이되던 1979년도에 자유를 찾아서 미국으로 이민을 왔다. 지금도 가끔 그의 가족은 그들이 왜 조국을 버리고 미국으로 이민왔는지 그당시 기억을 떠올리면서 이야기를 하곤한다. 세르게이의 아버지는 우주물리학자가 되고 싶었지만 소련 당국의 압박으로 인해서 수학자의 길을 걸었고, 이러한 그의 가족들을 소련 경찰들은 정기적으로 감시하고 가택수색을 하였다고 한다. 그가 미국으로 오지않고 계속 소련에 남아있었더라면 오늘날의 구글이 과연 탄생할 수 있었을까 지금도 가끔 스스로에게 자문을 한다고 그는 말을한다. Entrepreneurship이라는 단어 조차 낯설은 소련에서는 불가능했을것이다.
이런 그였기에 개방형 플랫폼인 인터넷의 검색 결과를 검열하고 제한하는 중국의 정책을 그는 처음부터 못 마땅하게 여겼던것이 너무나 당연한것이다. 실은 세르게이는 4년전 구글이 중국 정부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서 검색 결과를 검열하면서까지 중국 서비스를 시작한거를 서비스 launch 당일날까지 반대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그의 마음을 바꾸게 하였던것이 바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었다. 중국 정부는 베이징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많은 인터넷 정책을 비즈니스하기 좋은 방향으로 수정하였으며, 그 결과로 인하여 구글의 검색 결과 검열 수준도 점차 낮아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도 올림픽을 위한 눈가리고 아옹정책이었을까…올림픽이 끝나자마자 중국 정부는 전보다 훨씬 강도높게 인터넷 검색 결과를 검열하기 시작하였고 구글의 사소한 정책 하나하나에 대해서 사사건건 제동을 걸기 시작였다.

세르게이 브린은 그때 마음속으로 결심을 하였다. “Don’t be Evil”은 그냥 글로만 존재하는 구글의 모토가 아니었다. 바로 세르게이와 래리가 직접 만들었던 구글의 사훈이자 모든 직원들이 마음속으로 지켜야하는 원칙이며, 더 이상 중국이라는 Evil한테 휘둘리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였다.
“중국은 근래에 눈부신 발전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검열과 관련된 정책에서는 독재주위의 냄새가 진동을 하고 개인적으로 이러한 사실들이 상당히 불쾌합니다. 그동안 구글은 중국의 인터넷 비즈니스의 발전과 중국의 네티즌들을 위해서 많은것을 희생하면서 중국 정부의 요구에 응하였지만 이제는 누군가는 중국의 독재에 제제를 가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그는 이번 사태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였다.

자본주의의 승리
자, 여기까지의 일련 사태들을 보면서 나는 정말 구글이 뱃짱이 두둑하고 어쩌면 정말로 중국에서 완전히 철수를 할 수도 있을거 같다는 생각을 잠깐 한적이 있다. 과연 구글이 중국에서 철수하게 되면 다른 IT/비 IT 기업들의 반응이 어떨까? 미국과 중국의 관계는? 그리고 4억명의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은?
BUT (and this is a big BUT), 아무리 구글이 “Don’t be Evil”을 외치고 세르게이 브린이 “저는 중국 정부가 싫어요”라고 외쳐도 자본주의는 항상 승리하기 마련이다. 2010년 6월 29일, 구글의 법무팀을 이끄는 David Drummond는 구글의 “새로운 중국 전략”을 발표하였다. 주 내용은 Google.cn에서 Google.com.hk로의 redirect를 멈추고 구글의 중국 서비스를 재개하겠다는것과 검열된 검색 결과를 보여주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홍콩 구글 사이트의 검열되지 않은 검색 결과의 링크만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머리는 잘 썼다 – 검색 결과를 검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계속 고수하면서도 모든 검색 query를 홍콩 서버로 redirect하는건 중단한것이다. 왜 그랬을까? 안그러면 중국에서 Google.cn의 비즈니스 라이센스를 갱신하지 않을것이고, 그렇게 되면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에서 구글은 철수를 해야할것이니까.

한마디로 정리하면 중국이 시키는대로 하겠다는 매우 실망스러운 발표였다. 솔직히 어느정도 예상은 했던것이다. 끈임없이 이윤을 만들어야 하는 회사가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에서 비즈니스를 안하겠다는건 정말 멍청하고 논리적으로 말이 안되는 말이니. 내가 구글의 사장이라도 당연히 이렇게 했을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는 이 씁쓸하고 허전한 기분은 무엇일까…구글과 중국의 싸움은 비즈니스적으로 right or wrong 보다는 도덕적으로 right or wrong의 성격이 강하였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나 GE같은 회사들도 힐끔힐끔 눈치만 보는 중국 정부의 면상에 갖다대고 “FUCK YOU”라고 말한 구글을 통해서 그간 솔직히 대리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역시 돈앞에는 장사없고 자본주의는 항상 승리한다는 사실이 조금은 슬프고 실망스러운 그런 밤이다.

스타트업 바이블

1999년 11월, 스탠포드 대학.

나는 작은 강당에 앉아 대형 스크린에 비친 커다란 파도 그림을 멍하니 바라보고 있었다. 금요일 오후인데도 강당은 학생들로 가득 차 앉을 자리가 없을 정도였다. 시험이 얼마 전에 끝나서인지 바닥에 쪼그리고 앉은 학생들의 얼굴에는 피곤한 기색이 역력했다. 5분 정도 기다렸을까. 한 말쑥한 인도 신사가 연단 위로 올라왔다. 짧은 백발과 깊은 눈매가 매우 인상적인 사람이었다. 마치 현자와도 같은 그의 모습에 강당에는 알 수 없는 긴장감이 감돌기 시작했다.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의 설립자이자 ‘실리콘 밸리 미다스의 손’, 비노드 코슬라(Vinod Khosla)의 등장이었다.

오늘의 강연자 비노드는 연단에 서서 학생들을 천천히 둘러보았다. 그리고 수십 년 전 인도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불가능한 꿈을 키웠던 소년 비노드의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했다.

인도 푸네의 열악한 환경에서 자란 그는 열다섯 살 되던 해에 우연히 책 한 권을 손에 쥐었다. 책에는 앤디 그로브라는 한 모험가의 이야기가 실려 있었고, 소년은 그 짧은 이야기에서 평생의 지침으로 삼을 만한 위대한 교훈을 발견했다. 어린 비노드가 읽었던 것은 인텔을 평범한 메모리칩 제조업체에서 세계적인 대기업으로 일궈낸 바로 그 앤디 그로브(Andy Grove)의 이야기였던 것이다.

새로운 꿈을 가진 비노드는 이후 인도의 MIT라고 불리는 인도공과대학(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을 졸업하고,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공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어 스탠포드 대학에서 MBA과정을 수학하던 중 스콧 맥닐리(Scott McNealy), 앤디 백톨샤임(Andy Bechtolsheim)과 운명적인 만남을 갖게 된다. 함께 공부하며 의기투합한 세 사람은 스탠포드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전 세계 IT업계의 새 시대를 연 역사적 기업,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를 설립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그로부터 5년 후, 그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를 돌연 그만 두고 실리콘 밸리의 명문 벤처 캐피탈 기업인 클라이너 퍼킨스(Kleiner Perkins Caufield & Byers)에 합류해 자신의 또 다른 사명을 실행에 옮긴다. 바로 가난하지만 꿈을 가진 청년 창업가들을 돕는 일이었다. 비노드는 벤처캐피탈 업계에서 빠른 속도로 두각을 나타냈고, 곧이어 ‘실리콘 밸리의 미다스의 손’이라는 별칭까지 얻게 된다. 그가 투자하는 스타트업은 99.99% 성공한다는 소문 덕분에 생긴 명예로운 칭호였다.

“그러니까 열다섯 살 때, 저는 ‘창업’이라는 무시무시한 독을 가진 벌레에 물렸던 것입니다.”
비노드는 앤디 그로브로 인해 지니게 된 창업에 대한 열정을 이렇게 표현하고는 잠시 생각에 잠긴 듯 말을 끊었다. 노트 넘기는 소리만 간간이 들릴 뿐 강당은 쥐 죽은 듯 조용했다. 침묵 속에서도 강당 전체가 연단을 향해 무서울 정도로 집중하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비노드는 생각을 마친 듯 다시 학생들을 둘러보며 말을 이었다.

“꿈을 꾸고, 그 꿈을 이룬 것은 비단 나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이번엔 여기 앉아있는 여러분의 선배 이야기를 들려드리지요.”
조 크라우스(Joe Kraus)는 스탠포드 대학 졸업 이듬해인 1994년 학교 친구 다섯 명과 함께 Excite.com이라는 검색 엔진을 개발했다. 이름만큼이나 매우 흥미진진한 서비스인 Excite.com은 당시 클라이너 퍼킨스에 있던 비노드의 관심을 끌기 충분했다. 그는 이 가난한 청년들의 창업을 적극 지원하기로 결심했다. 모든 창업의 시작이 그렇듯, Excite.com의 첫 사무실은 조 크라우스와 그의 친구들이 스탠포드 재학 시절부터 지냈던 누추한 아파트였다. 그 낡고 허름한 곳을 비노드가 드나드는 것이 어찌나 이상해 보였는지 심지어 그 방에서 마약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소문까지 돌았다. 람보르기니를 탄 말쑥한 인도 신사가 흐릿한 눈동자의 – 물론 프로그래밍을 하느라 잠을 못 자서 – 백수 청년들과 어울리고 있으니 이웃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었다. 어찌 됐든 비노드의 안목은 역시 적중했다. Excite.com은 무서운 속도로 성장했고, 당시 스물네 살이었던 스탠포드 졸업생 여섯 명은 하루아침에 백만장자가 됐다. 물론 2000년 초 닷컴버블이 터지자 Excite.com의 상징인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 유리 빌딩’의 창문에도 하나 둘 불이 꺼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새파랗게 젊은 청년들이 이뤄낸 이 일은 분명 상상을 초월하는 업적임에 틀림없었다.

“이런 애송이들도 했는데, 여기 앉아있는 여러분이 왜 못하겠습니까?”

바로 이때, 비노드의 짧은 한 마디가 내 심장을 관통했다. 펜을 쥔 손에 나도 모르게 힘이 들어갔다. 어찌 보면 나는 지금까지 젊은 시절의 비노드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인생을 살아왔다. 나 역시 그처럼 아시아의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나 운 좋게 미국으로 유학 왔고, 스탠포드 대학에서 공학을 공부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의 말을 듣고 보니, 정말이지 나라고 못 할 것은 없었다. 불과 몇 년 전 이곳 기숙사에서 전자공학과 박사였던 제리 양(Jerry Yang)과 데이빗 파일로(David Filo)가 야후를 설립했고, 래리 페이지(Larry Page)와 세르게이 브린(Sergey Brin)이 구글을 만들지 않았는가.

하지만 그 순간, 그들과 나 사이에는 넘을 수 없는 거대한 벽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고 말았다. 당시 나는 미국 명문대 중 하나인 스탠포드 대학에 다니고 있다는 기분에 취해 하루하루를 안일하게 보내고 있었다. 스탠포드를 졸업한 후 마이크로소프트, GE 또는 삼성과 같은 대기업에 취직해 월급 꼬박꼬박 받으며, 등 따뜻하고 배부르게 살면 되는 줄 알았다. 그것이 내 인생에 하나 밖에 없는 길이라 생각했고, 무엇보다 그것이 인생의 성공이라 믿었다. 내게는 그들과 같은 야망과 꿈이 전혀 없었던 것이다. 비싼 등록금까지 내면서 나는 대체 여기서 무얼 하고 있단 말인가? 갑자기 머릿속이 안개가 낀 듯 뿌옇게 흐려졌다.
조 크라우스의 이야기를 마친 비노드는 연단 뒤 대형 스크린 쪽으로 천천히 걸어갔다. 스크린 속 파도는 바위를 집어삼킬 듯이 무서운 기세로 몰아치고 있었다. 그는 그 파도를 가리키며 한층 더 힘찬 목소리로 마지막 연설을 시작했다.

“엄청난 부를 얻겠다는 욕심으로 창업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인류에 도움이 되고자 창업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목표가 무엇이든 창업을 하는 정신은 모두 위대하다고 생각합니다. 매일 아침 침대에서 벌떡 일어나고, 밤이 새도록 일에 몰두하게 하는 그 뜨거운 열정 말입니다. 망설이지 말고 여러분의 스타트업을 시작하십시오. ‘창업가 정신’은 상상조차 하기 힘든 큰 꿈을 마음에 품고, 우둔할 정도로 꿈을 좇으며, 그리고 마침내는 그 꿈을 실현시키는 위대한 정신입니다. 여러분, 부디 젊음을 헛되이 보내지 마십시오. Create the Next Tsunami.”

비노드의 연설이 끝났을 때, 가슴 속에는 짧은 문장 하나가 끝없이 메아리치고 있었다.

‘세상을 뒤엎을 쓰나미를 일으켜라!’

…중략…

거의 1년 동안 주말과 자유시간을 통째로 빼앗아간 내 첫번째 책 <스타트업 바이블>이 드디어 출간되었다. 완성된 책을 보면 아쉬움도 많이 남지만, 그래도 첫 작품 치고는 내용은 괜찮은거 같다.
책은 여기서 구매할 수 있다.

<스타트업 바이블> 출시를 기념하기 위해서 2주 동안 2대의 아이패드(Wi-Fi 전용, 16GB)를 무료로 나누어 주려고 한다. 이렇게 하면 된다:

아이패드 증정; 8월16일-30일 <스타트업 바이블> 관련 트윗에 #khbae 태그추가. 저자가 가장 창의적인 트윗 2개 선택. 당첨자 확인하려면 @khbae를 follow!

* 선택된 분들의 iPad는 직접 댁으로 배송해드림.

The $600 Billion Challenge – Part 2

그리고 최초의 만찬 이후로 두번째와 세번째 모임의 일정이 확정되었다. 워낙 비밀리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두번째와 세번째 모임에는 정확하게 누가 참석하였는지는 아직도 공개되지 않았다. 이런 자선 관련 행사들이 완전히 베일에 가린채 진행되는 이유는 단순한 신비주의 전략이 아니다. 혹시나 이런 모임에 참석을 했다고 밝혀진 부자들이 어떤 이유로 인해서던간에 기부를 하지 않는다면 그 자신들은 공개적으로 많은 사람들한테 도덕적이지 못하니, 욕심이 많다니 등등 욕을 많이 먹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많은 부자들이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자신들이 자선단체의 행사에 참석하였다는 사실이 알려지는걸 많이 꺼려들 한다.

그래도 항상 누군가는 이런 비밀 정보를 몰래 누수한다 ㅋㅋ. 2009년 11월 New York Public Library에서 열린 두번째 모임에서 주목할만한 참석자들은 뉴욕의 유명한 투자은행가 Kenneth Langone과 그의 와이프 Elaine, 그리고 필라델피아에서 온 H.F. “Gerry” Lenfest와 그의 와이프 Marguerite였다. Lenfest 씨는 그가 창업해서 소유하고 있던 펜실베이나 케이블 TV 회사를 Comcast에 팔면서 막대한 부를 – 대략 12억 달러 정도 – 챙긴 인물이다. 이후에 그는 대부분의 재산을 자선단체에 기부하겠다고 발표하였으며 실제로 오늘날까지 그는 8억 달러라는 큰 금액을 대부분 교육 관련된 단체에 기부하였다.
11월달의 모임에서 Lenfest의 와이프 Marguerite는 매우 재미있고 현실적인 제안을 하였는데, 부자들은 시간을 정해서 그들과 그의 가족이 평생 잘 먹고 잘 살려면 도대체 얼마만큼의 돈이 필요한지를 곰곰히 계산해봐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밖의 돈은 모두 사회에 환원을 해야한다는 제안을 하였다.

세번째 모임은 서부에서 열렸다. 바로 그 다음달인 2009년 12월 Menlo Park (스탠포드 대학 바로 옆 동네이다)의 Rosewood Sand Hill Hotel에서 열렸다. 세번째 모임 참석자들 또한 모두 공개되어 있지는 않지만 우리가 아는 사실은 Kleiner Perkins의 전설적인 VC  John Doerr와 그의 와이프 Ann, 그리고 최초의 만찬에도 참석하였고 Rosewood Hotel 장소를 골랐던 Morgridge 부부가 그 중 몇명이었다는 점이다. 이 세번째 모임은 과거의 모임과는 성격이나 참석자면에서 조금 달랐다고 멜린다 게이츠는 말을 한다. 왜냐하면 실리콘 밸리를 중심으로 부를 축적한 서부의 부호들은 전통적으로 대대로 부자들이 아니라 신흥 경제를 (인터넷과 기술) 중심으로 돈을 번 아직은 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초짜”들이기 때문에 기부와 자선에 대해서는 아직은 익숙치 못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야기는 매우 순조롭게 진행되었고 예상하였던거보다 훨씬 더 길게 수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재미있는 거는 이렇게 오래동안 이야기를 하는 바람에 저녁식사로 준비되었던 고기가 너무 질기게 구워져서 이 호텔의 주방장과 매니지먼트가 모임일 열렸던 Dogwood 방에 모인  손님들한테 짜증을 냈다고 하는데 아마도 이 사람들이 누구인지 알았더라면 자신들이 얼마나 큰 실수를 저질렀는지 반성할것이다 ㅎㅎ.
세번째 만찬에서는 사람들이 기부의 문화에 대해서 갖고있는 두려움에 대한 이야기도 언급되었다. 개인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소식을 공개적으로 발표하는게 개인 생활이나 프라이버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것일까? 그 이후에는 여기저기서 돈을 기부하라고 귀찮게 하지는 않을까?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의 기관에 기부하는건 어떻게 관리를 해야하나? 돈을 스마트하게 번 사람들이기 때문에 기부 또한 스마트하게 하고 싶기에 물어보는 매우 좋은 질문들이다.

바로 이 세번째 모임에서 빌 게이츠와 워렌 버펫은 기부와 관련된 서약서에 대한 이야기를 조심스럽게 꺼냈다. 아무도 그 아이디어를 부정적으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면서 2010년도가 되면서 “서약”이 이 모임들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를 잡았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총 재산의 50%를 기부하라는 아이디어는 이렇게 탄생하였다. 실은 빌 게이츠나 워렌 버펫은 그 이상을 기부하라고 부자들에게 권유하고 싶었지만, 일단은 50%라는 숫자가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큰 부담이 없고 이렇게 해서 모인 액수 또한 빌 게이츠와 워렌 버펫이 목표로 하는 기부금과 근접하기 때문에 50%를 선택하였다고 한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서약서는 법적 계약서는 아니다. 그렇지만, 도덕적인 계약서이자 한번 서면으로 작성을 하면 마치 법적 계약서와 같이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성격의 서약서이다. 그리고 이 모든 서약서를 현재 멜린다 게이츠가 만들고 있는 새로운 웹사이트인 The Giving Pledge에 각각의 서약서를 포스팅하고 있다. 방금 확인해보니 정확히 40개의 서약서가 올라가 있는데 역시나 한국인의 서약서는 없다. 내가 앞서 포스팅한 워렌 버펫의 99% 서약서도 이 사이트에 올라가 있다. 이미 이 50% 서약에 동의한 사람들은 Broad 부부, Doerr 부부, Lenfest 부부, Morgridge 부부 등이 있으며 빌 게이츠, 멜린다 게이츠와 워렌 버펫은 이 서약을 할만한 부자들에게 자신들이 가진 재산의 50%를 기부하라는 이메일과 전화통화를 지금 이순간에도 하고 있을것이다. 그리고 곧 50% 서약을 한 모든 억만장자들은 그들의 억만장자 친구들에게 같은 내용의 이메일과 전화를 할 것이다. 가을에는 어쩌면 Great Givers Conference가 열릴지도 모른다. 확실한거는 나는 여기에 초대받지 않을거라는 것이다 (아 씁쓸하네).

과연 빌/멜리다 게이츠와 워렌 버펫의 $600 Billion Challenge가 성공할 수 있을까? 이 캠페인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자체가 좀 애매모호할거 같지만, 3명의 리더들이 각자 판단하는 성공의 기준은 있다.

워렌 버펫은 누구나 어느 정도 재산이 생기면 그 돈을 가지고 나중에 뭘 할지에 대해서는 생각을 한다고 한다: “어떻게 할지 결론을 내리지는 못해도, 모두가 다 한번 정도 생각은 해봤을겁니다. 이번에 우리가 하라고 하는 서약은 다시 한번 이들이 이에 대해서 심각하게 생각을 하게 만들것입니다.” 버펫이 이와 관련해서 경고하는 가장 위험한거는 부자들이 자신의 돈과 재산을 가지고 뭘할지 결정하는걸 미루는거라고 한다: “만약에 죽을때까지 기다렸다가 90살이 다 되어서 유서를 남기려고 하면 아마도 지금과 비교해서 지능이나 체력면에서 많이 뒤쳐져서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없을것입니다.” 

빌 게이츠는 오히려 50%라는 수치가 너무 낮은게 아니냐라는 말을 한다. 그의 바램은 부자들이 50%를 시작으로 기부활동을 시작하면서 기부의 매력과 즐거움을 깨닫고 더 많은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는것이다. “물론 제가 말하는거는 구세군 냄비에 한두푼 집어넣는거와는 다른 레벨입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재산을 기부할거라고 장담합니다.”

멜린다 게이츠는 조금 더 현실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 그녀는 단기적인 목표와 장기적인 목표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부자들이 기부를 하지 않는데는 너무나 많은 이유가 있다고 그녀는 말을 한다: 죽음을 준비하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고; 재산을 기부하려면 큰 돈이기 때문에 누군가를 통해서 여러가지 절차를 거쳐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냥 굳이 일부러 시간을 내서 이런 점들에 대해서 생각을 하기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서약 캠페인의 단기적인 목표는 바로 부자들이 이런 고민과 공포를 극복하고 기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면 궁극적으로 3~5년 후에는 더욱 더 많은 억만장자들이 서약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이렇게 되면 이 캠페인이 성공했다고 볼 수 있을겁니다.”
부자들이 10%를 기부하던, 50%를 기부하던 또는 99%를 기부하던간에 어찌되었던간에 이 캠페인의 최대 수혜자는 우리가 속해있는 사회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꼭 부자들만이 이 사회에 자신들이 어떻게 기여 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는건 아닐것이다. 바로 우리와 같이 평범하고 보잘것없는 피래미들도 부자들이 50% 서약 하는걸 보면 – 비록 줄 수 있는건 그들보다는 택도 없이 부족하겠지만 – 무엇이 옳바른 일이고 어떤게 스스로와 남을 위해서 살 수 있는 삶인지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하게 될 것이다.

가끔 전쟁과 관련된 무슨 날이면 6.25전 참전 미군 용사들이 TV에 나온다. 얼마전에도 이명박 대통령이 이제는 쭈글쭈글 할아버지/할머니가 된 6.25 참전 미군들을 한국으로 초청해서 훈장을 수여하는걸 뉴스를 통해서 봤다. 솔직히 미국이 우리나라를 도와준거는 한국이 불쌍해서가 아니라 100%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이다. 미군들이 “we exchanged our youths and lives for Korea’s freedom” 이라는 말을 하면 속으로 “개새끼들 지랄하고 자빠졌구나”라는 생각을 항상 한다. 하지만, 한가지는 짚고 넘어가자. 어찌되었던간에 이들은 생판 알지도 못하는 한국이라는 코딱지만한 나라에서 그들이 왜 싸워야하는지도 모르면서 목숨을 바쳐가면서 타국의 자유를 위해서 자신의 젊음을 – 어떤 이들은 목숨을 – 희생하였다. 이건 객관적인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그들은 정말로 대단한 영웅인 셈이다 (물론, 월남전에 참전하고 지금도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에서 조뺑이 치고 있는 대한민국 군인들도 마찬가지이다).

개인재산의 50%를 사회에 환원하는 사람들은 어떠한가? 이들이 사회에 돈을 퍼다 줄 타당한 이유는 솔직히 쥐뿔만큼도 없다. 남들이 빈대같이 빈둥빈둥 놀고 게으름을 피우고 있을때 이 사람들은 더러운꼴 당하고 피똥싸면서 열심히 일을 했고, 그에 대한 대가로 막대한 부를 축적하였다. 이런 그들이 왜 자신과 전혀 상관없는 아프리카의 “마둥가”라는 에이즈 걸린 3살짜리 어린애와 그의 식구를 도와야 하는가? 나 같으면 그렇게 할 수 있을까? 우리 아버지가 억만장자인데 자신이 힘들게 번 재산의 50%를 아들인 나한테 유산으로 주지 않고 사회에 환원한다고 하면 나는 “아이구, 아부지 정말 잘 결정하셨습니다.” 라고 웃으면서 말할 수 있을까? 힘들것이다.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천사들이자 영웅이다.

이 글을 쓰면서 나는 오늘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어쩌면 이 세상은 우리가 생각하는것처럼 더럽고 매마른 곳이 아닐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