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롱에는 6명의 투자팀원이 있다. 이 중 스트롱의 리더십은 나를 포함해서 세 명이다. 나는 2012년 스트롱을 만든 후 계속 한국 시장에 투자했고, 나머지 두 분은 스트롱에 조인하기 전에 각자 다른 곳에서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의 경험을 쌓았다. 우리 셋 모두 2010년 초중반부터 한국 벤처 시장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이후 2022년 글로벌 불경기가 오기 전까진 거의 10년 이상 벤처 호황을 경험하고, 이 호황을 누리면서 투자 업무를 했다. 스트롱이 투자를 시작한 2012년부터 2022년, 10년 동안 경기는 약간의 up/down이 있었지만, 그동안 한 번도 제대로 된 불경기가 찾아온 적은 없었고, 나의 첫 10년 VC 인생 중 항상 경기는 좋을 거라는 순진한 생각을 한 적도 있다.
코로나를 거치면서 세계 경기는 하향 조정되기 시작했고, 나를 비롯한 다른 시니어 동료분들은 VC 커리어에서 처음으로 불경기를 경험하면서, 돈이 메마르고, 불확실성이 모든 걸 지배하고, 벤처생태계 자체가 공황에 빠지면 어떤 일이 일어나고, 이럴 때 VC는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지난 2년 동안 매일 매일 새로운 걸 배우고 있다.
우리의 다른 투자팀원 세 명은 리더십 동료와는 매우 다른 프로필을 갖고 있다. 일단 세 분 모두 다 젊다. 나도 정신적 나이만 따지면 젊지만, 이분들은 물리적인 나이가 모두 20대다. 그리고 스트롱 전에는 모두 학생이었다. 많은 VC들이 경력 없는 신입 직원은 안 뽑는데, 우린 채용 면에서도 남들과 다른 전략을 구사하고 있고, 심사역은 학교 졸업하자마자 바로 채용하는 걸 선호한다. 공통점이라면, 이 세 분 모두 스트롱에서 6개월 이상 인턴 생활을 했고, 이 기간에 우리도 인턴분들과 합을 맞춰봤고, 인턴분들도 스트롱이 본인들에게 맞는 조직인지를 시험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분들은 대부분 2020년 이후에 스트롱에 조인하면서 VC 생활을 시작했는데, 내가 투자를 시작할 때와는 달리 세계 경기는 좋지 않았고, 시간이 갈수록 더욱더 안 좋아졌다. 내 기억으론 우리 주니어분들은 우리 포트폴리오가 힘든 시기를 거치면서 망가지고 있을 때 투자를 시작했다. 그래서 이분들은 투자는 원래 힘들고, 투자하는 회사는 대부분 망하고, VC는 투자보단 회사들이 어려울 때 뒤에서 더러운 일 처리하면서 힘든 일 하는 직업이라는 생각이 기본적으로 박혀 있다.
이런 default mentality의 차이가 별거 아닌 것 같지만, 그 차이가 만드는 결과는 엄청나게 다를 것으로 생각한다. 이들이 벤처투자를 시작했던 타이밍은 VC 역사상 최악이지만, 앞으로는 더 좋아질 수밖에 없고, 지금의 힘든 상황 때문에 일할 때 항상 더 열심히 하고, 항상 더 겸손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 같은 사람은 벤처 투자를 시작하고 첫 10년은 너무나 좋은 타이밍이었기 때문에, VC 업무가 원래는 이렇게 힘들고 더러운 일 뒤치다꺼리 하는 게 아니라는 기본 사고 방식을 갖고 있지만, 우리 회사의 20대 심사역들은 180도 다른 기본 사고 방식을 갖고 있을 것이다.
이들에겐, VC 업무는 원래 힘들고, 투자하는 회사마다 거의 다 망하는 게 정상이라는 기본 사고가 깔려있다. 그리고 사고가 터지면 – 하루에도 여러 개 – 직접 뒤에서 더러운 일을 하고, 똥을 치워야 하는 사람들이라는 걸 잘 알고 있다. 이런 트레이닝을 제대로 받고 있기 때문에, 나는 이들이 나중에 스트롱의 파트너가 되거나, 다른 VC나 회사의 임원이 되면, 그땐 산전수전 다 겪고 행동으로 보여주는 아주 좋은 리더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